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046A - 퓨저블 링크 - Google Patents

퓨저블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046A
KR20160072046A KR1020150175669A KR20150175669A KR20160072046A KR 20160072046 A KR20160072046 A KR 20160072046A KR 1020150175669 A KR1020150175669 A KR 1020150175669A KR 20150175669 A KR20150175669 A KR 20150175669A KR 20160072046 A KR20160072046 A KR 2016007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attery
ed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867B1 (ko
Inventor
신야 오노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2085/0555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e.g. multi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소형화된 퓨즈 유닛을 제공한다.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배터리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 단자(13)에 설치된 급전부(121)와, 회로가 접속되는 회로 단자(122)와, 접속 단자(13)에 있어서의 급전부(121)의 근방의 외주 가장자리 중 배터리 단자(11)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3b)로부터, 단자 장착면의 면 외 방향(D3)으로 기립한 급전측 기립부(123a)와, 회로 단자(122)의 외주 가장자리 중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22c)로부터, 급전측 기립부(123a)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한 회로측 기립부(123b)와, 급전측 기립부(123a)와 회로측 기립부(123b)의 사이에 걸쳐진 다리 형상부(123c)를 구비하고, 급전측 기립부(123a), 회로측 기립부(123b), 및 다리 형상부(123c)가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용단하는 가용체(123)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저블 링크{FUSIBLE LINK}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의 회로에 규정값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저블 링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있어서의 배터리로부터 회로에의 전력 공급은, 규정값보다 큰 전류가 회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저블 링크를 개재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4에는, 종래의 퓨저블 링크를 갖는 퓨즈 유닛의 일례가 3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즈 유닛(7)은, 배터리(8)에 있어서의 단자 장착면(81)으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상 전극(82)에 바로 장착되는 것이고, 배터리 단자(71)와 퓨저블 링크(72)를 갖고 있다.
배터리 단자(71)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단자이고, 그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측에 배터리(8)에 있어서의 막대 형상 전극(82)이 삽입 통과되는 전극 삽입 통과 구멍(7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타단(他端)측에는, 배터리 단자(71)와 퓨저블 링크(72)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712)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71)는, 일단 근방이 배터리(8)의 막대 형상 전극(82)에 접속됨과 함께, 단자 장착면(81)의 바깥 가장자리(81a)로 타단을 향해 연장된다.
퓨저블 링크(72)는, 접속 단자(73)에 설치된 급전(給電)부(721)와, 2개의 회로 단자(722)와, 가용체(可溶體)(723)가 절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하우징(724)에 내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2개의 회로 단자와, 가용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 나타내어져 있다.
접속 단자(73)에는 배터리 단자(71)가 접속된다. 이 접속 단자(73)에는, 배터리 단자(71)의 나사(712)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7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 구멍(73a)을 삽입 통과한 나사(712)에 너트(713)가 체결됨으로써, 접속 단자(73)에 배터리 단자(71)가 접속된다.
급전부(721)는, 접속 단자(7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배터리 단자(71) 및 접속 단자(73)를 개재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2개의 회로 단자(722) 각각에는, 배터리(8)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가 접속된다. 각 회로 단자(722)에는, 회로를 이루는 예를 들면 전선의 환(丸)형 단자 등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나사(722a)가 설치된다. 회로 단자(722)에는, 이 접속 나사(722a)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722b)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단자(722)는, 삽입 통과 구멍(722b)을 접속 나사(722a)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수지 하우징(724)에 내장되어 있다.
