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105A - 의료 - Google Patents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105A
KR20160065105A KR1020167008281A KR20167008281A KR20160065105A KR 20160065105 A KR20160065105 A KR 20160065105A KR 1020167008281 A KR1020167008281 A KR 1020167008281A KR 20167008281 A KR20167008281 A KR 20167008281A KR 20160065105 A KR20160065105 A KR 2016006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body
vicinity
medical treatment
wear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 수도
아키코 사카모토
타카코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16006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A41C1/14Stays; Ste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의료(1)는 착용자의 골반 상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의 영역에 부착된 군살의 볼륨을 이동시켜서 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고, 제 1 완충부(N1), 제 2 완충부(N2) 및 중간 긴체부(P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완충부(N1) 및 제 2 완충부(N2)는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다. 중간 긴체부(P1)는 제 1 및 제 2 완충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으로부터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도록 만곡하면서 앞중심측에 이르는 앞측 부분과,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보다 뒷중심측 쪽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는 만곡 형상을 갖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다.

Description

의료{GARMENT}
본 발명은 착용자를 피복하는 의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정 속옷을 착용해 바디 라인을 조정한 후에 옷을 착용함으로써, 착용자가 옷을 아름답고 맵시있게 입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정 속옷은 군살을 누름으로써 보정 속옷을 착용 후의 착용자의 사이즈를, 보정 속옷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의 착용자의 사이즈보다 작게 해서 체형을 보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디슈트의 이면측에 국부적으로 덧천을 봉합해서 덧천에 의한 감아올림 효과로 체형을 보정하는 의료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5-179873호 공보
그러나, 국부적으로 군살을 누르는 보정 속옷은, 군살을 누르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의 경계에서 바디 라인이 무너질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부적으로 군살을 누르면 누르지 않는 부분으로 군살이 빠져나와 보정 전에 군살의 불룩함(볼륨)이 생긴 장소와 다른 장소로 군살의 불룩함이 이동할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정 속옷은 군살을 심하게 졸라서 누르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움직이기 어려움이나 괴로움을 주어버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정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 가능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은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본체부를 구비한 의료이며, 본체부는 제 1 완충부, 제 2 완충부, 중간 긴체부(緊締部)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완충부는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부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다. 제 2 완충부는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다. 중간 긴체부는 제 1 및 제 2 완충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으로부터 랑게르선(Langer's line)을 가로지르도록 만곡하면서 앞중심측에 이르는 앞측 부분과,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보다 뒷중심측 쪽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는 만곡 형상을 갖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늑골의 하단 근방을 경유해서 앞중심측과 뒷중심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완충부와,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을 경유해서 앞중심측과 뒷중심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완충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중간 긴체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완충부, 제 2 완충부, 중간 긴체부는 모두 만곡 형상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랑게르선(피부 할선)과 평행하게 피부를 착의 등으로 압박하면 파고들기 쉬운 것에 대해, 랑게르선과 교차하도록 착의 등으로 압박하면 착의 등이 피부에 파고들기 어렵다.
또한,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향해서 랑게르선을 따르도록 해서 피하조직의 결합이 강한 선 형상 영역이 존재하고, 이 영역에 선 형상으로 주름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뒷중심측으로 향해서 랑게르선을 따르도록 해서 피하조직의 결합이 강한 선 형상 영역이 존재하고, 이 영역에 선 형상으로 주름지는 것도 판명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의료는, 이들 주름이 지기 쉬운 선 형상 영역을 제 1 및 제 2 완충부로 덮으면서, 그 사이의 중간 부분을 중간 긴체부로 조인다.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특징에 관계되는 의료는, 군살의 볼륨을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하의 제 1 및 제 2 완충부측으로 밀어내어서 이동시키고, 체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의료는, 조임력이 큰 중간 긴체부는 상기 주름이 지기 쉬운 선 형상 영역을 피해서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파고듬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의료는 긴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조이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조임감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정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 가능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백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프런트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등측의 각 부의 착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군살의 불룩함과, 불룩함의 상하에 보이는 주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에 대해서, 등측의 군살의 불룩함, 주름, 및 긴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배측의 랑게르선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등측의 랑게르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함과 아울러, 가압에 의해 이동한 군살을 지탱해서 고르게 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신축 허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작 중과 동작 후의 의료의 착용 상태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등측의 각 부의 착용시의 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와 일반적인 보정 속옷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 등측에서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와 일반적인 보정 속옷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 우측에서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와 일반적인 보정 속옷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 상반신을 비튼 상태에서 우측에서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신축 허용부의 베리에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1)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신축 허용부의 베리에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2)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의료)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의료(1)는 신축성을 구비하는 생지이며, 착용자의 동체부의 바디 라인에 피팅하여 착용자의 일부를 피복한다. 의료(1)는 옷을 착용하기 전에 착용자의 바디 라인을 조정하는 보정 속옷이다. 의료(1)는 브래이지어(U1)와 병용해서 착용할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의료(1)는, 컵부를 가짐으로써 브래이지어의 기능도 실현해도 좋다. 또한, 의료(1)는 동체를 피복할 경우를 설명하지만, 하지부까지 피복해도 좋고, 허리보다 상측을 덮는 상반신용 의료라도 좋다. 또한, 의료(1)는 보정 속옷에 한정되지 않고, 수영복이나 레오타드 등, 착용자의 바디 라인이 노출되는 의료이어도 좋다.
