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78B1 - 기능성 하의 - Google Patents

기능성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78B1
KR101192578B1 KR1020100019498A KR20100019498A KR101192578B1 KR 101192578 B1 KR101192578 B1 KR 101192578B1 KR 1020100019498 A KR1020100019498 A KR 1020100019498A KR 20100019498 A KR20100019498 A KR 20100019498A KR 101192578 B1 KR101192578 B1 KR 10119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waist
functional
muscles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477A (ko
Inventor
안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몸숨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몸숨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몸숨맘
Priority to KR102010001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하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시 인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10)와; 상기 하의 본체(10)에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의 본체는 힙 근육의 움직임(수축과 이완)을 수용하여 근육의 운동범위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근력의 균형있는 발달을 도와 체형의 균형을 바로 잡고 인체의 곡선을 잘 부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하의{Functional Pants}
본 발명은 기능성 하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수용하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편안한 움직임과 근력의 균형있는 발달을 도와 체형의 균형을 바로 잡는 기능성 하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다이어트와 체형 보정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하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능성 하의는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킨 의류로 등산복, 사이클복, 스케이트복, 바이크복, 피트니스복 등의 각종 레져스포츠복과 체형보정을 위한 거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능성 하의는 체형 보정을 위해 인체를 압박하므로 입고 벗기가 불편하고, 엉덩이나 허벅지를 필요 이상으로 심하게 죄어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근육이 퇴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시 외관에 있어서도 인체의 곡선을 잘 부각시키지 못하고, 앉고 서는 동작에 따라 하의 허리선이 아래로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육의 움직이는 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체형의 균형을 잡아주어 인체의 곡선을 잘 부각시킬 수 있는 기능성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가 앉고 서는 동작에 따라 하의 허리선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기능성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라인과 체형의 왜곡 현상이 없는 기능성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형의 전후좌우 균형을 효율적으로 잡아주고 지지해주는 기능성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움직임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기능성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와, 상기 하의 본체에 힙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트임량이 조절되도록 양측 힙부의 상부 일측에서 인체의 둔부에 해당되는 힙 꼭지점까지 연장 절개된 부분이 겹쳐져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의본체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좌우 옆라인을 지지하는 허리부, 상기 허리부 하부에 배치되어 힙을 감싸는 힙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부, 힙부는 테두리부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허리부, 힙부는 신축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힙부 > 허리부 순으로 신축성이 크다.
상기 힙부는 좌우방향 신축성 보다 상하방향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허리부는 상하방향 신축성 보다 좌우방향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트임부는 힙부에 형성된다.
삭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허리부, 힙부를 연결하는 봉재라인이다.
상기 봉재라인에는 띠 형태의 신축성 소재가 봉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와, 상기 하의 본체에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의 본체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좌우 옆라인을 지지하는 허리부와, 상기 허리부 하부에 배치되어 힙을 감싸는 힙부와, 상기 힙부와 테두리부에 의해 연결되고 하지 근육의 근육결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다리 봉재라인이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의 본체는 신축성이 서로 다른 허리부, 힙부를 포함하고, 힙부에 힙 근육의 움직임(수축과 이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의 트임부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근육의 운동범위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볼륨있는 인체 곡선에 따른 입체적인 재단으로 인체의 곡선을 잘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힙 근육 등 움직임이 많은 부분을 구분하여 힘의 분배와 배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면과 면이 붙어 있는 봉재라인에서 힘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차별화된 압력이 가해지도록 제작되므로 힙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극대화하면서도 좌우측 근력의 균형있는 쓰임과 발달을 돕는다. 따라서 왜곡되어 있던 근육의 균형을 회복시켜주고 골격의 균형까지 바로 잡아 주어 체형의 균형이 바로 잡히고 인체의 곡선 특히, 볼륨있는 둔부의 곡선을 극대화 시켜주어 힙 라인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대칭구조로 힙의 좌우측에 작용하는 힘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근육의 좌우 균형 회복을 도와 인체가 균형을 잡도록 돕는 것은 물론, 근육의 움직임이 활성화되고 근육의 운동성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앉고, 서고, 걷고, 달리는 동작에도 근육의 이완을 충분히 수용하므로 하의 허리선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힙 근육과 하지 근육을 보인 도.
