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62A - 동작장치모듈 - Google Patents

동작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62A
KR20160069262A KR1020140175012A KR20140175012A KR20160069262A KR 20160069262 A KR20160069262 A KR 20160069262A KR 1020140175012 A KR1020140175012 A KR 1020140175012A KR 20140175012 A KR20140175012 A KR 20140175012A KR 20160069262 A KR20160069262 A KR 2016006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terminal
identification
operation devic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262A/ko
Priority to US14/716,561 priority patent/US9928129B2/en
Priority to CN201510493297.4A priority patent/CN105677235B/zh
Publication of KR2016006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27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storage system, e.g. in a DASD or network based storag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07Interleaved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15Address space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46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 G06F12/066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with decentralised address ass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동작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K개의 동작장치를 포함하며, K개의 상기 동작장치 각각은, 해당 상기 동작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M개의 상기 동작장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식별동작구간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M개의 상기 동작장치가 상기 설정된 패턴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작장치모듈{OPERATION DEVICE MODUL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동작장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의 기능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높은 속도의 동작을 요구하면서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를 모아서 하나의 동작장치모듈로 구성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와 같은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저장용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는 과정에서도 데이터 전송속도의 증가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내부에는 다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어 병렬로 동작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버(server)와 같은 대용량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 드라이브의 경우도, 데이터 저장용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는 과정에서도 데이터 전송속도의 증가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버와 같은 대용량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 드라이브의 경우, 다수의 단일 하드 드라이브를 레이트(RAID :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형태로 동작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물론, MMC, eMMC(embedded MMC), RS-MMC(Reduced Size MMC), micro-MMC 형태의 멀티 미디어 카드(MMC: Multi Media Card), SD, mini-SD, micro-SD 형태의 시큐어 디지털(SD: Secure Digital) 카드, USB(Universal Storage Bus) 저장 장치, UFS(Universal Flash Storage) 장치, CF(Compact Flash)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장치들이나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3차원 텔레비전(3-dimensional television),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evision),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스토리지,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텔레매틱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RFID 장치, 또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예를 들기도 힘든 수많은 전자장치들에서도 내부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동작장치를 모아서 하나의 동작장치모듈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동작장치를 모아서 구성한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기대했던 성능을 완벽하게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계당시에 미리 설정되었던 패턴으로 배치되어 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 중 하나의 동작장치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한다면, 동작장치모듈 전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외부환경적인 이유로 인해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 중 일부 동작장치를 다른 동작장치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중고 동작장치모듈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컨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포함된 다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 중 일부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교체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전체가 설계 당시에 목적했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가 아예 동작하지 않는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당시부터 하나의 동작장치모듈로서 동작하도록 설정된 다수의 동작장치에 대해 일부의 동작장치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동작장치모듈의 경우, 내부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작장치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은,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K개의 동작장치를 포함하며, K개의 상기 동작장치 각각은, 해당 상기 동작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M개의 상기 동작장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식별동작구간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M개의 상기 동작장치가 상기 설정된 패턴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동작장치모듈의 경우, 다수의 동작장치가 스스로 설정된 패턴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에서 제1 동작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3a 및 도 3b는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에는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된 4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가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4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 각각에는 스스로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1}, {2}, {3}, {4})가 할당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작장치모듈에 4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을 뿐이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4개보다 더 많은 개수의 동작장치가 포함되는 경우와 4개보다 더 적은 개수의 동작장치가 포함되는 경우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은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즉,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서 수평으로 직렬화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제1 동작장치(10)와, 제2 동작장치(20)와, 제3 동작장치(30), 및 제4 동작장치(40)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은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즉,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렬화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제1 동작장치(10)와, 제2 동작장치(20)와, 제3 동작장치(30), 및 제4 동작장치(40)가 포함된다.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는, 설정된 패턴에 따른 배치형태에 따라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다. 이때,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서 각각 서로 번갈아 가면서 수평의 직렬형태 또는 수직의 직렬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화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 중 첫 번째 배치되는 제1 동작장치(1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두 번째 배치되는 제2 동작장치(2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며, 세 번째 배치되는 제3 동작장치(30)를 다시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네 번째 배치되는 제4 동작장치(40)를 다시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한다.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 내부에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 및 제2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포함된다. 또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 내부에는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 및 제2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포함된다.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신호전송단(2)은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4 신호전송단(4)과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3 신호전송단(3)은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이 오른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왼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반대로, 도 1a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1 방향이 왼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오른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마찬가지로,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위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반대로, 도 1b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1 방향이 위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아래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 각각은, 제1 내지 제4 저장부(12, 22, 32, 42), 제1 내지 제4 식별부(14, 24, 34, 4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저장부(12, 22, 32, 42) 각각은,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40)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2개의 동작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4, 1, 2}, {1, 2, 3}, {2, 3, 4}, {3, 4, 1})를 저장한다.
예컨대,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40)가 제1 동작장치(10)인 경우,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저장부(12)에는, 스스로를 나타내는 고유의 식별정보({1})와 함께 제1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2})와 제2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동작장치(4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4})가 함께 저장({4, 1, 2})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40)가 제3 동작장치(30)인 경우, 제3 동작장치(30)에 포함된 제3 저장부(32)에는, 스스로를 나타내는 고유의 식별정보({3})와 함께 제1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동작장치(4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4})와 제2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2})가 함께 저장({2, 3, 4})된다.
참고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는 사실 아무런 동작장치도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된 것처럼 가정하여 식별정보({4, 1, 2})를 저장한다. 이는,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가 모두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동작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제4 동작장치(40)도 제1 방향으로 제1 동작장치가 배치된 것처럼 가정하여 식별정보({3, 4, 1})를 저장한다.
제1 내지 제4 식별부(14, 24, 34, 44) 각각은, 식별동작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40)의 저장부(12 or 22 or 32 or 42)에 저장된 식별정보({4, 1, 2} or {1, 2, 3} or {2, 3, 4} or {3, 4, 1})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가 설정된 패턴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참고로, 식별동작구간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옵션을 갖는 상태로 동작장치모듈에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장치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파워-업 된 직후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에서 제1 동작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저장부(12)에는, 타입저장부(126)와 해당 식별저장부(128)와 제1 식별저장부(121) 및 제2 식별저장부(1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식별부(14)에는, 활성화제어부(142)와 출력부(144) 및 판단부(146)가 포함된다.
