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655A - 문틈막이 - Google Patents

문틈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655A
KR20160070655A KR1020140183661A KR20140183661A KR20160070655A KR 20160070655 A KR20160070655 A KR 20160070655A KR 1020140183661 A KR1020140183661 A KR 1020140183661A KR 20140183661 A KR20140183661 A KR 20140183661A KR 20160070655 A KR20160070655 A KR 20160070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door gasket
rigid substrate
film
sof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301B1 (ko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용 filed Critical 이지용
Publication of KR2016007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70Weather strip and sash fastener combined

Abstract

문틈막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연질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문틈막이{Blocking Member For Door}
본 발명은 문틈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외풍 차단력을 극대화하는 문틈막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범지구적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자원을 절약하고자 하는 범지구적 실천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물의 일부를 이루는 창문에 있어서, 창문 틈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의하여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의 경우, 실내를 냉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외의 더운 공기가 창문 틈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실내의 냉방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겨울철의 경우, 실내를 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창문 틈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될 때, 실내의 난방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창문을 시공함에 있어서, 창문과 창문틀 사이에는 유격, 즉 틈이 발생하게 된다. 창문과 창문틀 사이의 틈은 창문의 시공 및 창문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필수불가적인 설계 요구 사항이다. 그러나, 유격을 통하여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어 냉난방 효율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만큼 보완적인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 특허 : 등록번호 10-1442040 창호용 풍지부재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구조의 간단화를 통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풍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는 문틈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연질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경질기판의 제2 면에 마련된 제3 연질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연질막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은 상기 제1 연질막보다 유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2 연질막은 상기 제1 연질막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 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2 연질막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에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은 각각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들의 절취부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의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은 상기 제2 면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질막의 일단은 상기 제2 연질막 방향으로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연질막의 절곡부는 시공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제2 연질막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하단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 상기 제2 면에 마련된 제2 연질막 및 상기 제2 면의 일 단에 마련된 제3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질막의 일단은 상기 제3 연질막 방향으로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2 연질막의 절곡부는 시공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제3 연질막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면의 상단은 상기 제1 면의 하단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면의 외면이 경사지고,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의 내면이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하단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제2 면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하여 문(door)과 문 사이의 틈을 막는 제2 연질막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연질막의 길이는 상기 제2 연질막들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상기 제1 면의 상단은 상기 제1 면의 하단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면의 외면이 경사지고,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의 내면이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양 측에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연질기판; 및 상기 연질기판의 상단에 마련되어, 시공 시 문턱 위치 양측으로 경질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문틈막이의 시공 위치에 따라 절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모헤어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공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구조의 수명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문틈을 막기 위한 연질막의 연성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외풍 차단 및 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문틈을 막기 위한 연질막들의 절취부를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외풍 차단 및 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문틈을 막기 위한 연질막의 끝단이 다른 연질막을 밀어줄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외풍 차단 및 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문틈을 막기 위한 연질막을 양측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외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시공 위치에 따른 절취선을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설치의 효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창문 및 창문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제2 연질막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100)는, 경질기판(110), 제1 연질막(120), 제2 연질막 (130) 및 제3 연질막(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기판(110)은 문틈막이(100)의 지지 뼈대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1 면(112) 및 제2 면(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은, 상기 문틈막이(100)가 창문에 부착되는 면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은 부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16)는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부착부(116)가 양면 테이프인 것은 일 예일 뿐이며, 상기 부착부(116)는 상기 경질기판(100)이 창문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은 상기 제1 면(112)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에 수직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질기판(110)은 제1 면(112) 및 제2 