가용체(723)는, 급전부(721)와 2개의 회로 단자(722) 각각을, 급전부(721)나 회로 단자(722)보다 폭이 좁은 띠 형상으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있다. 각 회로 단자(722)에는, 배터리(8)로부터의 전류가 급전부(721)로부터 가용체(723)를 개재하여 흐른다. 그리고,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가용체(723)가 용단(溶斷)하여, 회로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또, 퓨저블 링크(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접속 단자(73)에 설치된 급전부(721), 2개의 회로 단자(722), 및 가용체(723)가 절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하우징(724)에 내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지 하우징(724)은, 접속 단자(73)에 설치된 급전부(721), 2개의 회로 단자(722), 및 가용체(723)가,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성 수지 재료로 덮여 굳혀져서(몰딩되어) 형성된다. 절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하우징(724)은, 접속 단자(73) 및 회로 단자(722) 각각의 접속면이 노출되고, 또한 가용체(723)의 용단이 시인 가능하도록 창(724a)이 설치된 상태에서, 접속 단자(73)에 설치된 급전부(721), 회로 단자(722), 및 가용체(723) 각각의 일부를 덮어 굳히고 있다. 용단 시인용의 창(724a)에는, 투명 커버(725)가 씌워져 있고, 가용체(723)의 용단은, 이 투명 커버(725) 너머로 시인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222189호 공보
여기서, 최근에는, 차량의 공간 절약화가 진행하어, 탑재되는 배터리의 주위에 있어서의 공간적인 여유가 줄어들고 있고, 배터리의 막대 형상 전극의 근방에서 공간을 점유하는 경향이 있는 퓨저블 링크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주목하여, 소형화된 퓨저블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배터리에 있어서의 단자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상 전극에 일단 내지 그 근방이 접속되고, 상기 단자 장착면의 바깥 가장자리로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배터리 단자의 타단측에 설치되었거나, 혹은,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자 장착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자 장착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가 접속되는 회로 단자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배터리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급전부 근방의 외주 가장자리, 혹은,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급전부 근방의 외주 가장자리 중 상기 배터리 단자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단자 장착면의 면 외(外) 방향으로 기립한 급전측 기립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회로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 중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급전측 기립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한 회로측 기립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급전측 기립부와 상기 회로측 기립부의 사이에 걸쳐진 다리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측 기립부, 상기 회로측 기립부, 및 상기 다리 형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용단하는 가용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저블 링크로 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상기 급전측 기립부가,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회로측 기립부가, 상기 회로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급전부 근방에서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기립한 급전측 기립부, 회로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기립한 회로측 기립부, 및 양자 사이에 걸쳐진 다리 형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용체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가용체를 상기 면 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나 회로 단자로부터, 연장 방향과 교차함과 함께 단자 장착면과 대략 평행한 교차 방향으로의 돌출 치수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퓨저블 링크를 상기 교차 방향에 대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급전측 기립부가,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급전부 근방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고, 회로측 기립부가, 회로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급전부가 설치된 접속 단자, 회로 단자, 및 가용체를,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의 1장의 판으로부터 전개 형상으로 잘라낸 후에 절곡 가공을 행하는 것과 같은 간이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삭감과 제조 공정의 간이화에 의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저블 링크를 갖는 퓨즈 유닛을 나타내는 3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를 나타내는 3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2개의 회로 단자와, 가용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퓨저블 링크를 갖는 퓨즈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3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2개의 회로 단자와, 가용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저블 링크에 대하여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저블 링크를 갖는 퓨즈 유닛을 나타내는 3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를 나타내는 3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즈 유닛(1)은, 배터리(2)에 있어서의 단자 장착면(21)으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상 전극(22)에 바로 장착되는 것이고, 배터리 단자(11)와, 도 2에도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12)를 갖고 있다.
배터리 단자(11)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단자이다. 배터리 단자(1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배터리(2)에 있어서의 막대 형상 전극(22)이 삽입 통과되는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는, 배터리 단자(11)와 퓨저블 링크(12)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112)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11)는, 일단 근방이 배터리(2)의 막대 형상 전극(22)에 접속됨과 함께, 단자 장착면(21)의 바깥 가장자리(21a)로 타단을 향해 연장된다.
