KR20160073703A - 버너 - Google Patents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703A
KR20160073703A KR1020140182330A KR20140182330A KR20160073703A KR 20160073703 A KR20160073703 A KR 20160073703A KR 1020140182330 A KR1020140182330 A KR 1020140182330A KR 20140182330 A KR20140182330 A KR 20140182330A KR 20160073703 A KR20160073703 A KR 2016007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lame
burner
guide
burn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희
정용기
임재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703A/ko
Priority to US14/869,306 priority patent/US10451287B2/en
Priority to DE102015225257.4A priority patent/DE102015225257A1/de
Publication of KR2016007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23D14/065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with injector axis inclined to the burner hea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2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for cooking ranges having multiple flam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버너는,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 헤드; 및 상기 버너 헤드를 커버하는 버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헤드는, 화염이 발생되는 제1염공을 구비하는 외벽과, 화염이 발생되는 제2염공을 구비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 간에 화염을 전파하기 위한 화염 전파 유로와, 상기 화염 전파 유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에 체류하도록 하기 위한 체류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너{Burner}
본 발명은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으로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직접 가열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버너(50)는, 다수의 염공을 구비하는 버너 헤드(50)와, 버너 헤드(50)를 커버하는 버너 캡(61, 62)을 포함한다.
상기 버너 헤드(50)는, 아우터 버너 헤드(52)와, 상기 아우터 버너 헤드(52)의 내측에 위치되는 인너 버너 헤드(53)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캡(61, 62)은, 상기 아우터 버너 헤드(52)의 상측을 커버하는 아우터 캡(61)과, 인너 버너 헤드(53)를 커버하는 인너 캡(6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버너의 경우, 아우터 버너 헤드(52)와 인너 버너 헤드(53) 간에 화염의 전파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기술의 버너의 경우, 아우터 버너 헤드(52)와 인너 버너 헤드(53) 간의 화염 전파가 이루어지지 위하여, 상기 아우터 캡(61)에는 화염 전파 유로를 형성하는 슬릿(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릿(63) 상에는 공기와 가스의 혼합 가스가 위치될 수 있어, 아우터 버너 헤드(52)와 인너 버너 헤드(53) 중 어느 하나의 화염이 소화된 경우 다른 하나의 화염을 전달받아 화염이 다시 생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버너에 의하면, 상기 버너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슬릿를 막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상기 슬릿이 화염 전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아우터 버너 헤드(52)와 인너 버너 헤드(53) 중 어느 하나에서 연소되지 않은 혼합가스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의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버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버너는,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 헤드; 및 상기 버너 헤드를 커버하는 버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헤드는, 화염이 발생되는 제1염공을 구비하는 외벽과, 화염이 발생되는 제2염공을 구비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 간에 화염을 전파하기 위한 화염 전파 유로와, 상기 화염 전파 유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에 체류하도록 하기 위한 체류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기 버너 캡 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의 양단부는 이격되며,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내벽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다수의 연결벽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캡이 상기 버너 헤드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버너 캡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의 혼합가스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수의 연결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연결벽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화염 전파 유로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파 염공과, 상기 점화부 측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점화 염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외측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체류 가이드가 화염 전파 유로에서 혼합가스가 체류되도록 함에 따라서, 버너 헤드의 내벽과 외벽 간의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내벽이나 외벽의 화염이 소화된 상태에서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서, 미연소된 혼합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점화부가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혼합가스가 화염 전파 유로에서 외벽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burner: 1)는, 화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헤드(burner head: 10)와, 상기 버너 헤드(10)를 지지하는 버너 바디(burner body: 20)와, 상기 버너 헤드(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버너 캡(burner cap: 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1)는, 상기 버너 헤드(10)로 공급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는, 상기 버너 헤드(10)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210)와, 헤드 지지부(210)와 연결되는 가스 공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지지부(210)는, 상기 버너 헤드(10)의 혼합가스 공급관(도 3의 130, 131참조)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220)는,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버너 헤드(10)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220)에는 다수의 노즐(22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부(220)는 상기 점화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10)는, 외벽(110)("제1벽"이라고 할 수 있음)과, 상기 외벽(110)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114)("제2벽"이라고 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110)은 화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제1염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염공(112)은 상기 외벽(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벽(114)은 화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제2염공(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염공(116)은 상기 내벽(11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10)는 상기 외벽(110) 및 상기 내벽(114)과 함께 혼합가스 챔버(120)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벽(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캡(30)은 상기 외벽(110) 및 상기 내벽(114)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캡(30)은 상기 혼합가스 챔버(120)를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벽(114)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버너 캡(30)을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 캡(30)은 개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31)는 일 예로 상기 버너 캡(3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18)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은 상기 바닥벽(118)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바닥벽(118)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벽(118)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두 개의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이 상기 바닥벽(118)에 연결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은 상기 버너 바디(20)의 헤드 지지부(210)에 형성되는 개구(21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10)가 상기 버너 바디(20)의 헤드 지지부(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은 상기 가스 공급부(220)에 구비된 노즐(222)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222)에서 가스가 분사되면,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 주변의 공기가 가스와 함께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130, 131)으로 유입된다.