면(114)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한 번에 사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 및 제2 면(114)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되어 서로 부착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질막(120, 130, 140)은 창문과 창문틀의 이격 공간 사이에 마련되어 외풍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 및 제2 면(114)이 만나는 지점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질막(13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질막(13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 및 제2 면(114)이 만나는 지점에서 연장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2 연질막(13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에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질막(14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1 면(112)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연질막(140)은 상기 경질기판(110)의 제2 면(114)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연질막(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연질막(120) 및 상기 제3 연질막(1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연질막(120, 130, 140)은 상기 경질기판(110)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1 내지 제3 연질막(120, 130, 140)은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경질기판(110)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연질막(120, 130, 140)은 상기 경질기판(110) 보다 유연한 물질 및/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외기 차단에 보다 유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은 외기 차단과 동시에 문의 개폐에 보다 유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 중 적어도 하나보다 유연도가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 연질막(1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 중 적어도 하나보다 유연성이 낮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 보다 유연성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질막(120)의 두께(w1)는 상기 제2 연질막(130)의 두께(w2) 및 상기 제3 연질막(140)의 두께(w3)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외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은 외풍을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개폐에 보다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120)은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 보다 연성이 낮음으로써, 연질막 중에서 강한 외풍에도 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질막(130)의 길이(L2)는 상기 제1 및 제3 연질막(120, 140)의 길이(L1, L3) 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질막(130)은 창문틀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질막(130)은 창문 하면과 창문틀의 상면 사이의 이격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외풍을 차단할 수 있고, 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120)은 평면 형상을 가지는 반면,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 중 적어도 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130, 140)은 창문틀 상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외풍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100)의 적용례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창문 및 창문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창문(10, 12)은 창문틀(20)의 창문턱(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실외로부터 외기는 창문(10, 12)과 창문틀(2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창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100)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틈막이(100)의 부착부(116)를 창문의 하단에 접착시킴으로써, 간이하게 상기 문틈막이(100)를 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연질막(130)의 상기 창문틀(2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풍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질막(140)은 상기 창문턱(22)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2 연질막(130)과 보완적으로 외풍을 차단함과 동시에 문의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문틈막이(1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2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제2 연질막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200)는 경질기판(210), 제1 연질막(220), 복수의 제2 연질막(232), 제3 연질막(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기판(210)이 부착부(216), 제1 면(212), 제2 면(214), 제1 및 제3 연질막(220, 24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100)에 대하여 설명한 바에 상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200)는 경질기판(210)의 제1 면(212)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 연질막(232, 23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232, 234)은 각각 절취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절취부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232, 234)이 절취부를 포함함으로써, 문(door)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232, 234)의 절취부가 엇갈리게 위치함으로써, 외풍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문틈막이(1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는 경질기판(310), 제1 연질막(320), 제2 연질막(330), 제3 연질막(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기판(310)이 부착부(316), 제1 면(312), 제2 면(314), 제2 및 제3 연질막(330, 34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100)에 대하여 설명한 바에 상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의 제1 연질막(320)은 상기 제1 연질막(320)의 일단에 절곡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322)는 상기 제1 연질막(3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질막(330)을 밀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질막(330)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1 연질막(320)의 끝단이 시공 높이에 의하여 눌려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질막(320)은 도 8(a)의 a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계속하여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질막(320)의 끝단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1 연질막(320)의 절곡부(322)가 상기 제2 연질막(330)의 측면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질막(330)은 도 8(b)의 P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질막(320) 및 제2 연질막(330)은 창문틀과 밀폐적으로 접할 수 있으므로 외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400)는 경질기판(410), 제1 연질막(420), 제2 연질막(430), 제3 연질막(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400)의 제2 연질막(430)은 상기 제2 연질막(430)의 일단에 절곡부(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432)는 상기 제2 연질막(43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질막(440)을 밀 수 있도록 상기 제3 연질막(440)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432)가 상기 제3 연질막(440)을 미는 원리는 앞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의 절곡부(322)가 상기 제2 연질막(330)를 