배터리 단자(11)에는,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에 이르는 슬릿(113)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은, 이 슬릿(113)의 폭을 줄임으로써 축경(縮徑)되도록 되어 있고, 배터리 단자(11)에는, 이 슬릿(113)의 폭을 줄이기 위한 체결 나사(114)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 나사(114)의 나사 머리(114a)와 단자 본체(11a)의 사이에는 사각 와셔(115)가 배치되고, 이 사각 와셔(115)와의 사이에 단자 본체(11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너트(116)에, 체결 나사(114)의 선단(先端)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체결 나사(114)가 체결되면, 사각 와셔(115)와 너트(116)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그 결과, 슬릿(113)의 폭이 줄어듦으로써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이 축경된다. 배터리 단자(11)는,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에 막대 형상 전극(22)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체결 나사(114)가 체결되어 전극 삽입 통과 구멍(111)이 축경되는 것으로부터, 막대 형상 전극(22)에 대한 기계적인 고정과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퓨저블 링크(12)는, 접속 단자(13)에 설치된 급전부(121)와, 2개의 회로 단자(122)와, 가용체(123)가 절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하우징(124)에 내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퓨저블 링크에 있어서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2개의 회로 단자와, 가용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접속 단자(13)에는 배터리 단자(11)가 접속된다. 급전부(121)는, 이 접속 단자(13)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급전부(121)와 접속 단자(13)는,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함께 단자 장착면(21)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급전부(121)가 설치된 접속 단자(13)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T자형으로 되어 있다. 접속 단자(13)에는, 배터리 단자(11)의 나사(112)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 구멍(13a)을 삽입 통과한 나사(112)에 너트(117)가 체결됨으로써, 접속 단자(13)에 배터리 단자(11)가 접속된다. 급전부(121)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13a)을, 배터리 단자(11)측을 개방한 C자형으로 둘러싸도록 접속 단자(13)에 설치되어 있다. 급전부(121)에는, 배터리 단자(11) 및 접속 단자(13)을 개재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2개의 회로 단자(122) 각각은,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단자 장착면(21)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터리(2)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도시 생략된 회로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단자(122)는, 급전부(121)에서 보아서 배터리 단자(11)의 연장 방향(D1)의 전방에, 그 급전부(121)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연장 방향(D1)과 교차함과 함께 단자 장착면(21)과 대략 평행한 교차 방향(D2)으로 2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회로 단자(122)는, 급전부(121) 및 접속 단자(13)와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급전부(121)가 설치된 접속 단자(13)의 연장 방향(D1)의 전방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2)로부터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도시 생략된 회로를 회로 단자(12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나사(122a)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22b)이, L자형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D2)을 따른 가로 막대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단자(122)에는, 예를 들면 도시 생략된 회로로부터 연장되어 오는 전선의 선단에 장착된 환형 단자 등이 접속 나사(122a)에 통과되어 너트 조임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가용체(123)가, 급전부(121)와 2개의 회로 단자(122) 각각을, 다음과 같이 연결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용체(123)는, 각 회로 단자(122)에 대하여 1개씩, 합계로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용체(123)가,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급전측 기립부(123a)와, 회로측 기립부(123b)와, 다리 형상부(123c)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측 기립부(123a)는, 급전부(121)가 설치되어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T자형을 갖는 접속 단자(13)의 외주 가장자리 중, 급전부(121)의 근방에서 T자의 가로 막대의 단(端) 가장자리에 상당하고, 배터리 단자(11)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3b)로부터, 단자 장착면(21)의 면 외 방향(D3)으로 기립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전측 기립부(123a)는, 급전부(121)가 설치된 접속 단자(1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3b)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면 외 방향(D3)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회로측 기립부(123b)는, 평면에서 볼 때에 L자형을 갖는 회로 단자(122)의 외주 가장자리 중, L자의 세로 막대의 측 가장자리에 상당하고, 상기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22c)로부터, 급전측 기립부(123a)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측 기립부(123b)는, 회로 단자(122)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22c)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면 외 방향(D3)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다리 형상부(123c)는, 급전측 기립부(123a)와 회로측 