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770A - 절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절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770A
KR20160069770A KR1020140175791A KR20140175791A KR20160069770A KR 20160069770 A KR20160069770 A KR 20160069770A KR 1020140175791 A KR1020140175791 A KR 1020140175791A KR 20140175791 A KR20140175791 A KR 20140175791A KR 20160069770 A KR20160069770 A KR 20160069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wall
container
concave portion
engag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와이
Original Assignee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4017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770A/ko
Publication of KR2016006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절첩 컨테이너는 바닥벽과 한쌍의 제 1 측벽과 한쌍의 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절첩 컨테이너는, 바닥벽 위에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이 겹쳐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상단면 측부에는 각각 걸어 맞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의 모퉁이부의 상면에는 돌출 벽부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 벽부는,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절첩 상태로 있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닥벽의 모퉁이부의 하면에는 내측 오목부와 외측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오목부는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걸어 맞춤 돌출부에 걸어 맞출 수 있다. 외측 오목부는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돌출 벽부에 걸어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 컨테이너{FOLD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게 절첩하여 수납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9-120227호 공보에 개시되는 절첩 컨테이너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을 조합해서 구성되는 것이며, 사각판 형상의 바닥벽과,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되는 대향하는 각 한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측벽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 부위에서 각 측벽을 안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바닥벽 위에 각 측벽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0-118529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최근,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제의 중공판재로 구성된 컨테이너도 이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0-118529호 공보의 컨테이너는, 상기 중공판재로 구성되는 바닥벽 및 각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측벽에 설치된, 열 굽힘이나 컷팅(하프 컷팅)에 의한 박육(薄肉) 힌지부에서 각 측벽을 안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바닥벽 위에 각 측벽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0-118529호 공보의 컨테이너에는, 바닥벽 및 각 측벽의 가장자리부를 보강하기 위해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보강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9-12022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118529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절첩 컨테이너에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복수의 절첩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층했을 때에, 절첩 컨테이너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구성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바닥벽에,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노치해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절첩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해지도록,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각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바닥벽의 측단면(側端面)과,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각 측벽 내면이 당접(當接)하여, 절첩 컨테이너 간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그러나, 상기 규제 구성에서는,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 내에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가 빠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나,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적층 위치가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위치에 대해서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로부터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에 대해서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측벽을 바깥 쪽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개구가 벌어져,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 내에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가 빠진다.
또한, 절첩 컨테이너는, 절첩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했을 때에도,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절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절첩 컨테이너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 위에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이 겹쳐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절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면 측부에는 각각 걸어 맞춤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벽의 모퉁이부의 상면에는 돌출 벽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 벽부는,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절첩 상태로 있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보다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벽의 상기 모퉁이부의 하면에는, 홈 형상의 내측 오목부와, 상기 내측 오목부보다 둘레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외측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오목부는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에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외측 오목부는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상기 돌출 벽부에 걸어 맞출 수 있다.
조립 상태의 절첩 컨테이너를 적층한 경우에는,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돌출부가,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바닥벽에 설치되는 내측 오목부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상하단의 절첩 컨테이너 간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그리고,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각 측벽의 상부에 대해서, 외측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홈 형상의 내측 오목부의 외측의 벽부에 걸어 맞춤 돌출부가 당접함으로써, 개구 부분을 넓히는 방향으로의 측벽의 변형이 규제된다. 그 결과,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 내에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가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각 측벽의 상부에 대해서, 내측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홈 형상의 내측 오목부의 내측의 벽부에 걸어 맞춤 돌출부가 당접함으로써, 개구 부분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측벽의 변형이 규제된다.
또한, 절첩 상태의 절첩 컨테이너를 적층한 경우에는, 하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바닥벽(11)에 설치되는 돌출 벽부가, 상단의 절첩 컨테이너의 바닥벽에 설치되는 외측 오목부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상하단의 절첩 컨테이너 간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상기 절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오목부는, 외측방(外側方) 및 하방(下方)으로 개방된 형상의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외측 오목부를 하방으로 개구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같이, 외측 오목부의 외주측(外周側)에도 벽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절첩 컨테이너의 하부의 외주 형상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절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제 1 걸어 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양측부에 부착됨과 함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어 맞춤 부재와 걸어 맞춰서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을 고정하는 제 2 걸어 맞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는, 상기 제 1 걸어 맞춤 부재 및 상기 제 2 걸어 맞춤 부재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첩 컨테이너를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첩 컨테이너에 의하면, 조립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1은 한쪽의 제 2 측벽(장측벽(長側壁))을 세워 설치시킨 절첩 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2는 절첩 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3은 본체부의 사시도.
