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713B1 -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713B1
KR102651713B1 KR1020230051543A KR20230051543A KR102651713B1 KR 102651713 B1 KR102651713 B1 KR 102651713B1 KR 1020230051543 A KR1020230051543 A KR 1020230051543A KR 20230051543 A KR20230051543 A KR 20230051543A KR 102651713 B1 KR102651713 B1 KR 10265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hocolate
composition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8400A (ko
Inventor
허원상
고성민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쿠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쿠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쿠스랩
Publication of KR2023015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26Mixing; Roller milling for preparing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5Moulding, shap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5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23G1/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녹용의 동물성 재료 및 초콜릿을 이용하여 숙취해소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동시에, 한약 특유의 쓴맛과 특유의 향을 감소시켜 기호성을 높인,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초콜릿, 및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Chocolate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comprising Hovenia Dulcis fruit and Velvet Antle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hocolate for relieving hangove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녹용의 동물성 재료 및 초콜릿을 이용하여 숙취해소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동시에, 한약 특유의 쓴맛과 특유의 향을 감소시켜 기호성을 높인,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초콜릿, 및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건복지부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음주 빈도는 매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코로나 19 만연 등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혼술, 홈(Home)술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알코올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로, 급성 알코올성 숙취현상(hangover)으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은 업무 능률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해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에는 췌장염, 심근경색, 신경장애, 결핵 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나아가 간 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숙취현상 중 두통은 두뇌 혈관의 확장 작용으로 인한 것이며, 갈증과 탈수현상은 에탄올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생기는 에탄올의 이뇨작용 때문이다. 또한, 위장장애 등의 소화기관 이상은 위산분비의 증가 때문으로, 가장 큰 원인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ethanol)이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독성 작용에 의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주 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생약 제제 또는 합성 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된 드링크류 또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다양한 숙취해소용 음료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의 한방 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환약은 복용 후 위에서 분해되면서 녹을 때 각각의 한방 약재의 비용해성 섬유소에 포함된 약효성분은 추출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환약보다 탕제나 음료를 더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며, 부작용이 없는 식약 공용 한약재로 이루어진 천연재료만을 사용한 숙취해소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한약재로 이루어진 천연재료의 숙취해소제는 한약 맛이 강하여 선호도가 낮고 숙취해소 효과가 미흡하거나 일시적인 효과만이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탕제나 음료는 휴대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고, 이외 다른 제품들의 경우, 나름의 숙취제거의 효과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그 외의 기능, 예를 들면, 근본적인 신체를 회복하는 효과 등은 가지지 못하였다.
현재까지, 천연재료를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성과 기호성을 동시에 높인,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초콜릿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378호(2016.01.19. 등록)에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의 체내 흡수를 낮추고,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 섭취된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 소화기능 장애, 무기력, 피로 등의 숙취 증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신체 에너지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 해소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금까지 공정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숙취 해소용 초콜릿이 숙취 해소용 재료를 충분히 함유하지 못했던 단점을 분말 미세화 공정 등을 통해 개선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油脂) 성분의 제품인 초콜릿이 식물성 한약재와 유화나 품질 저하 없이 혼합되어, 숙취 해소효과 및 기호도가 동시된 개선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및 휴대성이 동시에 개선된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및 휴대성이 동시에 개선된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 의하면,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판형, 쉘형, 볼형, 또는 할로우(hollow)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쉘형인 초콜릿은 초콜릿 쉘 내부에 본원의 초콜릿 조성물이 시럽 또는 크림 형태로 충전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c) 상기 (I-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I-d) 상기 혼합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초콜릿 66~95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I-d)의 성형 단계의 성형은 판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I-a)의 단계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I-c) 초콜릿으로 쉘 형태의 초콜릿을 제조하는 제조 단계; (II-d) 상기 (II-b) 단계에서 분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 분말과 시럽 또는 크림타입의 초콜릿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로 초콜릿 충전물 제조하는 초콜릿 충전물 제조 단계; 및 (II-e) 상기 (II-d) 단계에서 제조된 초콜릿 충전물을 (II-c) 단계의 쉘에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II-d) 단계의 초콜릿은 시럽 또는 크림 타입의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화이트 초콜릿, 및 생크림이 혼합된 가나슈(Ganache) 중 1종 이상 선택되고,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66~9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I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II -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II-c) 상기 (III -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곡물가루를 혼합한 혼합분말 또는 성형미를 퍼핑(Puffing)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코어 제조단계; (III-d) 상기 제조된 코어를 초콜릿으로 입히는 단계; 및 (III-e) 상기 초콜릿을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IV-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V-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V-c) 상기 (IV -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IV-d) 상기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1차 주입하는 단계; (IV-e) 상기 (IV-d) 단계에서 1차 주입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상에 가향 초콜릿을 몰드에 2차 주입하는 단계; (IV-f) 상기 (IV-e) 단계에서 2차 주입된 가향 초콜릿 상에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3차 주입하는 단계; (IV-g) 상기 (IV-f) 단계에서 완성된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을 몰드에서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TNF-α, NF-kB, NO, iNOS, 또는 COX-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과 귤껍질 등의 식물성 재료 및 초콜릿을 포함하여,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 분해 성분의 체내 흡수를 막고, 초콜릿에 포함된 타우린 성분이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 섭취된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 소화기능 장애, 무기력, 피로 등의 숙취 증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당분을 제공하여, 신체 에너지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동물성 재료인 녹용을 함유하여, 숙취 해소의 효율성을 높이고,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식물성 한약재 및 녹용을 초콜릿과 최적을 성분으로 혼합하여, 초콜릿이 식물성 한약재와 유화나 품질 저하 없이 혼합되어, 숙취 해소효과 및 기호도가 동시된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한약의 쓴맛과 특유의 향을 줄여, 풍미 및 복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항산화능 및 휴대성을 동시에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및 휴대성이 동시에 개선된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지금까지 공정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숙취 해소용 초콜릿이 숙취 해소용 재료를 충분히 함유하지 못했던 단점을 분말 미세화 공정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와 녹용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녹용을 포함하여 알콜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 녹용, 및 귤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염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 녹용, 및 귤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염증성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는 전자인자인 NF-kB, 또는 염증 관련 인자인 일산화질소(NO), 전구염증매개 효소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또는 COX-2(cycloxygenase-2)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능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판형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쉘형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볼형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형 가향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환의 구매 여부, 섭취 시 불편한 점 및 추천 제형에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숙취해소 효과(혈중 에탄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숙취해소 효과(혈중 에탄올 AUC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에서 검출된 12개의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혼합된 마커의 표준 용액의 대표적인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고, 도 9의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수추출액의 테스트 용액의 대표적인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RAW 246.7 세포에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세포 생존율과 일산화질소(NO)의 저해능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의 A는 RAW 246.7 세포에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iNOS 및 COX-2의 발현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는 웨스턴 블랏 그래프이고, 도 11의 B는 RAW 246.7 세포에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에 의한 iNOS 및 COX-2의 GAPDH에 대한 밀도 측정 비율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2의 A는 RAW 246.7 세포에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p-NFkB와 NFkB의 발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웨스턴 블랏 그래프이고, 도 12의 B는 RAW 246.7 세포에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에 의한 p-NFkB와 NFkB의 발현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고, 도 12의 C는 TNF-α 발현 수준에 대한 ELISA 측정한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첨부된 표 및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 의하면,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과 귤껍질 등의 식물성 재료 및 초콜릿을 사용하여,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의 체내 흡수를 낮추고,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 섭취된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 소화기능 장애, 무기력, 피로 등의 숙취 증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당분을 제공하여 신체 에너지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동물성 재료인 녹용을 함유하여, 숙취해소의 효율성을 높이고,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글루타치온을 보충할 수 있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하여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이 개선되고, 풍미를 개선할 수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erg, 지구자)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그 열매를 지구자라고 하고 주취, 빈혈, 구갈, 구토, 류마티즘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헛개나무는 높이 10m이고 수피는 검은 빛을 띤 회색으로 세로로 갈라지고 벗겨지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으며, 잎의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위에 털이 없거나 있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갈색을 띠며, 낙엽활엽교목이고 원산지는 한국이고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헛개나무 열매는 9~10월에 열매자루가 울룩불룩하게 살이 찐 지름 8㎜ 정도의 작은 단지 모양의 열매가 검붉은 색으로 여문다. 10종의 약용식물(황금, 오가피, 갈근, 쇠비름, 산사, 참빗살나무, 헛개나무, 화피, 합환피, 감국)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을 때, 화피, 헛개나무, 오가피 추출물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나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는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 열매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 또는 간 보호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열매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am)은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다년생 덩굴성 목본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 숙취 제거,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 협심증, 당뇨병 및 해독 등에 이용되어왔다. 칡꽃(Flower of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갈화)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덩굴 식물로 칡(Pueraria lobata Ohwi)의 꽃을 말한다. 칡꽃(갈화)은 약용부위가 꽃으로 한방에서는 술의 독을 없애주는 소주독제(消酒毒濟) 약재로 명의별록에 수록된 후로, 과음으로 인한 두통, 발열 및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갈증, 식욕부진, 복부팽만, 구토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 갈화해성탕(葛花解醒湯), 갈화청열탕(葛花淸熱丸)으로 조제되어 사용되고 있다. 칡꽃(갈화)의 구성 성분은 isoflavonide, flavonoide, paraffin, saponins, ρ-coumaric acid 등이 분리 동정 되었으며, isoflavonide류에는 tectoridin, genistein, daidzein, tectorigenin, puerarin 등이 속하며, flavonoids에는 quercetin, saponins에는 kaikasaponin Ⅰ, kaikasaponin Ⅲ 등이 분리되어 알려져 있다.