기립부(123b)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급전측 기립부(123a), 회로측 기립부(123b), 및 다리 형상부(123c)로 이루어지는 가용체(123)가,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용단하는 퓨즈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가용체(123)가, 급전부(121)가 설치된 접속 단자(13) 및 2개의 회로 단자(122)와 함께, 도전성 금속의 1장의 판으로부터로 전개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후에 절곡 가공에 의해 급전측 기립부(123a)와 회로측 기립부(123b)를 기립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퓨저블 링크(12)는,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13)에 설치된 급전부(121), 2개의 회로 단자(122), 및 2개의 가용체(123)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 절연성 수지 재료로 몰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하우징(124)은, 접속 단자(13) 및 각 회로 단자(122)의 접속면이 노출되고, 또한 가용체(123)의 용단이 시인 가능하도록 창(124a)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덮어 굳히고 있다. 이 수지 하우징(124)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구조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인서트 성형은, 회로 단자(122)의 삽입 통과 구멍(122b)에 접속 나사(122a)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수지 하우징(124)에 있어서의 용단 시인용의 창(124a)에는, 투명 커버(125)가 씌워져 있고, 가용체(123)의 용단은, 이 투명 커버(125) 너머로 시인된다. 투명 커버(125)는, 상기와 같이 기립한 가용체(123)를 덮기 위해,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L자형의 단면을 갖는 커버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퓨저블 링크(12)에 의하면, 접속 단자(13)에 있어서의 급전부(121)의 근방에서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3b)로부터 면 외 방향(D3)으로 기립한 급전측 기립부(123a), 회로 단자(122)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22c)로부터 면 외 방향(D3)으로 기립한 회로측 기립부(123b), 및 양자 사이에 걸쳐진 다리 형상부(123c)로 가용체(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용체(123)를 면 외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급전부(121)나 회로 단자(122)로부터 교차 방향(D2)으로의 돌출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퓨저블 링크(12)는 교차 방향(D2)에 대하여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퓨저블 링크(12)에 의하면, 급전측 기립부(123a)가, 접속 단자(13)에 있어서의 급전부(121)의 근방에서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3b)로부터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고, 회로측 기립부(123b)가, 회로 단자(122)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D1)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122c)로부터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전부(121)가 설치된 접속 단자(13), 회로 단자(122), 및 가용체(123)가 도전성 금속의 1장의 판으로부터 전개 형상으로 잘라낸 후에 절곡 가공을 행하는 것과 같은 간이한 공정으로 형성되고, 부품수의 삭감과 제조 공정의 간이화에 의한 비용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2개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서도 여전히 본 발명의 퓨저블 링크의 구성을 구비하는 한, 물론,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부의 일례로서, 배터리 단자(11)가 접속되는 접속 단자(13)에 설치된 급전부(121)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배터리 단자에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가용체는, 이 배터리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회로 단자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퓨저블 링크의 일례로서, 회로 단자(122)가 2개 설치되고, 각 회로 단자(122)에 대하여 1개씩 가용체(123)가 설치된 형태의 퓨저블 링크(12)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퓨저블 링크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회로 단자가 1개, 혹은 3개 이상 설치된 형태여도 된다. 또, 회로 단자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가용체는, 그들 복수의 회로 단자의 모두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용단에 의한 보호를 필요로 하는 회로가 접속되는 회로 단자에 대해서만 가용체가 설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용체의 일례로서, 급전측 기립부(123a), 회로측 기립부(123b)와, 다리 형상부(123c)를 구비하고, 이들 전체가 용단 기능을 갖는 가용체(123)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용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급전측 기립부, 회로측 기립부, 및 다리 형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용단하는 가용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측 기립부, 회로측 기립부, 및 다리 형상부의 각 일례로서, 직선 형상의 급전측 기립부(123a), 직선 형상의 회로측 기립부(123b), 및 직선 형상의 다리 형상부(123c)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측 기립부, 회로측 기립부, 및 다리 형상부는 이러한 직선 형상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구불구불한 형상 등이어도 되고 구체적인 형상을 문제삼지는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부가 설치된 접속 단자 및 회로 단자의 각 일례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T자형의 접속 단자(13)와 대략 L자형의 회로 단자(122)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부가 설치된 접속 단자 및 회로 단자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부가 설치된 접속 단자 및 회로 단자는, 급전측 기립부나 회로측 기립부가 기립하기 위한 배터리 단자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를 갖고 있으면, 예를 들면, 단순한 사각형 등이어도 되고, 그 구체적인 형상을 문제삼지는 않는다.
