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947B1 -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947B1
KR102033947B1 KR1020190082399A KR20190082399A KR102033947B1 KR 102033947 B1 KR102033947 B1 KR 102033947B1 KR 1020190082399 A KR1020190082399 A KR 1020190082399A KR 20190082399 A KR20190082399 A KR 20190082399A KR 102033947 B1 KR102033947 B1 KR 10203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sket
pair
rai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정
황윤용
Original Assignee
강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유정 filed Critical 강유정
Priority to KR102019008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상기 레일(11)을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틈막이부재(100); 회전축으로서, 상기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및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승강로드(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A device for closing the gap in the sliding door by moving up and down}
본 발명은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서기문에서 문틀의 레일과, 문짝의 레일홈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서기문은 문틀에 형성된 다중레일 위에 복수의 미서기 문짝을 끼워 상호 슬라이딩시키면서 개폐하는 문을 말한다. 미서기문은 미닫이문, 미세기문이라고도 불린다.
도 9은 종래의 미서기문에 장착된 틈막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서기문은 문틀의 레일 위에 미서기 문짝이 얹혀져 슬라이딩되므로 미서기 문짝과 문틀 사이에는 틈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 이 틈을 통해 외풍이 유입되어 건물의 단열 성능 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17223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로 문짝의 일면 상하단에 바람 유입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문틈막이(3)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문틈막이(3)는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 시에, 인접한 문짝과 마찰되면서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는 요소(4)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틈막이(3)는 문짝에 한번 접착되면,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시공 후에 발생되는 문틈막이(3)와 문틀 사이의 틈에 대한 대처는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문틈막이(3)는 문짝의 전후 방면에서 시야에 노출됨으로 인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2301호(공고일자 2017년04월03일, 발명의 명칭 : 문틈막이)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에 방해되지 않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시공 후에도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는,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상기 레일(11)을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틈막이부재(100); 회전축으로서, 상기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및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승강로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300)는,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으로 힌지결합되고, 일측에는 랙기어(31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재(200)는, 상기 랙기어(310)와 기어물림되는 평기어(210)와, 상기 평기어(210)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문짝(20)의 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중앙에 십자 형태로 공구체결홈(221)이 형성되는 나사구(22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드(300)가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410)과, 상기 가이드홈(410)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원통홈(420)을 구비하고,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벽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또 다른 일례는,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상기 레일(11)을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틈막이부재(100); 회전축으로서, 상기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및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승강로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로드(500); 상기 문짝(20)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체(400'); 및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양단부 중, 상기 문짝(20)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에는 일자 형태로 키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문짝(20)의 내부로 연장된 타단부에는 크랭크축(260)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30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로드(5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크랭크축(260)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300)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 운동을 하면서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400')의 내주면에는, 환형으로 확장되게 절삭된 절삭면을 따라 톱니기어(45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내부에는, 상기 키홈(25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한쪽이 상기 톱니기어(450) 측으로 개방된 크로스홈(270)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홈(2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톱니기어(45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키홈(250)과 일치되도록 중간 지점에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잠금로드(600); 및 상기 잠금로드(600)가 상기 톱니기어(450)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로드(6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따르면, 상대 문짝이 닿지 않는 문짝의 레일홈 내에 틈막이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미서기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4개의 구성 중, 회전구동부재만 문짝의 일측에 약간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문짝 프레임 내부에 은폐된 형태로 결합되어 시야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문짝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밀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 시공 후 사용과정에서 틈이 발생되더라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문의 기밀을 지속적이고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을 문틀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틈막이부재를 문짝에서 뗄 필요없이, 문틀에 밀착된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문짝으로 밀착시키면, 문짝을 문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부재가 항상 문틀에 밀착되어 레일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문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부재의 양쪽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더라도, 틈막이부재가 승강로드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꺾어지면서, 틈막이부재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구동부재의 어느 한 쪽을 돌리면, 한 쌍의 승강로드가 동시에 승강되면서 틈막이부재의 양쪽 높이가 동시에 조절됨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 조절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구동부재에 키를 꽂고 돌려 원하는 만큼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한 후, 키를 빼면, 회전구동부재의 회전이 잠김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가 자중 또는 충격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미서기문에 장착된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전후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면서 틈막이부재에 경사가 발생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상부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에 장착된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은 종래의 미서기문에 장착된 틈막이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서기문에 장착된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전후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는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틈막이부재(100),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한 쌍의 승강로드(300)와 한 쌍의 지지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틈막이부재(1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레일홈(21)의 길이와 대등하게 좌우로 연장되어 레일(11)을 감싸는 형태로,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이다.