상기 외벽(110)과 상기 내벽(114)은 다수의 연결벽(121, 12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벽(114)과 외벽(110)은 대략적으로 "C"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벽(114)의 단부와 외벽(110)의 단부가 각각 상기 다수의 연결벽(121, 12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벽(121, 122)은, 제1연결벽(121)과, 상기 제1연결벽(121)과 이격되는 제2연결벽(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벽(121)은 상기 외벽(110)의 일단부와 상기 내벽(114)의 일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벽(122)은 상기 외벽(110)의 타단부와 상기 내벽(114)의 타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가스 챔버(120)도 "C"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화염의 전파를 위한 화염 전파 유로(123)를 형성한다.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는 상기 외벽(110)의 화염을 상기 내벽(114) 측으로 전파하거나 상기 내벽(114)의 화염을 상기 외벽(110) 측으로 전파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10)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유로 바닥벽(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바닥벽(124)에는 상기 점화부(230)가 관통하기 위한 점화부 관통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점화부(230) 측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점화 염공(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 염공(126)은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점화부(23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염공(126)이 상기 점화부(230)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점화부(230)에 의한 점화 시 혼합가스가 상기 점화부(230) 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점화가 신속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체류할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화염 전파 염공(1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염 전파 염공(127)은 상기 점화 염공(126) 보다 상기 내벽(114)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10)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에 체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류 가이드(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유로 바닥벽(124)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유로 바닥벽(124)에서 상기 버너 캡(30) 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의 혼합가스가 상기 내벽(114)의 내측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110)과 내벽(114) 간의 화염 전파가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내벽(114)의 제1단부(114a)와 제2단부(114b)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벽(114)의 양단부는 이격되며,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내벽(114)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류 가이드(128)에 의해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로 공급된 혼합가스(MG)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체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외벽(110)과 내벽(114) 간의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버너(1)의 열량(버너가 제공할 수 있는 열의 양)이 큰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버너(1)의 열량이 작은 경우에도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체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외벽(110)과 내벽(114) 간의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내벽(114)이나 외벽(110)의 화염이 소화된 상태에서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서, 미연소된 혼합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제1연결벽(121)과 제2연결벽(122)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의 공간이 확보되기 위하여 상기 체류 가이드(128)가 상기 내벽(11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류 가이드(128)의 높이는 상기 내벽(114)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체류 가이드(128)의 높이가 상기 내벽(114)의 높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체류 가이드(128)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의 혼합가스가 상기 내벽(114)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상기 화염 체류 유로(123)의 혼합가스가 상기 내벽(114)의 화염과 만나지 못하므로 상기 외벽(110)으로 화염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외벽의 화염이 소화된 경우임).
뿐만 아니라, 상기 체류 가이드(128)의 높이가 상기 내벽(114)의 높이와 동일한 경우,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의 화염이 상기 내벽(114)의 제2염공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와 만나지 못하므로 상기 내벽(114)으로 화염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내벽의 화염이 소화된 경우임).
또한, 상기 체류 가이드(128)의 높이가 상기 내벽(114)의 높이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버너 캡(30)이 상기 내벽(114)에 안착되기 어렵거나 상기 버너 캡(30)의 일부분이 상기 내벽(114)과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체류 가이드(128)는 상기 버너 캡(30)이 상기 버너 헤드(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캡(30)의 저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화부(2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화부 관통홀(13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점화부(230)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의 혼합가스가 상기 외벽(110)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벽 역할을 하므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체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점화부(23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점화부(230)가 상기 제1연결벽(121) 및 제2연결벽(122) 사이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버너 헤드(10)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의 혼합가스가 상기 외벽(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체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벽(114)과 인접한 체류 가이드를 내측 가이드라 할 수 있고, 상기 외벽(110)와 인접한 체류 가이드를 외측 가이드라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가이드와 외측 가이드 각각은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혼합가스의 체류를 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 헤드(10)는, 화염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염 체류 챔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는 상기 외벽(110)의 일부(142)(이하 "챔버 형성벽"이라 함)가 상기 내벽(114)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 형성벽(142)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에 의하면, 상기 버너(1)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외벽(110)과 내벽(114)의 화염이 소화되더라도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 내에는 화염이 체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외벽(110) 및 내벽(114)에서 혼합가스가 재점화되어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버너(1)가 가스 오븐 레인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또는 가스 오븐 레인지가 빌트인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버너(1)의 내벽(114) 및 외벽(110)의 화염이 소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외벽(110) 및 내벽(114)에서 혼합가스가 재점화되어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화염 체류 챔버(14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외벽(110)에서 화염이 발생하고, 상기 외벽(110)에서 발생된 화염은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류 가이드(128)에 의해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 내에서 혼합가스가 체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의 화염이 상기 내벽(114)의 제2염공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 측으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벽(114)으로 화염이 전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화염이 화염 전파 유로에 체류하기 위한 버너 헤드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10)는, 화염 전파 유로(123)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124)에 화염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체류 가이드(129)가 구비된다.
상기 체류 가이드(129)는 상기 유로 바닥벽(124)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체류 가이드(129)에 의해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존재하는 혼합가스의 양이 증가되므로, 상기 내벽(114)과 외벽(110) 간의 화염 전파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버너 헤드에 버너 캡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버너 헤드(10)는 제1실시 예의 체류 가이드(128)와 제2실시 예의 체류 가이드(129)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리브 형태의 체류 가이드(128)에 의해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혼합가스가 체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 형태의 체류 가이드(129)에 의해서 상기 화염 전파 유로(123)에 체류하는 혼합가스의 양이 증가될 수 있어, 상기 내벽(114)과 외벽(110) 간의 화염 전파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버너 10: 버너 헤드
20: 버너 바디 30: 버너 캡
110: 외벽 112: 제1염공
114: 내벽 116: 제2염공
121: 제1연결벽 122: 제2연결벽
123: 화염 전파 유로 124: 유로 바닥벽
127: 전파 염공 128: 체류 가이드
129: 혼합가스 체류 공간 134: 점화부 관통홀