참고로,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동작장치모듈의 구성 중 제1 동작장치(10)에 대한 구성만 도 2에 도시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제2 내지 제4 동작장치(20, 30, 40) 각각의 상세한 구성도 도 2에 도시된 제1 동작장치(10)의 상세한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제2 저장부(22)에는, 타입저장부(226)와 해당 식별저장부(228)와 제1 식별저장부(221) 및 제2 식별저장부(2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제2 식별부(24)에는, 활성화제어부(242)와 출력부(244) 및 판단부(246)가 포함될 것이다.
또한, 제3 동작장치(30)에 포함된 제3 저장부(32)에는, 타입저장부(326)와 해당 식별저장부(328)와 제1 식별저장부(321) 및 제2 식별저장부(3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3 동작장치(30)에 포함된 제3 식별부(34)에는, 활성화제어부(342)와 출력부(344) 및 판단부(346)가 포함될 것이다.
또한, 제4 동작장치(40)에 포함된 제4 저장부(42)에는, 타입저장부(426)와 해당 식별저장부(428)와 제1 식별저장부(421) 및 제2 식별저장부(4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4 동작장치(40)에 포함된 제4 식별부(44)에는, 활성화제어부(442)와 출력부(444) 및 판단부(446)가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40)는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장치를 의미하는데, 도 2에서는 제1 동작장치(10)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므로,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해당 동작장치(10)는 제1 동작장치(10)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20'일 것이고, 제3 동작장치(3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30'일 것이며, 제4 동작장치(4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40'일 것이다.
타입저장부(126)에는, 해당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 중 어떠한 타입의 동작장치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타입정보(TP_INFO)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는 제1 타입 동작장치(A)이기 때문에 제1 동작장치(10)의 타입저장부(126)에 저장된 타입정보(TP_INFO)는 'A'를 나타내는 값이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되는 제2 동작장치(20)의 타입저장부(226)에 저장된 타입정보(TP_INFO)는 'B'를 타나내는 값이 될 것이다.
해당 식별저장부(128)에는, 해당 동작장치(10)를 구분하기 위한 해당 식별정보(MY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는 '{1}'이므로, '{1}'이 해당 식별정보(MY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는 '{2}'이므로, '{2}'이 해당 식별정보(MY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다.
제1 식별저장부(121)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1 식별정보(FIRST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는 제2 동작장치(20)가 배치되므로, 제2 동작장치(2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2}'가 제1 식별정보(FIRST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는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므로, 제3 동작장치(3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3}'가 제1 식별정보(FIRST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다.
제2 식별저장부(122)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2 식별정보(SECOND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는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므로, 제4 동작장치(4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4}'가 제2 식별정보(SECOND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는 제1 동작장치(10)가 배치되므로, 제1 동작장치(1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1}'가 제2 식별정보(SECOND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다.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킨다. 즉,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은 비활성화시킨다. 반대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은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제1 신호전송단(1)과 제3 신호전송단(3)은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구분된 제1 동작장치(10) 및 제3 동작장치(30)에 포함되고, 제2 신호전송단(2)과 제4 신호전송단(4)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구분된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142)는,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을 비활성화시키고, 제1 신호전송단(1)을 비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142)는, 제1 신호전송단(1)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인에이블 신호(EN1)와 제3 신호전송단(3)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인에이블 신호(EN3)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242)는,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을 비활성화시키고, 제2 신호전송단(2)을 비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242)는, 제2 신호전송단(2)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인에이블 신호(EN2)와 제4 신호전송단(4)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4 인에이블 신호(EN4)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타입저장부(126)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신호전송단(1) 및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 및 제4 신호전송단(4)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제1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제2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활성화제어부(142)는, 초기화 동작이후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 및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 및 제4 신호전송단(4) 그룹을 설정된 순서대로 한 그룹씩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는, 초기화 동작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판단되면, 먼저,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고 제3 신호전송단(3)을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전환동작을 수행한뒤, 이어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을 비활성화시키고 제3 신호전송단(3)을 활성화시키는 제2 전환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는, 초기화 동작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판단되면, 먼저,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고 제4 신호전송단(4)을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전환동작을 수행한뒤, 이어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2 신호전송단(2)을 비활성화시키고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제2 전환동작을 수행한다.
출력부(144)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활성화제어부(142)의 동작에 따라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와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해당 동작장치(10) 외부로 출력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2}'을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로 출력한다. 또한,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4}'을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제4 동작장치(40)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1}'을 제2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동작장치(10)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3}'을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3 동작장치(30)로 출력한다.
판단부(146)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활성화제어부(142)의 동작에 따라 해당 동작장치(10) 외부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 or THIRD_IN)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를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아닌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를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2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40)가 아닌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1 식별저장부(3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4}'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2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이렇게,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40)가 정상적으로 배치될 때에만 제1 판단동작 및 제2 판단동작이 모두 '성공'되어 제1 동작장치(1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만약, 제1 판단동작과 제2 판단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라도 '실패'될 경우 제1 동작장치(10)는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없다.
그리고,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를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2}'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3 판단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아닌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3 판단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를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4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아닌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2 식별저장부(4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3}'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4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이렇게,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정상적으로 배치될 때에만 제3 판단동작 및 제4 판단동작이 모두 '성공'되어 제2 동작장치(2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만약, 제3 판단동작과 제4 판단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라도 '실패'될 경우 제2 동작장치(20)는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없다.
전술한 제1 및 제2 판단동작의 '성공'/'실패' 여부에 의해 제1 타입 동작장치(A)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 및 제3 내지 제4 판단동작의 '성공'/'실패' 여부에 의해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이 의미하는 것은, 결국, 제1 타입 동작장치(A) 및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식별동작구간 이후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동작장치(A) 및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전원이 공급되어 파워-업된 직후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고,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한 이후 나머지 노말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모두 예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만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여 나머지 노말 동작이 수행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지 못하면 나머지 노말 동작은 수행되지 못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3a 및 도 3b에는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 수평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는 경우인 도 1a에서 동작장치모듈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도 1b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 수직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하다.
