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489A -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489A
KR20160071489A KR1020140178078A KR20140178078A KR20160071489A KR 20160071489 A KR20160071489 A KR 20160071489A KR 1020140178078 A KR1020140178078 A KR 1020140178078A KR 20140178078 A KR20140178078 A KR 20140178078A KR 20160071489 A KR20160071489 A KR 2016007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extract
medicinal herbal
rad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769B1 (ko
Inventor
상희선
전일련
김대광
Original Assignee
상희선
김대광
전일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희선, 김대광, 전일련 filed Critical 상희선
Priority to KR102014017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4Supercritical st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차용 조성물 및 CO₂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화분, 갈근, 생지황, 오미자, 감초, 의이인, 대추, 돼지감자로 이루어진 한방생약재 원료를 N₂ 또는 CO₂ 캐리어 기체를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여 수득된 한방생약재 추출물 및 음료소재를 포함하도록 하기 위하여,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의 중량비로 배합된 한방생약재 분쇄물을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Composition for medicinal herbal te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medicinal herbal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ated beverage and health beverage thereof}
본 발명은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화분, 갈근, 생지황, 오미자, 감초, 의이인, 대추로 혼합하여 된 한방생약재 원료를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여 수득된 한방생약재 추출물 및 음료소재를 포함하는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비전염성 만성질환으로, 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체내에서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내에 고농도로 남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설되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그 발병원인 및 증상의 치료방법에 따라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제1형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제2형당뇨병)으로 분류된다.
제1형당뇨병은 유전적 원인,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 췌장 β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주로 10~20대에 갑자기 발병하며, 소아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제2형당뇨병은 가족력, 비만, 스트레스, 식사의 잘못 또는 인슐린과 길항(拮抗)하는 약물 등에 의해 발병되는 것으로, 40대 이후에 잘 나타나며,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는 충분하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포도당 이용율이 정상인과 달라서 고인슐린혈증임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정상화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환자의 90~95% 이상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이다.
당뇨병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다뇨(多尿), 다음(多飮), 다식(多食)을 들 수 있는데, 높은 혈당치 때문에 포도당 및 과량의 수분이 삼투압에 의해 소변으로 배설되어 다뇨현상이 나타나고, 따라서 탈수증상으로 심한 갈증을 느껴 다음하게 되며, 또한 공복감을 느껴 음식을 많이 먹게 된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므로 이미 저장된 단백질과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소모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들의 악순환으로 인해 체중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들은 당뇨병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급성증상에 불과하다.
당뇨병을 동양의학적으로 분류하면 삼소(三消)라고 하여,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로 나뉘며, 그 원인은 폐열(肺熱), 위열(胃熱), 신열(腎熱)로 크게 분류된다.
상소는 단순히 소갈(小渴)이라고도 하며, 심허(心虛)하여 사화(邪火)가 폐로 옮겨져 흉중이 번조(煩燥)하고 혀가 붉고 입술이 마르고 번갈(煩渴)하여 결과적으로 다음(多飮)하게 된다. 중소는 다뇨 및 다식을 주증상으로 하는데, 다뇨와 다식의 악순환으로 체중감소와 변비를 초래한다. 하소는 신소(腎消)라고도 하며, 구갈은 상소보다 덜하고, 소변량은 많으며 맥이 약하다.
갈증이 심한 상소는 잘 낫는 편이나 중소, 하소로 가면 치료가 어렵다. 갈증이 덜해지고 체중 감소가 급격히 나타나면 하소로 진행된 상태이다.
당뇨병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며, 조기 치료함으로써 합병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당뇨병 조기 발견은 당불내성 상태를 찾아내는 것이다. 당불내성이란 정상인과 당뇨환자의 중간단계로, 당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의 상태이다. 즉 혈당을 조절하고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어 포도당을 세포로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만약, 당뇨병의 치료가 늦어져서 만성이 되면 합병증으로 만성 혈관성질환을 유발하게 되는데, 당뇨병성 망막증(시력장애, 실명, 망막출혈),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말초 신경증으로 인해 인체의 전반적인 대사기능 및 감각기능이 저하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 치료제는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주사제로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체내에서 인슐린 분비가 없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나 임신성 당뇨병 환자,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혈당조절이 제대로 안되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식사용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혈당조절이 되지 않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게 하는 것이 통설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ureas) 약물과 비구아니드계(biguanides) 약물 및 티아졸리딘디온계(thiazolidinedione) 약물 등이 있다.
설포닐우레아계 약물로는 글리피자이드, 글리클라자이드, 글리퀴돈, 글리벤클라마이드, 클로르프로파마이드 등이 있으며,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들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전혀 없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가임기 여성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약물은 과용량을 투여하거나, 공복시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저혈당을 초래하며 피부발진, 황달, 식욕부진, 오심(구역), 설사 등의 부작용도 나타난다. 특히 클로르프로파마이드 등의 반감기가 긴 약물(12~36시간)은 체내에 축적되어 저혈당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높다. 또한, 대부분의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은 간에서 대사되어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간기능 및 신기능장해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비구아니드계 약물로는 메트포르민 등이 있으며, 작용기전은 정확하진 않지만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합성을 감소시킨다. 비구아니드계 약물은 설포닐우레아계 약물보다 혈당강하효과가 약한 반면에, 저혈당을 일으킬 가능성도 낮다. 그러나 소화기계 부작용의 발생빈도가 높아 치료초기에 오심, 구토, 설사, 발진 등이 나타나며, 락트산혈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므로, 현재 미국에서는 실험용 약제로만 사용하고 있다. 티아졸리딘디온계 약물은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외에도 탄수화물 섭취 후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여 혈당의 상승을 방해하는 아카보스(acarbose) 계통의 약물이 있다. 아카보스 약물은 알파-글루코아밀라제 억제제로 가역적으로 알파-D-글리코시다제 활성을 억제시키며, 주로 소장 세포의 점막에 존재하는 말타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아카보스는 말토즈 분해를 억제시키는 효과는 약하고 오히려 설탕의 분해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방제제는 당뇨병의 삼소에 따라 각각 다르게 처방되어 지고 있다. 폐장에 열이 있어서 혀가 붉고 갈증이 심한 상소에는 폐장의 열을 내려주고(淸肺熱), 비장을 습(濕)하지 않고 자윤(滋潤)시키는 인삼백호탕(석고, 지모, 인삼, 감초), 전씨백출탕(건갈근, 인삼, 백출, 백복령, 목향, 곽향, 감초) 및 강심탕(降心湯) 등을 처방한다.