칡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칡뿌리(갈근) 추출물에 비해 칡꽃(갈화) 추출물이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부민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칡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총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크레아티닌과 요산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갈화와 갈근 급여군에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칡꽃 추출물은 에탄올 투여로 인한 간조직 손상 지표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에탄올성 간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92 96(2001)).
칡꽃(갈화)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실험 모델에 있어서 유의한 간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에서도 지방생성을 유도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에서의 지방생성을 감소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임상에서 NAFLD의 치료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간질환을 비롯한 대사질환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과 식이효율은 알코올 투여 시 감소하였으나, 칡꽃(갈화) 추출물 및 칡뿌리(갈근) 추출물 급여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 무게에 미치는 칡추출물의 영향은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간, 뇌와 심장 무게를 감소시켰는데, 이 때 칡꽃(갈화)이 칡뿌리(갈근)에 비하여 뇌와 심장 무게의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대사효소 활성 변화에서 알코올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된 ADH와 MEOS 활성은 칡추출물 급여 시 감소된 반면 AlDH 활성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칡추출물 급여 시 그 활성이 증가될 수 있다.
칡꽃(갈화)의 열수추출물 급여는 뇌조직 중의 에탄올 대사효소계의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유리기 제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계를 활성화하여 에탄올 투여에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칡꽃은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본원의 효과 달성에 적합할 수 있고,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칡꽃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칡꽃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소화가 잘 안되고 설사를 할 수 있다.
녹용은 주로 신양을 보(補)하며 정(情)과 수(髓) 및 혈(血)도 보하여, 힘줄, 뼈, 이를 튼튼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녹용은 간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해독된 간의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하고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녹용은 알코올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하여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용은 4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녹용의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녹용의 약리적 효능은 증가되나 비린 맛과 한약재의 느낌을 주어 전반적인 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귤껍질(진피)에는 영양적으로 귤 정유 성분으로 d-limonene, Linalool, Linalyacetate, Terpineol이 들어있어 혈압강화, 항산화 효과, 변이원 억제 작용, 항 알러지 작용, 암 발생 억제작용이 있다. 귤껍질에 포함된 비타민 C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철분의 흡수를 돕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킨다. 또한, 귤껍질에 포함된 비타민 B는 피로회복을 도우며, 면역력을 증진시킨다.
귤껍질(진피) 추출물의 투여는 CCl4로 인한 급성 및 만성 간 손상을 보호해 주는 효능이 있다. 노빌레틴이 풍부한 진피 추출물은 담관 결찰에 의해 유도된 염증, 담즙정체, 및 세포사멸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다.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귤껍질은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본원의 효과 달성에 적합할 수 있고,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귤껍질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귤껍질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초콜릿은 카카오 콩을 정제한 카카오매스에 설탕 등을 첨가해 만든 것으로, 본래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매스는 카카오 열매의 씨에서 추출한 채로 바로 섭취하면 매우 쓰기 때문에, 여기에 설탕, 우유 등을 넣어 풍미를 조절한 것이다. 초콜릿은 열량이 높아 피로회복, 각성효과, 저체온증 방지 등 기능을 하여, 군대의 전투식량 또는 비상식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초콜릿의 당분은 알코올의 흡수를 줄이고, 알코올에 의해 낮아진 혈당을 회복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초콜릿에 포함된 타우린과 카테킨 성분은 알코올의 흡수를 줄이고, 분해를 도와주며, 초콜릿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은 간을 보호한다.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매스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위의 통증을 유발하는 헬리코박터균을 제거하여, 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에 따른 초콜릿은 카카오매스에 카카오버터 및 설탕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고, 코코아 분말과 같은 초콜릿 분말 또는 제조된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화이트 초콜릿을 녹인 초콜릿 용액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밀크 초콜릿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콜릿은 66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본원의 효과 달성에 적합할 수 있고, 75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의 함량이 66 중량부 미만이면, 한약의 쓴맛과 특유의 향이 남아 기호성이 낮아질 수 있고, 식물성 한약재와 유화나 품질 저하 없이 혼합되기 어려울 수 있고 한약재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초콜릿의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초콜릿의 함량이 95 중량부 초과이면, 한방 재료에 의한 숙취해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은 상기 추가 한약재와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강황(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이며 열대 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의 용도로는 뿌리줄기(rhizome)를 식용, 한약재, 향신료 등으로 사용한 예가 알려진 바 있으며, 특히 카레의 원료로서 카레의 노란 색상을 띠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 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 (bisdemethoxy curcumin)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ar-turmerone, curlone, α-turmerone, β-turmerone, bisacumol, zingiberene과 같은 휘발성 정유 성분 및 전분이다. 이 중 강황의 노란색의 주성분인 커큐민은 생리활성물질로서 그것과 유사체에 의한 항염 작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Anand P et al, Biochem Pharmacol, 2008, 76:1590~1611). 또한, 아유르베다(Ayurvedic) 의약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강황은 염증, 피부 상처 및 종양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Ammon and Wahl, 1991, Planta Med, 57:1~7). 그 밖에 항암효과,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효과, 항산화성, 항염증, 간 장애 억제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 계속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은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황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황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세포 등에 독성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효과를 첨가량에 비례하여 얻지 못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엉겅퀴(Cirsium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뿌리)를 대계라 하여 약용으로 활용해왔다. 현재 한국산 엉겅퀴들 중에서 Cirsium 속에 속하는 것들로는 Cirsium japonicum(엉겅퀴)을 비롯하여 C. pendulum(큰엉겅퀴), C. setidens(고려엉겅퀴), C. rhinoceros(바늘엉겅퀴), C. schantarense(도깨비엉겅퀴), C. lineare(버들잎엉겅퀴), C. vlassovianum(흰잎엉겅퀴), C. nipponicum(물엉겅퀴)의 8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큰엉겅퀴(milk thistle, Silybum marianum)의 추출물이 여러 가지 약리 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큰엉겅퀴에서 실리마린(silymarin)이라는 물질이 발견이 되었는데, 이 물질이 항암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항산화 활성 및 당뇨증상 완화, 방사선 및 자외선에 의한 손상까지도 완화시켜 주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엉겅퀴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엉겅퀴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엉겅퀴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구기자는 가지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구기자나무 열매를 구기자라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잎을 구기엽, 열매를 구기자, 뿌리를 지골피라 하며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정력 감퇴, 결막염, 피로회복, 현기증 등에 이용되고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기자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복령은 소나무에 기생하는 균체로, 복령은 소변을 못보고 배와 전신의 부종, 담음(痰飮)으로, 해수, 구토, 설사가 있을 때 및 신경과민에 의한 건망증, 유정에 쓰며 심장부종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이뇨, 억균작용, 장관이완작용, 궤양예방효과, 혈당강하작용, 심장수축력 증가,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령은 3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8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복령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령의 함량이 1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이뇨작용이 과할 수 있다.