틈막이부재(100)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레일(11)과 맞닿는 틈막이부재(100)의 내측면에는 테프론과 같이 금속과의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재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홈(21)의 단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태이고, 틈막이부재(100)의 단면도 이와 동일하므로, 틈막이부재(100)는 레일홈(21) 내에 구속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는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구동부재(200)는 후술되는 랙기어(310)와 기어물림되는 평기어(210)와, 평기어(210)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문짝(20)의 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중앙에 십자 형태로 공구체결홈(221)이 형성되는 나사구(2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승강로드(300)는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로드(300)는 상단부가 틈막이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랙기어(310)가 형성된다. 랙기어(310)는 회전구동부재(200)의 평기어(210)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회전구동부재(200)의 제자리 회전운동이 승강로드(3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한 쌍의 지지체(400)는 승강로드(300)가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410)과, 가이드홈(410)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구동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원통홈(420)을 구비하는 하우징으로서, 문짝(20)의 양측 내벽면에 직결피스(401)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서, 틈막이부재(100)의 높이 조절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내장된 문짝(20)을 문틀(10)에 끼운다. 이 과정에서, 문짝(20)의 레일홈(21)과 문틀(10)의 레일(11)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틈(g)이 생기게 된다.
문짝(20)의 상단에 존재하는 틈(g1)은, 문짝(20) 하부에 결합된 호차롤러(미도시)가 문틀(10)의 레일(11)에 닿을 때까지 문짝(20)을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문짝(20)의 하단에 존재하는 틈(g2)은, 문짝(20)이 상기 호차롤러에 의해 레일(11)에서 뜨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드라이버(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구동부재(200)를 제자리에서 정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와 랙-피니언 형태로 결합된 승강로드(300)가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로드(300)에 결합된 틈막이부재(100)가 각각 상승 / 하강되면서 문틀(10)에 밀착된다.
종래의 문틈막이(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 시에, 인접한 문짝과 중첩·마찰되면서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는 요소(4)로 작용하였고, 문짝에 한번 접착되면, 높이 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시공 후에 발생되는 문틈막이(3)와 문틀 사이의 틈에 대한 대처는 어려웠으며, 문짝의 전후 방면에서 시야에 노출됨으로 인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는 상대 문짝이 닿지 않는 문짝의 레일홈 내에 틈막이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미서기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체 4개의 구성 중, 회전구동부재만 문짝의 일측에 약간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문짝 프레임 내부에 은폐된 형태로 결합되어 시야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문짝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밀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문 시공 후 사용과정에서 틈이 발생되더라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문의 기밀을 지속적이고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문짝을 문틀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틈막이부재를 문짝에서 뗄 필요없이, 문틀에 밀착된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문짝으로 밀착시키면, 문짝을 문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틈막이부재가 항상 문틀에 밀착되어 레일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문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면서 틈막이부재에 경사가 발생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면, 틈막이부재(100)의 한쪽이 먼저 상승되면서 승강로드(300)와 틈막이부재(100) 간에 경사(θ)가 발생된다.
이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승강로드(300)의 상단부가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X)으로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틈막이부재(100)의 양쪽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더라도, 틈막이부재(100)가 승강로드(300)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꺾어지면서, 틈막이부재(100)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에서의 제2 실시예와 같이 틈막이부재(100)의 양쪽 높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가 서로 연동되면서 틈막이부재(100)의 양쪽 높이가 동시에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로 구성된 회전구동부재(200)의 양단부가 틈막이부재(100)와 나란하게 좌우로 연장되어 한 쌍의 승강로드(300)에 각각 결합된다.
회전구동부재(200)의 어느 한 쪽을 돌리면, 한 쌍의 승강로드(300)가 동시에 승강되면서 틈막이부재(100)의 양쪽 높이가 동시에 조절됨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 조절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의 상부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가 장착된 미서기문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앞 실시예와 같이 랙-피니언 기구 구조를 이용하여 틈막이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크랭크 기구 구조를 이용하여 틈막이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연결로드(500)와 한 쌍의 지지체(400')가 더 포함된다.
연결로드(500)는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X)으로 힌지결합되는 구성이다.