미는 원리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경질기판(410)의 제1 면(412)의 상단은 상기 제1 면412)의 하단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면412)의 외면이 경사지고, 상기 제1 연질막(420)은 상기 제1 면(412)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420)의 내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면(412)의 상단 부분에서 상기 제1 면(412)의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문틈막이(400)의 시공 시 문(door)과 상기 제1 면(412) 끝 단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문(door)과 상기 제1 면(412) 끝단의 단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물고임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420)이 상기 제1 면(412)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420)의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창문의 슬라이당은 용이하게 하면서 외풍에 대한 차단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5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500)는 제1 면(512) 및 상기 제1 면에 하단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 제2 면(514)을 포함하는 경질기판(510) 상기 경질기판(510)의 상기 제1 면(512)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520) 및 상기 제2 면(514)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하여 창문(door)과 창문 사이의 틈을 막는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520)은 상기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 중 적어도 하나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은 상기 제2 면(514)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은 창문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500)는 특히, 창문과 창문 사이의 외풍을 차단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1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창문의 평면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11은 창문(10)과 창문(12)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문틈막이(500) 적용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은 창문(10)과 창문(12) 틈 사이의 외풍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은 창문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창문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질막(520)이 상기 제2 연질막들(531 내지 536) 보다 길게함으로써, 외풍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6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의 적용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600)는 창문의 상단과 창문의 하단에서 특히 외풍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600)는 양 측에 제1 절취선(612) 및 제2 절취선(614)을 포함하는 연질기판(610); 및 상기 연질기판(610)의 상단에 마련되어, 시공 시 문턱 위치 양측으로 위치하는 경질기판(6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절취선(612) 및 상기 제2 절취선(614)은 상기 문틈막이의 시공 위치에 따라 절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질기판(610) 및 상기 경질기판(620)은 별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체로 한번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질기판(610)은 양측으로 제1 및 제2 절취선(612, 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취선(612, 614)은 문틈막이의 시공 위치에 따라 절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 시공자는 상기 제1 절취선(612)을 절취하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틈막이(600)를 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 시공자는 상기 제2 절취선(614)을 절취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틈막이(600)를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틈막이는 창문 상단용 문틈막이와 창문 하단용 문틈막이가 별개로 제작되어 시공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600)는 창문 하단용 및 상단용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취선을 구비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기판(610)은 문턱에 대하여 문틈막이(60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제3 절취선(6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자는 상기 제3 절취선(616)을 절취하고 상기 문틈막이(600)를 시공함으로써, 상기 문틈막이(600)와 문턱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절취선(616)은 도 12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질기판(610)의 후면은 양면 테이프가 마련되어, 문틈막이(600)를 창문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질기판(620)은 상기 연질기판(610)에 대하여 뼈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질기판(620)은 시공 시 문턱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질기판(610)의 모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기판(620)은 상하가 반전된 U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경질기판(620)의 형상은 일 예일 뿐이며 이와 다른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경질기판(620)은 고정부(622, 6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622, 624)는 상기 문틈막이(600)를 창문에 나사결합 시킬 수 있는 천공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 시공자는 상기 제1 절취선(612)을 절취하고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 시공자는 상기 제2 절취선(614)을 절취수 있다고 하였으나, 문틈의 이격 공간에 따라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취선(614)를 절취하고, 상기 문틈막이(600)가 창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절취선(612)을 절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모헤어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헤어에 의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질막의 형상 및/또는 구조를 통하여 외풍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모헤어의 마모에 의한 문틈막이의 외풍 차단력 감소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창문 하단과 창문틀 사이의 외기 유입 차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창문의 상단과 창문틀 사이의 외기 유입 및 창문과 창문 사이의 외기 유입 차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도 창문의 상단과 창문틀 사이, 창문의 하단과 창문틀 사이 및 창문과 창문 사이의 외기 유입 차단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창문과 창문 사이의 외기 유입 차단에 유용하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는 창문의 상단 및 하단의 외기 유입 차단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에에 따른 문틈막이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창문과 창문틀 사이의 외기 유입 차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창문이 아니라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다른 틈 예를 들어, 문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내지 3 연질막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 보다 많은 수의 연질막 또는 적은 수의 연질막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경질기판이 제1 면 및 제2 면이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면이라함은 판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틈막이를 설명함에 언급한 제1 면과 제1 연질막의 두께에 대한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문틈막이 110, 210, 310, 410, 510: 경질기판
120, 220, 320, 420, 520: 제1 연질막 130, 230, 330, 430, 530: 제2 연질막
140, 240, 340, 440, 540: 제3 연질막