도 3a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고, 제2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는, 제2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4})가 전달된다. 반면,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으로는 식별정보({1} or {2} or {3} or {4})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동작장치(10) 및 제3 동작장치(30)에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로 식별정보({2}, {4})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식별정보({2})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식별정보({2})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2})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판단부(2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 제3 동작장치(30)의 제1 식별저장부(321)에 저장된 식별정보({4})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3 동작장치(30)의 제1 식별저장부(321)에 저장된 식별정보({4})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4 동작장치(40)는, 제3 동작장치(3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4})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판단부(4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에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동작장치(10) 및 제3 동작장치(30)로 식별정보({1}, {3})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2 동작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 제4 동작장치(40)의 제2 식별저장부(422)에 저장된 식별정보({3})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제2 식별저장부(422)에 저장된 식별정보({3})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3'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3 동작장치(30)는, 제4 동작장치(4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3})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328)에 저장된 식별정보({3})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3 동작장치(30)의 판단부(3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3'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328)에 저장된 식별정보({3})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비활성화되고, 제2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는, 제2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비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4})가 전달된다. 반면,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으로는 식별정보({1} or {2} or {3} or {4})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에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3 동작장치(30) 및 제1 동작장치(10)로 식별정보({3}, {1})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 식별정보({3})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 식별정보({3})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3'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3 동작장치(30)는, 제2 동작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3})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328)에 저장된 식별정보({3})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3 동작장치(30)의 판단부(3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3'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328)에 저장된 식별정보({3})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8주기(4tck + 4tck) 동안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4 동작장치(4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3 동작장치(30) 및 제1 동작장치(10)에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로 식별정보({2}, {4})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식별정보({3})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식별정보({2})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는, 제3 동작장치(3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2})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판단부(2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8주기(4tck + 4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식별정보({4})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식별정보({4})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4 동작장치(4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4})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판단부(4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한편, 동작장치모듈에는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가 포함되어 총 4개의 동작장치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 or {2} or {3} or {4})는 2비트의 데이터만 있으면 충분하고, 이를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로 환산하면 최대 4번만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주기가 8번 발생하는 동안 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식별정보({1} or {2} or {3} or {4}) 전송 동작이 연속으로 발생하는 형태이므로 중간에 충분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스 클록(SCLK)을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10, 20, 30, 40)에 모두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이 따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소스 클록(SCLK)의 전송에 대한 마진이 충분히 확보될 필요도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첫 4주기(4tck) 동안은 식별정보({1} or {2} or {3} or {4})를 전송하고 이어지는 4주기(4tck) 동안은 마진으로 남겨두는 방식은 실시예일 뿐, 실제로는 4주기(4tck)보다 더 짧거나 더 긴 주기동안 마진으로 남겨두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에는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된 16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가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16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각각에는 스스로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가 할당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작장치모듈에 16개의 동작장치(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을 뿐이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16개보다 더 많은 개수의 동작장치가 포함되는 경우와 16개보다 더 적은 개수의 동작장치가 포함되는 경우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은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즉,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 및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에서 각각 서로 번갈아 가면서 어레이 형태의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제1 동작장치(10)와, 제2 동작장치(20)와, 제3 동작장치(30), 제4 동작장치(40), 제5 동작장치(50), 제6 동작장치(60), 제7 동작장치(70), 제8 동작장치(80), 제9 동작장치(90), 제10 동작장치(100), 제11 동작장치(110), 제12 동작장치(120), 제13 동작장치(130), 제14 동작장치(140), 제15 동작장치(150), 및 제16 동작장치(160)가 포함된다.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는, 설정된 패턴에 따른 배치형태에 따라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다. 이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수평의 직렬형태로 배치되고, 동시에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에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수직의 직렬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 중 수평 및 수직으로 첫 번째 배치되는 제1 동작장치(1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두 번째 수직으로 첫 번째 배치되는 제2 동작장치(2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세 번째 수직으로 첫 번째 배치되는 제3 동작장치(3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네 번째 수직으로 첫 번째 배치되는 제4 동작장치(4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첫 번째 수직으로 두 번째 배치되는 제5 동작장치(5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고, 수평 및 수직으로 두 번째 배치되는 제6 동작장치(6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세 번째 수직으로 두 번째 배치되는 제7 동작장치(7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네 번째 수직으로 두 번째 배치되는 제8 동작장치(8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첫 번째 수직으로 세 번째 배치되는 제9 동작장치(9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두 번째 및 수직으로 세 번째 배치되는 제10 동작장치(10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며, 수평 및 수직으로 세 번째 배치되는 제11 동작장치(11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네 번째 수직으로 세 번째 배치되는 제12 동작장치(12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첫 번째 수직으로 네 번째 배치되는 제13 동작장치(13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고, 수평으로 두 번째 및 수직으로 네 번째 배치되는 제14 동작장치(14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하며, 수평으로 세 번째 및 수직으로 네 번째 배치되는 제15 동작장치(150)를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설정하고, 수평 및 수직으로 네 번째 배치되는 제16 동작장치(160)를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설정한다.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 내부에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포함된다. 또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제 내부에는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과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포함된다.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신호전송단(2)은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4 신호전송단(4)과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3 신호전송단(3)은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된 제2 신호전송단(2)은 제3 신호전송라인(L2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이 오른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왼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반대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1 방향이 왼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2 방향은 오른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또한, 제3 방향과 제4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3 방향이 위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4 방향은 아래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반대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3 방향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방향일 경우 제4 방향은 위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형태가 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오른쪽과 왼쪽이면, 제3 방향과 제4 방향은 위쪽과 아래쪽이 된다. 반대로, 도면과 다르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위쪽과 아래쪽이면, 제3 방향과 제4 방향은 오른쪽과 왼쪽이 된다.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 각각은, 제1 내지 제16 저장부(12, 22, 32, 42, 52, 62, 72, 82, 92, 102, 112, 122, 132, 142, 152, 162)와, 제1 내지 제16 식별부(14, 24, 34, 44, 54, 64, 74, 84, 94, 104, 124, 134, 144, 154, 16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6 저장부(12, 22, 32, ... , 152, 162) 각각은,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 or 150 or 160)에 인접하여 제1 내지 제4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4개의 동작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3, 4, 1, 2, 5}, {14, 1, 2, 3, 6}, {15, 2, 3, 4, 7}, {16, 3, 4, 1, 8}, {1, 8, 5, 6, 9}, {2, 5, 6, 7, 10}, {3, 6, 7, 8, 11}, {4, 7, 8, 5, 12}, {5, 12, 9, 10, 13}, {6, 9, 10, 11, 14}, {7, 10, 11, 12, 15}, {8, 11, 12, 9, 16}, {9, 16, 13, 14, 1}, {10, 13, 14, 15, 2}, {11, 14, 15, 16, 3}, {12, 15, 16, 13, 4})를 저장한다.
예컨대,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 or 150 or 160)가 제1 동작장치(10)인 경우,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저장부(12)에는, 스스로를 나타내는 고유의 식별정보({1})와 함께 제1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2})와 제2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동작장치(4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4})와 제3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3 동작장치(13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3}) 및 제4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5 동작장치(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5})가 함께 저장({13, 4, 1, 2, 5})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 or 150 or 160)가 제10 동작장치(100)인 경우, 제10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저장부(102)에는, 스스로를 나타내는 고유의 식별정보({10})와 함께 제1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1 동작장치(1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1})와 제2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9 동작장치(9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9})와 제3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6 동작장치(6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6}) 및 제4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4 동작장치(14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4})가 함께 저장({6, 9, 10, 11, 14})된다.