산사나무는 개울가에서 자라며, 높이가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며 가지에 가시가 나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과 비슷하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겉면은 윤이 나고 뒷면에는 맥을 따라 가늘고 짧은 털이 난다. 턱잎에는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산사나무 열매는 심장질환의 치료제로 쓰이고, 그 밖에 고지혈증, 비만, 당뇨, 대사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사나무 열매는 3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7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산사나무 열매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촉진 효과 또는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사나무 열매의 함량이 1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는 두릅나무과에 속한 낙엽 관목으로 한의학에서는 관절염, 근골무력, 위약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면역 및 항암작용, 항당뇨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 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 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 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칡뿌리(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 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Korean J Food Preserv. Vol 16, No 2 pp 259~265, April 2009).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 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 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 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Korean J Food Preserv. Vol 16, No 2 pp 259~265, April 2009).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오가피나무 껍질은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6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오가피나무 껍질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간 보호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오가피나무 껍질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축사인은 녹각사 또는 양춘사의 잘 익은 열매이다. 양춘사란 중국 광동성 약춘현에서 처음 생산되었으므로 지역명을 붙여서 양춘사로 했다. 양춘지방의 특산 약재였으나 이제는 중국 원난성 시상반나 지역에서 대량 재배되어 언제부터인가 이곳이 양춘사의 주산지가 되어버렸다. 사인은 한국의 식품공전의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 부분에 씨가 수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인 씨는 식품으로 사용해도 된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사인은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9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축사인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와 기체된 장 기능의 활성화 또는 숙취해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축사인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홍국은 누룩 곰팡이로 발효시켜 만든 붉은색 쌀이다. 막걸리와 흡사한 누룩 향을 가지며, 약성이 온화하고 독성이 없어, 소화불량과 설사를 다스리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소화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국은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홍국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홍국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기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맥아는 소화 기능을 향상시키고, 혈을 잘 돌게 하는 작용을 한다. 맥아는 맥주 양조의 원료로서 중요하고, 미생물의 배양기(培養基)를 조제하는 데도 많이 쓰인다. 녹말과 같은 당류(糖類), 비타민류가 들어 있으며, 아밀라아제가 강하여 영양제, 소화제(디아스타아제 등), 때로는 가축의 사료, 엿당의 제조원료 등으로 이용된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맥아는 4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맥아의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촉진작용 또는 숙취해소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맥아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삽주뿌리(백출)는 출(朮)이란 뿌리와 가지 잎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라고 하며 맛이 개자와 비슷해 산개(山芥)라고도 하고 잎이 엉겅퀴류와 비슷하여 천개(天芥)라고도 하였다. 삽주뿌리는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 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삽주뿌리는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삽주뿌리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촉진작용 또는 숙취해소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삽주뿌리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이뇨작용이 과할 수 있다.
백편두는 콩과(Leguminosae)의 편두(Dolichos lablab L.)의 잘 익은 씨를 건조한 것으로, 제비콩 씨앗이라고도 불린다. 본원의 백편두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백편두는 술로 인한 주독을 없애고 갈증을 그치게 하며, 항암작용, 면역증가작용의 효과가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편두는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편두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효과 또는 위장 질환의 예방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백편두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기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무씨란 나복자라고도 불린다. 나복자는 십자화과에 속한 식물로 무(Raphanus sativus L.)의 여문 종자이다. 말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둥근 난형과 비슷한데 조금 편평하며 길이는 약 3mm, 너비는 2.5mm이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한쪽에 세로 홈이 몇 개 있고 한쪽 끝에 밑씨가 있다. 밑씨는 갈색이고 둥근 점 모양으로 도드라져 있다. 확대경으로 관찰하면 씨 전체에 그물무늬가 촘촘히 있다. 질은 단단하고 쪼개면 황백색 혹은 누런 알맹이가 보이고 알맹이에 정유가 있다. 여름과 가을에 종자가 여물면 포기를 베어 햇볕에 말렸다가 손으로 비벼 씨를 빼내어, 잡물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후 한약재로 사용한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씨는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씨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무씨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의 유용성분 발현이 약해질 수 있다.
창출은 구토와 설사가 그치게 하고, 인체의 체액을 증가시키며 위(胃)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를 돕고 식욕을 좋게 하는데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창출은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7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창출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촉진작용 또는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창출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곽향(藿香)이라 적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성숙한 배초향을 곽향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곽향은 포기 전체를 소화건위진통구토복통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곽향은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6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곽향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소화촉진작용 또는 숙취해소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곽향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이 제공된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과 귤껍질 등의 식물성 재료 및 초콜릿을 포함하여, 음주 시 섭취하는 알코올 분해 성분의 체내 흡수를 막고, 초콜릿에 포함된 타우린 성분이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 섭취된 알코올 및 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 소화기능 장애, 무기력, 피로 등의 숙취 증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당분을 제공하여 신체 에너지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한약의 쓴맛과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아, 기호성이 탁월하고, 숙취해소 효과가 높으며, 기존의 숙취해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에 비해, 경제적이다. 또한,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를 포함한 한방 재료 조성물을 이용하므로,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판형, 쉘형, 볼형, 또는 할로우형일 수 있다.
본원의 초콜릿은 판형 초콜릿, 다양한 모양의 틀에 재료를 부어 굳힌 몰딩 초콜릿, 초콜릿으로 쉘을 만들고, 그 내부에 가나슈 등을 채운 프랄린(Praline) 또는 쉘형 초콜릿, 비스켓이나 웨하스에 본원의 숙취해소 초콜릿 조성물을 씌운 엔로버 초콜릿, 견과류의 표면을 본원의 숙취해소 초콜릿으로 덮은 팬워크 초콜릿, 가나슈와 본원의 숙취해소 조성물을 혼합하여, 틀에 부어 굳힌 후 코코아 가루를 묻힌 파베 초콜릿, 본원의 숙취해소 초콜릿으로 쉘을 만든 후, 속이 빈 형태의 할로 초콜릿, 가나슈와 본원의 숙취해소 조성물을 혼합한 후 한입 크기로 떠서 코코아 가루 등에 굴린 트러플 초콜릿, 본원의 숙취해소 초콜릿 조성물로 만든 판 위에 견과류나 말린 과일을 얹은 망디앙 초콜릿 등 모든 초콜릿 종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가격 경제적 측면에서 납작한 형태의 각이 진 판형, 한방재료와의 시너지 효과 면에서 가나슈(Ganache)과 같은 초콜릿 크림이 포함된 쉘형 또는 곡물분말의 코어에 초콜릿이 코팅되어 제조된 볼형의 초콜릿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쉘형인 초콜릿은 초콜릿 쉘형 내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조성물이 시럽 또는 크림 형태로 충전될 수 있다.