도 4a, 도 4b는 제 1 걸어 맞춤 부재(단측(短側) 걸어 맞춤 부재)의 사시도.
도 5a는 제 1 측벽(단측벽)의 컷팅부 주변의 단면도.
도 5b는 제 2 측벽(장측벽)의 컷팅부 주변의 단면도.
도 6a, 도 6b는 제 2 걸어 맞춤 부재(장측 걸어 맞춤 부재)의 사시도.
도 7a는 끼워 맞춤 부재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7b-7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c는 끼워 맞춤 부재의 하면도.
도 8a는 조립 상태의 절첩 컨테이너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b는 절첩 상태의 절첩 컨테이너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a, 도 9b는 변경예의 외측 오목부 및 내측 오목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절첩 컨테이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바닥을 갖는 상자 형상의 절첩 컨테이너(10)(이하, 간단히 컨테이너(10)라 기재함)는,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벽(11)과, 바닥벽(11)의 대향하는 단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된 한쌍의 단측벽(12)(제 1 측벽)과, 바닥벽(11)의 대향하는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된 한쌍의 장측벽(13)(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컨테이너(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단측벽(12)을 바닥벽(11) 위에 겹쳐서 절첩한 후, 한쌍의 장측벽(13)을 단측벽(12) 위에 겹쳐서 절첩함으로써,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는, 중공 구조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중공판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a)는, 바닥벽(11)을 구성하는 바닥벽부(11a)와, 바닥벽부(11a)의 단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되며,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벽부(12a)(제 1 측벽부)와, 바닥벽부(11a)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되며, 장측벽(13)을 구성하는 장측벽부(13a)(제 2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하면, 바닥벽부(11a)가 되는 직사각 부분의 네측 가장자리에 단측벽부(12a)가 되는 부분 및 장측벽부(13a)가 되는 부분을 각각 일체로 한 십자(十字) 형상의 중공판재를, 바닥벽부(11a)가 되는 부분의 네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자 형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바닥벽부(11a), 단측벽부(12a) 및 장측벽부(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판재는, 내부에 중공 구조를 형성하는 코어층(21)과, 코어층(21)의 양면에 접합되는 스킨층(22, 2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a)에 대해서, 사출 성형이나 압출 성형 등에 의해 별개로 해서 성형되는 각종 부재가 부착됨으로써, 컨테이너(10)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a)의 단측벽부(12a)의 상부에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제 1 걸어 맞춤 부재)가 부착되고, 단측벽부(12a)와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에 의해 컨테이너(10)의 단측벽(1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a)의 장측벽부(13a)의 양측부에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제 2 걸어 맞춤 부재)가 부착됨과 함께, 장측벽부(13a)의 상부에 상부 가장자리 프레임(6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장측벽부(13a)와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와 상부 가장자리 프레임(60)에 의해 컨테이너(10)의 장측벽(1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a)의 바닥벽부(11a)의 모퉁이부에 끼워 맞춤 부재(70)가 부착되고, 바닥벽부(11a)와 끼워 맞춤 부재(70)에 의해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측벽(12)에 대해서 기재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벽부(12a)는, 가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상부 양측부에 대해서,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를 부착하기 위한 삽입 돌출부(1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하단면의 양측부에는, 단측벽부(12a)의 삽입 돌출부(12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오목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외면측의 양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걸어 맞춤 오목부(32) 내에는,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3개의 돌출부(33)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외면측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오목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외면측에서, 수용 오목부(34)와 걸어 맞춤 오목부(32)는, 구획벽(35)을 사이에 두고 구획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35)에 있어서의 돌출부(33)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구획벽(35)을 관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수용 오목부(34) 내에는 록 바(lock bar; 36)가 수용되어 있다. 록 바(36)는, 수용 오목부(3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사각판 형상의 부재이다. 록 바(36)의 양측 단면(端面)에는, 구획벽(35)의 삽입 통과 구멍(35a)에 삽입 통과되어 걸어 맞춤 오목부(32)에 돌출되는 걸어 맞춤부(3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 바(36)의 하단면에는, 수용 오목부(34) 내에서, 록 바(36)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판(36b)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중앙부에는, 컨테이너(10)를 파지할 때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파지 구멍(3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상단면 양측부에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는,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상단면에서,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단측벽(12)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며,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내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벽부(12a)의 하부에는, 단측벽부(12a)의 하변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팅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컷팅부(12b)는, 단측벽부(12a)의 외면측에서 형성되며, 단측벽부(12a)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스킨층(23)을 남기면서, 단측벽부(12a)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스킨층(22) 및 코어층(21)을 절단해서 이루어지는 하프 컷팅이다. 