참고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는 사실 아무런 동작장치도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제4 동작장치(40) 및 제13 동작장치(130)가 배치된 것처럼 가정하여 식별정보({13, 4, 1, 2, 5})를 저장한다. 이는,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가 모두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제1 방향 내지 제4 방향에 위치하는 동작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제16 동작장치(160)도 제1 방향 및 제4 방향으로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된 것처럼 가정하여 식별정보({12, 15, 16, 13, 4})를 저장한다.
제1 내지 제16 식별부(14, 24, 34, ... , 154, 164) 각각은, 식별동작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 or 150 or 160)의 저장부(12 or 22 or 32 or ... or 152 or 162)에 저장된 식별정보({13, 4, 1, 2, 5} or {14, 1, 2, 3, 6} or {15, 2, 3, 4, 7} or ... or {11, 14, 15, 16, 3}, {12, 15, 16, 13, 4})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가 설정된 패턴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참고로, 식별동작구간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옵션을 갖는 상태로 동작장치모듈에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장치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파워-업 된 직후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구성에서 제1 동작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저장부(12)에는, 타입저장부(126)와 해당 식별저장부(128)와 제1 식별저장부(121)와 제2 식별저장부(122)와 제3 식별저장부(123) 및 제4 식별저장부(1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제1 식별부(14)에는, 활성화제어부(142)와 출력부(144) 및 판단부(146)가 포함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동작장치모듈의 구성 중 제1 동작장치(10)에 대한 구성만 도 5에 도시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제2 내지 제16 동작장치(20, 30, ... , 150, 160) 각각의 상세한 구성도 도 5에 도시된 제1 동작장치(10)의 상세한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제2 저장부(22)에는, 타입저장부(226)와 해당 식별저장부(228)와 제1 식별저장부(221) 및 제2 식별저장부(2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제2 식별부(24)에는, 활성화제어부(242)와 출력부(244) 및 판단부(246)가 포함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3 내지 제16 동작장치(30, 40, 50 ... , 150, 160)에 포함된 제3 내지 제16 저장부(32, 42, 52, ... , 152, 162)에는, 각각 타입저장부(326, 426, 526, ... , 1526, 1626)와 해당 식별저장부(328, 428, 528, ... , 1528, 1628)와 제1 식별저장부(321, 421, 521, ... , 1521, 1621)와 제2 식별저장부(322, 422, 522, ... , 1522, 1622)와 제3 식별저장부(323, 423, 523, ... , 1523, 1623) 및 제4 식별저장부(324, 424, 524, ... , 1524, 16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3 내지 제16 동작장치(30, 40, 50 ... , 150, 160)에 포함된 제3 내지 제16 식별부(34, 44, 54, ... , 154, 164)에는, 각각 활성화제어부(342, 442, 542, ... , 1542, 1642)와 출력부(344, 444, 544, ... , 1544, 1644) 및 판단부(346, 446, 546, ... , 1546, 1646)가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동작장치(10 or 20 or 30 or ... or 150 or 160)는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장치를 의미하는데, 도 5에서는 제1 동작장치(10)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므로,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해당 동작장치(10)는 제1 동작장치(10)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20'일 것이고, 제7 동작장치(7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70'일 것이며, 제12 동작장치(120)에 대한 설명에서는 '해당 동작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가 '120'일 것이다.
타입저장부(126)에는, 해당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 중 어떠한 타입의 동작장치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타입정보(TP_INFO)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는 제1 타입 동작장치(A)이기 때문에 제1 동작장치(10)의 타입저장부(126)에 저장된 타입정보(TP_INFO)는 'A'를 나타내는 값이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되는 제2 동작장치(20)의 타입저장부(226)에 저장된 타입정보(TP_INFO)는 'B'를 타나내는 값이 될 것이다.
해당 식별저장부(128)에는, 해당 동작장치(10)를 구분하기 위한 해당 식별정보(MY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는 '{1}'이므로, '{1}'이 해당 식별정보(MY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는 '{2}'이므로, '{2}'이 해당 식별정보(MY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다.
제1 식별저장부(121)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1 식별정보(FIRST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는 제2 동작장치(20)가 배치되므로, 제2 동작장치(2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2}'가 제1 식별정보(FIRST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는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므로, 제3 동작장치(3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3}'가 제1 식별정보(FIRST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다.
제2 식별저장부(122)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2 식별정보(SECOND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는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므로, 제4 동작장치(4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4}'가 제2 식별정보(SECOND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는 제1 동작장치(10)가 배치되므로, 제1 동작장치(1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1}'가 제2 식별정보(SECOND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다.
제3 식별저장부(123)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3 식별정보(THIRD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는 제13 동작장치(130)가 배치되므로, 제13 동작장치(13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13}'가 제3 식별정보(THIRD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3 방향에는 제14 동작장치(140)가 배치되므로, 제14 동작장치(14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14}'가 제3 식별정보(THIRD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3 식별저장부(223)에 저장된다.
제4 식별저장부(124)에는, 해당 동작장치(10)의 제4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4 식별정보(FOURTH_ID)가 저장된다. 즉, 제1 동작장치(10)의 제4 방향에는 제5 동작장치(50)가 배치되므로, 제5 동작장치(5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5}'가 제4 식별정보(FOURTH_ID)로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에는 제6 동작장치(60)가 배치되므로, 제6 동작장치(60)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6}'가 제4 식별정보(FOURTH_ID)로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식별저장부(224)에 저장된다.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 그룹 및 제4 신호전송단(4)과 제1 신호전송단(1)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킨다. 즉,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은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4 신호전송단(4)을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은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제1 신호전송단(1)과 제3 신호전송단(3)은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구분된 제1 동작장치(10) 및 제3 동작장치(30)에 포함되고, 제2 신호전송단(2)과 제4 신호전송단(4)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 제2 동작장치(20) 및 제4 동작장치(40)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구분된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142)는,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을 비활성화시키고, 제1 신호전송단(1)을 비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동작장치(1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142)는, 제1 신호전송단(1)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인에이블 신호(EN1)와 제3 신호전송단(3)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인에이블 신호(EN3)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구분된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242)는,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을 비활성화시키고, 제2 신호전송단(2)을 비활성화시키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동작장치(20)에 포함된 활성화제어부(242)는, 제2 신호전송단(2)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인에이블 신호(EN2)와 제4 신호전송단(4)의 활성화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4 인에이블 신호(EN4)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타입저장부(126)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 그룹 및 제4 신호전송단(4)과 제1 신호전송단(1)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제1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제2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활성화제어부(142)는, 초기화 동작이후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 그룹과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 그룹과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 그룹 및 제4 신호전송단(4)과 제1 신호전송단(1) 그룹을 설정된 순서대로 번갈아 가면서 한 그룹씩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는, 초기화 동작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로 판단되면, 먼저,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을 활성화시키고 제3 신호전송단(3)을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전환동작을 수행한뒤, 이어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1 신호전송단(1)을 비활성화시키고 제3 신호전송단(3)을 활성화시키는 제2 전환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는, 초기화 동작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로 판단되면, 먼저,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2 신호전송단(2)을 활성화시키고 제4 신호전송단(4)을 비활성화시키는 제3 전환동작을 수행한뒤, 이어서, 소스 클록(SCLK)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2 신호전송단(2)을 비활성화시키고 제4 신호전송단(4)을 활성화시키는 제4 전환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절반은,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의 절반과 겹치고, 겹치지 않는 나머지 절반은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의 절반과 겹친다. 또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절반은,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지 않는 절반의 구간과 겹치고, 겹치지 않는 나머지 절반은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지 않는 절반의 구간과 겹친다.