본원의 쉘형 초콜릿의 쉘형 내부에 초콜릿 조성물이 크림 형태로 충전되어, 쉘의 초콜릿에 의해, 한약의 쓴맛과 특유의 냄새를 더욱 저감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크림 형태의 초콜릿 조성물에 의해 숙취해소 및 신체 회복능력의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시럽과 같은 묽은 형태일 수 있고, 더욱 꾸덕한 형태의 가나슈(초콜릿과 생크림을 섞은 크림)과 같은 크림 형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용 4~8 중량부,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S100); (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S110); (I-c) 상기 (I-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는 혼합 단계(S120); 및 (I-d) 상기 혼합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 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I-a)의 단계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a) 단계에서, 세척이 필요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00).
상기 단계 (I-b)에서 세척된 재료들을 40~60℃에서 건조 후, 50~500 mesh로 세말 분쇄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고, 40℃ 미만인 경우,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적합하지 않다. 또한, 50~500 mesh로 분쇄하는 것이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제조하기 위해 가공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S110).
상기 단계 (I-c)에서, 상기 (I-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은 카카오매스에 카카오버터 및 설탕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고, 코코아 분말과 같은 초콜릿 분말 또는 제조된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화이트 초콜릿을 녹인 초콜릿 용액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녹여 유동성이 증가된 밀크 초콜릿 용액 형태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S120).
다음 상기 단계 (I-d)에서 상기 혼합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를 성형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혼합한 재료를 일정한 형태로 건조하여, 굳힌 후, 10~35g의 1회 분량 소분하여, 성형하는 것이 최적의 숙취해소효과, 조직감 및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초콜릿 66~9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I-d)의 성형 단계의 성형은 판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I-a)의 단계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단계 (I-d) 이후에 초콜릿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40).
도 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용 4~8 중량부,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S200); (I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S210); (II-c) 초콜릿으로 쉘 형태의 초콜릿을 제조하는 제조 단계(S220); (II-d) 상기 (II-b) 단계에서 분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 분말과 시럽 또는 크림 타입의 초콜릿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로 초콜릿 충전물 제조하는 초콜릿 충전물 제조 단계(S230); 및 (II-e) 상기 (II-d) 단계에서 제조된 초콜릿 충전물을 (II-c) 단계의 쉘에 충전하는 충전단계(S24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II-a)의 단계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및 곽향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I-a) 단계에서, 세척이 필요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200).
상기 단계 (II-b)에서 세척된 재료들을 40~60℃에서 건조 후, 50~500 mesh로 세말 분쇄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고, 40℃ 미만인 경우,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적합하지 않다. 또한, 50~500 mesh로 분쇄하는 것이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제조하기 위해 가공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S210).
상기 단계 (II-c)에서, 초콜릿으로 쉘 형태의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은 카카오매스에 카카오버터 및 설탕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고, 코코아 분말과 같은 초콜릿 분말 또는 제조된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화이트 초콜릿을 녹인 초콜릿 용액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녹인 밀크 초콜릿 형태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S220).
상기 단계 (II-d)는, 상기 (II-b) 단계에서 분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 분말과 시럽 또는 크림 타입의 초콜릿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로 초콜릿 충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한방 재료 분말은 50~500 mesh의 세말 형태로, 초콜릿의 혼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수분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지 않고, 식물성 한방재료 및 동물성 한방재료를 최적으로 함량으로 포함하여, 유화나 품질의 열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은 충전물은 한방 재료 분말을 카카오매스에 카카오버터 및 설탕이 포함되거나, 코코아 분말과 같은 초콜릿 분말 또는 제조된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화이트 초콜릿을 녹인 유동성이 높은 초콜릿 용액 또는 가나슈와 혼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밀크 초콜릿 형태가 가장 적합할 수 있고, 식감 및 풍미를 높이는 측면에서는 가나슈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S230).
다음 상기 단계 (II-e)에서 상기 (II-d)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초콜릿 충전물을 (II-c) 단계의 쉘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된 쉘 초콜릿의 주입부는 본 발명에 기재된 초콜릿으로 충전하여, 입구를 봉인한 후, 1회 분량으로 소분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나, 숙취해소효과, 기호성, 및 편의성 측면에서, 6~20g의 1회 분량이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 초콜릿의 주입부의 초콜릿은 본원에 기재된 초콜릿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밀크 초콜릿이 더 적합할 수 있다(S240).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II-d) 단계의 초콜릿은 시럽 또는 크림 타입의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화이트 초콜릿, 및 생크림이 혼합된 가나슈 중 1종 이상 선택되고,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에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콜릿은 66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본원의 효과 달성에 적합할 수 있고, 75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의 함량이 66 중량부 미만이면, 한약의 쓴맛과 특유의 향이 남아 기호성이 낮아질 수 있고, 식물성 한약재와 유화나 품질 저하 없이 혼합되기 어려울 수 있고 한약재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초콜릿의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초콜릿의 함량이 95 중량부 초과이면, 한방 재료에 의한 숙취해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단계 (II-d) 이후에 초콜릿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250).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I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S300); (II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S310); (III-c) 상기 (III-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곡물가루를 혼합한 혼합분말 또는 성형미를 퍼핑(Puffing)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코어 제조단계(S330); (III-d) 상기 제조된 코어를 초콜릿으로 입히는 단계(S340); 및 (III-e) 상기 초콜릿을 코팅하는 코팅 단계(S35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III-c) 코어 제조 단계의 퍼핑(Puffing) 공법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열과 압력으로만 구워내는 기술로, 곡물의 고소한 풍미를 그대로 느낄 수 있고, 상기 제조된 코어를 초콜릿으로 입히는 (III-d) 단계를 통해, 달콤함을 구비하여,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III-c) 코어 제조 단계의 한방재료 분말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5~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곡물 가루의 80~95 중량부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방재료 분말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한방재료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초과이면, 퍼핑기법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곡물가루는 콩, 귀리, 들깨가루, 오트밀, 현미, 흑미, 검은깨, 및 미숫가루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은, (IV-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S400); (IV-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S410); (IV-c) 상기 (IV -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420); (IV-d) 상기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1차 주입하는 단계(S430); (IV-e) 상기 (IV-d) 단계에서 1차 주입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상에 가향 초콜릿을 몰드에 2차 주입하는 단계(S440); (IV-f) 상기 (IV-e) 단계에서 2차 주입된 가향 초콜릿 상에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3차 주입하는 단계(S450); (IV-g) 상기 (IV-f) 단계에서 완성된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을 몰드에서 탈형하는 단계(S46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단계 (IV-c)에서, 상기 초콜릿은 카카오매스에 카카오버터 및 설탕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고, 코코아 분말과 같은 초콜릿 분말 또는 제조된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화이트 초콜릿을 녹인 초콜릿 용액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몰드에 넣어 다층형 초콜릿을 제조하기 위해 녹인 밀크 초콜릿 형태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V-d)에서 몰드는 다층형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몰드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반구형, 타원형,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육면체 등일 수 있다.