도 2는 인체가 앉고 서는 동작에 따른 힙 근육의 위치 및 사이즈와 모양 변화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 본체로, 앉을 경우 트임부가 벌어지는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테두리부 타입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기능성 하의 본체의 앞면을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의 기본 패턴을 나타낸 도.
도 12는 하의 본체의 구조에 따라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표시한 도.
도 13은 하의 본체의 구조에 따라 인체가 균형을 잡는 모습을 보인 모아레(등고선)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하의는 착용시 인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10)와, 하의 본체(10)에 힙(엉덩이)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17)를 포함한다.
인체가 앉고, 서고, 걷고, 달리는 동작은 힙(엉덩이) 근육과 하지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 근육은 대둔근(A), 중둔근(B), 소둔근(미도시)의 세가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지 근육은 대퇴사두근(C), 대퇴이두근(D)으로 구성되어 있다.
힙 근육 중 대둔근(A)은 둔부에 있는 가장 큰 근육으로 하지를 뒤쪽으로 당기고 인체를 바로 서게하는 작용을 한다. 대둔근(A)의 하층에는 중둔근(B)과 소둔근이 겹쳐져 있다. 중둔근(B)은 부채모양의 두꺼운 근으로 인체의 좌우균형을 조절한다. 대둔근(A)은 힙 업을 위한 직접적인 부위이고, 중둔근(B)과 소둔근은 힙 측면의 곡선과 측면 볼륨 업에 효과적인 부위이다.
이러한 힙 근육은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이며 배, 허리, 등, 하지 근육과 내부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 및 인대 등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체의 곡선을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힙 근육은 인체가 앉고 서는 동작에 따라 위치 및 사이즈와 모양의 변화가 심한데, 예를 들어, 허리선에서 힙(엉덩이)밑 까지의 거리는 서있을 경우보다 앉는 경우 20% 이상 신장되고, 힙둘레는 서있을 경우보다 앉는 경우 14% 이상 신장된다. 즉, 힙 근육은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과 표면적의 변화가 크다.
인체가 앉고 서는 동작에 따른 힙 사이즈와 모양 및 근육의 위치 변화 등은 도 1의 (c)와 도 2에서 확인되듯이, 신장 및 표면적에서 차이가 크다.
이러한 힙 근육은 체형 보정을 위해 인체를 압박하는 속옷이나 타이트한 바지 등을 착용하게 되면 수축과 이완 작용이 원활하지 못해 긴장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움직임과 신진대사가 방해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심할 경우 근육이 퇴화되는 원인이 된다. 특히, 힙 근육의 긴장은 골반의 변위를 일으켜 요방형근을 손상시키고 골반의 불균형을 유발해 경부 통증 및 두통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이, 골반은 모든 움직임의 중심축으로 불균형이 유발되면 체형이 변화된다. 예를 들어, 골반의 양 옆이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으면 요추의 측면 굴곡을 야기시키고 고관절의 내/외전을 동반하여 요추가 전방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척추 후만증이나 척추 전만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런데, 시중의 기능성 하의는 항균, 통기성, 신축성 등 소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압박과 조임 등 착용시의 효과에만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하의는 착용시의 효과에만 주목하므로 인체 곡선을 왜곡하고 인체가 움직일 때 골반부의 힙 근육은 물론 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반 근육들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한다.
물론, 허리보호대가 손상되거나 사고를 당한 척추의 허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힘을 덜 들이고도 몇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측면은 있으나 제한적인 움직임만 가능하다는 한계성이 있다.
그리고, 골반을 움직이지 않고서는 앉거나 서는 동작이 어려우므로 현실적 대안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힙 근육의 움직임(수축과 이완)을 수용하여 근육의 운동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의 본체(10)에 트임부(17)가 구비된다. 트임부(17)는 힙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극대화하면서도 인체의 곡선은 돋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트임부(17)는 골반 움직임에 따른 힙부(13)의 크기 변화를 수용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활성화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의 본체(1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좌우 옆라인을 지지하는 허리부(11)와, 허리부(11) 하부에 배치되어 힙을 감싸는 힙부(13) 및 다리부(15)를 포함한다.