한 쌍의 지지체(400')는 문짝(20)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회전구동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회전구동부재(200)의 양단부 중, 문짝(20)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에는 일자 형태로 키홈(250)이 형성되고, 문짝(20)의 내부로 연장된 타단부에는 크랭크축(260)이 회전구동부재(200)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승강로드(300)는 일단부가 연결로드(5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크랭크축(260)의 단부에 힌지결합됨으로써,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 운동을 하면서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회전구동부재(200)의 타단부를 연장하여 서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재(200)의 어느 한 쪽에 키(70)를 꽂고 돌리면, 한 쌍의 승강로드(300)가 동시에 승강되면서 틈막이부재(100)의 양쪽 높이가 동시에 조절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문에 장착된 승강식 틈막이 장치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입 배경부터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틈막이부재(100)의 높이조절이 끝나면, 회전구동부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잠글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문짝의 상하측에 각각 구성된 2개의 틈막이부재(100) 중, 상측의 틈막이부재(100-1)가 자중 또는 문틀의 레일과의 부딪힘에 의해 다시 하강될 수 있기 때문이다.(하측의 틈막이부재(100-2)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항상 문틀의 레일에 밀착되므로, 이 부분은 반드시 잠글 필요는 없다.)
이를 감안하여, 문짝의 상측에 구성된 승강식 틈막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잠금구조로 변형 적용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지지체(400')의 내주면에는 환형으로 확장되게 절삭된 절삭면을 따라 톱니기어(450)가 구비되고, 회전구동부재(200)의 내부에는 키홈(25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한쪽이 톱니기어(450) 측으로 개방된 크로스홈(270)이 형성되고, 잠금로드(600)와 탄성부재(700)가 더 포함된다.
잠금로드(600)는 크로스홈(2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톱니기어(45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키홈(250)과 일치되도록 중간지점에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탄성부재(700)는 잠금로드(600)가 톱니기어(450)에 밀착되도록, 잠금로드(6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이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로드(600)에 형성된 관통홀(610)의 양 방면 중, 탄성부재(700)와 인접한 방면이 키(70)에 눌리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70)가 키홈(250)에 삽입되지 않으면, 잠금로드(600)가 탄성부재(7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톱니기어(450) 측으로 이동되고, 잠금로드(600)가 톱니기어(450)에 맞물리면서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이 불가능한 잠김 상태가 된다. 이때, 관통홀(610)과 키홈(250)은 상호 불일치된 상태이다.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70)가 키홈(250)에 삽입되면, 키(70)가 잠금로드(600)의 관통홀(610)을 통과함과 동시에 잠금로드(600)를 누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잠금로드(600)가 탄성부재(700)를 압축하면서 톱니기어(450)에서 멀어지게 이동된다. 그러면, 잠금로드(600)와 톱니기어(45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이 가능한 잠김해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회전구동부재(200)에 키(70)를 꽂고 원하는 만큼 돌려 틈막이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한 후, 키(70)를 빼면, 회전구동부재(200)가 잠김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가 자중 또는 충격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는, 상대 문짝이 닿지 않는 문짝의 레일홈 내에 틈막이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문짝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미서기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4개의 구성 중, 회전구동부재만 문짝의 일측에 약간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문짝 프레임 내부에 은폐된 형태로 결합되어 시야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문짝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밀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 시공 후 사용과정에서 틈이 발생되더라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문의 기밀을 지속적이고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을 문틀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틈막이부재를 문짝에서 뗄 필요없이, 문틀에 밀착된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문짝으로 밀착시키면, 문짝을 문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부재가 항상 문틀에 밀착되어 레일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문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부재의 양쪽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더라도, 틈막이부재가 승강로드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꺾어지면서, 틈막이부재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구동부재의 어느 한 쪽을 돌리면, 한 쌍의 승강로드가 동시에 승강되면서 틈막이부재의 양쪽 높이가 동시에 조절됨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 조절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구동부재에 키를 꽂고 돌려 원하는 만큼 틈막이부재의 높이를 조절한 후, 키를 빼면, 회전구동부재의 회전이 잠김으로써, 틈막이부재의 높이가 자중 또는 충격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틈막이부재
200 :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
300 : 한 쌍의 승강로드
400 : 한 쌍의 지지체

Claims (4)

  1. 삭제
  2.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상기 레일(11)을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틈막이부재(100);