위에 열이 있어서 소화가 안되고 대변이 굳어 소변을 자주 보지만 시원하지 않은 중소에는 조위승기탕(대황, 망초, 감초), 동의보감에 수재된 생진감로음(석고, 황백, 황기, 지모, 서홍화, 시호 등) 및 순기산(順氣散)을 처방한다.
신에 열이 있어서 신수(腎水)가 부족하고 진액(津液)이 마르며 갈증은 덜하지만 하초(下焦)가 냉해지는 하소에는 육미지황환(숙지황, 산약, 백복령, 오미자, 택사), 신기환 등을 처방한다.
그러나, 당뇨병의 발병시에는 상소, 중소, 하소가 각각 따로 발병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이들 삼소가 한꺼번에 발병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와 같은 한방제제로는 삼소가 한꺼번에 발병한 당뇨병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며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면 당뇨병을 호전시킬 수 있고, 엄격하게 혈당조절을 하면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제2형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제들은 엄격한 혈당조절이나 당뇨병의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부족한 점이 많아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약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연구하던 중, 천화분, 갈근, 생지황, 오미자, 감초, 의이인, 대추의 추출물에서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등록특허 제10-0930122호의 밤꽃 유래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등록특허 제10-1145498호의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바디워시제조방법 및 그 바디워시조성물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한방생약재의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증류, 용매추출, 막 분리, 결정화, 증발 및 흡착법 등이 있으며, 이중 가장 많이 채용하는 증류법은 각 물질간의 휘발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용매추출법은 용해도의 차이, 막 분리는 투과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분리방법이 있다.
증류법은 증기압이 비슷하거나 비휘발성인 물질을 분리하는 경우에 채용되고 있으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한방생약재와 같이 열분해 및 열변성이 있는 물질은 고온으로의 공정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용매추출법은 독성이 강한 용매를 다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추출비용이 많이 들고, 원하는 순도를 얻기 위해서는 후처리가 필요하며, 막 분리법은 농도의 분극화로 인한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농축하여 고농도의 시럽이나 젤리 형태로 농축함으로써 수득된 한방생약재 추출물이 비타민, 아미노산 등을 조금도 파괴하지 않고, 효소활성, 낮은 산소용해도, 높은 점도로 인한 산화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성, 맛, 향, 색도를 변화 없이 추출 후 대기 중에서도 아주 천천히 변화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혈당 방지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 조성물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의 중량비로 배합된 한방생약재 분쇄물을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으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은 한방생약재 추출물이 비타민, 아미노산 등을 조금도 파괴하지 않고, 효소활성, 낮은 산소용해도, 높은 점도로 인한 산화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성, 맛, 향, 색도를 변화 없이 추출 후 대기 중에서도 아주 천천히 변화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혈당조절효과 및 항암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온도의 예상분서 데이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기체 농축기와 기존의 감압농축기와의 분리능 비교실험 데이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내의 온도와 몰분율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의 내부 온도변화 상태도
본 발명의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은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차용 조성물은 천화분, 갈근, 생지황, 오미자, 감초, 의이인, 대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쇄하여 된 한방생약재분쇄물을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가 이루어진다.
상술된 한방생약재들의 효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화분(天花粉, Trichosanthis Radix)은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써,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또는 노랑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var. japonica Kitamura(박과 Cucurbitaceae))의 피층을 벗긴 뿌리이다. 성분은 다량의 전분, 스테로이드(β-D-글루코피라노실-스티그마스트-7-엔-3β-올), 트리테르페노이드(3β,24,25-트리하이드록시큐커빗-5-엔-11-one-큐커비타신 B, D, 23,24-다이하이드록시큐커비타신 B, D), 시트룰린, β-아미노뷰티르산, 트리초산틱산(trichosantic acid) 등을 포함한다. 효능으로는 땀띠, 습진, 부스럼에 효과가 있으며, 씨앗을 다려 마시면 기침, 천식을 다스릴 수 있고, 혈당을 내려주며, 갈증을 멎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갈근(葛根, Puerariae Radix)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칡(Pueraria thunb.)의 뿌리를 코르크껍질을 제거하고 절편으로 하여 만든 것으로, 다이드진 (Daidzin), 푸에라리안(Puerarian), 전분등이 함유되어 있다. [신농본초경]에는 소갈, 온몸의 열증, 구토, 여러 가지 마비를 다스리고 음기(陰氣)를 일으켜 여러 가지 독을 해독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명의별록]에는 소갈과 추위에 상한 것과 더위에 지친 것을 치료한다고 기재되어 있고, 비위의 양기(陽氣)를 자극하여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다.