의료(1)는 백 바디부(1a)와 프런트 바디부(1b)에 의해 형성된다. 백 바디부(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등측의 견갑골 근방으로부터 둔부를 덮는다. 프런트 바디부(1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의 언더 바스트로부터 하지부 상단까지를 덮는다. 의료(1)는 착용자의 골반 상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의 영역 등에 부착된 군살 등의 볼륨을 이동시켜서 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의료(1)는 상고정부(어깨측 지지부)(2), 하고정부(크로치 지지부)(3), 긴체부(P), 완충부(N) 및 약긴체부(Q)를 구비한다.
상고정부(2)는, 예를 들면 어깨 스트랩이며, 동체 상부에서 의료(1)를 상방향으로부터 착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해서 의료(1)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상고정부(2)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의료(1)가 흘러 내리지 않도록 본체부를 어깨에 매달아서 지지한다.
하고정부(3)는, 예를 들면 크로치이며, 동체 하부에서 의료(1)를 하방으로부터 착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해서 의료(1)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하고정부(3)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의료(1)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본체부에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긴체부(P)는 군살의 불룩함(볼륨)을 가압함으로써 군살을 분산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긴체부(P)를 경사 사선의 해칭에 의해 나타낸다. 완충부(N)는 긴체부(P)에 의해 분산된 군살의 볼륨을 긴체부(P)보다 작은 가압에 의해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긴체부(P)와 완충부(N)를 적당하게 인접해서 배치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위치를 가압하여 바디 라인을 고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보정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약긴체부(Q)는 긴체부(P) 등보다 작은 압력이며, 또한 완충부(N)보다 큰 압력을 피부에 작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약긴체부(Q)를 도트의 해칭에 의해 나타낸다.
긴체부(P)는 중간 긴체부(P1), 어깨 옆구리 긴체부(P2) 및 하복부 긴체부(P3)를 구비한다. 약긴체부(Q)는 앞측 약긴체부(Q1) 및 허리부 약긴체부(Q2)를 구비한다. 완충부(N)는 복부 상완충부(N1), 복부 하완충부(N2), 뒷중심 완충부(N3), 배면측 상변 완충부(N4), 및 둔부 완충부(N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를 복부 완충부라고 칭할 경우가 있다.
긴체부(P)에 의한 가압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생지의 스티치 수나 편직 방법을 바꿈으로써 가압하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 생지에 덧천을 배치하거나, 수지 프린트를 실시하거나 함으로써 가압하는 방법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긴체부(P)에 있어서의 가압 방법은 묻지 않는다.
(개요)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에 관하여 착용자의 군살의 불룩함과, 불룩함의 상하에 보이는 주름을 설명한다. 도 4(a)는 인간의 배곧은근을 나타내고, 도 4(b)는 배측의 군살의 불룩함을 나타내고, 도 4(c)는 좌측의 군살의 불룩함을 나타낸다. 도 5는 등측의 군살의 불룩함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군살의 불룩함과 주름의 관계의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군살이 많은 여성을 모델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의 착용자는 군살이 많은 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군살의 불룩함 F1∼F4는 동체의 둘레 방향에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다. 또한, 군살의 불룩함 F1∼F4는 군살의 상하에 주름 W1∼W4를 수반해서 생긴다. 환언하면, 군살의 불룩함 F1은 주름 W1에 의해서 피부가 구획지어지는 것에 의해서 생긴다. 군살의 불룩함 F2는 주름 W1 및 W2에 구획지어지는 것에 의해서 생긴다. 군살의 불룩함 F3은 주름 W2 및 W3에 구획지어지는 것에 의해 생긴다. 군살의 불룩함 F4는 주름 W3 및 W4에 구획지어지는 것에 의해서 생긴다.
