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003A -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003A
KR20160068003A KR1020140148168A KR20140148168A KR20160068003A KR 20160068003 A KR20160068003 A KR 20160068003A KR 1020140148168 A KR1020140148168 A KR 1020140148168A KR 20140148168 A KR20140148168 A KR 20140148168A KR 20160068003 A KR20160068003 A KR 2016006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filler
filler
pres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인
Original Assignee
김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인 filed Critical 김영인
Priority to KR102014014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003A/ko
Publication of KR2016006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이종의 연료를 주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필러도어를 열었을 때 연료 종류를 나타내는 혼유방지차단판이 있어 연료 주유자가 해당 자동차에 적합한 연료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자동차 측면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연료필러(Fuel filler)를 개폐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필러를 개폐하기 위한 필러도어와; 일측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러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혼유방지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 개방시 상기 연료필러가 노출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는 연료의 명칭이 기재되거나 상기 연료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필러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와 원터치 탈착 가능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 기재된 상기 연료의 명칭 기재시 또는 색상 도포시 야광 물질 또는 반사 물질을 추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유방지차단판을 장착하여 주유시 주입 연료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게 하므로 혼유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엔진 계통에 이종 연료를 주입함으로 엔진계통을 전면적으로 세척하고 수리하는 것과, 이로 인한 시간 손실 및 엔진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Fuel type display apparatus for avoiding confusion}
본 발명은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이종의 연료를 주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필러도어를 열었을 때 연료 종류를 나타내는 혼유방지차단판이 있어 연료 주유자가 해당 자동차에 적합한 연료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휘발유, 경유, 가스 등의 사용 연료에 따라 엔진 등의 여러 장치가 구별되어 장착되므로, 주유시 적합한 연료를 주입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디젤 자동차에는 경유, 가솔린 자동차에는 휘발유를 주유한다.
한편, 주유원이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어떤 연료를 사용하는지 확인 후 주유를 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주유원은 트럭이면 경유, 승용차면 휘발유 등과 같이 단순히 판별하고 주유할 경우가 있다. 또는 운전자가 주유원에게 연료의 종류를 알려주거나, 연료 연료필러 주변에 경유 또는 휘발유인지를 표시하여 주유원이 식별하게 하고 있다.
또한, 대형 자동차(승합차, 버스, 트럭 등)에 주로 적용되어 오던 디젤 엔진이 최근에는 승용차용(승용 디젤 엔진)으로 개발되어 디젤 승용차의 출시가 증가되고 있으며, 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하여 가솔린 자동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연비를 가지는 디젤 자동차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는 디젤 자동차가 경유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오염방지 기술의 발달과 엄격한 사용기준의 강화로 인하여 현재는 국가 또는 국제적으로 정한 환경오염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 자동차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의 사용에 있어서,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의 형태에 익숙한 운전자나 연료 주입자(주유원)라 할지라도 정확한 주유 대상을 혼동하기도 한다. 즉,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의 구분을 자동차의 외관을 보고 판단하는 경우, 디젤 자동차에 휘발유를 주입하거나 가솔린 자동차에 경유를 주입하므로 연료계통에 고장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유캡이나 연료필러 주변의 표식은 오염에 의해 연료 종류의 식별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주유원의 실수로 다른 종류의 연료를 주입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하여 자동차의 엔진이 손상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주유소에서 연료를 자동차에 주유하기 위해서 일단 자동차의 연료필러(3)의 필러도어(1)를 먼저 열고 그 다음 주유캡(2)을 돌려서 경유나 휘발유 등의 연료를 주유한다. 그런데, 주유캡(2)을 돌리는 행동에서 대부분 순간적인 인지부족으로 이종 연료를 주유하는 혼유 사고가 종종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를 급유한 이후, 자동차를 주행하게 되면, 엔진 계통에 이종 연료가 투입되어 엔진계통을 전면적으로 세척하고 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시간 손실 및 엔진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및 정신적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료가 잘못 주유될 경우에 자동차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적합한 연료를 알려주는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연료별로 색상을 정하고, 연료 주입 필러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특정 색상이 보이도록 하여 주입 연료의 종류를 알려주는 방법이나, 연료 주입 필러도어 또는 주유캡에 연료의 종류를 문자로 인쇄하여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다.