생지황(生地黃, Rehmanniae Radix)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식물인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의 근경으로, 주성분으로는 카탈폴(Catalpol), 베르바스코스 만니톨(Verbascose mannitol), 글루코스(Glucose), 마니노트리오스(Maninotriose), 비타민 A(Vitamin A)를 포함하고 있다. 생지황은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모든 열을 풀어주고 피를 깨뜨리며, 신음을 보하고 정(精)과 혈을 북돋아 주며, 혈증(血症)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e Fructus)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난형(卵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상에 다소 털이 있다.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자웅이주이다.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끝에 이삭모양으로 늘어지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과실을 오미자(오매자), 북오미자(Schizandrae Fructus)라고 한다. 표고 200~1,600m 지리산, 전북, 강원도가 주산지이며 충남, 충북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하고, 지리적으로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과실에는 시잔드롤(Schizandrol), 시잔드린 (Schizandrin) A, B, C, 안질로일고미신(angeloylgomisin) O, P, 에피고미신 (epigomisin), 프레고모이신(pregomoisin), 데옥시시잔드린(Deoxyschizandrin) 등을 함유한다. 오미자는 오래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진해약, 해주독, 목마름, 수렴고삽, 익기생진, 보신염심 등의 약효를 가져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이며, 오미자주의 원료로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성분이 따뜻하고 맛이 달며 여러 가지 극성약이나 독성약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극약이나 독약으로 인한 약물중독을 치료하고, 세균으로 인한 독에도 중화작용 및 해독작용을 한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附腎皮質)처럼 조정작용도 있어 급박한 증상을 푸는 것으로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동통이나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크다. 또한, 탈콜레스테롤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유독물질을 해독하는 작용을 하므로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이 밖에 늑막염과 폐결핵에도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였고, 뇌하수체전엽기능부전증, 에디슨병, 유행성 간염, 기관지천식, 피부염(두드러기, 습진, 여드름, 주근깨 등), 학질, 동상, 손발이 튼데 등 여러 질병에 뚜렷한 치료효과가 있다.
의이인(薏苡仁, Cocicis Semen)은 벼과(Gramineae)의 율무의 종피(種皮)를 제거한 성숙한 종자를 말하며, 주요성분으로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전분, 아미노산, 비타민 B1, 코익솔(coixol), 코익세노라이드(coixenolide)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소염, 배농, 이뇨 및 진통제로 사용하며, 신체의 통증, 어깨가 아프고 살결이 거칠어지는데, 또한 부종이나 사마귀 제거에도 사용하고, 폐결핵 환자와 늑막염 환자의 강장제로도 쓰인다. 민간에서는 열매 자체를 약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비슷한 염주의 열매도 같이 사용한다.
대추는 갈매나무과(Rhamnace)의 Zizyphus 속낙엽 활엽 향목의 열매로서 현재40여종과 400여종의 변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원산지는 북아프리카와 서유럽이며 주산지는 중국이다. 잎은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세 개의 잎맥이 뚜렷하고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데 껍질이 얇고 녹색을 띠나 익으면서 적갈색으로 변화된다.
과육은 향기가 별로 없으며 단맛이 강하고 산미가 있어 상쾌한 느낌을 준다. 대추는 껍질이 적색을 띠고 있어 우리나라 전래의 길·흉사 예식에 올려졌으며 생식 및 요리를 통해 식용되고 있으며 생대추는 저장성이 낮기 때문에 주로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로부터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세로토닌(serotonin), 유기산, 지방산류, 폴리페놀, 히드록시메틸푸프푸랄, flavonoids 및 amino산류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대추는 수 천년동안 한방에서 생약으로 소화 완화제, 강장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민간에선 잘 익은 대추를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게 하고 변을 묽게 하여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하면 각성작용이 있고 볶은 것은 최면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대추는 갖가지 독을 해독 중화하고 몸의 염증을 없애주며 허약한 체질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높아 한방에서는 으뜸가는 보약의 하나로 여겨왔으며 대추는 오늘날과 같이 공해독이 범람하고 인스턴트식품이 넘쳐나는 시대에 건강을 지키고 우리민족 고유의 입맛을 되찾는 데에 매우 적절한 식품이라고 할수 있겠다.
대추는 자양건위, 보간, 강장, 생진안면, 약독완화 등의 많은 약효와 암세포증식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감소, 비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치료, 진해와 거담작용, 만성기관지염 치료 및 세균성 이질이나 급성장염의 치료, 항 알레르기 작용 근수축력 증강작용 간 보호작용 등에 대한 최근의 임상적 연구결과가 보고됨에 따라 대추의 기능적 및 치료적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대추에는 감미가 강하며 가용성 당류가 약 10∼20%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된 당류는 과당 포도당 및 자당이며 다양한 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하기에서는 대추의 기능적 및 치료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대추 추출액의 제조 및 성분 분석
가.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대추는 경상북도 자인에서 생산된 복조(福棗) 품종을 건조 한 것을 선별, 수세하여 대추25%와 물75%의 비율로 110∼20℃에서 3∼6시간을 증자 추출한10。Brix대추추출액을 사용하였다
나. 일반성분, 당도, pH 및 색도
시료의 일반성분은 식품공학실험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당도는 굴절당도계(Atago, Japan), pH는 pH meter(Hanna, U.S.A.)로 측정하였다. 색도는 대추추출액 1 mL를 취하여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다음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이액을spectrophotometer (Pharmacia, Sweden)를 이용하여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희석배수를 곱하였다.
다. 아미노산
아미노산분석은 일정량의 시료를 6N-HCl 용액와 혼합하여 질소충진 후 110℃에서 24시간동안 가수분해한 후 50mL로 정용하였다. 이를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20㎕를 취하여 진공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에 methanol : water : triethylamine (2:2:1) 용액30㎕를 첨가하여 2차 건조한 후 여기에 유도체시 약 methanol : triethylamine : H2O : phenyl isothiocyanate = 7:1:1:1, V/V)을 30 ㎕가하여 20분간 방치한 후 3차 건조하였다. methanol 30㎕를 첨가하여 다시건조하고 sodium acetate buffer(pH 6.4)로 재 용해하였다. 이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ters Associates Inc.,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라. 무기질
무기질 분석은 건식회화법으로 하였다. 즉 시료를 550℃에서 4시간동안 회화시킨 후 0.2 N HNO3 용액에 용해하여 100mL로 정용한 후 여과하였다. 분석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Jobin-Yvon Model JY 38 Plus, France)를 사용하였다.
마. 페놀성 물질
페놀성물질의 분석은 Folin-Denis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시료용액 0.1 mL와 2% sodium carbonate 2 mL를 혼합한 뒤 2분후 50%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0.1mL를 가하여 30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 다음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201)을 이용하여 7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용액은 chlorogenic acid를 사용하였다.