    회전축으로서, 상기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및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승강로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300)는,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으로 힌지결합되고, 일측에는 랙기어(31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재(200)는, 상기 랙기어(310)와 기어물림되는 평기어(210)와, 상기 평기어(210)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문짝(20)의 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중앙에 십자 형태로 공구체결홈(221)이 형성되는 나사구(22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드(300)가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410)과, 상기 가이드홈(410)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원통홈(420)을 구비하고,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벽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3. 미서기문에서 문틀(10)의 레일(11)과, 문짝(20)의 레일홈(21)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한 틈막이로서,
    상기 레일(11)을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틈막이부재(100);
    회전축으로서, 상기 문짝(2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구동부재(200); 및
    상기 문짝(20)의 양측 내부에서, 일단부가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과 연동되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승강로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틈막이부재(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일(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앵커리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앵커리지(110) 사이에 x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로드(500);
    상기 문짝(20)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체(400'); 및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양단부 중, 상기 문짝(20)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에는 일자 형태로 키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문짝(20)의 내부로 연장된 타단부에는 크랭크축(260)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30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로드(5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크랭크축(260)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300)는,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 운동을 하면서 상기 틈막이부재(100)를 상하로 밀고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400')의 내주면에는, 환형으로 확장되게 절삭된 절삭면을 따라 톱니기어(45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200)의 내부에는, 상기 키홈(25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한쪽이 상기 톱니기어(450) 측으로 개방된 크로스홈(270)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홈(2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톱니기어(45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키홈(250)과 일치되도록 중간 지점에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잠금로드(600); 및
    상기 잠금로드(600)가 상기 톱니기어(450)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로드(6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KR1020190082399A 2019-07-09 2019-07-09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KR10203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9A KR102033947B1 (ko) 2019-07-09 2019-07-09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9A KR102033947B1 (ko) 2019-07-09 2019-07-09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947B1 true KR102033947B1 (ko) 2019-10-18

Family

ID=6846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99A KR102033947B1 (ko) 2019-07-09 2019-07-09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807A (zh) * 2020-12-15 2021-04-13 芜湖科捷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推拉窗铝型材结构
WO2021112415A1 (ko) *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KR102351444B1 (ko) * 2021-03-05 2022-01-17 김현숙 도어의 기울기와 힌지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39B1 (ko) * 2015-04-14 2015-05-29 조석민 승강 가능한 모헤어가 구비된 창문 프레임
KR101621462B1 (ko) *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722301B1 (ko) 2014-12-10 2017-04-03 이지용 문틈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01B1 (ko) 2014-12-10 2017-04-03 이지용 문틈막이
KR101523639B1 (ko) * 2015-04-14 2015-05-29 조석민 승강 가능한 모헤어가 구비된 창문 프레임
KR101621462B1 (ko) *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415A1 (ko) *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CN112647807A (zh) * 2020-12-15 2021-04-13 芜湖科捷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推拉窗铝型材结构
KR102351444B1 (ko) * 2021-03-05 2022-01-17 김현숙 도어의 기울기와 힌지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947B1 (ko) 미서기문의 승강식 틈막이 장치
US6546671B2 (en) Tilt window latch assembly
US10221595B2 (en) Locking device
JP6788287B2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のための固定機構
JP7278424B2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KR101417297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CN209653812U (zh) 一种带有卡锁结构的平开窗
TWI617729B (zh) 門窗
KR20170031368A (ko) 접이문
JP3671036B2 (ja) 引戸構造
EP3327234B1 (en) Sliding door or window assembly with a displaceable mullion bar
KR101661459B1 (ko) 미서기창
JP2971365B2 (ja) 中折りドア類の施解錠装置
JPS6119790B2 (ko)
KR20100072153A (ko) 도어 개폐 작동 장치 및 도어 개폐 장치
KR102476096B1 (ko)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44162B1 (ko) 여닫이 창호 및 미닫이 창호가 결합된 복합 창호 시스템
DE102016123800A1 (de) Schiebe-Element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101948881B1 (ko)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CN113202383A (zh) 能在任意开启角度锁定的平开窗
KR20100036899A (ko) 자동 장금 장치 및 열림 장치
JPS5941581A (ja) 引き障子の取付け構造
ITMI20081325A1 (it) Dispositivo di blocco dell'anta di un infisso
JPH02259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