출력부(144)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활성화제어부(142)의 동작에 따라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와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와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 및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해당 동작장치(10) 외부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인 경우 출력부(14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를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3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를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를 제3 방향으로 바이패스한다.
또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 값을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상기 제3 방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2 방향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해당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인 경우 출력부(24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을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20)의 제4 식별저장부(224)에 저장된 값을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4 방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20)의 제3 식별저장부(223)에 저장된 값을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제4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4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한다.
또한,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221)에 저장된 값을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될 때,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2}'을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 및 제6 동작장치(60)의 활성화제어부(6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고 제3 신호전송단(3)이 비활성화될 때,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 및 제5 동작장치(50)의 활성화제어부(5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고 제2 신호전송단(2)이 비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5}'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는, 제2 방향의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제2 신호전송단(2)으로 입력되는 식별정보 '{5}'를 제4 방향에 배치된 제6 동작장치(60)의 제3 신호전송단(3)으로 바이패스시킨다. 이때, 제6 동작장치(60)는, 제3 방향의 제2 동작장치(20)로부터 제3 신호전송단(3)으로 입력되는 식별정보 '{5}'를 제2 방향의 제5 동작장치(50)의 제1 신호전송단(1)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5}'는 제5 동작장치(50)의 제1 신호전송단(1)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될 때, 제13 동작장치(130)의 활성화제어부(13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13}'을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 배치된 제13 동작장치(130)의 제2 신호전송단(2)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의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될 때, 제4 동작장치(40)의 활성화제어부(4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4}'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제4 동작장치(40)의 제4 신호전송단(4)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될 때,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1}'을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될 때, 제6 동작장치(60)의 활성화제어부(6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식별저장부(2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6}'을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에 배치된 제6 동작장치(60)의 제3 신호전송단(3)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 및 제15 동작장치(150)의 활성화제어부(15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고 제2 신호전송단(2)이 비활성화될 때, 제3 동작장치(30)의 활성화제어부(342) 및 제14 동작장치(140)의 활성화제어부(14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고 제3 신호전송단(3)이 비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3 식별저장부(2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14}'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3 동작장치(30)의 제3 신호전송단(3)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3 동작장치(30)는, 제2 방향의 제2 동작장치(20)로부터 제3 신호전송단(3)으로 입력되는 식별정보 '{14}'를 제3 방향에 배치된 제15 동작장치(150)의 제2 신호전송단(2)으로 바이패스시킨다. 이때, 제15 동작장치(150)는, 제4 방향의 제3 동작장치(30)로부터 제2 신호전송단(2)으로 입력되는 식별정보 '{14}'를 제2 방향의 제14 동작장치(140)의 제1 신호전송단(1)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3 식별저장부(2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14}'는 제14 동작장치(140)의 제1 신호전송단(1)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될 때, 제3 동작장치(30)의 활성화제어부(3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3}'을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배치된 제3 동작장치(30)의 제3 신호전송단(3)으로 출력한다.
판단부(146)는,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활성화제어부(142)의 동작에 따라 해당 동작장치(10) 외부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 or THIRD_IN)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동작장치(10)가 제1 타입 동작장치(A)인 경우 판단부(146)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와 해당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3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와 해당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와 해당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판단동작 각각의 동작이 모두 '성공'할 때, 제1 타입 동작장치(A)인 해당 동작장치(1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동작장치(20)가 제2 타입 동작장치(B)인 경우 출력부(24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와 해당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4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와 해당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5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와 해당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6 판단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4 내지 제6 판단동작 각각의 동작이 모두 '성공'할 때, 제2 타입 동작장치(B)인 해당 동작장치(2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판단동작에서는,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를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1 판단동작은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첫 번째 동작과 제4 방향에 제5 동작장치(5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두 번째 동작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판단동작이 첫 번째 동작과 두 번째 동작으로 나눠지는 이유는, 제1 동작장치(10)의 제4 방향에 배치된 제5 동작장치(50)가 제1 동작장치(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인접한 제6 동작장치(60) 및 제2 동작장치(20)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1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1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아닌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또한, 제1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4 방향에 제5 동작장치(5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5 동작장치(50)의 제3 식별저장부(3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1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4 방향에 제5 동작장치(50)가 아닌 제6 동작장치(6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IRST_IN)는, 제6 동작장치(60)의 제3 식별저장부(6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1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전술한 제1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과 두 번째 동작이 모두 '성공'일 때, 제1 판단동작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2 판단동작에서는,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고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130)의 활성화제어부(13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될 때, 제1 동작장치(10)에서 활성화된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를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2 판단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 제13 동작장치(13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13 동작장치(130)의 제4 식별저장부(13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2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2 판단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3 방향에 제13 동작장치(130)가 아닌 제14 동작장치(14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14 동작장치(140)의 제4 식별저장부(14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2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그리고, 제3 판단동작에서는, 제1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고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40)의 활성화제어부(4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될 때, 제1 동작장치(10)에서 활성화된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를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3 판단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13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3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3 판단동작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40)가 아닌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THIRD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1 식별저장부(3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4}'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동작장치(10)의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1}'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3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이렇게, 제1 동작장치(10)의 제1 방향에 제2 동작장치(2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2 방향에 제4 동작장치(4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며, 제3 방향에 제13 동작장치(13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4 방향에 제5 동작장치(50)가 정상적으로 배치될 때에만 제1 판단동작 내지 제3 판단동작이 모두 '성공'되어 제1 동작장치(1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만약, 제1 판단동작 내지 제3 판단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라도 '실패'될 경우 제1 동작장치(10)는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없다.