이것은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간의 배곧은근(K)이 나눔힘줄(K1∼K3)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3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부를 수평 방향으로 랑게르선이 주행하는 것에 기인한다. 여기에서 랑게르선은, 세포분열의 과정에서 생긴 분열선이며, 피부가 터지기 쉬운 라인의 명칭이다. 랑게르선은 피부 할선이나 Langer 할선 등으로도 불린다.
구체적으로는, 배곧은근(K)이 나눔힘줄(K2)에 의해서 구획지어지는 것에 따라서, 나눔힘줄(K2)의 피부측에 배측의 피부를 구획하는 주름(W2)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수평으로 주행하는 랑게르선을 따라서 등측에도 주름(W2)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주름(W2)의 상부 및 하부에 군살의 불룩함 F2 및 F3이 둘레 방향으로 생긴다. 마찬가지로, 배곧은근(K)이 나눔힘줄(K3)에 의해서 구획지어지는 것에 따라서, 나눔힘줄(K3)의 피부측에 주름(W3)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주름(W3)의 상부 및 하부에 군살의 불룩함 F3 및 F4가 둘레 방향으로 생긴다.
또한, 배곧은근(K)이 나눔힘줄(K1)에 의해 구획지어지는 것에 따라서, 나눔힘줄(K1)의 피부측에 배측의 피부를 구획하는 주름(W1)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랑게르선은 등측의 견갑골 주위에서는 옆구리 밑에서부터 척주(脊柱)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주행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에 있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주행하는 랑게르선을 따라서 옆구리 밑에서부터 척주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주름(W1)이 생기기 쉬워지고, 주름(W1)의 상부 및 하부에 군살의 불룩함 F1 및 F2가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생긴다.
군살의 불룩함 F2, F3 및 F4와, 주름 W2 및 W3의 단면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의 긴체부(P)는, 군살의 불룩함 F2, F3 및 F4를 가압함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불룩함을 형성하는 군살의 볼륨이 주름 W2 및 W3의 위치로 이동하여 불룩함의 높이가 경감된다. 또한, 주름 W2 및 W3은 가압된 군살의 불룩함 F2, F3 및 F4의 군살에 의해 메워지므로 주름의 깊이가 경감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군살의 불룩함을 고르게 하여 단차를 경감한 바디 라인을 형성한다.
이하, 복부, 흉부 및 하복부의 각각에 대해서 바디 라인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내는 긴체부(P), 약긴체부(Q) 및 완충부(N)의 형상이나 위치 등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보정 방법과 다른 보정 방법을, 적당하게 혼합해서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복부, 흉부 및 복부에서 다른 보정 방법으로 보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복부의 등측과 배측에서 다른 보정 방법으로 보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복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부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골반 상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의 배측 및 등측의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중간 긴체부(P1), 복부 상완충부(제 1 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제 2 완충부)(N2)가 복부의 바디 라인의 보정을 담당한다.
중간 긴체부(P1)는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 사이에 형성된다. 중간 긴체부(P1)는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으로부터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도록 만곡하면서 앞중심측에 이르는 앞측 부분과,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보다 뒷중심측 쪽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는 만곡 형상을 갖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중간 긴체부(P1)는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다.
중간 긴체부(P1)는 착용자의 골반 상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의 배측 및 등측에 있어서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한다. 또한 중간 긴체부(P1)는 군살의 불룩함의 상하측에 생기는 주름에 피복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중간 긴체부(P1)는 착용자의 복부에 생기는 군살의 불룩함 위치에 대응해서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긴체부(P1)는, 착용자의 등측의 골반 상단(L3)으로부터 늑골 하단(L1)의 위치 근방에서, 착용자의 둘레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중간 긴체부(P1)는, 등측에 있어서 좌우단 근방에 있어서 대략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단 근방의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긴체부(P1)는, 주름(W2) 및 주름(W3)에 의해 구획되어서 형성되는 군살의 불룩함(F3)을 가압하므로 불룩함(F3)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중간 긴체부(P1)의 상방향에 복부 상완충부(N1)가 설치되고, 하방에 복부 하완충부(N2)가 설치된다.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는 중간 긴체부(P1)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해서 배치되고, 중간 긴체부(P1)의 가압에 의해 이동한 군살을 중간 긴체부(P1)의 가압보다 작은 힘으로 압박한다.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는 군살의 불룩함(F3)의 상하에 보이는 주름 W2 및 W3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배측에서 나눔힘줄을 덮도록 설치되며, 등측에서 배곧은근(K)을 분획하는 나눔힘줄 K2 및 K3 상당의 높이에 설치된다.