상기 단계 (IV-e) 단계에서 가향 초콜릿은 향미제를 이용하여 가향된 초콜릿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향미제는 오렌지, 라임, 한라봉, 파인애플, 사과, 배, 딸기, 체리, 크랜베리, 및 자몽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일 향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향 초콜릿을 중심부에 추가하여 한방 재료의 쓴맛과 특유의 향을 차폐하면서 기호도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가향 초콜릿은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숙취해소 효과 및 기호도를 동시에 개선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칡꽃, 녹용, 및 귤껍질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녹용을 포함하여 알콜 분해 단계에서 부족할 수 있는 간의 글루타치온을 보충하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하여 알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인한 뇌-위장관 연결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산화능이 개선되고, 풍미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곽향 3~8 중량부, 찹쌀가루 2~8 중량부, 및 정제수 2~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숙취해소 효과,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숙취해소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칡꽃은 1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숙취해소 효과,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숙취해소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귤껍질은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숙취해소 효과,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코올 섭취 전 또는 후에 혈액 내의 알코올 함량을 낮출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따라서, 본원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원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어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음료로서 제공될 수 있고, 본원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의 제공 양은 체중 kg당 0.001 내지 1000mg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고, 300 내지 500m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본원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식품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숙취해소, 나아가 간 기능을 개선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곽향 3~8 중량부, 찹쌀가루 2~8 중량부, 및 정제수 2~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 숙취해소 효과,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본원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 당 0.001-1000㎎/kg(체중)일 수 있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및 귤껍질 3~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부, 곽향 3~8 중량부, 찹쌀가루 2~8 중량부, 및 정제수 2~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염증성 질환 개선 및 예방 효과, 숙취해소 효과, 항산화능, 풍미, 복용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TNF-α, NF-kB, NO, iNOS, 또는 COX-2의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르면, 본원의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WON-21)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는 전자인자인 NF-kB, 또는 염증 관련 인자인 일산화질소(NO), 전구염증매개 효소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또는 COX-2(cycloxygenase-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칡꽃, 및 귤껍질의 식물성 재료 및 녹용의 동물성 재료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헛개나무 열매, 칡꽃, 강황, 엉겅퀴, 구기자, 귤껍질, 복령, 산사나무 열매, 오가피나무 껍질, 축사인, 홍국, 녹용, 맥아, 삽주뿌리, 백편두, 무씨, 창출, 및 곽향의 배합 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조성물 함량(중량부)
헛개나무 열매 10~30
칡꽃 10~30
강황 10~20
엉겅퀴 5~20
구기자 5~20
귤껍질 3~18
복령 3~18
산사나무 열매 3~18
오가피나무 껍질 5~10
축사인 5~10
홍국 5~10
녹용 4~8
맥아 4~8
삽주뿌리 3~8
백편두 3~8
무씨 3~8
창출 3~8
곽향 3~8
초콜릿 66~95
실시예 2.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판형 초콜릿의 제조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판형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제외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들을 세척 후 40~60℃의 온도에서 바람을 쐬어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였다.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모두 혼합하여, 모두 50~500 mesh로 세말 분쇄하였다.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인 밀크 초콜릿 80중량부를 상기 분쇄한 한방 재료 분말 20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판형으로 제조 후, 10~35g의 1회 분량으로 소분하여 포장 후 출고하였다.
비교예 1. 초콜릿 함량이 6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3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초콜릿 함량이 7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2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초콜릿 함량이 8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1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초콜릿 함량이 98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2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쉘형 초콜릿의 제조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쉘형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제외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들을 세척 후 40~60℃의 온도에서 바람을 쐬어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였다.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모두 혼합하여, 모두 50~500 mesh로 세말분쇄하였다. 밀크 초콜릿을 녹여 초콜릿 충전물을 충전할 쉘을 제조하였다.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세말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녹여 유동성이 향상된 밀크 초콜릿 또는 가나슈 80중량부를 상기 분쇄한 한방 재료 분말 20 중량부와 혼합하여, 초콜릿 충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충전된 쉘 초콜릿의 주입부는 녹인 밀크 초콜릿으로 충전하여, 입구를 봉인한 후, 6~20g의 1회 분량으로 소분하여 포장 후 출고하였다.
비교예 3. 초콜릿 함량이 6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3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초콜릿 함량이 7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2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초콜릿 함량이 85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15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초콜릿 함량이 98 중량부이고 한방 재료 분말이 2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볼형 초콜릿의 제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볼형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제외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들을 세척 후 40~60℃의 온도에서 바람을 쐬어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였다.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모두 혼합하여, 모두 50~500 mesh로 세말분쇄하였다.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한방 재료 분말 15 중량부와 곡물가루 8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분말 또는 이를 혼합한 성형미를 제조한 후 퍼핑하여, 코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코어를 초콜릿으로 입힌 후, 잘 녹지 않도록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초콜릿은 6~20g의 1회 분량으로 소분하여 포장 후 출고하였다.
비교예 5. 한방 재료 분말 함량이 3 중량부에 곡물가루 9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한방 재료 분말 함량이 5 중량부에 곡물가루 95 중량부를 혼합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한방 재료 분말 함량이 25 중량부에 곡물가루 75중량부를 혼합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다층형 가향 초콜릿의 제조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형 가향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제외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들을 세척 후 40~60℃의 온도에서 바람을 쐬어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였다. 칡꽃, 사인, 홍국, 녹용, 맥아, 백편두, 무씨를 모두 혼합하여, 모두 50~500 mesh로 제트밀로 세말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 20 중량부와 밀크 초콜릿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중 1/2을 일정 형상의 몰드에 몰드 깊이의 약 1/3이 채워지도록 1차 주입하였다. 상기 몰드에 주입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상에 가향 초콜릿을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로 몰드 깊이의 약 2/3가 채워지도록 몰드에 2차 주입하였다. 상기 2차 주입된 가향 초콜릿 상에 상기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나머지 1/2를 몰드가 모두 채워지도록 3차 주입하였다. 완성된 초콜릿을 몰드에서 탈형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에 대한 설문조사
도 4에는 기존의 숙취해소 원상환을 구매한 구매자들에게 섭취 시 불편함과 섭취 용이한 필요 제형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숙취해소 원상환을 구매한 적이 있는 구매자들은 원상환이 삼키기가 힘들거나, 양이 너무 많거나, 향이 익숙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원상환을 대체할 섭취 용이한 제형에 대해서는 초콜릿 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원의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환이나 연조제의 거부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험예 2.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6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에 대한 기호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신체건강한 성인 남녀 54명(여성 29명 및 남성 25명)으로 하였고, 연령대는 20대가 27.8%(15명), 30대가 57.4%(31명), 40대가 14.8%(8명)이었다. 음주 빈도는 주 2회가 29.6%(16명)이었고, 주 1회가 22.2%(12명)이었고, 주 1회 미만이 9.3%(7명)이었고, 주 4회 이상이 7.4%(4명)이었다.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쓴맛, 단맛, 냄새불쾌도, 식감, 숙취해소효과, 기호도 및 추천여부를 조사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소수점 이하는 버림하였다.