단측벽부(12a)(단측벽(12))는, 컷팅부(12b)에서 잔존하는 내측의 스킨층(23) 부분을 굴곡시켜, 컷팅부(12b)를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안쪽으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컷팅부(12b)에서 잔존하는 내측의 스킨층(23) 부분을 힌지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장측벽(13)에 대해서 기재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측벽(13)을 구성하는 장측벽부(13a)는, 가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斷面) L자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장측벽부(13a)에 고정되는 고정 벽부(51)와, 고정 벽부(51)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안쪽(단측벽(12)측)으로 돌출되는 걸어 맞춤 벽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벽부(51)의 내측 단면(端面)에는, 장측벽부(13a)의 측 가장자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오목부(5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벽부(51)의 하단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동축부(54)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부(54)의 양측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벽부(52)는, 조립 상태에서,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와 걸어 맞추는 부위이며, 고정 벽부(51)의 내면측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벽부(52)에는, 걸어 맞춤 벽부(52)를 관통하는 3개의 걸어 맞춤 구멍(55)이 상하로 병설됨과 함께, 걸어 맞춤 벽부(52)의 측단면에는 걸어 맞춤 홈(56)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걸어 맞춤 홈(56)의 하부에는, 걸어 맞춤 벽부(52)의 내측으로 개구하는 개구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벽부(51)의 상단면에는,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는, 장측벽(13)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며, 고정 벽부(51)의 내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프레임(60)은, 그 하면측에 홈을 갖는 단면 U자 형상의 봉 형상 부재이며, 상기 홈 내에 장측벽부(13a)의 상부 가장자리를 삽입시킨 상태로 해서 장측벽부(13a)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측벽(13)을 구성하는 장측벽부(13a)의 하부에는, 장측벽(13)의 하변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팅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측벽(13)은, 컷팅부(13b)에서 잔존하는 내측의 스킨층(23) 부분을 굴곡시켜 컷팅부(13b)를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안쪽으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측벽(13)의 컷팅부(13b)는, 단측벽(12)의 컷팅부(12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측벽(13)의 컷팅부(13b)는, 바닥벽(11)의 상면으로부터 단측벽(12)의 두께 이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측벽(13)을 절첩했을 때에, 바닥벽(11)과 장측벽(13) 사이에 단측벽(1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S1)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바닥벽(11)에 대해서 기재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11)을 구성하는 바닥벽부(11a)는, 가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11)을 구성하는 끼워 맞춤 부재(70)는, 대략 삼각판 형상의 하벽부(70a)와, 하벽부(70a)의 단측벽(12)측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종벽부(縱壁部; 70b)와, 하벽부(70a)의 장측벽(13)측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횡벽부(橫壁部; 70c)를 구비하고 있다. 하벽부(70a)의 하면에는, 바닥벽부(11a)의 모퉁이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오목부(71)가 설치되어 있다.
횡벽부(70c)의 상단면은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하면이 재치(載置)되는 재치면이 된다. 그리고, 횡벽부(70c)의 상단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축받이부(72)가 대략 사각 구멍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받이부(72)는,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회동축부(54)가 축 지지되는 부위이며, 회동축부(54)와 함께 힌지를 형성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받이부(72)의 측단면의 안쪽 위치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짐과 함께, 하면측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걸림 돌출부(7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축부(54)는, 상방으로부터 축받이부(72) 내에 삽입되며, 축받이부(72)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73)의 하면과 축받이부(72)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S2) 내에 축체(54a)가 수용됨으로써, 축받이부(7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또한, 끼워 맞춤 부재(70)의 종벽부(70b) 및 횡벽부(70c)의 상단면에는, 돌출 벽부(7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 벽부(74)는, 종벽부(70b) 및 횡벽부(70c)의 상단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b,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부재(70)의 하벽부(70a)의 하면에는, 종벽부(70b)측의 측 가장자리 및 횡벽부(70c)측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의 외측 오목부(75) 및 내측 오목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오목부(75)는, 하벽부(70a)의 종벽부(70b)측의 측 가장자리 및 횡벽부(70c)측의 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도록 해서 형성되며, 외측방(상기 각 측 가장자리측) 및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오목부이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오목부(75)는, 그 폭(H1)이 돌출 벽부(74)의 폭보다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오목부(76)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홈 형상의 오목부이며, 외측 오목부(75)의 내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오목부(76)는, 그 폭(H2)이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에 설치되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에 설치되는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의 각 폭보다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10)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기재한다.