복부 상완충부(N1)는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다. 복부 상완충부(N1)는 좌우의 양 옆구리측보다 뒷중심측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 하완충부(N2)는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다. 복부 하완충부(N2)는 좌우의 양 옆구리측과 뒷중심측의 폭이 같은 정도의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는 중간 긴체부(P1)보다 작은 힘이며, 중간 긴체부(P1)에 의해 밀어내어진 군살에 피팅하여 바디 라인을 조정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착용자의 피부를 가압한다. 복부 상완충부(N1) 및 복부 하완충부(N2)는 주름 부분에 군살이 몰림으로써 주름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으므로, 복부 상완충부(N1), 중간 긴체부(P1) 및 복부 하완충부(N2)의 표면이 고르게 되어, 단차가 없는 바디 라인을 실현한다.
또한 중간 긴체부(P1)는 앞중심 근방 및 뒷중심 근방에서 착용자의 랑게르선을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배면시에 있어서 좌단 근방 및 우단 근방에서 랑게르선에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랑게르선을 따라서 피부의 단차가 생기기 쉬워지고, 착용자가 움직임으로써 생지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랑게르선을 따라서 생지가 파고든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 긴체부(P1)는 앞중심 근방 및 뒷중심 근방에서 착용자의 랑게르선을 교차하도록 설치되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생지의 파고듬을 회피한다. 또한 중간 긴체부(P1)는, 좌우단 근방에 있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므로, 복부의 좌우단의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해서 고르게 한다. 이것에 의해, 타인의 눈에 들기 쉬운 좌우단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바디 라인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앞중심 근방 및 뒷중심 근방은 군살의 단차가 생겨도 알기 힘들고, 특히 뒷중심 근방은 비교적 군살이 적고, 주름 및 군살의 불룩함이 생기기 어려운 부위이다. 따라서, 랑게르선에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중간 긴체부(P1)에 의한 가압이 저감해도 아름다운 바디 라인의 형성에 주는 영향은 작고, 또한 움직임에 의한 생지의 파고듬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 긴체부(P1)는 뒷중심 근방에 상하 방향으로 광폭이고, 상하 방향의 신축을 허용하는 신축 허용부(P10)를 구비한다. 신축 허용부(P10)는 착용자가 상반신을 좌우 전후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피부의 신축에 생지가 추종하는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허용부(P10)는 상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만곡부(P11)와, 하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만곡부(P12)를 구비하고, 만곡부(P11)와 만곡부(P12) 사이에 신축부(제 3 완충부)(P13)를 구비하는 환상부이다.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는 뒷중심 근방에 있어서 상하로 분기되어서 환형상을 형성하고,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함으로써 군살을 분산시키기 위한 긴체부이다. 등 중심 완충부(N3)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신축성을 갖고,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보다 작은 착압을 작용시킨다. 신축 허용부(P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스트(L2) 근방으로부터, 골반 상단(L3) 근방에 걸쳐서 뒷중심 근방에 설치되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피부의 이동이 큰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P11)는 중간 긴체부(P1)가 가압하는 불룩함의 상방향에 형성되는 주름에 피복되지 않도록 뒷중심 근방에서 상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만곡부(P11)는 착용자의 등측 좌우단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중간 긴체부(P1)가 Y자 형상으로 분열된 윗 부분이다. 만곡부(P12)는 중간 긴체부(P1)가 가압하는 불룩함의 하방향에 형성되는 주름에 피복되지 않도록 뒷중심 근방에서 하방으로 만곡하고 있다. 만곡부(P12)는 착용자의 등측 좌우단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중간 긴체부(P1)가 Y자 형상으로 분열된 아랫 부분이다. 신축 허용부(P10)는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에 있어서, 각각 착용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1.5∼4.5센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곡부(P11)는 복부 상완충부(N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주름에 걸리지 않도록 만곡한다. 골반의 중심 근방에 군살의 불룩함에 의한 주름은 생기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만곡부(P12)는 만곡부(P11)보다 크게 만곡해서 설치된다.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는 군살의 불룩함을 누르는 것이 가능한 압력을 피부에 주었을 경우라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만복에 의해서 걸침 길이가 길기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신축 허용부(P1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부의 등측에 있어서 옆구리 밑에서부터 척주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주행하는 랑게르선에 교차해서 설치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지의 어긋남에 의해 보이는 주름의 형성을 경감한다.
