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20B1 - 문풍지 - Google Patents

문풍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20B1
KR100690320B1 KR1020050050246A KR20050050246A KR100690320B1 KR 100690320 B1 KR100690320 B1 KR 100690320B1 KR 1020050050246 A KR1020050050246 A KR 1020050050246A KR 20050050246 A KR20050050246 A KR 20050050246A KR 100690320 B1 KR100690320 B1 KR 10069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columns
wi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651A (ko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이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철 filed Critical 이학철
Priority to KR102005005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0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unted on si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방풍이나 실내의 냉난방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문풍지는 도어 모서리에 면접촉하도록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하거나, 또는 도어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하는 제1문풍지와, 도어 모서리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제2문풍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풍지{A weatherstr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의 동작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풍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4..보호지
20,30..컬럼
본 고안은 문풍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의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문풍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입구에 회전 개폐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틈새가 항상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가 유통되면 실내의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문풍지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던 문풍지는 크게 재질에 따라 스펀지 타입과 합성수지 타입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스펀지 재질의 문풍지는 장방형의 롤타입 스펀지 일측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을 도어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부착함으로써, 도어의 밀폐시 스펀지의 쿠션으로 틈새를 메우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펀지 타입의 문풍지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지속적인 마찰로 인하여 스펀지 입자들이 떨어지거나, 또는 반복되는 힘에 의해 눌려지면서 스펀지가 본래의 쿠션력을 잃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문풍지는 얇은 합성수지를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 상단에 접착층을 구비하여 도어의 앞면 또는 뒷면의 테두리에 부착함으로써, 도어 밀폐시 연질의 하부 자유단이 휘어지면서 틈새를 커버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수지 타입의 문풍지는 얇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단열효과 즉 실내의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나아가 도어의 개폐에 따라 문풍지가 도어프레임과 지속적으로 마찰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접착 부분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방풍이나 실내의 냉난방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문풍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풍지는 도어 모서리에 면접촉하 도록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컬럼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접촉하며,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어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하는 제1문풍지와, 도어 모서리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제2문풍지로 이루어지는 문풍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문풍지와 제2문풍지는 각 컬럼들이 교호로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풍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의 동작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문풍지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돌출 마련되는 컬럼(20)을 구비한다. 베이스(10)와 컬럼(20)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는 도어(1)의 모서리에 견고히 부착 되도록 면접촉되며, 이를 위해 배면에는 시트지(14)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접착층(12)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1)는 도어프레임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도어프레임은 도어(1)를 상하좌우로 둘러싸는 실제의 도어프레임 외에 도어에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천정이나 바닥도 포함한다.
컬럼(20)은 베이스(10)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것으로서, 문틈의 틈새를 실질적으로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컬럼(2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의 특성상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보다는 베이스(10)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럼(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베이스(10)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일례로 컬럼(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외곽의 두 개 컬럼(21, 22)은 내곽의 두 개 컬럼(23, 24)보다 짧게 형성되며, 두 내곽 컬럼(23, 24)은 도어(1)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외곽 컬럼(21, 22)을 내곽 컬럼(23, 24)보다 짧게 하는 것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컬럼이 도어의 개폐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내곽의 컬럼(23, 24)이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이나 천정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것은 실내외의 공기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이러한 컬럼의 길이차에 의해 마찰 소음 또한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컬럼의 길이가 내곽 컬럼의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내곽 컬럼이 외곽 컬럼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도어의 개폐가능 방향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만 상향 또는 하향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컬럼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동 일하더라도 간격을 차등지게 하거나 두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문풍지가 도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 모서리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이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풍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풍지(A, B)가 도어의 모서리(1)와, 이 도어모서리(1)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2)에 각각 설치된다. 각 문풍지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와 도어 프레임(2)에 상호 대향하게 설치된 문풍지(A, B)는 돌출된 컬럼(20, 30)들이 서로 교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즉, 문풍지(A)의 컬럼(21, 23) 사이에 문풍지(B)의 컬럼(31, 33)가, 컬럼(23, 24) 사이에 컬럼(33, 34)가, 컬럼(24, 22) 사이에 컬럼(34, 32)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실내외의 공기 흐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냉난방 및 방풍성이 향상된다. 특히, 이러한 교호 배치에 의해 복수겹의 에어갭이 실내외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단열 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는 복수의 컬럼이 문풍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방풍이나 실내의 냉난방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Claims (5)

  1. 도어 모서리에 면접촉하며,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길이가 서로 다르게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하되,
    상기 컬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2. 삭제
  3. 삭제
  4. 도어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수직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길이가 서로 다르게 돌출 마련된 복수개의 컬럼을 구비하는 제1문풍지와, 도어 모서리에 대향하는 도어프레임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제2문풍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문풍지와 제2문풍지는 컬럼들이 교호로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문풍지.
KR1020050050246A 2005-06-13 2005-06-13 문풍지 KR10069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46A KR100690320B1 (ko) 2005-06-13 2005-06-13 문풍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46A KR100690320B1 (ko) 2005-06-13 2005-06-13 문풍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51A KR20060129651A (ko) 2006-12-18
KR100690320B1 true KR100690320B1 (ko) 2007-03-09

Family

ID=3781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246A KR100690320B1 (ko) 2005-06-13 2005-06-13 문풍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021B1 (ko) * 2007-01-09 2008-06-12 이학철 도어용 문풍지
KR101955076B1 (ko) * 2016-12-23 2019-03-06 전재원 창호용 방풍부재
CN112414498B (zh) * 2019-08-20 2024-03-22 侯耀淞 流量计接管的强化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40A (ko) * 2002-04-09 2003-10-17 휴먼엘텍 주식회사 과부하 검출 회로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40A (ko) * 2002-04-09 2003-10-17 휴먼엘텍 주식회사 과부하 검출 회로 차단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80540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51A (ko) 200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18B1 (ko)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612679B1 (ko) 개량형 창호용 방풍구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0690320B1 (ko) 문풍지
KR10152015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0470050Y1 (ko) 샷시문용 방풍구
KR20130000368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KR10152015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101499460B1 (ko)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1265279B1 (ko) 창호용 틈새 차단구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0838021B1 (ko) 도어용 문풍지
KR101722301B1 (ko) 문틈막이
KR100742559B1 (ko) 창호용 풍지판
KR20140004088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구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JP4292580B2 (ja) ダブルスキンファサード構造
SE1100627A1 (sv) Anordning vid en falslist för montering av en skivenhet
KR102523517B1 (ko) 여닫이창호용 기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6567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JP2007016383A (ja) 断熱スクリーン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