바. 비 휘발성 유기산, 유리당
비휘발성 유기산분석은 시료를 감압 건조시키고 BF3/methanol로 methylation 시킨후 GC에 주입하였고 칼럼은 DB-FFAP(0.53㎜ㅧ30m), 칼럼온도는100℃(5min)-4℃/min-220℃(5min), 주입부 온도 230℃, 검출기FID) 온도 250℃, 운반기체는 질소(2mL/min)로 분석하였다.
유리당은 각 시료를 혼상수지TMD-8(Sigma, U.S.A.)로 이온성물질을 제거한 다음 HPLC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기는 HPLC(Young-In HPLC 930 pump, Korea)를 이용하고, 분리칼럼은 Rezex RNM과 RPM(7.8ㅧ300 ㎜, Phenomenex, U.S.A.), 이동상은 초순수 유속은 0.6mL/min, 칼럼온도는 75℃, 검출기는Shimadzu RID-6A를 사용하였다.
2. 대추 추출액의 생리활성 측정
가. 전자공여능 측정
대추 추출액의 전자공여 작용(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Blois(6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2배 희석한 각 시료를 1.0mL에2×0-4 M의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 1.0 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효과는 시료첨가구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 -(시료첨가구의흡광도)/무첨가구의흡광도) ×100
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Xoase 활성저해 측정은 Stirpe와 Corte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에 xanthine 2mM을 녹인 기질액 1 mL에 효소액 0.1 mL(40 mU Xantine Oxidase)와 시료용액 0.1mL를 가하고 대조구에는 시료대신 증류수를 0.1m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1 N HCl 1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uric acid를 흡광도 292 nm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저해율% = (1 - 반응구의uric acid)/대조구의uric acid ×100
다. Tyrosinase 저해효과
Tyrosinase 활성저해 측정방법은 tyrosinase의 작용결과 생성되는 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Yagi 등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Mushroom tyrosinase(110unit/mL) 0.1mL, 기질로서 5mML-DOPA 0.2mL, 0.175 M phosphate buffer(pH 6.8) 0.2mL의 혼합액에 추출용액0.5 mL를 첨가하여 35℃,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 ㎚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Inhibition effect(%) = (1 - SAbs - BAbs)CAbs/ ×100
여기서,
SAbs : Absorbance at 475 nm determined with test sample
BAbs : Absorbance at 475 nm determined with buffer instead of enzyme
CAbs : Absorbance at 475 nm determined with buffer instead of test sample
라. 금속이온 봉쇄작용
금속이온 봉쇄작용은 Buege와 Aust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 mL 반응혼합물에 금속이온과 시료를 채워 37℃ water bath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자마자 50 ㎕dibutyl hydroxy toluene(BHT) 7.2%를 시료에 가하여 산화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잘 섞은 다음 2 mL TCA/TBA 시약을 가하고 다시 혼합 후 끊는 물에서 15분간 가열시켰다. 가열 후 찬물에서 식힌 후 2,000ㅧg의 속도로 15분간 원심분리 시켰다. 상징액을 531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공시료는 시료대신에 증류수를 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금속이온 봉쇄능%) = (1 - 시료첨가구의흡광도)/ 무첨가구의흡광도 ×100
마. 암세포주 증식억제 효과
(1) 세포배양
본 실험에 이용한 세포 MDA-MB-231(breast cancer, KCLB 30026), SK-MEL-31(Malignant melanoma, KCLB 30073), G361(Melanoma), A549(lung cancer, KCLB 10185)는Korean Cell Line Bank(KCLB)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세포의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과 100units/mL의penicillin/streptomycin을 1%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₂ incubator에 적응시켜 배양하였다.
(2) MTT assay
대추 추출액의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Charmichael 등의 방법에 따라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암세포 주를 96 well plate에 1ㅧ104cells/ well이 되게 180㎕ 분주하고 각 시료를 2배 희석하여 20uL 첨가한 후 37℃, 5% CO₂ 항온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여기에 5mg/mL 농도로 제조한 MTT(N-methylthiotetrazol)용액 20 ㎕를 첨가하여 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당 DMSO 150㎕를 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ELISA reader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세포주의 성장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구하였다.
Growth inhibition effect(%) = 대조구의 흡광도-시료처리구의 흡광도/ 대조구의 흡광도 ×100
3. 대추 추출액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가. 일반성분
밀가루와 대추추출액의 성분분석결과, 대추추출액은 수분함량이 90.52%, 조단백질 함량0.50%, 회분함량 0.37%, 당도는 10。Brix였으며 pH는 4.65이었다. 그리고 대추추출액의 페놀성 물질은 22.82mg%의 함량을 보였다.
나. 유리당, 유기산
대추추출액의 유리당은 sucrose, fructose 및 glucose의 3종류로서 sucrose의 함량이 4,340 mg%로 가장 많았으며 glucose 3,910 mg%, fructose 1,360 mg%이었다.
대추추출액의 비휘발성 유기산을 조사한 결과, levulinic acid의 함량이 295.69 mg%로 가장 많았고, malic acid,oxalic acid가 각각 36.13, 32.88 mg%로 나타났으며 citric acid, lactic acid, glutaric acid는 미량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무기질
대추추출액의 칼륨과 칼슘 함량은 12,425ppm와 314.72ppm으로 나타났다. 대추추출액은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 마그네슘, 칼슘순이며, 철, 망간, 아연의 함량은 적게 나타났다.