등 중심 완충부(N3)는 만곡부(P11)와 만곡부(P12)로 형성되는 환상부의 내측부분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신축성을 갖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신축한다. 등 중심 완충부(N3)는 착용자의 등측 좌우단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중간 긴체부(P1)가 Y자 형상으로 분열된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타원 부분이다. 등 중심 완충부(N3)는 만곡부(P11) 및 만곡부(P12)보다 작은 압력이며, 피부에 피팅하는 정도의 압력을 피부에 부여한다.
도 8(a)는 직립시의 신축 허용부(P10)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8(b)는 앞으로 기울인 자세시의 신축 허용부(P10)의 형상을 나타낸다. 앞으로 기울인 자세시에 있어서 신축 허용부(P10)는, 만곡부(P11)에 의해 상방향으로 당겨짐과 아울러, 만곡부(P12)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등 중심 완충부(N3)는 크게 신장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신축 허용부(P10)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피부에 피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신축 허용부(P10)를 설치함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의료(1)의 생지의 어긋남을 방지하므로, 군살의 불룩함을 적절하게 가압하는 위치 및 군살을 메우는 위치의 어긋남을 회피할 수 있다.
도 9(a)는 상반신을 우측 방향으로 기울였을 때의 의료(1)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린 후에 바로 섰을 때의 의료(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에서는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우측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그러나, 그 후 바로 서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은 해소됨과 아울러, 생지의 어긋남도 발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착용자가 움직인 후라도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아름다운 바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흉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흉부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동체 부분 중, 착용자의 늑골 하단 상당위치로부터 상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의한 의료(1)는, 흉부 중 군살이 많은 부분을 피복한다. 의료(1)는 배측에 있어서 착용자의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언더 바스트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등측은 착용자의 늑골 하단 상당위치 부근으로부터 견갑골 근방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피복한다.
어깨 옆구리 긴체부(P2), 복부 상완충부(N1), 앞측 약긴체부(Q1), 배면측 상변 완충부(N4), 상고정부(2) 및 하고정부(3)가 흉부의 등측의 바디 라인의 보정을 담당한다.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중간 긴체부(P1)보다 상측에 복부 상완충부(N1)를 개재해서 구비되고, 견갑골 근방의 군살을 전면적으로 가압한다.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제7흉추로부터 제9흉추에 이르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좌우의 견갑골를 덮도록 좌우의 양 옆구리측으로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다.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견갑골 근방에 형성되는 군살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착용시에 상고정부(2) 및 하고정부(3)를 지점으로 해서 어깨 옆구리 긴체부(P2)에 장력에 기인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구리 밑에서부터 견갑골 하부에 있어서 브래이지어의 착용시에 브래이지어의 배면포(U10)가 위치한다. 배면포(U10)는 브래이지어의 특성상 강한 파워를 갖고 있으므로, 주름(W1)은 배면포(U10)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그래서,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상고정부(2) 및 하고정부(3)와, 견갑골에 의한 융기를 이용하여 견갑골 근방의 생지에 장력을 발생시키고, 이 장력에 의해 견갑골 근방의 군살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견갑골 근방의 군살의 불룩함 F1 및 F2를 전체적으로 넓게 가압하고, 또한 상고정부(2)를 지점으로 해서 상방향으로 끌어올림으로써 군살의 불룩함 F1 및 F2를 고르게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착용자의 등측에서 겨드랑 밑을 경유해서 배측까지 연장해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견갑골로부터 겨드랑 밑 근방의 군살을 배측으로도 당길 수 있다. 또한,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좌우 대략 대칭으로 설치되고, 뒷중심의 제7흉추로부터 제9흉추 근방에 상하 방향을 가늘게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는 것에 의한 응력집중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좌우의 견갑골로부터 옆구리 밑 근방의 군살을 등 중심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견갑골로부터 옆구리 밑 근방의 군살을 좌우 방향으로도 흐트림으로써 군살의 불룩함을 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측의 복부 상완충부(N1)의 상방에는 앞측 약긴체부(Q1)가 배치된다. 앞측 약긴체부(Q1)는 늑골 하단부에서 언더 바스트 부분의 앞중심 근방이며, 브래이지어의 컵부에 피복되지 않는 부분을,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보다 작고, 복부 상완충부(N1)보다 큰 압력으로 가압한다. 앞측 약긴체부(Q1)는 어깨 옆구리 긴체부(P1) 앞중심측에서 상고정부(2)로 계속되는 스트랩 부분에 연장해도 좋다.