그리고 연료 주입 필러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연료의 종류를 표시하는 음성 또는 문자 출력장치 등의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즉,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92819호 발명의 명칭 "디젤 자동차의 연료 종류 알림장치",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93956호 발명의 명칭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93313호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연료종류 알람 장치" 등과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또는 구조는 오염에 의해 연료 종류의 식별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고, 각 구성들이 산만하게 설치되어 있거나 연료 주입 필러도어가 개방되었어도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전자장치의 손상으로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92819호, 발명의 명칭 "디젤 자동차의 연료 종류 알림장치" (등록일자 2008년 01월 02일)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93956호, 발명의 명칭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공개일자 2007년 09월 19일)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93313호,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연료종류 알람 장치" (공개일자 2007년 09월 1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에 이종의 연료를 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필러도어를 열었을 때 연료 종류를 나타내는 혼유방지차단판이 있어 연료 주유자가 해당 자동차에 적합한 연료인지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도록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자동차 측면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연료필러(Fuel filler)를 개폐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필러를 개폐하기 위한 필러도어와; 일측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러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혼유방지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 개방시 상기 연료필러가 노출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는 연료의 명칭이 기재되거나 상기 연료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필러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와 원터치 탈착 가능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 기재된 상기 연료의 명칭 기재시 또는 색상 도포시 야광 물질 또는 반사 물질을 추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유방지차단판을 장착하여 주유시 주입 연료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게 하므로 혼유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엔진 계통에 이종 연료를 주입함으로 엔진계통을 전면적으로 세척하고 수리하는 것과, 이로 인한 시간 손실 및 엔진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필러도어 및 연료필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반적인 연료 필러도어 및 연료필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반적인 연료 필러도어 및 연료필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연료 주입자가 연료 종류를 혼동하지 않고 다시 한번 더 인식할 수 있는 시간과 동작을 요구하게 하여 이종 연료를 주입하여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도 2 및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자동차 측면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연료필러(Fuel filler, 30)를 개폐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필러(30)를 개폐하기 위한 필러도어(10)와; 일측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러도어(10) 내측에 배치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구비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20) 개방시 상기 연료필러(30)가 노출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20)에는 연료의 명칭이 기재되거나 상기 연료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a)는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 적용하여 연료 종류가 경유(Diesel)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게 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3의 (b)는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 적용하여 연료 종류가 휘발유(Gasoline)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게 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연료 필러도어(1)를 열면 바로 연료필러(3) 안의 연료 탱크 상부 표면에 있는 주유캡(2)가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주유캡(2)을 열고 주유하다 보면, 예기치 않게 이종의 연료를 주유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연료 필러도어(10)를 열면 주유하고자 하는 연료가 명확하게 보이는 혼유방지차단판(20)이 있어 자동차 운전자 본인이나 제3자의 주유자에게 적합한 연료를 인지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유방지차단판(20)을 열면 연료필러(30)가 노출되고 연료 탱크(50) 내의 주유캡(40)이 있어 종래와 같이 주유캡(40)을 열고 주유하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요 핵심 기술적 사상은 주입하고자 하는 연료가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동작을 요구하게 하는 혼유방지차단판(20)에 있다, 이에 혼유방지차단판(20)을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한다.
한편, 혼유방지차단판(20)를 여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가지를 실시예로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2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필러(30)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22')와 원터치(One touch) 탈착 가능한 것이다.
혼유방지차단판(20)은 일측이 자동차에 힌지결합되고, 그 내측면과 대응하는 연료필러(30) 일측과 한쌍의 원터치(One touch) 열림장치인 돌출부 및 체결부재(22, 22')가 구비되어, 혼유방지차단판(20) 일측을 누르면 원터치(One touch)로 혼유방지차단판(20)이 개방되어 연료 연료필러(30)가 개구(開口)되는 것이다. 이후 연료 탱크(50) 내의 주유캡(40)이 있어 종래와 같이 주유캡(40)을 열고 주유하면 된다.