예컨대, 제4 판단동작에서는,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고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10)의 활성화제어부(142)에 의해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될 때, 제2 동작장치(20)에서 활성화된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를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4 판단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2}'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4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4 판단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아닌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1}'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4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그리고, 제5 판단동작에서는,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고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에 배치된 동작장치(60)의 활성화제어부(642)에 의해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될 때, 제2 동작장치(20)에서 활성화된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를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5 판단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에 제6 동작장치(6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6 동작장치(60)의 제3 식별저장부(623)에 저장된 제3 식별정보(THIRD_ID)인 '{2}'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5 판단동작은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5 판단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4 방향에 제6 동작장치(60)가 아닌 제7 동작장치(7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SECOND_IN)는, 제7 동작장치(70)의 제3 식별저장부(724)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FIRST_ID)인 '{3}'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와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5 판단동작은 '실패'가 된다.
그리고, 제6 판단동작에서는, 제2 동작장치(20)의 활성화제어부(242)에 의해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어 활성화된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를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와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6 판단동작은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첫 번째 동작과 제3 방향에 제14 동작장치(14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두 번째 동작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렇게, 제6 판단동작이 첫 번째 동작과 두 번째 동작으로 나눠지는 이유는, 제2 동작장치(20)의 제3 방향에 배치된 제14 동작장치(140)가 제2 동작장치(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인접한 제15 동작장치(150) 및 제3 동작장치(30)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6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3 동작장치(30)의 제2 식별저장부(3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와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6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6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아닌 제4 동작장치(4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4 동작장치(40)의 제2 식별저장부(422)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SECOND_ID)인 '{3}'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6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또한, 제6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3 방향에 제14 동작장치(140)가 배치되는 정상적인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14 동작장치(140)의 제4 식별저장부(14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2}'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제6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 결과는 '성공'이 된다.
반대로, 제6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에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3 방향에 제14 동작장치(140)가 아닌 제15 동작장치(150)가 배치되는 잘못된 상태라면, 제2 동작장치(20)의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정보(FOURTH_IN)는, 제15 동작장치(150)의 제4 식별저장부(1524)에 저장된 제4 식별정보(FOURTH_ID)인 '{3}'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장치(20)의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MY_ID)인 '{2}'과 비교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6 판단동작의 두 번째 동작 결과는 '실패'가 된다.
전술한 제6 판단동작의 첫 번째 동작과 두 번째 동작이 모두 '성공'일 때, 제6 판단동작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제2 동작장치(20)의 제1 방향에 제3 동작장치(3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2 방향에 제1 동작장치(1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며, 제3 방향에 제14 동작장치(140)가 정상적으로 배치되고, 제4 방향에 제6 동작장치(60)가 정상적으로 배치될 때에만 제4 판단동작 내지 제6 판단동작이 모두 '성공'되어 제2 동작장치(20)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있다. 만약, 제4 판단동작 내지 제6 판단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라도 '실패'될 경우 제2 동작장치(20)는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할 수 없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판단동작의 '성공'/'실패' 여부에 의해 제1 타입 동작장치(A)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 및 제4 내지 제6 판단동작의 '성공'/'실패' 여부에 의해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이 의미하는 것은, 결국, 제1 타입 동작장치(A) 및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식별동작구간 이후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동작장치(A) 및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전원이 공급되어 파워-업된 직후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고,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한 이후 나머지 노말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가 모두 예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만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여 나머지 노말 동작이 수행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지 못하면 나머지 노말 동작은 수행되지 못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장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고,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는,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된다. 반면,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 및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을 연결하는 제3 신호전송라인(L23)으로는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에서 제1 방향에 배치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로 식별정보({2} or {4} or {5} or {7} or {10} or {12} or {13} or {15})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식별정보({2})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식별저장부(121)에 저장된 식별정보({2})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2 동작장치(2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2})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판단부(2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2'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228)에 저장된 식별정보({2})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9 동작장치(90)의 제1 식별저장부(921)에 저장된 식별정보({10})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제1 식별저장부(921)에 저장된 식별정보({10})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0'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0 동작장치(100)는, 제9 동작장치(9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0})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028)에 저장된 식별정보({10})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0 동작장치(100)의 판단부(10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0'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028)에 저장된 식별정보({10})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에서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로 식별정보({1}, {3}, {6}, {8}, {9}, {11}, {14}, {16})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32tck + 32tck) 동안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2 동작장치(20)의 제2 식별저장부(222)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2 동작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0 동작장치(100)의 제2 식별저장부(1022)에 저장된 식별정보({9})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0 동작장치(100)의 제2 식별저장부(1022)에 저장된 식별정보({9})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9 동작장치(90)는, 제10 동작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9})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판단부(9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비활성화되고,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는,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3 신호전송라인(L23)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된다. 반면,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 및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으로는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에서 제3 방향에 배치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로 식별정보({2} or {4} or {5} or {7} or {10} or {12} or {13} or {15})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 식별정보({13})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3 식별저장부(123)에 저장된 식별정보({13})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3'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3 동작장치(13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3})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328)에 저장된 식별정보({13})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3 동작장치(130)의 판단부(13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3'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328)에 저장된 식별정보({13})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9 동작장치(90)의 제3 식별저장부(923)에 저장된 식별정보({5})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제3 식별저장부(923)에 저장된 식별정보({5})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5'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5 동작장치(50)는, 제9 동작장치(9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5})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528)에 저장된 식별정보({5})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5 동작장치(50)의 판단부(5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5'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528)에 저장된 식별정보({5})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에서 제4 방향에 배치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로 식별정보({1}, {3}, {6}, {8}, {9}, {11}, {14}, {16})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32tck + 32tck) 동안 제13 동작장치(130)의 제4 식별저장부(1324)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3 동작장치(130)의 제4 식별저장부(1324)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13 동작장치(13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3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5 동작장치(50)의 제4 식별저장부(524)에 저장된 식별정보({9})를 제2 신호전송단(2)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5 동작장치(50)의 제4 식별저장부(524)에 저장된 식별정보({9})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9 동작장치(90)는, 제5 동작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9})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판단부(9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비활성화되고,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는,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비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된다. 반면,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을 연결하는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으로는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에서 제2 방향에 배치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로 식별정보({2} or {4} or {5} or {7} or {10} or {12} or {13} or {15})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식별정보({4})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2 식별저장부(122)에 저장된 식별정보({4})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4 동작장치(4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4})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판단부(4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4'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428)에 저장된 식별정보({4})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9 동작장치(90)의 제2 식별저장부(922)에 저장된 식별정보({12})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제2 식별저장부(922)에 저장된 식별정보({12})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2'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2 동작장치(120)는, 제9 동작장치(9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2})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28)에 저장된 식별정보({12})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2 동작장치(120)의 판단부(12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2'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28)에 저장된 식별정보({12})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에서 제1 방향에 배치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로 식별정보({1}, {3}, {6}, {8}, {9}, {11}, {14}, {16})를 출력한다.