쓴맛 단맛 냄새
불쾌도
식감 숙취
해소효과
전체
기호도
추천
여부
실시예2 1 2 1 3 4 3 3
실시예 3 2 2 1 3 4 3 4
실시예 4 1 2 1 3 3 3 3
실시예 5 1 2 1 4 4 4 3
실시예 6 1 3 1 4 4 3 4
실시예 7 1 2 1 4 4 3 3
실시예 8 1 2 1 4 3 3 3
실시예 9 1 3 1 4 2 3 2
비교예 1 3 1 1 3 4 2 1
비교예 2 1 4 1 3 2 2 1
비교예 3 4 1 2 4 4 2 1
비교예 4 1 4 1 4 2 2 1
비교예 5 2 2 3 4 4 2 1
비교예 6 1 2 3 4 4 4 4
상기 실시예 2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경우, 쓴맛과 냄새 불쾌도가 거의 없고, 단맛은 적절하면서도, 숙취해소 효과가 있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고 추천비율이 높은 반면, 비교예 1 및 3의 경우, 쓴맛이 강하고 한약 냄새 불쾌도가 높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아, 추천비율이 낮았다. 또한, 비교예 2 및 4의 경우는 단맛이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아 추천비율이 낮았다.
또한, 비교예 5는 곡물 맛이 강하여 추천비율이 낮았다. 비교예 6은 한방재료의 맛이 강했지만 특이하게도 기호도와 추천도에 있어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한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소비층이 다양한 기호 식품인 초콜릿의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숙취해소와 같은 한약의 생리 활성 기능을 부여하고, 한약 특유의 냄새와 쓴맛을 제거하여 누구나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기호도를 높인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원에 의하면 다른 숙취해소제에 비하여,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하고, 기호성이 높은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3.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에 의한 숙취해소 효과(혈중 에탄올 농도 감소 효과) 평가
3.1. 실험 요약
7주령의 스프래그-다우리(SD, Sprague Dawley) 수컷 흰쥐(rat)(대한바이오 F링크 공급)를 일주일 동안 순화시킨 후, 실험 전에 18시간 동안 절식을 시켰다. 시험 시료는 설정한 농도를 물에 녹여 용액을 조제하고 경구 투여하였다. 30분 후에 에탄올을 3g/kg의 농도로 5 ml/kg의 액량으로 경구투여하고, 에탄올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의 혈액을 채취하여 헤파린 튜브에 옮겼다. 수집된 혈액으로 에탄올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3.2. 투여 및 채혈(Dosing and Blood Sampling)
투여 및 채혈(Dosing and Blood Sampling) 조건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 시험물질 제조: 모든 시험물질 물질은 순도가 100%로 가정하고 시험함. 시험물질은 지시한 양만큼 전자저울로 칭량하여 투여 용기에 담은 후 최종 투여 농도가 되도록 0.5% CMC를 첨가하고 최종 투여액의 투여액량은 5 ml/kg이 되도록 제조 후 균질화 처리(sonication)를 진행하여 균질화함.
- 투여: 실험에 사용하는 모든 투여는 경구투여하였고, 투여액량은 5 ml/kg을 투여함.
- 투여 횟수 및 기간 : 1회/1일 투여함.
- 채혈: 에탄올 투여 후 0.5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의 채혈은 경정맥 채혈로 진행함.
3.3. 시험군(Test Group)
시험군 설정 및 시험물질 투여용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시험일정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본원의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 조성물(표 1에서 초콜릿 성분만 제외한 조성물, 이하, 본원(WON-21) 이라고 함)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3.4. 혈중 농도 분석(Blood Concentration Analysis)
3.4.1. 표준원액 및 내부표준원액 제조
에탄올 4 mL 를 각각 50 mL 코니칼 튜브에 넣고 증류수로 총 부피 50 mL 가 되도록 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각각 2 배 희석하여 10,000 ppm 표준원액을 제조하였다. T-butanol 1 mL 를 2,000 배 희석하여 0.05% 내부표준원액을 제조하였다.
3.4.2. 중간표준액 제조
10,000 ppm 에탄올 500 μL 씩 취하여 5,000 ppm 에탄올 1 mL 를 제조하였다. 에탄올 5,000 ppm 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1,000 ppm, 500 ppm, 100 ppm 을 제조하였다.
3.4.3. 표준액 제조
혈액 200 μL 에 중간표준액 50 μL 와 0.05% t-butanol 200 μL 를 넣었다.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200 μL 를 첨가한 후 30 초간 vortexing 하였다.
3.4.4. 검액 제조
혈액 200 μL 에 중간표준액 50 μL 와 0.05% t-butanol 200 μL 를 넣었다.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200 μL 를 첨가한 후 30 초간 vortexing 하였다.
3.4.5. 분석 조건
분석장비로 Headspace GC-MS (Agilent technologies 5975)를 이용하였다.
이때, GC 및 MS의 분석 파라미터는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았다.
3.4.6. 내부표준법에 의한 에탄올 정량
내부표준물질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표준물질의 기지량을 각각 단계적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표준액을 만들었다. 각 표준액을 가지고 각 원소의 분석선파장에서 표준물질에 의한 흡광도 및 내부표준물질에 의한 흡광도를 같은 조건으로 측정하여 표준물질에 의한 흡광도와 내부표준물질에 의한 흡광도 비를 구하였다. 표준물질의 양(농도)을 가로축으로 하고 흡광도 비를 세로축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검액을 만들 때에는 미리 표준액의 경우와 같은 양의 내부표준물질을 넣었다. 다음에 검량선을 작성할 때와 같은 조건으로 얻은 목적성분에 의한 흡광도와 내부표준물질에 의한 흡광도와의 비를 구하여 검량선에서 목적성분의 양(농도)을 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t-butanol을 내부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3.4.7. PK 파라미터 평가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 Analysis, PK)이란 체내에 투여된 약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과정을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정량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이다. 본 실험에서의 모든 자료는 생물학적동등성시험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K-BE test 2007 (Ver. 1.1.0)로 처리하였으며, 약동학적 매개변수(Cmax, Tmax, T1/2 및 AUC)는 혈장 약물 농도- 시간 곡선으로부터 계산되었다.
3.5. 결과
투약 후 각 시험군의 시간별 혈중 에탄올 농도(mg/L) 변화를 mean ± SD로 나타내어 표 7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즉,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숙취해소 효과(혈중 에탄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표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조군(control)과 200 mg/kg, 500 mg/kg 투여군에서 에탄올 투여 30분 후부터 4시간까지 대조군(control) 대비 혈중 에탄올 농도의 유의한 감소는 ANOVA test와 t-test로 확인한 결과,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WON-21-500 mg/kg의 경우 모든 시간대에서 대조군(control) 대비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기에 숙취 해소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투약 후 각 시험군의 혈중 에탄올 농도 변화에서 4시간까지의 혈중 에탄올 혈장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을 mean±SD로 나타내어 표 8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즉,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의 숙취해소 효과(혈중 에탄올 AUC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표 8 및 도 7을 참조하면, 대조군(control)과 500 mg/kg 투여군에서 에탄올 투여 30분 후부터 4시간까지 대조군(control) 대비 혈중 에탄올 농도의 유의한 감소를 ANOVA test와 t-test로 확인한 결과, 대조군(control) 대비(2110.00 h*mg/L) WON-21-500 mg/kg에서 1790.79 h*mg/L로 감소하였으며 숙취해소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혈중 에탄올 농도를 평균±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어 결과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WON-21-500 mg/kg는 모든 시간대에서 대조군 대비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모든 시간대에서 혈중 에탄올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숙취해소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혈중 에탄올 혈장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을 에탄올 투여 후, 0.5 ~ 4 시간까지 평균±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어 대조군과 혈중 에탄올 혈장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의 평균(mean)을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Control) 대비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기에 이는 숙취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4.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 조성물의 HPLC 분석
4.1. 재료 및 방법
4.1.1. 본원의 한방 재료 조성물(이하, WON-21와 혼용하여 기재됨) 준비
표 1에 나타난 18개의 한방 재료로 구성된 WON-21 물 추출물은 한국한방연구원(KIOM)에서 제조하였으며, 18개의 혼합물(270 g)에 3 L의 증류수를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응축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식힌 후, 추출액을 4000 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진공펌프와 2호 왓맨여과지(150 mmø)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FD8518, 일신바이오베이스, 동두천, 한국). 동결건조 시료의 양은 110.0g(수율 40.7%)이었다.