참고로, 원터치(One touch)란 표면의 일측을 건드리면 원하는 대로 될 정도로 간단한 조작 또는 그런 물건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혼유방지차단판(20)의 표면 일측을 손으로 누르면 살짝 눌러지면서 혼유방지차단판(20)의 내측면 및 연료 연료필러 일측에 한쌍의 원터치(One touch) 열림장치인 돌출부 및 체결부재(22, 22')가 구비되어 있어 혼유방지차단판(20)을 고정하던 원터치 열림장치(22, 22')에 의해 열린다. 즉, 원터치 열림장치(22, 2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던 혼유방지차단판(20)이 일측에 힌지 연결된 힌지축(2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연료필러(30)에서 돌출되어 개방하게 된다. 다음, 연료 탱크(50) 일측에 있는 주유캡(40)를 열고 주유하고 주유가 끝난 후에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개별적으로 닫을 필요 없이 혼유방지차단판(20)이 연료필러 필러도어(10)와 연동되어 있어 연료필러 필러도어(10)를 닫으면 따라서 닫혀지게 되어 한번에 연료필러 필러도어(10) 및 혼유방지차단판(20)이 닫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혼유방지차단판(20)의 동작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가 흐려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연료필러 필러도어(10)를 개방하였을 때 주입하고자 하는 연료가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동작을 요구하게 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이 존재하게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혼유방지차단판(20)의 개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피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자동차 측면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연료필러(Fuel filler)를 개폐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필러를 개폐하기 위한 필러도어와; 상기 필러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혼유방지차단판을 구비하며,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Slide)하여 혼유방지차단판(20)이 이동하면 연료필러(30)가 노출되는 것이다.
참고로, 슬라이드(Slide)란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동작을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일측에서 타측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화면이 바뀌듯이 혼유방지차단판(20)이 슬라이드(Slide)되듯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손으로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Slide)하면 혼유방지차단판(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러(30) 일측 내부로 삽입 이동하게 되어 연료 연료필러(30)가 개구(開口)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동작에 대해 좀 더 설명을 하면, 연료 필러도어(10)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이 내재된 돌출돌기(12)가 탑재되어 있다. 주유하기 위해서 연료 필러도어(10)를 개방하면 내부에는 혼유방지차단판(20)이 있고 혼유방지차단판(20)을 통해서 주입하고자 하는 연료가 무엇인지 인지한 후에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을 손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혼유방지차단판(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러(30) 일측 내부로 삽입 이동하게 되고, 혼유방지차단판(20)이 이동하여 돌출돌기(12)를 지나게 되면 돌출돌기(12)가 돌출되어 혼유방지차단판(20)이 일측이 걸려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이동이 정지되도록 고정한다. 혼유방지차단판(20)이 열리면 연료필러(30)가 개구(開口)되어 연료 탱크(50) 내의 주유캡(40)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캡(40)을 열고 주유하면 된다.
또한, 주유캡(40)를 열고 주유가 끝난 후에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개별적으로 닫을 필요 없이 혼유방지차단판(20)이 연료 필러도어(10)와 연동되어 있어 연료 필러도어(10)를 닫으면 돌출돌기(12)가 혼유방지차단판(20)과 평행하게 되어 혼유방지차단판(20)의 이동을 막는 돌출돌기(12)가 닫혀 힘이 소거되므로 혼유방지차단판(20) 자체 무게에 따른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거나 혼유방지차단판(2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닫혀지도록 하여 한번에 연료필러 필러도어(10) 및 혼유방지차단판(20)이 닫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혼유방지차단판(20)의 동작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가 흐려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연료 필러도어(10)를 개방하였을 때 주입하고자 하는 연료가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동작을 요구하게 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이 존재하게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혼유방지차단판(20)의 개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또한 피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혼유방지차단판(20)을 개방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기재하지 않았지만 당업자가 통상의 지식으로 용이하게 개방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상기 혼유방지차단판(20)에는 연료의 명칭이 기재되거나 상기 연료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에는 연료 명칭을 기재되거나 연료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는 혼유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연료 연료 필러도어(10)를 열면, 바로 주유캡(40)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경유(Diesel)는 녹색, 휘발유(Gasoline)는 노랑색으로 자동차 고유의 유종을 시각적으로 한번 더 확인할 수 있는 혼유방지차단판(20)이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혼유방지차단판(20)을 주유하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혼유방지차단판(20) 일측을 손으로 한번 눌러주면 열리게 되며, 그 다음 주유캡(40)이 나오면 주유캡(40)을 돌려서 주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혼유방지차단판(20)을 사용하는 경우 시각적으로 우선 한번 더 확인하고 행동으로 이를 동작하는 방법이므로 경유, 휘발유 등의 혼유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연료 인지용 이중 구조의 주유구 도어 열림 장치는 혼유방지차단판(20)에 기재된 연료의 명칭 기재시 또는 색상 도포시 야광 물질 또는 반사 물질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에는 야광 또는 반사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 광원이 약한 곳에서도 주입 연료의 종류를 쉽게 식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혼유방지차단판(20)의 표면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 굴절, 투과시키는 빛 반사판일 수도 있고, 반사도료를 코팅 또는 도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혼유방지차단판(20) 자체를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혼유방지차단판(20)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그 위에 반짝이시트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연료 인지용 이중 구조의 주유구 도어 열림 장치는 혼유방지차단판(20) 표면에는 혼유방지차단판(20)의 열림 방법을 표시하는 안내 문구가 기재될 수 있다. 이는 혼유방지차단판(20) 개폐할 때 사용자가 쉽게 열림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내부 혼유방지차단판을 장착하여 주유시 주입 연료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시간 및 동작이 필요하게 하여 혼유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게 한다.