즉,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32tck + 32tck) 동안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4 동작장치(40)의 제1 식별저장부(421)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4 동작장치(4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2 동작장치(120)의 제1 식별저장부(1221)에 저장된 식별정보({9})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2 동작장치(120)의 제1 식별저장부(1221)에 저장된 식별정보({9})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9 동작장치(90)는, 제12 동작장치(12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9})를 제3 신호전송단(3)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판단부(9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식별동작구간에 진입하면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는,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1)이 활성화되고,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3)이 비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는,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2)이 비활성화되고,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4)이 활성화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타입 동작장치(A)와 제2 타입 동작장치(B)는 특정한 하나의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지 않고, 모든 신호전송라인, 즉, 제1 신호전송단(1)과 제2 신호전송단(2)을 연결하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과 제2 신호전송단(2)과 제3 신호전송단(3)을 연결하는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3 신호전송단(3)과 제4 신호전송단(4)을 연결하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통해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한 이유는,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제1 타입 동작장치(A)에서 비활성화된 제3 신호전송단(3)이 제2 방향과 제3 방향 사이에서 서로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바이패스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제2 타입 동작장치(B)에서 비활성화된 제2 신호전송단(2)이 제2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에서 서로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바이패스하는 수행하기 때문이다.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에서 제4 방향에 배치된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로 식별정보({2} or {4} or {5} or {7} or {10} or {12} or {13} or {15})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식별정보({5})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4 식별저장부(124)에 저장된 식별정보({5})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5'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된 식별정보({5})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과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거쳐서 제5 동작장치(50)의 제4 신호전송단(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5 동작장치(50)는, 제1 동작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5})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528)에 저장된 식별정보({5})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5 동작장치(50)의 판단부(5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5'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528)에 저장된 식별정보({5})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첫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9 동작장치(90)의 제4 식별저장부(924)에 저장된 식별정보({13})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제4 식별저장부(924)에 저장된 식별정보({13})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3'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출력된 식별정보({13})는 제1 신호전송라인(L12)과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2 신호전송라인(L43)을 거쳐서 제13 동작장치(130)의 제4 신호전송단(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3 동작장치(130)는, 제9 동작장치(9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3})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328)에 저장된 식별정보({13})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3 동작장치(130)의 판단부(13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3'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328)에 저장된 식별정보({13})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은 제2 타입 동작장치(B)에 포함되는 제2 동작장치(20)와 제4 동작장치(40)와 제5 동작장치(50)와 제7 동작장치(70)와 제10 동작장치(100)와 제12 동작장치(120)와 제13 동작장치(130) 및 제15 동작장치(150)에서 제3 방향에 배치된 제1 타입 동작장치(A)에 포함되는 제1 동작장치(10)와 제3 동작장치(30)와 제6 동작장치(60)와 제8 동작장치(80)와 제9 동작장치(90)와 제11 동작장치(110)와 제14 동작장치(140) 및 제16 동작장치(160)로 식별정보({1}, {3}, {6}, {8}, {9}, {11}, {14}, {16})를 출력한다.
즉,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32tck + 32tck) 동안 제5 동작장치(50)의 제3 식별저장부(523)에 저장된 식별정보({1})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5 동작장치(50)의 제3 식별저장부(523)에 저장된 식별정보({1})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된 식별정보({1})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과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거쳐서 제1 동작장치(10)의 제1 신호전송단(1)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동작장치(10)는, 제5 동작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1})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장치(10)의 판단부(1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1'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128)에 저장된 식별정보({1})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전환동작구간과 제4 전환동작구간이 서로 겹치는 구간에서 소스 클록(SCLK)의 두 번째 32주기(16tck + 16tck) 동안 제13 동작장치(130)의 제3 식별저장부(1323)에 저장된 식별정보({9})를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3 동작장치(130)의 제3 식별저장부(1323)에 저장된 식별정보({9})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제4 신호전송단(4)을 통해 출력된 식별정보({9})는 제2 신호전송라인(L43)과 제3 신호전송라인(L23) 및 제1 신호전송라인(L12)을 거쳐서 제9 동작장치(90)의 제1 신호전송단(1)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9 동작장치(90)는, 제13 동작장치(13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9})를 제1 신호전송단(1)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비교한다. 여기서, 제9 동작장치(90)의 판단부(946)는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가 '9'번 이루어진 것을 카운팅 한 뒤, 카운팅 결과가 해당 식별저장부(928)에 저장된 식별정보({9})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한편, 동작장치모듈에는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가 포함되어 총 16개의 동작장치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는 4비트의 데이터만 있으면 충분하고, 이를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횟수로 환산하면 최대 16번만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스 클록(SCLK)의 토글링 주기가 32번 발생하는 동안 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 전송 동작이 연속으로 발생하는 형태이므로 중간에 충분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스 클록(SCLK)을 제1 내지 제16 동작장치(10, 20, 30, ... , 150, 160)에 모두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이 따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소스 클록(SCLK)의 전송에 대한 마진이 충분히 확보될 필요도 있다. 물론, 전술한 설명처럼 첫 16주기(16tck) 동안은 식별정보({1} or {2} or {3} or ... or {15} or {16})를 전송하고 이어지는 16주기(16tck) 동안은 마진으로 남겨두는 방식은 실시예일 뿐, 실제로는 16주기(16tck)보다 더 짧거나 더 긴 주기동안 마진으로 남겨두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면, 동일한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장치가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동작장치모듈의 경우, 다수의 동작장치가 스스로 설정된 패턴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각각의 동작장치가 스스로의 배치상태를 확인하여 이후의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동작장치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동작장치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A : 제1 타입 동작장치 B : 제2 타입 동작장치
10, 20, 30, 40 : 제1 내지 제4 동작장치
12, 22, 32, 42 : 제1 내지 제4 저장부
14, 24, 34, 44 : 제1 내지 제4 식별부
{1}, {2}, {3}, {4} : 제1 내지 제4 식별정보
10, 20, 30, ... , 150, 160 : 제1 내지 16 동작장치
12, 22, 32, ... , 152, 162 : 제1 내지 제16 저장부
14, 24, 34, ... , 154, 164 : 제1 내지 제16 식별부
{1}, {2}, {3}, ... , {15}, {16} : 제1 내지 제16 식별정보
1 : 제1 신호전송단 2 : 제2 신호전송단
3 : 제3 신호전송단 4 : 제4 신호전송단
L12 : 제1 신호전송라인 L43 : 제2 신호전송라인
L23 : 제3 신호전송라인

Claims (20)

  1. 서로 간에 인접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할당된 K개의 동작장치를 포함하며,
    K개의 상기 동작장치 각각은,
    해당 상기 동작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M개의 상기 동작장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식별동작구간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M개의 상기 동작장치가 상기 설정된 패턴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부
    를 구비하는 동작장치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K개의 상기 동작장치는,
    상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배치형태에 따라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 및 제2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을 포함하는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상기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 및 상기 제2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을 포함하는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에서 각각 서로 번갈아 가면서 직렬 형태로 배치되며,