Claims (9)

  1.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 헤드; 및
    상기 버너 헤드를 커버하는 버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헤드는, 화염이 발생되는 제1염공을 구비하는 외벽과,
    화염이 발생되는 제2염공을 구비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 간에 화염을 전파하기 위한 화염 전파 유로와,
    상기 화염 전파 유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 전파 유로에 체류하도록 하기 위한 체류 가이드를 포함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기 버너 캡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버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양단부는 이격되며,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내벽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버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다수의 연결벽을 연결시키는 버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캡이 상기 버너 헤드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버너 캡과 이격되는 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인 버너.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의 혼합가스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수의 연결벽 사이에 위치되는 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벽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화염 전파 유로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파 염공과, 상기 점화부 측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점화 염공을 포함하는 버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화염 전파 유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로 바닥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류 가이드는,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유로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외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버너.
KR1020140182330A 2014-12-17 2014-12-17 버너 KR20160073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30A KR20160073703A (ko) 2014-12-17 2014-12-17 버너
US14/869,306 US10451287B2 (en) 2014-12-17 2015-09-29 Burner
DE102015225257.4A DE102015225257A1 (de) 2014-12-17 2015-12-15 Bre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30A KR20160073703A (ko) 2014-12-17 2014-12-17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703A true KR20160073703A (ko) 2016-06-27

Family

ID=5609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30A KR20160073703A (ko) 2014-12-17 2014-12-17 버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51287B2 (ko)
KR (1) KR20160073703A (ko)
DE (1) DE102015225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9076B2 (en) * 2016-10-20 2019-10-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of an appliance
US10551056B2 (en) *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930A (en) * 1978-09-11 1981-05-12 Vernitron Corporation Gas collector/spark igniter for gas burners
US5160256A (en) * 1991-07-19 1992-11-03 Robertshaw Controls Company Burner construction, ignite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934896A (en) * 1998-04-10 1999-08-10 Ranco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ual point top burner spark for gas range and dual port burner incorporating same
US20090165777A1 (en) * 2007-12-27 2009-07-02 Paul Bryan Cadima Gas burner
US8973569B2 (en) * 2009-02-18 2015-03-1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Gas burner
US8899972B2 (en) * 2009-12-14 2014-12-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urner designed for wide range of input rates
MX345335B (es) * 2009-12-18 2017-01-25 Mabe S A De C V * Quemador de tres sectores de flama.
US20120282560A1 (en) * 2011-05-05 2012-11-08 General Electric Company Offset igniter assembly
BR112013028978B1 (pt) * 2012-10-26 2021-02-02 Sabaf S.P.A. queimador de gá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1287B2 (en) 2019-10-22
DE102015225257A1 (de) 2016-06-23
US20160178211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3704A (ko) 버너
KR102297756B1 (ko) 버너
US10488051B2 (en)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206986B2 (en) Burner
KR100682664B1 (ko)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KR20110099733A (ko) 가정용 조리기를 위한 가스버너
KR20160073703A (ko) 버너
KR20120120535A (ko) 조리기기
KR102102148B1 (ko) 가스버너
JP6148493B2 (ja) ガスバーナー
KR20160073701A (ko) 버너
TWI452237B (zh) 主副燃燒器
CN103851616A (zh) 燃烧器及烹调机
US20170023245A1 (en) Dual ring burner ovni
KR101767397B1 (ko) 가스렌지용 버너
JP6178670B2 (ja) ガスバーナー
KR100990442B1 (ko) 세라믹판형 버너
JP2014163524A (ja) ガスバーナー
KR101795504B1 (ko) 가스렌지용 버너
KR20120118810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900616B1 (ko) 가스오븐을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가스분출장치
KR2003005990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버너 점화장치
KR200374247Y1 (ko)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KR20150090533A (ko) 조리기기
KR101774055B1 (ko)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2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31

Effective date: 2022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