또한, 엔진 계통에 이종 연료를 주입함으로 엔진계통을 전면적으로 세척하고 수리하는 것과, 이로 인한 시간 손실 및 엔진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필러도어 20 : 혼유방지차단판
30 : 연료필러 40 : 주유캡

Claims (3)

  1. 자동차 측면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연료필러(Fuel filler)를 개폐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필러를 개폐하기 위한 필러도어와;
    일측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러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혼유방지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 개방시 상기 연료필러가 노출되며,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는 연료의 명칭이 기재되거나 상기 연료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필러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와 원터치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유방지차단판에 기재된 상기 연료의 명칭 기재시 또는 색상 도포시 야광 물질 또는 반사 물질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KR1020140148168A 2014-10-29 2014-10-29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KR20160068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68A KR20160068003A (ko) 2014-10-29 2014-10-29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68A KR20160068003A (ko) 2014-10-29 2014-10-29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03A true KR20160068003A (ko) 2016-06-15

Family

ID=5613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168A KR20160068003A (ko) 2014-10-29 2014-10-29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티 아이싱 충전도어 장치 및 친환경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313A (ko) 2006-10-20 2007-09-18 박원병 차량용 연료종류 알람 장치
KR20070093956A (ko) 2007-08-31 2007-09-19 박원병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KR100792819B1 (ko) 2006-05-15 2008-01-14 (주)글로벌 해드 컴퍼니 디젤 자동차의 연료 종류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9B1 (ko) 2006-05-15 2008-01-14 (주)글로벌 해드 컴퍼니 디젤 자동차의 연료 종류 알림장치
KR20070093313A (ko) 2006-10-20 2007-09-18 박원병 차량용 연료종류 알람 장치
KR20070093956A (ko) 2007-08-31 2007-09-19 박원병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티 아이싱 충전도어 장치 및 친환경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0465A1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a fuel nozzle
US20140284329A1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5242075A (en) Self-closing cap for the filler neck of the oil pan of an engine
GB2431634A (en) Device to prevent incorrect fuelling of a vehicle
KR20160068003A (ko) 연료 혼유 방지용 주유구 표시 장치
US2012031983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WO2008024571A2 (en) Automotive fuel filling system
DE102012008418A1 (de) Adapter für einen Öleinfüllstutzen und Montageverfahren des Adapters
CA2875885C (en) Apparatus for securing access to a cap of a tank
KR101130907B1 (ko) 유사휘발유 판별장치
KR101755751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200415543Y1 (ko)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KR101391919B1 (ko) 차량의 혼유방지장치
JP2017202834A (ja) 誤給油防止方法
KR101894842B1 (ko) 유종이 다른 연료의 주유를 방지하기 위한 주유파이프의 구조
US20150114960A1 (en) Dust cover for capless fuel filler system
KR20090004113A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200481688Y1 (ko) 경유 차량용 주유 캡
KR200346291Y1 (ko) 주유구 밀폐장치
KR100457299B1 (ko)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KR100452726B1 (ko) 주유시 필러도어 주변의 오염방지장치
KR200422355Y1 (ko) 주유시 자동차의 엔진 정지장치
KR200145546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KR20060029521A (ko)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KR20090085274A (ko) 연료 공급시 차량 연료 판별을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