4. 대추 추출액의 생리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가. 전자공여능 측정
Free radical scavenger 기능은 중요한 항산화특성 요인의 하나이며 DPPH는 free radical로 항산화제와 반응시켜 항산화제의 free radical scavenger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free radical로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대추추출액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10。Brix 대추추출액은 86.50%의 높은 항산화효과를 가지며 또한 대추추출액을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추출액의 항산화효과도 70.49%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대추추출액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나. Xanthine oxidase 저해
Xanthine oxidase는 생체내 퓨린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xanthine 또는 hypoxanthine으로부터 요소를 형성하며 요소가 혈장내에 증가되면 골절에 축적되므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장에 침착되어 신장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10。Brix 대추추출액과 2배 희석한 5。Brix 대추추출액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10。Brix 대추추출액은 72.78%, 5。Brix 대추추출액은 53.40%로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다. Tyrosinase 저해
Melanin을 형성하는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10。Brix 대추추출액은 22.78%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 추출액에서는 10.43%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라. 금속이온 봉쇄작용
대추 추출액을 첨가한 oil emulsion의 금속이온 봉쇄작용은 Fe2+, Cu2+이온 binding 능력을 측정한 결과, Fe2+이온 binding 능력은 10。Brix 대추 추출액과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 추출액에서 각각 41.21%와 24.05%를 나타내었고 Cu2+이온 binding 능력에서는10。Brix 대추 추출액과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 추출액에서각각 62.65%와 36.0%로 우수한 binding 능력을 나타내었다.
마.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10。Brix 대추추출액과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추출액을 MDA- MB-231(breast cancer), SK-MEL-31(Malignant melanoma), G361(Melanoma), A549(lung cancer) 4종의 암세포주에 투여하여 각각의 암세포주 증식억제효과를 관찰였다.
MDA-MB-231(유선암세포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억제 시험결과 10。Brix 대추추출액과 증류수로 2배 희석 한 5。Brix 대추추출액에서 92.95%와 91.96%의 우수한 증식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SK-MEL 31(악성피부암세포 암세포주 증식억제시험 결과에서도 역시 10。Brix 대추추출원액과 증류수로 2배 희석한 5。Brix 대추추출액에서 93.64%와 92.02%의 우수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G361(피부암세포와 A549(폐암세포 암세포주의 경우 G361 암세포의 경우 10。Brix 대추추출액이 95.64%의 증식억제능을 보였으며 증류수로 2배희석 한 5。Brix 대추추출액은 94.70%의 우수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A549 암세포에서는10。Brix 대추추출액은 95.41%의 우수한 증식억제능을 보였으나 증류수로 2배희석 한 5。Brix 대추추출액의 경우 55.32%의 증식억제능을 보였다. 대추추출액의 암세포 증식억제 시험결과에서 대추추출물이 4종의 모든 암세포주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추추출물이 농도의 증가에 따른 암세포주의 우수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대추추출액의 암세포주에 대한 우수한 증식억제 효과는 확인하였으나 어떠한 물질에 의한 영향인지를 확인하고 그 물질을 분리·정제하여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을 통한 항암성 등의 기능성확인 연구가 필요하다.
상술된 한방생약재는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성분이 갖는 유효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상기 배합된 한방생약재는 한방차 조성물로 사용되며, 이때 CO₂또는 N₂캐리어추출기를 통해 추출 및 농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적용되는 초임계 추출법은 저온과 단시간에 추출이 가능하여 가장 효과적인 추출방법으로서, 물질의 특성상 고체, 액체, 기체의 3가지 상태를 가지고 있는데 온도나 압력 등에 의해 3가지 성질 중 한가지로 변하게 될 때 그 3가지 성질 중 액체도 아닌 기체도 아닌 초임계 상태가 될때 추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초임계추출은 임계점 이상의 유체를 추출체로 사용한 추출법으로서, 초임계유체는 많은 물질에 대하여 용해성이 우수하며, 단순히 온도와 압력의 조절에 의하여 물질의 용해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리기술의 한 분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CO₂는 임계온도가 31.06℃이므로 낮은 온도에서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된 유효성분의 열에 의한 손상을 막을 수 있고, 공정 중 에너지 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초임계 유체용매로 사용된다.
상기 CO₂또는 N₂캐리어추출기를 이용한 한방차 추출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먼저 한방생약재인 천화분, 갈근, 생지황, 오미자, 감초, 의이인, 대추의 원료를 구입하고, 그 한방생약재를 40∼60℃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0.1∼0.2㎝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한방생약재를 CO₂또는 N₂캐리어추출기에 장입하여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추출된 추출물을 병 또는 팩에 장입한 후, 40∼90℃하에서 살균 포장하여 시험검사 및 출하하게 된다. 이때 CO₂또는 N₂캐리어추출기와 동시에 사용되는 농축기는 냉각, 순환, 교반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한방생약재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한 추출 및 농축기술은 제품의 생산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의 하나로서 화학공정이나 실험실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캐리어 기체 농축기시스템은 열에 약한 물질이나 증발점이 높은 혼합물은 담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한 추출 및 농축 시스템은 진공펌프 대신에 캐리어 기체를 시스템에 순환시켜 용매의 증기압을 낮춤으로써 열적으로 불안전한 화합물의 변성을 막을 수 있으며, 캐리어 기체가 시스템의 폐쇄회로에서 순환함으로써 저온에서도 휘발하기 쉬운 한방생약재 추출물의 고유한 약재성분, 향기, 맛을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추출물의 농도를 적용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시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의 개략도로서, 시스템의 밀폐공간에 펌프(16)를 통해 비활성인 CO₂또는 N₂를 순환시키면 열교환기(14) 내에 위치되는 농축물부분의 증기압이 낮아지고 용매를 포함하는 담체는 냉각기(12) 부분으로 이동하여 용매는 응축이 일어나고, 용기(17)에 모아진다. 