또한, 어깨 옆구리 긴체부(P2)의 뒷중심 근방 상방에 배면측 상변 완충부(N4)가 배치된다. 어깨 옆구리 긴체부(P2)는 뒷중심의 제7흉추로부터 제9흉추 근방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 괴로움을 경감하면서 적절하게 좌우 양 옆구리 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고정부(2)로부터 계속되는 배면측 상변 완충부(N4)에 의해 어깨 옆구리 긴체부(P2)가 어긋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하복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복부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동체 부분 중 복부의 하방을 가리킨다.
하복부 긴체부(P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측의 하복부를 넓게 가압하고, 그 상단은 상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익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랑게르선을 교차해서 하복부 긴체부(P3)가 설치되므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하복부 긴체부(P3)가 어긋나는 것을 회피한다. 또한, 하복부 긴체부(P3)가 어긋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됨으로써, 복부 하완충부(N2)도 어긋나기 어렵고, 중간 긴체부(P1)가 적절한 위치를 가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하복부 긴체부(P3)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골 상단 근방까지 연신하여 장골 근방의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한다. 또한, 등측에 있어서 하복부 긴체부(P3)에 인접하여 하복부 긴체부(P3)보다 작은 힘으로 가압하는 허리부 약긴체부(Q2)가 설치되어 있다. 허리부 약긴체부(Q2)는 중간 긴체부(P1) 등보다 작은 압력이며, 또한 둔부 완충부(N5)보다 큰 압력을 피부에 작용시킨다. 허리부 약긴체부(Q2)는 하복부 긴체부(P3)의 가압에 의해 이동한 장골 상단 근방의 군살을 수용하여 골반 근방의 피부를 고르게 함과 아울러, 허리부의 군살을 누름으로써 아름다운 바디 라인을 형성한다.
또한, 둔부에 둔부 완충부(N5)가 설치된다. 둔부 완충부(N5)는 둔부의 융기에 피팅하여 매끈한 바디 라인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둔부 주변에 있어서 허리부 약긴체부(Q2)와 둔부 완충부(N5)를 각각 설치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둔부 완충부(N5)를 설치하지 않고, 둔부 완충부(N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허리부 약긴체부(Q2)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허리부 약긴체부(Q2)가 둔부를 과도하게 조이지 않도록, 허리부 약긴체부(Q2)의 조임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둔부를 과도하게 조임으로써 하고정부(3)의 일부가 상방으로 벗어나 올라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의료의 각 부 위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를, 신장 152센티의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의료(1)의 각 부 위치를 설명한다. 각 부의 위치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11, G12, G13, G14, G15 및 G16은 착용자의 뒷중심 상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참조된다. G11은 제7경추로부터 의료(1)의 뒷중심 상단의 길이를 나타내고, 22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12는 의료(1)의 뒷중심 상단으로부터 어깨 옆구리 긴체부(P2)의 뒷중심 하단 또는 복부 상완충부(N1)의 뒷중심 상단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8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13은 복부 상완충부(N1)의 뒷중심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5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14는 중간 긴체부(P1)의 만곡부(P11)의 뒷중심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2∼3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15는 중간 긴체부(P1)의 등 중심 완충부(N3)의 뒷중심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4∼5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16은 중간 긴체부(P1)의 만곡부(P12)의 뒷중심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2∼3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21, G22 및 G23은 착용자의 우단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참조된다. G21은 어깨 옆구리 긴체부(P2)의 우단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9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22는 복부 상완충부(N1)의 우단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2∼3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23은 제 1 긴체부(P1)의 우단 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4센티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의 착용에 의한 보정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1(a), 도 12(a) 및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를 착용한 도면이고, 도 11(b), 도 12(b) 및 도 13(b)는 일반적인 보정 속옷을 착용한 도면이다.