4.1.2. 화학물질
12개의 표준 화합물(도 8)은 전문 제조업체로부터 3'-히드록시푸에라린(CAS 번호 117060-54-5, 카탈로그 번호 CFN90680, 순도 99.8%), 3'-메톡시푸에라린(CAS 번호 117047-07-1, 카탈로그 번호 CFN90780, 순도 99.2%), 퀘르틴(CAS 번호 117-39-99.27, 99.2 순도) 등을 구입하였다. ChemFaces Biochemical Co., Ltd. (중국 우한)의 2%; Acros Origanics(Pittsburgh, 미국 PA)의 클로로겐산(CAS No. 327-97-9, 카탈로그 No. 109240010, 순도, 99.6%); 푸에라린(CAS No. 3681-99-0, 카탈로그 No. 165-22001, 순도, 99.8%) 및 다진(CAS No. 552-66-9, 카탈로그 No.9, Casaka(Casao) 순도, 순도), 98.0.1, 순도), 순도, 순도, 순도, 순도, 순도, Fu. PhytoLab GmbH & Co. KG(독일 Vestenbergsgreuth)로부터 89270, 순도, 97.2%); 하이퍼오시드(CAS 번호 482-36-0, 카탈로그 번호 BP0753, 순도, 98.7%), 헤스페리딘(CAS 번호 520-26-3, 카탈로그 번호 BP0725, 순도), 아피겐(CAS 번호 BPypypypurifycatalify 98.1, 98.7%)으로부터 520-0.1, BP.1, Caticials, 중국); 택시폴린(CAS No. 480-18-2, caltalog No. 156745, 순도, 98.0%); Merck KGA(독일 Darmastadt)의 ICN 바이오메디컬 Inc.(CAS No. 10236-42-7, 카탈로그 No. 7, Catalog No. 71162, 순도, 95.0%). 용매(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폼산은 모두 HPLC 등급이며 J.T. Baker(미국 NJ Philipsburg) 및 Merck KGA(독일 Darmastadt)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에탄올(CAS 번호 4023-2304, 로트 번호 E3167)WA1, HPLC 용매, 99.9%는 대전(서울, 대한민국)에서, tert-부탄올(CAS No. 19460, LOT No. NCCF5930, HPLC에 적합함, 99.9%는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염화나트륨(포화 용액)은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구입하였다. BD 진공 용기는 Becton Dickinson에서 구입했으며, 20 mL GC 바이알은 Thermo Scientific Inc.에서 구입하였다.
4.2. 분석 방법
동결건조된 WON-21 시료 100 mg에 70% 메탄올 10 m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60분간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추출물을 0.2 μm 막 여과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샘플은 LC Solution(버전 1.24)(일본 교토)에서 제어하는 Shimadzu Prominence LC-20A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3. 결과
WON-21의 마커 화합물로 12가지 성분을 선정하였으며(도 8), 이들 화합물은 H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원의 한방 재료 조성물인 WON-21 시료에서 동시에 분석하였다. 모든 마커는 테스트된 범위 내에서 0.9999-1.0000의 결정 계수로 우수한 선형성을 보였다. 또한, 시험된 선형 범위에서의 검출 한계 및 정량 한계는 각각 0.01-0.22 μg/mL 및 0.03-0.65 μg/mL로 계산되었다.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이용하여 각 마커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검출한 결과, 모든 마커는 γ 4.0의 분해능으로 40분 이내에 용출되었으며, 0.04~3.54 mg/g의 양으로 검출되었다(도 9). 이 성분들 중 헤스페리딘(C. unshiu의 주요 화합물)과 푸에라린(P. lobata의 주요 화합물)은 각각 3.54mg/g과 3.20mg/g에서 검출되었다.
실험예 5.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5.1. 분석 방법
본원의 WON-21의 각 농도와 그 구성 요소는 동일한 양의 DPPH 용액(Sigma, St. Louis, MO, USA)과 혼합되었다. 25℃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E-Max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540nm 에서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5.2. 결과
DPPH는 천연 추출물 또는 순수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안정적인 유리 라디칼이다. 본원의 WON-21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용량 의존적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9).
다양한 농도에서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평균±표준편차. *p < 값 0.0001인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WON-21의 성분 대부분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3'-히드록시푸에라린, 클로로겐산, 루틴, 하이페로시드, 택시폴린, 퀘르세틴은 20μM 보다 낮은 농도에서 IC50 값을 나타냈다(표 10).
다양한 농도에서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평균±표준편차. *p < 값 0.0001인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실험예 6.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 조성물의 LPS 자극 RAW 246.7 세포의 NO 생산에 미치는 영향
6.1. RAW 246.7 세포 배양
RAW 264.7 뮤린 대식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에서 얻었다. 세포는 Dulbecco의 Modified Eagle 배지(DMEM) 배지(Cellgro, Manassas, VA, USA)에서 배양되었으며, 10% 태아 소 혈청(Gibco BRL, Carlsbad, MD,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Grand Island, NY)으로 영양되었다. 세포는 5% CO2의 가습된 분위기에서 37℃로 유지되고 이틀마다 계대배양되었다.
6.2. RAW 246.7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
RAW 264.7 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 1 × 105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되고 24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다음 날, 0.1, 0.3, 1, 2 mg/mL 농도에서 대조군 역할을 하는 0.5%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Sigma-Aldrich, St. Louis, MO) 또는 WON-21로 세포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 EZ-Cytox 시약(DoGen, Seoul, Korea) 10 μL를 넣고 30분간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PowerWave XS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한 흡광도 변화를 통해 결정되었다.
6.3. RAW 246.7 세포에서 NO 측정
일산화질소 생성은 배양 배지에 축적된 아질산염의 농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RAW264.7 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서 1 × 105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되었다. 셀은 WON-21로 표시된 농도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LPS(1 μg/mL)를 24시간 동안 전처리했다. 세포 배양 상등액을 수집하여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5% 인산, 0.1% N-(1-napthyl)-에틸렌디아민으로 보충됨)과 1:1(v/v)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혼합물의 흡광도를 450 nm로 측정했다. 상등액의 아질산염 농도는 아질산염 나트륨 표준 기준 곡선에서 계산되었다.
6.3.1. LPS 자극 RAW 246.7 세포의 NO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
RAW 246.7 세포에서 NO 생성에 대한 WON-21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세포 생존율을 이용하여 비-세포독성 농도(non-cytotoxic concentration)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기준은 0.5% DMSO 대조군을 기반으로 95% 이하의 생존률로 결정되었다. 테스트된 모든 농도의 WON-21은 RAW 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며(도 10의 A), RAW 264.7 세포에서 LPS 유도 NO 생성에 대한 WON-21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WON-21 추출물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NO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10의 B).