    신호전송라인이 상기 제1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2 신호전송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3 신호전송단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 중 어떠한 타입의 동작장치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타입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해당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해당 식별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식별저장부; 및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2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2 식별저장부를 구비하는 동작장치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활성화제어부;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활성화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식별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해당 상기 동작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활성화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해당 상기 동작장치 외부에서 입력되는 값과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는 동작장치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어부는,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상기 타입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이후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을 설정된 순서대로 한 그룹씩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어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전환동작과,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는 제2 전환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상기 제1 전환동작과,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는 상기 제2 전환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동작과,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 및 제2 판단동작 각각에서 비교한 모든 값이 일치할 때 상기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며,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동작과,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3 및 제4 판단동작 각각에서 비교한 모든 값이 일치할 때 상기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K개의 상기 동작장치는,
    상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배치형태에 따라 제1 방향의 제1 신호전송단과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제3 신호전송단을 포함하는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상기 제1 방향의 제4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제2 신호전송단을 포함하는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 및 상기 제3 방향과 상기 제4 방향 사이에서 각각 서로 번갈아 가면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며,
    신호전송라인이 상기 제1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2 신호전송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3 신호전송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신호전송단과 상기 제2 신호전송단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 상기 동작장치와 제2 타입 상기 동작장치 중 어떠한 타입의 동작장치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타입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해당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해당 식별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식별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2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2 식별저장부;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제3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3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3 식별저장부; 및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제4 방향에 배치된 상기 동작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제4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4 식별저장부를 구비하는 동작장치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1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활성화제어부;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활성화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4 식별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해당 상기 동작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활성화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해당 상기 동작장치 외부에서 입력되는 값과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는 동작장치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어부는,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시점에서 상기 타입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1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활성화 나머지 그룹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이후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3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과 상기 제1 및 제4 신호전송단 그룹을 설정된 순서대로 번갈아 가면서 한 그룹씩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어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전환동작과,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는 제2 전환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식별동작구간의 진입구간에서 상기 소스 클록이 설정된 횟수만큼 토글링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제3 전환동작과,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활성화시키는 제4 전환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어부는,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절반은,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의 절반과 겹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의 절반과 겹치며,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절반은,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지 않는 절반의 구간과 겹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지 않는 절반의 구간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4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3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상기 제3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3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3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2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4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4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3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상기 제4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4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제1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동작과,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3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동작과,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3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판단동작 각각에서 비교한 모든 값이 일치할 때, 상기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결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가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1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동작과,
    상기 제3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 중 상기 제2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과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4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5 판단동작과,
    상기 제4 전환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4 신호전송단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에서 입력되는 값과 해당 상기 동작장치의 상기 해당 식별저장부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6 판단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4 내지 제6 판단동작 각각에서 비교한 모든 값이 일치할 때, 상기 식별동작구간에서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장치모듈.
KR1020140175012A 2014-12-08 2014-12-08 동작장치모듈 KR2016006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12A KR20160069262A (ko) 2014-12-08 2014-12-08 동작장치모듈
US14/716,561 US9928129B2 (en) 2014-12-08 2015-05-19 Operation apparatus module
CN201510493297.4A CN105677235B (zh) 2014-12-08 2015-08-12 操作装置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12A KR20160069262A (ko) 2014-12-08 2014-12-08 동작장치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62A true KR20160069262A (ko) 2016-06-16

Family

ID=5609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012A KR20160069262A (ko) 2014-12-08 2014-12-08 동작장치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8129B2 (ko)
KR (1) KR20160069262A (ko)
CN (1) CN105677235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5283B2 (ja) 1997-11-14 2003-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29181A (ko) 1998-10-21 2000-05-25 우상엽 체력 단련 장치 및 체력 단련 방법
US7779212B2 (en) 2003-10-17 2010-08-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ata from multiple sources over a communications bus
JP2012118739A (ja) * 2010-11-30 2012-06-21 Toshiba Corp 記憶装置、及び制御方法
US9208714B2 (en) * 2011-08-04 2015-12-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for refreshing image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3677446A (zh) * 2013-11-14 2014-03-26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显示设备、摄像式触控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77235B (zh) 2020-06-26
US9928129B2 (en) 2018-03-27
US20160162191A1 (en) 2016-06-09
CN105677235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68630A1 (en) Runtime drive detection and configuration
CN104615401A (zh) 一种基于fpga实现kvm方法
CN102541469A (zh) 固件存储系统中数据保护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90026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function pins in management controller stack
CN105790830A (zh) 光模块在位检测方法和装置
US10372364B2 (en) Storage enclosure with daisy-chained sideband signal routing and distributed logic devices
CN109299022A (zh) 一种usb接口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6149161B2 (ja) チップセレクトを低減させる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544121A (zh) 一种基于微服务系统管理槽位号的方法、设备及系统
CN103412838B (zh) 一种扩展系统、通信方法、地址配置方法、设备及装置
US1134101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ebugging device
CN104750633A (zh) Fpga设备访问验证装置及方法
CN116628708B (zh) 启动芯片的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3389923B (zh) 随机存储器访问总线ecc校验装置
CN103838638A (zh) Fpga外挂存储器校验方法及装置
KR20160069262A (ko) 동작장치모듈
US9792230B2 (en) Dat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CN104216850B (zh) 接口传输设备
CN103389924B (zh) 应用于随机存储器的ecc存储系统
CN201876870U (zh) 内部整合电路总线的测试系统及其装置
CN103984614A (zh) 一种监控方法及监控装置、电子设备
CN101533372B (zh) 数据存取系统
CN103389922B (zh) 用于随机存储器的总线ecc校验系统
CN102571443A (zh) 一种异常处理的方法和装置
CN103838996B (zh) 计算机系统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