각 (b)의 도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고, 주름에 의해 바디 라인의 파고듬과, 군살의 불룩함이 발생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각 (a)의 도면에 있어서, 주름의 형성이 경감되어 있으므로 매끈한 바디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복부에 있어서 군살의 불룩함을 가압하여 주름 부분으로 군살을 이동시킴으로써 매끈한 바디 라인을 형성한다. 또한 불룩함이 생겨 있는 부분에 한정해서 압을 부여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괴로움을 주기 어려운 구성으로 한다. 또한, 랑게르선을 넘어서 긴체부(P)를 설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의료(1)의 어긋남을 생기기 어렵게 하므로, 생지의 파고듬이나 바디 라인의 무너짐 등을 회피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보정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제 1 변형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축 허용부(P10)가 口의 글자 형상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a)∼(e), 및 도 15(a)∼(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 고려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되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낸다.
도 14(a)는 마름모꼴 형상의 신축 허용부(P10)를 나타낸다. (b)는 구름 형상의 신축 허용부(P10)를 나타낸다. (c)는 상만곡 가장자리 및 하만곡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이 높고, 중앙으로 될수록 압을 낮게 하는 그라이데이션에 의해 형성되는 신축 허용부(P10)를 나타낸다. (d)는 뒷중심이 도넛 형상이고, 좌우단 방향으로 2방향으로 분기된 긴체부가 설치된 신축 허용부(P10)를 나타낸다. (e)는 중앙에 원 형상의 가압 부분 또는 모양을 설치한다.
도 15(a)는 중앙에 크로스 형상의 가압 부분 또는 모양을 설치한다. (b)는 마름모꼴 형상의 신축 허용부(P10)이고, 중앙에 마름모꼴 형상의 가압 부분 또는 모양을 설치한다. (c)는 중앙에 유선상의 가압 부분 또는 모양을 설치한다. (d)는 상하 방향의 중심 근방에서 분할되어 상하 대칭인 신축 허용부(P10)를 나타낸다. (e)는 중앙에 수평 방향의 가압 부분 또는 모양을 설치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예는 일례이며,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좋고,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제 2 변형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는 하고정부(3)로서 크로치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동체를 피복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의한 의료(1a)는, 바디 라인에 피팅하는 타이트 스커트 형상을 갖는다. 의료(1a)는 크로치를 구비하지 않지만, 착용자의 골반, 둔부 또는 하지부에 피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골반, 둔부 내지 하지부에 걸치는 생지를, 하고정부(3a)로 할 수 있다.
이 외에, 의료(1)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부터 고정하고, 의료(1)의 상하 위치를 정할 수 있으면, 상고정부(2) 또는 하고정부(3)는 어떻게 형성되어도 좋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의해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의료(1)는 보정 속옷으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착용자에게 피팅하는 의료이면 어떤 의료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의료(1)의 착용자는 군살이 많은 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지 않는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관계되는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3-204812호(2013년 9월 3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1 : 의료 2 : 상고정부(어깨측 지지부)
3 : 하고정부(크로치 지지부) K : 배곧은근
K1, K2, K3 : 나눔힘줄 N : 완충부
N1 : 복부 상완충부(제 1 완충부) N2 : 복부 하완충부(제 2 완충부)
N3 : 뒷중심 완충부(제 3 완충부) N4 : 배면측 상변 완충부
N5 : 둔부 완충부 P : 긴체부
P1 : 중간 긴체부 P2 : 어깨 옆구리 긴체부
P3 : 하복부 긴체부 P10 : 신축 허용부(환상부)
P11, P12 : 만곡부 Q : 약긴체부
Q1 : 앞측 약긴체부 Q2 : 허리부 약긴체부

Claims (8)

  1.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본체부를 구비한 의료로서,
    상기 본체부는,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상기 좌우 양 옆구리의 늑골 하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은 제 1 완충부와,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앞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측 부분과, 상기 좌우 양 옆구리의 골반 상단 근방으로부터 뒷중심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작은 제 2 완충부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완충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으로부터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도록 만곡하면서 앞중심측에 이르는 앞측 부분과, 좌우의 양 옆구리 부분보다 뒷중심측 쪽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랑게르선을 가로지르는 만곡 형상을 갖는 배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 중간 긴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긴체부는,