6.3.2. LPS 자극 RAW 246.7 세포에서 WOM-21이 iNOS 및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
NO 생성은 iNOS의 유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COX-2의 발현은 염증의 통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WON-21이 LPS에 의해 자극받은 iNOS와 COX-2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으며, WON-21은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다(도 11의 A 및 B). iNOS의 경우 농도에 따라 단백질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COX-2는 1mg/ml 및 2mg/ml에서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단백질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실험예 7.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한방 재료 조성물의 LPS 자극 RAW 246.7 세포에서의 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
7.1. 단백질 추출 및 웨스턴 블랏 분석
RAW 264.7 셀은 1 × 107 셀/웰의 밀도로 24시간 동안 6-웰 플레이트에 시딩되었다. 세포는 WON-21로 표시된 농도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LPS(1 μg/mL)를 사용하였다. 세포는 수집되어 Dulbecco의 인산염 완충 식염수(DPBS)로 세척되었다,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전체 세포 추출물을 얻기 위해 1X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과 1mM 오르토바나데이트 나트륨(Na3VO4) 포스파타아제 억제제로 보충된 RIPA 버퍼에서 용해되기 전, 각 전세포 추출물의 단백질 농도는 Pierce™ BCA Protein Assay Kit(Thermo Scientific)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각 전체 세포 추출물의 동일한 단백질 양(20 μg/lane)을 10% 나트륨 도데실 황산-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PVDF 전달막에 블랏했다.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2(COX-2),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활성화된 B 세포의 인광 핵인자 카파-라이트체인 강화제(p-NFκB), NFκB 및 2차 항체(Cell Signaling, Boston, MA, USA)와 결합된 GAPDH를 포함한 에피토프 특이 1차 항체는 표적 단백질에 라벨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었다. 결합된 항체는 PierceTM ECL Advance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Thermo Scientific)에 의해 검출되었고, FUSION Solo Chemilinesence System(PEQLAB Biotechnology GmbH, 독일)으로 시각화되었다.
7.2. RAW 246.7 세포에서의 TNF-α 생성 측정
RAW 264.7 세포를 4 x 105 세포/웰의 밀도로 24-well 플레이트에 도금(plate)하고 24시간 배양했다. 세포는 0.1, 0.3, 1, 2 mg/ml의 농도로 2시간 동안 WON-21에 전처리한 후, 1 μg/mL LPS를 24시간 동안 사용했다.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 생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TNF-α 샌드위치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키트(BD Biosciences, CA, USA)를 사용하여, 상등액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정량화했다.
7.3. 결과
NFκB는 염증 및 면역 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인자로서, 인산화를 통한 핵 전좌를 가능하게 하고 후속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또한, TNFγα는 조직 손상을 통한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인자이자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WON-21이 NFγB의 인산화 및 LPS에 의해 유도된 TNFγα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되었으며, WON-21은 NFγB의 인산화 및 TNFγ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NFκB 인산화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단백질 발현 수준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mg/ml와 2mg/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2의 A, B). 또한, TNFγα의 생성도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mg/ml, 2mg/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2의 C).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초콜릿은 판형, 쉘형, 볼형 또는 할로우형인, 녹용 및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쉘형인 초콜릿은 초콜릿 쉘 내부에 제1항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이 시럽 또는 크림 형태로 충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6. (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c) 상기 (I-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I-d) 상기 혼합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d)의 성형 단계의 성형은 판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8. (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I-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I-c) 초콜릿으로 쉘 형태의 초콜릿을 제조하는 제조 단계;
    (II-d) 상기 (II-b) 단계에서 분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 분말과 시럽 또는 크림타입의 초콜릿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로 초콜릿 충전물 제조하는 초콜릿 충전물 제조 단계; 및
    (II-e) 상기 (II-d) 단계에서 제조된 초콜릿 충전물을 (II-c) 단계의 쉘에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I-d) 단계의 초콜릿은 시럽 또는 크림 타입의 밀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 화이트 초콜릿, 및 생크림이 혼합된 가나슈 중 1종 이상 선택되고,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66~95 중량부로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10. (III-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II -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II-c) 상기 (III -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과 곡물가루를 혼합한 혼합분말 또는 성형미를, 퍼핑(Puffing)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코어 제조단계;
    (III-d) 상기 제조된 코어를 초콜릿으로 입히는 단계; 및
    (III-e) 상기 초콜릿을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11. (IV-a)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IV-b) 상기 준비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의 한방 재료를 건조 후, 분쇄하는 분쇄 단계;
    (IV-c) 상기 (IV -b) 단계에서 분쇄된 한방 재료 분말을 초콜릿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IV-d) 상기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1차 주입하는 단계;
    (IV-e) 상기 (IV-d) 단계에서 1차 주입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상에 가향 초콜릿을 몰드에 2차 주입하는 단계;
    (IV-f) 상기 (IV-e) 단계에서 2차 주입된 가향 초콜릿 상에 (IV-c) 단계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을 몰드에 3차 주입하는 단계;
    (IV-g) 상기 (IV-f) 단계에서 완성된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을 몰드에서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12.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13.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TNF-α, NF-kB, NO, iNOS, 또는 COX-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5.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나무 열매 10~30 중량부, 칡꽃 10~30 중량부, 녹용 4~8 중량부, 귤껍질 3~18 중량부, 강황 10~20 중량부, 엉겅퀴 5~20 중량부, 구기자 5~20 중량부, 복령 3~18 중량부, 산사나무 열매 3~18 중량부, 오가피나무 껍질 5~10 중량부, 축사인 5~10 중량부, 홍국 5~10 중량부, 맥아 4~8 중량부, 삽주뿌리 3~8 중량부, 백편두 3~8 중량부, 무씨 3~8 중량부, 창출 3~8 중량, 곽향 3~8 중량부, 및 초콜릿 66~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30051543A 2022-05-09 2023-04-19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2651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98 2022-05-09
KR20220056798 2022-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400A KR20230158400A (ko) 2023-11-20
KR102651713B1 true KR102651713B1 (ko) 2024-04-04

Family

ID=8897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543A KR102651713B1 (ko) 2022-05-09 2023-04-19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108B1 (ko) 2019-06-12 2019-12-16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07A (ko) * 2003-10-06 2005-04-12 이유양 숙취제거용 한방음료
KR100976816B1 (ko) * 2008-05-13 2010-08-20 권기복 숙취해소 및 간장과 신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60005496A (ko) * 2014-07-07 2016-01-15 임현진 녹용농축액이 코팅된 홍삼정과
KR102091130B1 (ko) * 2017-11-30 2020-03-19 김태권 숙취해소용 초콜렛 제조방법
KR20200062856A (ko) * 2018-11-27 2020-06-04 이현웅 지구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초코렛
KR102354047B1 (ko) * 2019-12-09 2022-01-20 조성덕 헛개나무 열매와 칡꽃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108B1 (ko) 2019-06-12 2019-12-16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400A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1383146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93531B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Nirmala et al. Promising underutilized wild plants of cold desert Ladakh, India for nutritional security and health benefits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774769B1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2149254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2651713B1 (ko) 헛개나무 열매 및 녹용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숙취해소용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Nimbhorkar et al. Caffeine alternatives: Seraching a herbal solution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225213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70014329A (ko) 당나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JP6063499B2 (ja) 生地黄、枸杞子、沈香、茯苓、高麗人蔘と蜂蜜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男性不妊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KR102478971B1 (ko) 호박, 엉겅퀴, 단호박, 양파, 토마토, 돼지감자,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355106B1 (ko) 도라지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