컨테이너(10)는, 보관시 등의 비(非)사용시에는 각 측벽을 절첩한 상태, 구체적으로는, 바닥벽(11) 위에 단측벽(12)이 안쪽으로 절첩됨과 함께, 그 단측벽(12) 위에 겹쳐지도록 장측벽(13)이 안쪽으로 절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10)는, 필요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로 되어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로 있는 컨테이너(10)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장측벽(13)을 상방으로 90°회동시킨다. 이 때, 장측벽(13)의 중앙부에서는, 컷팅부(13b)에서 잔존하는 내측의 스킨층(23) 부분을 회동축으로 해서 장측벽부(13a)가 회동한다. 또한, 장측벽(13)의 양측부에서는,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회동축부(54)에 있어서의 축체(54a)의 중심을 회동축으로 해서, 끼워 맞춤 부재(70)에 대해서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가 회동한다.
그리고, 상방으로 90°회동시켜 장측벽(13)이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는, 끼워 맞춤 부재(70)의 횡벽부(70c) 위에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가 재치됨으로써, 장측벽(13)의 세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끼워 맞춤 부재(70)의 횡벽부(70c)에 설치되는 돌출 벽부(74)는, 장측벽(13)의 외면측에 배치되며, 장측벽(13)을 외면측에서 지지한다.
양 장측벽(13)을 세워 설치시킨 후에는, 단측벽(12)의 컷팅부(12b)에서 잔존하는 내측의 스킨층(23) 부분을 회동축으로 해서, 단측벽(12)을 상방으로 90°회동시킨다. 이 때, 장측벽(13)을 구성하는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걸어 맞춤 벽부(52)의 걸어 맞춤 구멍(55)에 대해서, 인접하는 단측벽(12)을 구성하는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돌출부(33)가 내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동시에,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록 바(36)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조작함으로써, 록 바(36)의 걸어 맞춤부(36a)가, 걸어 맞춤 벽부(52)의 걸어 맞춤 홈(56) 내에 개구부(56a)를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판(36b)의 가압력에 의해 록 바(36)가 상방으로 되돌려지면, 록 바(36)의 걸어 맞춤부(36a)가 걸어 맞춤 홈(56) 내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단측벽(12)은 안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된 록 상태가 됨과 함께, 장측벽(13)과 단측벽(12)이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단측벽(12)이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는, 끼워 맞춤 부재(70)의 종벽부(70b)에 설치되는 돌출 벽부(74)는, 단측벽(12)의 외면측에 배치되며, 단측벽(12)을 외면측에서 지지한다.
또,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로 있는 컨테이너(10)를 절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을 반대 순서로 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기재한다.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10)는, 복수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10)를 적층한 경우에는, 하단의 컨테이너(10)의 단측벽(12)(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에 설치되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장측벽(13)(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에 설치되는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끼워 맞춤 부재(70)(바닥벽(11))에 설치되는 내측 오목부(76)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따라, 상하단의 컨테이너(10) 간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여기에서, 내측 오목부(76)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에 벽부가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10)의 적층시에, 하단의 컨테이너(10)의 각 측벽의 상부에 대해서, 외측으로 누르는 힘(F)(개구 부분을 넓히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내측 오목부(76)의 외측의 벽부에 당접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10)의 개구 부분을 넓히는 방향으로의 측벽의 변형이 규제되어, 하단의 컨테이너(10) 내에 상단의 컨테이너(10)가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하단의 컨테이너(10)의 각 측벽의 상부에 대해서, 내측으로 누르는 힘(상기 힘(F)과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내측 오목부(76)의 내측의 벽부에 당접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10)의 개구 부분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측벽의 변형이 규제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10)를 적층한 경우에는, 하단의 컨테이너(10)의 끼워 맞춤 부재(70)(바닥벽(11))에 설치되는 돌출 벽부(74)가,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끼워 맞춤 부재(70)(바닥벽(11))에 설치되는 외측 오목부(75)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따라, 상하단의 컨테이너(10) 간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기재한다.