응축 후 건조된 CO₂ 또는 N₂는 펌프(16)를 통하여 재순환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온도의 예상분서 데이터 예시도로서 200㎖의 물을 캐리어 기체로 사용할 경우에는 비등점의 강화효과를 나타낸다. 기체부피가 15㎥/h 일 때 56℃에서 비등점이 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실험결과, 가열온도 60℃, 기체 부피가 15㎥/h 일 때 최적의 조건으로 물을 증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기체 농축기와 기존의 감압농축기와의 분리능 비교실험 데이터 예시도로서, 8㎥/h 의 낮은 기체 부피에서 감압농축이 효율적인 반면, 기체부피가 10㎥/h인 경우에는 감압증류보다 분리능이 20% 증가함을 나타낸다. 최적의 조건은 15㎥/h(기체부피) 일때 분리능 80%까지 증가하였다. 단, 최대 기체부피(20㎥/h) 일 때 응축물에 공용물질이 혼합되어 오히려 분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내의 온도와 몰분율의 상태도로서, 농축은 비점차가 큰 용질과 용매를 분리하는 조작이며, 증류의 스트립핑(stripping)과 비교될 수 있다. 증류는 비점차가 작은 다성분계 용액을 저비점과 고비점 물질로 정제, 탈거하는 조작이며, 이를 위하여 성분의 액상 및 기상평형 관계를 규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Phase TXY 평형선도를 이용하여 증발농축과 증류조작을 비교 설명하면, 선도상의 X값은 저비점 물질의 액상 분율을 Y값은 저비점 물질의 기상 분율을 나타낸다. 분리하고자 하는 용매분율 X0, 온도 T0 용액을 용매분율 Y2, 온도 T2 증기로 가열하여 온도 T1이 되어 Reverse Bar Scale식에 따라 (X0-X1)/(Y1-X1) 비율이 증기가 되어 증발하고 나머지는 액상으로 기액평형을 이룬다. 이때, 액상의 용매분율은 X1이 되어 용질은 농축되고, 기상의 용매분율은 Y1이 되어 용매는 정제된다. 이렇게 증류탑은 복수 평형단을 저온액상과 고온기상이 역방향으로 접촉하며 증발응축을 반복하여 비점물질의 농축(탈거)과 저비점 물질의 정제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농축기의 내부 온도변화 상태도로서, 작동 후 20분 경과 후 농축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2ℓ/h의 용매증발량을 나타내었으며, 2시간 후 농축물의 상태가 거의 시럽 형태로 변하여 온도가 조금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였을 경우 400mbar에서 농축물의 끓음현상 때문에 더 이상 감압할 수 없었으며, 1.2ℓ/h의 용매증발량을 나타내어 캐리어 기체 농축기가 증발량 측면에서 60%의 효율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농축기는 한방 생약재를 주원료로 하여 용매(에탄올, 물)를 넣고, 일정온도와 압력으로 가열하는 장치이며, 추출되어 나오는 가용성 액체를 추출액이라 한다. 또한 추출되어진 액을 필요에 따라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압 또는 감압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증발되는 수분(또는 에탄올)을 냉각장치로 유입하여 회수하거나 증발 냉각하여 재순환 사용하며, 남은 잔여물(엑기스 또는 추출농축액)이 되게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방 생약재를 CO₂나 N₂로 저온, 진공 하에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농축하여 고농도의 시럽이나 젤리형태로 농축함으로써 비타민, 아미노산 등을 조금도 파괴하지 않고, 효소활성, 낮은 산소용해도, 높은 점도로 인한 산화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물성, 맛, 향, 색이 조금도 변하지 않으며, 추출 후 대기 중에서도 아주 천천히 변하며, 일반적인 추출농축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항 미생물적, 효소적 효과는 Open Pan 증발 농축기보다 더 효과적이다. 추출농축분의 50~60%는 삼투압이 매우 강한 단당류와 산이고, 삼투압이 약한 당류의 양을 함유한 제품은 고형분의 65-70%가 되게 추출농축이 가능하다.
감초 등 높은 설탕함량의 재료인 경우에는 잼, 시럽형태로 만들기 위해서 증발온도까지 가열이 가능하고, 솔잎 등은 보통 16~28%의 농축분으로 추출농축하고, 적당한 혼합물을 첨가하거나 고온살균 등의 추가적인 처리도 가능하며, 인삼 등은 Open Pan이나 진공 농축기등과 같이 농축이 가능하다. 이때 가열에 의한 Maillard 반응과 같은 품질변화도 가능하다. 이 추출농축증발공정은 감압상태, 60℃ 이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한방생약재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추출농축을 위한 최소압력과 최고온도로 고추출 및 농축한다. 이때, 농축과정에서 농도와 점도가 점점 높아지므로 반응열의 냉각이 어려우므로 교반을 실시하며, 추출농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캐리어 기체 농축기는 반응로, 상측부분의 농축물 투입구는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있으며, 농축기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고, 실리콘 링으로 뚜껑을 밀폐하여 순환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며, 농축물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반응로 상측 중심에는 교반기, 열교환장치, 조절박스(Control Box), 히터, 작동키, 교반조절기, 냉각기, 기체 순환펌프 조절기를 부착되어 모든 공정이 자동화되어 비전문인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분리기는 농축물의 용매를 회수하는 장치로서 분리기 측면부분에는 유리관을설치하여 용매수위를 쉽게 측정 가능하도록 하며, 하단부에 설치된 밸브를 통하여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하였다. 수조는 열교환기의 냉매를 보관하는 곳이며, 냉매의 온도를 8-15℃로 조절할 수 있으며, 냉매순환장치의 용매교환 비율을 높여서 농축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캐리어 기체 농축기를 이용하여 성능검사를 수행한 결과(Aerosol Test) 순환 기체의 최대량으로 운전할 농축기의 공비점을 검사하기 위해 농축기 10ℓ의 증류수를 투입한 후 0.1g Fluorescein을 첨가하면 연록색의 색깔을 띈다. 반응기의 온도 50℃, 교반기 회전수 60rpm, 냉각기 온도 15℃, 기체 순환펌프 15m3/h로 하여 2시간동안 가동한 후, 분리기의 용액을 채취하여 분광광도계로 색깔의 유무로 판단하였다. 이 실험에서 채집된 용액에서 색깔이 나타나지 않아, 기체량이 최대일 때 입자의 전이가 없음을 판명되었다.
상기와 같은 제조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한방생약재 추출물은 혈당방지는 물론, 한방생약재의 유효성분인 비타민, 아미노산 등을 조금도 파괴하지 않고 효소활성, 낮은 산소용해도, 높은 점도로 인한 산화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물성, 맛, 향, 색의 변화없이 추출 후 대기 중에서도 아주 천천히 변화는 특성을 갖는다.