Claims (18)

  1.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연질막;을 포함하는
    문틈막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경질기판의 제2 면에 마련된 제3 연질막을 더 포함하는
    문틈막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질막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은 곡선 형상을 가지는
    문틈막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은 상기 제1 연질막 보다 유연한
    문틈막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질막은 상기 제1 연질막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의 연질막 보다 길이가 긴
    문틈막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2 연질막 및 상기 제3 연질막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두꺼운
    문틈막이.
  7.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에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은 각각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들의 절취부는 서로 교차하는
    문틈막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연질막은 상기 제2 면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문틈막이.
  9.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질막의 일단은 상기 제2 연질막 방향으로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문틈막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질막의 절곡부는 시공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제2 연질막을 밀 수 있는
    문틈막이.
  1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하단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상기 경질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 상기 제2 면에 마련된 제2 연질막; 및
    상기 제2 면의 일 단에 마련된 제3 연질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질막의 일단은 상기 제3 연질막 방향으로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문틈막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질막의 절곡부는 시공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제3 연질막을 밀 수 있는
    문틈막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상단은 상기 제1 면의 하단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면의 외면이 경사지고,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의 내면이 경사지는
    문틈막이.
  14.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하단에 상기 제1 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경질기판;
    상기 경질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1 연질막; 및
    상기 제2 면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하여 문(door)과 문 사이의 틈을 막는 제2 연질막들;을 포함하는
    문틈막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질막의 길이는 상기 제2 연질막들보다 긴
    문틈막이.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상단은 상기 제1 면의 하단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면의 외면이 경사지고, 상기 제1 연질막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제1 연질막의 내면이 경사지는
    문틈막이.
  17. 양 측에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연질기판; 및
    상기 연질기판의 상단에 마련되어, 시공 시 문턱 위치 양측에 위치하는 경질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문틈막이의 시공 위치에 따라 절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문틈막이.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헤어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공되는
    문틈막이.
KR1020140183661A 2014-12-10 2014-12-19 문틈막이 KR101722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434 2014-12-10
KR1020140177434 201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55A true KR20160070655A (ko) 2016-06-20
KR101722301B1 KR101722301B1 (ko) 2017-04-03

Family

ID=5635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661A KR101722301B1 (ko) 2014-12-10 2014-12-19 문틈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947B1 (ko) 2019-07-09 2019-10-18 강유정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441U (ko) * 1975-10-23 1977-04-26
KR20140003947U (ko) * 2012-12-18 2014-06-26 진점심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442040B1 (ko) 2013-04-02 2014-09-18 장만동 창호용 풍지부재
KR101463539B1 (ko) * 2013-08-28 2014-12-04 김순미 문풍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441U (ko) * 1975-10-23 1977-04-26
KR20140003947U (ko) * 2012-12-18 2014-06-26 진점심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442040B1 (ko) 2013-04-02 2014-09-18 장만동 창호용 풍지부재
KR101463539B1 (ko) * 2013-08-28 2014-12-04 김순미 문풍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301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295B2 (ja) 開口部装置
CA2928129C (en) Corner pad and entryway having the same
JP5863228B2 (ja) 開口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I121729B (fi) Postiluukku
KR101722301B1 (ko) 문틈막이
JP5231596B2 (ja) 住宅用防雨パネル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1731873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KR101592476B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101902892B1 (ko) 방풍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541238B1 (ko)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KR200479530Y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20060129651A (ko) 문풍지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JP6140454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JP4581710B2 (ja) 免震住宅の外壁部における縁切構造
US20200102735A1 (en) Drainage Tape
JP6319639B2 (ja) サッシ廻りの気密構造
JP2002242545A (ja) パネル体の取付構造
KR20130092021A (ko) 창 틈새 기밀 장치
FI126713B (en) Ventilation element for window and window
US20160348417A1 (en) Covering assembly for building opening
JP201921872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JP2012233340A (ja) 外壁構造
JP6496207B2 (ja) 止水部材、見切りカバーおよび横目地止水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