(1) 컨테이너(10)의 단측벽(12) 및 장측벽(13)의 상단면 측부에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11)의 모퉁이부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됨과 함께, 절첩 상태로 있는 단측벽(12) 및 장측벽(13)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벽부(74)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11)의 모퉁이부 하면에는,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10)를 적층할 때에,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에 걸어 맞출 수 있는 홈 형상의 내측 오목부(76)와, 내측 오목부(76)보다 둘레 가장자리측에 설치되며,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10)를 적층할 때에, 돌출 벽부(74)에 걸어 맞출 수 있는 외측 오목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립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컨테이너(10)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내측 오목부(76)의 외측의 벽부에 당접하여, 컨테이너(10)의 개구 부분을 넓히는 방향으로의 측벽의 변형이 규제됨으로써, 힌지 부분이나, 각 걸어 맞춤 부재 간의 걸어 맞춤 부위에 작용하는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10)의 적층시에는,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내측 오목부(76)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10)의 적층시에는, 돌출 벽부(74)가 외측 오목부(75)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운반시의 진동 등에 의해 하단의 컨테이너(10)에 대해서 상단의 컨테이너(10)가 부상(浮上)하는 것과 같이 상하로 다소 변동되었다고 해도, 내측 오목부(76)로부터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가 빠지고, 또는 외측 오목부(75)로부터 돌출 벽부(74)가 빠져, 상단의 컨테이너(10)가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10)의 적층시에는, 하단의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과 상단의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 사이에, 하단의 컨테이너(10)의 단측벽(12) 및 장측벽(13)이 배치되어, 상하의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 사이의 극간이 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10)의 탈락 방지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2) 적층시에 하단의 컨테이너(10)와 걸어 맞추기 위해,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의 하면에 마련하는 끼워 맞춤 구성을, 부분적인 오목부(내측 오목부(76) 및 외측 오목부(75))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의 하면의 거의 전체면을 플랫하게 형성하여, 접지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컨테이너(10)에 작용하는 하중을 바닥벽(11)의 하면 전체에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바닥벽(11)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컨베이어를 사용해서 컨테이너(10)를 이동시킬 때에, 컨베이어 위를 흐르기 쉬운 컨테이너(10)가 된다.
(3) 외측 오목부(75)는, 외측방 및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오목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오목부(75)를 하방으로 개구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도 8b의 파선 부분)와 같이, 외측 오목부(75)의 외주측에도 벽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컨테이너(10)의 하부의 외주 형상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10)에서는, 절첩된 각 측벽이 바닥벽(11)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 오목부(75)를 외측방(상기 각 측 가장자리측)으로 개방된 오목부형상으로 해도, 하단의 컨테이너(10) 내에 상단의 컨테이너(10)가 빠지는 것은 발생하기 어렵다.
(4) 컨테이너(10)의 본체부(10a)를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컨테이너(1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음 변경예를 서로 조합하여, 그 조합의 구성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 오목부(75)에 대해서도, 하방으로 개구하는 홈 형상으로 해도 된다(도 8b의 파선 부분 참조).
·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 및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와 내측 오목부(76) 사이의 걸어 맞춤 구성은, 요철의 관계에 의한 걸어 맞춤 구성이면, 그 구체적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 벽부(74)와 외측 오목부(75) 사이의 걸어 맞춤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는, 단측벽(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 해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는, 예를 들면, 단측벽(12)의 폭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돌기여도 된다.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에 대해서도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측벽(12)의 상단면 양측부, 즉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의 상단면 양측부에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상단면의 한쪽의 측부에만 제 1 걸어 맞춤 돌출부(3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장측벽(13)의 상단면 양측부, 즉 장측벽(13)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 각각의 상단면에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한쪽의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상단면에만 제 2 걸어 맞춤 돌출부(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외측 오목부(75) 및 내측 오목부(76)에 대해서도, 적당히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끼워 맞춤 부재(70)에서, 돌출 벽부(74)는, 종벽부(70b) 및 횡벽부(70c)의 상단면에 각각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종벽부(70b)의 상단면 또는 횡벽부(70c)의 상단면에만 형성해도 된다.
·바닥벽(11)의 모퉁이부에 배치되는 끼워 맞춤 부재(70) 각각에, 돌출 벽부(74)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특정 모퉁이부에 배치되는 끼워 맞춤 부재(70)에만 돌출 벽부(7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바닥벽(11)에서 대각으로 위치하는 2세트의 모퉁이부 중 한쪽측의 모퉁이부에 배치되는 끼워 맞춤 부재(70)에만 돌출 벽부(7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오목부(76)를 하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내측 오목부(76)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측 오목부는, 종벽부(70b)측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I자 형상의 제 1 내측 오목부와, 횡벽부(70c)측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I자 형상의 제 2 내측 오목부로 분할된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끼워 맞춤 부재(70)의 하면에 외측 오목부(75) 및 내측 오목부(76)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끼워 맞춤 부재(70)의 하면에 외측 오목부(75)를 형성함과 함께, 중공판재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벽부(11a)의 하면에 내측 오목부(7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바닥벽부(11a)의 하면에 외측 오목부(75) 및 내측 오목부(76)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부(11a)와 끼워 맞춤 부재(70)를 조합함으로써 외측 오목부(75) 및 내측 오목부(76)를 형성해도 된다.