하기에서는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를 포함한 한방생약제 분말을 혼합하고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여 한방생약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5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 설탕 5%, 구연산 0.1%, 카라멜 0.02%, 비타민 C 0.5%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잔여%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생약재를 함유하는 한방차 추출조성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 혈당 방지 및 발모효과 측정)
혈당이 있는 대상자 5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이용하여 1일2회 사용하였다.
그 결과, 증상이 있는 대상자 50명을 대상으로 1개월 이상 계속적으로 사용한 결과 48명이 혈당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복용자가 혈당약을 복용하지 않고 추출물을 복용하여도 2~3일 후부터 과혈당 현상이 줄어들었고 약 20일 사용부터는 과혈당증상이 거의 중지된 것으로 관찰된 것으로 볼 때 대상자의 체질이나 직업, 생활습관에 따라 호전되는 정도에 차이가 났으나 대체적으로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한방생물은 대구 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건조한 시료 1㎏을 70% 에탄올 10ℓ에 넣고 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액을 꺼즈로 여과하고 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전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 분말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추출 분말 시료를 물에 현탁시킨 후, 메탄올을 가하여 증량시키고 용출액의 극성을 변화시키면서 앰버라이트 XAD-4 겔(Amberlite XAD-4 gel)을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물분획(Fr.1), 20% 메탄올 분획(Fr.2), 40% 메탄올 분획(Fr.3), 60% 메탄올 분획(Fr.4), 80% 메탄올 분획(Fr.5) 및 100% 메탄올 분획 (Fr.6)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분획을 저온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각각의 분획은 DMSO에 1㎎/㎖로 녹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추출물이 지방세포내로의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추출물이 지방세포내로의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세포 배양
실험에 사용한 3T3-L1 세포는 미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고, 1% FBS(fetal bovine serum), 젠타마이신(gentamycine, 100 units/㎖),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 ㎍/㎖) 등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섬유아세포는 배양 3일 간격으로 배양세포 표면을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씻어준 후 50㎖ 플라스크당 1㎖의 0.25% 트립신-EDTA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분간 처리한 다음 트립신 용액을 버리고 37℃에서 5분간 보관하여 세포를 탈착하여 계대배양하였다. 탈착된 세포는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 10㎖에 부유시킨 다음 새로운 배양용기(50㎖ culture flask)에 옮겨 1:20의 분리 비율(split ratio)로 CO₂ 배양기(37℃, 5% CO₂)에서 배양하였다.
2. 지방세포내로의 포도당 흡수 실험
3T3-L1 섬유아세포를 상기 계대배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채워질 (confluent)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용기 바닥을 완전히 채운 지 2일 후에 유도분화물질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25μM을 넣어 3일 동안 배양한 후 2일에 한번씩 고농도 포도당 DMEM 용액으로 새로 바꾸어 주어 지방세포로 완전히 전환된 10~15일 사이에 포도당 흡수 실험을 하였다.
배양용기에 있는 지방세포의 수를 세어 12 웰 플레이트의 웰을 빈 공간없이 완전히 채울 수 있도록 분주하였다. 웰 플레이트에 옮긴 지방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1%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함유하고 있는 저농도의 포도당을 함유한 DMEM에서 12시간 이상 지난 후에 HEPES 용액에서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1 μCi/㎖의 [14C]2-데옥시글루코스와 1mM 포도당을 첨가하고 22℃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여 포도당의 세포내로의 흡수 정도를 14C이 세포내로 이동한 양으로 측정하였다.
비특이적인 포도당 흡수를 배제하기 위해서 글루코스 트랜스포터 4(glucose transporter 4; GLUT4)의 작용을 억제하는 사이토 B(cyto B)와 함께 배양하였을 때의 포도당 이동량을 빼고 세포내로 이동한 포도당의 양을 측정하였다.
세포는 10mM 포도당이 함유된 PBS로 세척하고 0.5N NaOH로 세포를 분해하였다. 분해된 세포를 초산으로 중화시키고 함유된 14C의 함량을 베타 카운터(Tri-Carb 2100TR, Packard Bioscince, IL)로 측정하였다.
3. 본 발명의 추출 분획이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
추출물의 각 분획에 인슐린 민감성 제제가 함유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추출 분획을 DMSO에 1㎎/㎖로 녹인 후 이것을 PBS에 0.3 및 3㎍/㎖로 희석시켜 두 가지 농도에서 포도당 흡수를 측정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 인슐린 1ng/㎖와 함께 각 분획을 넣고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포도당 흡수 정도를 인슐린 50ng/㎖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인슐린 0(기저), 1, 3, 5, 10, 25, 50, 75ng/㎖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였고, 실험결과는 인슐린과 오미자 추출 분획을 모두 처리하지 않은 것의 값에 대한 비로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 분획의 포도당 흡수 증가 효과가 특이적으로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켜서 나타내는 현상인지, 아니면 세포에 용제(detergent)로 비특정적으로 작용하여 포도당을 세포내로 이동하는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인슐린을 첨가하지 않고 추출 분획만을 넣은 상태에서 포도당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추출 분획이 인슐린의 작용에 관계없이 용제로 작용하여 세포막을 파괴시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서 인슐린이 0 ng/㎖ 에서 추출 분획과 함께 포도당 흡수를 측정하였을 때, 이 값이 기저(basal) 값보다 높은 것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킨다고 해도 인슐린 민감성 제제로서의 작용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는 평균ㅁ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3T3-L1 지방세포에서 추출 분획의 대조군에 비해 포도당 흡수가 증가하는 정도는, 인슐린 1 ng/㎖만을 넣고 측정한 값과 인슐린 1 ng/㎖와 오미자 추출분획을 함께 넣고 측정한 값을 two sample t-test 방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 처리의 유의성 검증은 α= 0.05로 정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 인슐린 농도에 따른 포도당 흡수 정도를 측정한 결과, 3T3-L1 지방세포에 인슐린 1ng/㎖와 본 발명의 추출 분획 0.3㎍/㎖를 함께 처리하였을때, 인슐린의 농도가 25ng/㎖까지는 인슐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도당 흡수가 증가하였으나, 25ng/㎖보다 높은 인슐린 농도에서는 세포내로의 포도당 흡수가 인슐린 농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0.3㎍/㎖ 추출 분획을 1ng/㎖의 인슐린과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60% 메탄올 분획(Fr.4) 및 80% 메탄올 분획(Fr.5)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켰다. 특히 80% 메탄올 분획(Fr.5)의 경우 인슐린을 50ng/㎖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포도당 흡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추출 분획의 양을 3㎍/㎖로 증가시켜 1ng/㎖의 인슐린과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20% 탄올 분획(Fr.2), 60% 메탄올 분획 (Fr.4), 80% 메탄올 분획(Fr.5) 및 100% 메탄올 분획(Fr.6)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켰다.