    뒷중심 근방에 있어서 상하로 분기되어서 환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환상부의 내측 부분에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신축성을 갖는 제 3 완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의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착용시에 있어서 1.5∼4.5센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는 좌우의 양 옆구리측보다 뒷중심측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는 배곧은근을 분획하는 나눔힘줄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 상태에 있어서 그 의료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를 어깨에 매달아서 지지하기 위한 어깨측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 상태에 있어서 그 의료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에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크로치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7흉추로부터 제9흉추에 이르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좌우의 견갑골을 덮도록 좌우의 양 옆구리측으로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큰 조임력을 갖는 어깨 옆구리 긴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KR1020167008281A 2013-09-30 2014-09-29 의료 KR20160065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4812A JP6268880B2 (ja) 2013-09-30 2013-09-30 衣料
JPJP-P-2013-204812 2013-09-30
PCT/JP2014/075937 WO2015046527A1 (ja) 2013-09-30 2014-09-29 衣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105A true KR20160065105A (ko) 2016-06-08

Family

ID=5274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281A KR20160065105A (ko) 2013-09-30 2014-09-29 의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68880B2 (ko)
KR (1) KR20160065105A (ko)
CN (1) CN105592738B (ko)
TW (1) TW201515588A (ko)
WO (1) WO2015046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0982B2 (ja) * 2016-02-16 2017-09-20 株式会社 グラント・イーワンズ 下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873A (ja) 2003-12-19 2005-07-07 Hideko Hoshino バンデージ〈bandage〉」方式パッチ〈patch〉付ボディスー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8339A (en) * 1932-06-09 1934-07-31 Eatman Viola Marlow Combination foundation garment
JPS53164331U (ko) * 1977-05-27 1978-12-22
JP2583476B2 (ja) * 1994-02-10 1997-02-19 道子 佐野 ボディスーツ
JPH08260206A (ja) * 1995-03-27 1996-10-08 Datsuchiesu:Kk イージオーダー化を可能にしたファンデーションおよびその縫製方法
JP2000256905A (ja) * 1999-03-10 2000-09-19 Seiran Takeya インナーウェアや水着等の衣類
JP4106609B2 (ja) * 2002-12-17 2008-06-25 典和 鈴木 サポートスーツ
JP4541967B2 (ja) * 2005-05-10 2010-09-08 株式会社ワコール アンダーシャツ
JP3126486U (ja) * 2006-08-18 2006-10-26 株式会社ルシアン 成型インナー
CN200990862Y (zh) * 2006-11-24 2007-12-19 党智勇 蜂巢回力运动热能美体塑身衣
CN201008350Y (zh) * 2007-02-14 2008-01-23 徐碧霞 塑身内衣
EP2206441B1 (en) * 2007-10-15 2016-12-07 ASICS Corporation Athletic wear
CN201178693Y (zh) * 2008-03-28 2009-01-14 翁荣弟 一体式塑身内衣
CN101653293B (zh) * 2008-08-19 2011-12-14 田村股份有限公司 多功能型内衣
JP4918151B2 (ja) * 2010-03-31 2012-04-18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CN202283034U (zh) * 2011-09-15 2012-06-27 施洪流 浮力可调式多功能保健游泳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873A (ja) 2003-12-19 2005-07-07 Hideko Hoshino バンデージ〈bandage〉」方式パッチ〈patch〉付ボディスー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5588A (zh) 2015-05-01
CN105592738A (zh) 2016-05-18
JP2015067924A (ja) 2015-04-13
CN105592738B (zh) 2017-12-22
WO2015046527A1 (ja) 2015-04-02
JP6268880B2 (ja)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576B2 (en) Tights
CN107183803B (zh) 运动紧身裤
CN102046114B (zh) 骨盆带
JP5081329B1 (ja) ガードル
JP4493047B2 (ja) 骨盤矯正用パンティーガードル
KR20120042859A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JP2009114589A (ja) ガードル及び2wayアップガードル
KR20160065105A (ko) 의료
TWI662953B (zh) 內衣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2009191413A (ja) リフォーム用ファンデーション
JP5713166B1 (ja) 骨折予防パッド及びこれを装着した骨折予防衣類
JP5275438B2 (ja) 下半身衣類及び運動用服
KR101192578B1 (ko) 기능성 하의
JP5374786B2 (ja) 上方へ向かって締め付け圧力が減少するガードル
JP2017031551A (ja) 運動用タイツ
JP5778543B2 (ja)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KR102547946B1 (ko) 선택적 브릿지 압박을 통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스템
JP2008303518A (ja) 臀部のふた山を作って、強力に補正しても苦しくないガードル
US20240139016A1 (en) Garment for posture promotion
JP7084369B2 (ja) 衣類
JP3555939B2 (ja) ハイウエストガードル
JP2017155352A (ja) 二次元方式によるヒップ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の三次元化構造
JP2023130756A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