1: 퓨즈 유닛 2: 배터리
11: 배터리 단자 12: 퓨저블 링크
13: 접속 단자 13a, 122b: 삽입 통과 구멍
13b, 122c: 가장자리 21: 단자 장착면
21a: 바깥 가장자리 22: 막대 형상 전극
121: 급전부 122: 회로 단자
122a: 접속 나사 123: 가용체
123a: 급전측 기립부 123b 회로측 기립부
123c: 다리 형상부 D1: 연장 방향
D2: 교차 방향 D3: 면 외 방향

Claims (2)

  1.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배터리에 있어서의 단자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상 전극에 일단 내지 그 근방이 접속되고, 상기 단자 장착면의 바깥 가장자리로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배터리 단자의 타단측에 설치되었거나, 혹은,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자 장착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에 설치된 급전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자 장착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가 접속되는 회로 단자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배터리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급전부 근방의 외주 가장자리, 혹은,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급전부 근방의 외주 가장자리 중 상기 배터리 단자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단자 장착면의 면 외 방향으로 기립한 급전측 기립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회로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 중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급전측 기립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한 회로측 기립부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급전측 기립부와 상기 회로측 기립부의 사이에 걸쳐진 다리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측 기립부, 상기 회로측 기립부, 및 상기 다리 형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용단하는 가용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저블 링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측 기립부가,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회로측 기립부가, 상기 회로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가장자리로부터 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면 외 방향으로 구부려 세워져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저블 링크.
KR1020150175669A 2014-12-12 2015-12-10 퓨저블 링크 KR101987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1719A JP6230070B2 (ja) 2014-12-12 2014-12-12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JP-P-2014-251719 2014-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046A true KR20160072046A (ko) 2016-06-22
KR101987867B1 KR101987867B1 (ko) 2019-06-11

Family

ID=5611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669A KR101987867B1 (ko) 2014-12-12 2015-12-10 퓨저블 링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28364B2 (ko)
JP (1) JP6230070B2 (ko)
KR (1) KR101987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1410B2 (ja) * 2014-12-12 2018-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
CN112534539A (zh) * 2018-06-06 2021-03-19 力特保险丝公司 低剖面集成熔断器模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189A (ja) 2010-04-06 2011-11-04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4164889A (ja) * 2013-02-22 2014-09-08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4487A (en) * 1945-04-24 1948-11-23 Jr Clarence Edward Storck Battery connector and fuse
JP2000164111A (ja) * 1998-03-16 2000-06-16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ズ
JP3845266B2 (ja) * 2001-05-01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007012B2 (ja) 2012-07-23 2016-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944787B2 (ja) * 2012-08-10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189A (ja) 2010-04-06 2011-11-04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130001259A (ko) * 2010-04-06 2013-01-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유닛
JP2014164889A (ja) * 2013-02-22 2014-09-08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2142A1 (en) 2016-06-16
JP6230070B2 (ja) 2017-11-15
KR101987867B1 (ko) 2019-06-11
US9728364B2 (en) 2017-08-08
JP2016115463A (ja)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2892B2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074744B2 (ja) 電気接続箱
US9236724B2 (en) Busbar unit
JP6524051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US20180294126A1 (en) Surface mount fuse
US9941086B2 (en) Electrical component unit, fusible link unit, and fixing structure
JP2018010768A (ja) 多連型ヒューズ
KR101987867B1 (ko) 퓨저블 링크
JP6307405B2 (ja) バッテリ端子
JP2016072505A (ja) 出力ノイズ低減装置
KR20170077076A (ko) 퓨저블 링크
US20170324233A1 (en) Housing attached to multi-pole fusible link, fuse, and fuse box
US9653723B2 (en) Battery terminal, fus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se unit
JP5547506B2 (ja) ヒューズ
JP2010073516A (ja) バッテリー端子取付用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7004874A (ja) 端子台
JP6057965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製造方法
JP2017107870A (ja) バッテリ端子
JP5753426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6117162B2 (ja) バッテリ端子
CN115769331A (zh) 熔断器
KR200302453Y1 (ko) 단자블럭 일체형 회로판
KR20130007324U (ko) 파워릴레이 어셈블리
JP2017004875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9

Effective date: 201904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