특히 60% 메탄올 분획(Fr.4), 80% 메탄올 분획(Fr.5)은 인슐린을 50ng/㎖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포도당 흡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오미자의 60% 메탄올 분획(Fr.4), 80% 메탄올 분획(Fr.5)에서 인슐린 작용이 매우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추출 분획만 넣은 상태에서의 포도당 흡수값은 기저값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낮아 분획물이 용제로 작용하여 비특이적으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 세포막에 존재하는 GLUT 4 양의 변화
10㎠ 플레이트에 3T3-L1 지방세포를 옮긴 다음 날 3T3-L1 지방세포는 혈장 대신 3% 소혈청알부민을 첨가한 고농도 포도당 DMEM에서 12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3 ㎍/㎖의 오미자 추출 분획을 첨가하고 5시간동안 배양한 후 0, 1 또는 50ng/㎖의 인슐린을 5분동안 처리하였다. 지방세포는 차가운 PBS로 반응을 중단시키고 바로 2 mM EDTA, 137 mM NaCl, 1% NP40, 10% 글리세롤 및 12 mM 알파-글리세롤 포스페이트와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20 mM 트리스(pH 7.4)로 구성된 용해완충액 (lysis buffer)으로 세포를 용출시켰다.
이 세포 용출액은 30분동안 얼음 속에 방치시킨 후 Kotani 등의 방법으로 세포막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포막의 단백질 함량을 Lowry 방법으로 측정한 후 동량의 세포막 단백질에 유된 글루코스 트랜스포터 4(glucose transporter 4; GLUT 4) 함량을 안티-GLUT 4 항체(Chemicon, Temecula, CA)를 사용하여 immunoblotting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3 ㎍/㎖의 오미자의 60% 메탄올 분획(Fr.4) 및 80% 메탄올 분획(Fr.5)을 1 ng/㎖의 인슐린과 함께 처리하였을때, 세포막에 존재하는 GLUT 4의 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슐린 50 ng/㎖를 처리한 정도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추출액의 60% 메탄올 분획(Fr.4), 80% 메탄올 분획(Fr.5)이 인슐린 신호 전달 체계를 향상시켜 인슐린 작용을 증진하여 세포막에 GLUT 4의 양이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세포막의 GLUT 4의 증가는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급성독성실험을 하였다.
실험동물로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구투여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두 랫트에서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를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20~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0.2~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0.5~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0.1~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5~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ㅇ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오미자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오미자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의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12 : 냉각기 14 : 열교환기
16 : 펌프 17 : 용기

Claims (5)

  1.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 조성물.
  2. 천화분 10∼20중량%, 갈근 5∼10중량%, 생지황 5∼10중량%, 오미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의이인 20∼50중량%, 대추 5∼10중량%의 중량비로 배합된 한방생약재 분쇄물을 CO₂또는 N₂캐리어 기체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생약재 분쇄물은 40∼60℃에서 건조시키고, 분쇄기에서 0.1∼0.2㎝로 절단한 다음, CO₂또는 N₂캐리어추출기를 통해 추출하여 고농도의 시럽이나 젤리 형태로 농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
  4.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 추출조성물 50∼80중량%와,
    설탕 5∼20중량%, 구연산 0.05∼0.3중량%, 카라멜 0.005∼0.02중량%, 비타민C 0.1∼1중량%, 정제수 79∼94중량%를 혼합하여 된 탄산음료용 혼합물 20∼50중량%를 섞어서 시럽을 만든 다음,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3.5∼4.5의 비율로 혼한한 다음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방법.
  5.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 추출조성물 50∼80중량%와,
    액상과당 0.3∼6.5중량%, 올리고당 1∼10중량%, 설탕 1∼10중량%, 식염 0.3∼6.5중량%, 물 68∼87중량%를 혼합하여 된 건강음료용 혼합물 20∼50중량%를 균질하게 배합하고 순간살균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20140178078A 2014-12-11 2014-12-11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77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8A KR101774769B1 (ko) 2014-12-11 2014-12-11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8A KR101774769B1 (ko) 2014-12-11 2014-12-11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489A true KR20160071489A (ko) 2016-06-22
KR101774769B1 KR101774769B1 (ko) 2017-09-06

Family

ID=5636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78A KR101774769B1 (ko) 2014-12-11 2014-12-11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7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0712A (zh) * 2017-12-05 2018-04-24 河北林益堂药业有限公司 一种菊葛玉精茶
KR102261238B1 (ko) * 2020-10-29 2021-06-07 하태걸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45401A (zh) * 2021-11-03 2022-03-08 瑞腾丰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含有食药同源草本植物提取物的汽水及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222A (ko) 2021-12-31 2023-07-07 박진섭 저칼로리 탄산 수정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0712A (zh) * 2017-12-05 2018-04-24 河北林益堂药业有限公司 一种菊葛玉精茶
KR102261238B1 (ko) * 2020-10-29 2021-06-07 하태걸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45401A (zh) * 2021-11-03 2022-03-08 瑞腾丰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含有食药同源草本植物提取物的汽水及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769B1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1623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N104982599A (zh) 一种植物凉茶浓缩液及低糖植物凉茶饮料
KR101774769B1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100771524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90033828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9254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JP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EP1968401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46378A (ko) 생약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2651713B1 (ko)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8372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73223B1 (ko)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