·단측 걸어 맞춤 부재(30)와 장측 걸어 맞춤 부재(50)의 걸어 맞춤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했을 때에 인접하는 측벽끼리가 연결되는 구성이면 된다.
·본체부(10a)를 구성하는 중공판재는, 코어층(21) 및 스킨층(22, 23)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면이 하모니카 형상 등의 압출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판재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10)의 일부가 중공판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었지만, 일본국 특개2009-120227호 공보의 컨테이너와 같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을 조합해서 구성되는 컨테이너여도 된다.
·각 측벽의 장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장측벽(13)을 제 1 측벽으로 하고, 단측벽(12)을 제 2 측벽으로 해도 된다.

Claims (5)

  1. 사각판 형상의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 위에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이 겹쳐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절첩 컨테이너(foldable container)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면 측부에는 각각 걸어 맞춤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벽의 모퉁이부의 상면에는 돌출 벽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 벽부는, 상기 바닥벽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절첩 상태로 있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보다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벽의 상기 모퉁이부의 하면에는, 홈 형상의 내측 오목부와, 상기 내측 오목부보다 둘레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외측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오목부는 조립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에 걸어 맞출 수 있고, 외측 오목부는 절첩 상태의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상기 돌출 벽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오목부는, 외측방(外側方) 및 하방(下方)으로 개방된 형상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제 1 걸어 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양측부에 부착됨과 함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어 맞춤 부재와 걸어 맞춰서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을 고정하는 제 2 걸어 맞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는, 상기 제 1 걸어 맞춤 부재 및 상기 제 2 걸어 맞춤 부재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컨테이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의 모퉁이부에 부착되는 끼워 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오목부 및 상기 내측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끼워 맞춤 부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컨테이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중공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의 모퉁이부에 부착되는 끼워 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오목부 및 상기 내측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바닥벽부와 상기 끼워 맞춤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컨테이너.
KR1020140175791A 2014-12-09 2014-12-09 절첩 컨테이너 KR20160069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91A KR20160069770A (ko) 2014-12-09 2014-12-09 절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91A KR20160069770A (ko) 2014-12-09 2014-12-09 절첩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70A true KR20160069770A (ko) 2016-06-17

Family

ID=5634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91A KR20160069770A (ko) 2014-12-09 2014-12-09 절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432A (zh) * 2018-03-09 2019-06-21 哈文纳企业有限公司 顶盖具有垫高件的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529A (ja) 1998-10-14 2000-04-25 Yamaichi Kasei Kk 合成樹脂製組立式トレー
JP2009120227A (ja) 2007-11-14 2009-06-04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529A (ja) 1998-10-14 2000-04-25 Yamaichi Kasei Kk 合成樹脂製組立式トレー
JP2009120227A (ja) 2007-11-14 2009-06-04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432A (zh) * 2018-03-09 2019-06-21 哈文纳企业有限公司 顶盖具有垫高件的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5650B2 (ja) パック収納用トレー
JP2018521915A (ja) 折り畳み式容器
KR20160069770A (ko) 절첩 컨테이너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RU2617359C1 (ru) Ящик тарный
JP6193047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2010260625A (ja) 箱体及びその段積み構造
TWI586593B (zh) 包裝緩衝結構
JP2016199296A (ja) 折畳み容器
JP6788258B2 (ja) 運搬用容器
KR200367522Y1 (ko)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상자
JP6795185B2 (ja) 折畳み容器
JP2010149909A (ja) コンテナ用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コンテナ
JP7134482B2 (ja) 折畳み容器
JP2015163526A (ja) 組立式発泡箱
JP6333641B2 (ja)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JP2020019549A (ja) 折畳み容器
JP6934166B2 (ja) 容器、及び、容器の段積み構造
JP623625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684678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6795186B2 (ja) 折畳み容器
KR20180021528A (ko) 접이식 상자
JP200204673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140116041A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JP2015034029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