트임부(17)는 힙부(13)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임부(17)는 힙부(13)의 상부 일측에서 대둔근(A)의 중심점에 해당되는 힙 꼭지점까지 연장되게 방사형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면을 소정부분 겹쳐 형성한다.
트임부(17)의 형상은 힙부(13)에 인체의 둔부에 대응되는 입체감을 준다. 대둔근(A)의 중심점은 인체가 서 있을 때 힙의 볼록하게 융기된 부분이다. 인체에서 힙의 볼록한 부분(둔부)은 대둔근이 발달된 부분이다.
둔부는 인체의 측면 중심선에서 보면 중심선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힙부의 패턴을 평면으로 형성하면 둔부를 전체적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아래로 처지거나 위로 빠져나가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힙의 볼륨미가 저하된다.
따라서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하면서도 둔부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트임부(17)가 구비되는 것이다. 트임부(17) 형성시 겹쳐진 부분은 둔부를 지지하여 힙을 업시키는데 기여한다. 트임부(17)는 힙 곡선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둔부에 두 개 이상이 형성된다. 참고로, 트임부(17) 형성시 겹쳐진 부분은 도 3 또는 도 7에 회색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트임부(17)로 인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수용할 수 있고, 힙의 상부(트임부)와 하부(막힘부)에 가해지는 압력 차이에 의해 인체에 무리한 압박감 없이도 처진 힙의 살과 근육을 위로 올려줄 수 있다.
트임부(17)를 각각의 힙부(13)에 두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은 상하, 좌우로 신장되는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함이다. 트임부(17)가 하나 형성된 경우에는 둔부의 양 가장자리측 움직임은 수용하기는 어렵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임부(17)는 인체가 앉게 되어 힙 근육이 신장하면 상하, 좌우로 이완되고 벌어지면서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하게 된다. 이는 근육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힙부(13)는 힙 근육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도록 좌우방향 신축성보다 상하방향 신축성이 더 큰 소재를 사용한다.
트임부(17)가 벌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트임부 내측에 내피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트임부(17)에 주머니를 구비하여 트임부(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머니는 트임부(17)의 이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자인 또는 소재를 선택한다.
하의 본체(10)는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가 테두리부(19)에 의해 구분된다. 보다 상세하게, 하의 본체(10)는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를 형성하는 각각의 패턴을 조각 재단한 후 각 패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이는 허리나 무릎 관절 등 움직임이 적거나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부분과 힙 근육 등 움직임이 많은 부분을 구분하여 힘의 분배와 배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차별화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의 본체(10)를 제작하기 위함이다. 부분별 차별화된 압력은 인체 곡선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허리부(11), 힙부(13)는 신축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힙부(13) > 허리부(11) 순으로 신축성이 크다.
힙부(13) > 허리부(11) 순으로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근육을 감싸고 보강함과 동시에 근육의 방향에 맞추어 부분별로 각기 다른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힙부(13)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고, 허리부(11)는 상하방향보다 좌우방향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힙부(13)는 데니어(denier)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고, 허리부(13)는 데니어가 낮은 소재를 사용한다. 이는 힙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는 힘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의 세기를 달리하여 힙부의 상부와 하부에 압력차를 둠으로써 근육과 살의 힙의 꼭지점 방향(트임부가 시작되는 지점) 이동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데니어는 섬유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데니어가 다른 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신축성에서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데니어가 낮은 섬유로는 우레탄(라이크라)가 있다.
다리부(15)는 힙부(13) 보다는 신축성이 작으나 허리부(11) 보다는 신축성이 크거나 같은 소재를 사용한다. 이는 하지의 대퇴사두근과 대퇴이두근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착용시 근육이 운동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윗부분 즉, 힙 근육에 힘을 전달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신축성 소재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무리한 압력에 의한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텐션을 갖는 소재를 채택한다.
또한,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 등을 연결하는 테두리부(19)는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의 역할을 하여 근육 피로의 원인이 되는 떨림 현상을 방지하고, 운동 후에는 젖산의 분해를 도와 피로감을 감소시킨다. 이는 테두리부(19)가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 등의 이완을 끊어주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신축성(스판) 소재의 경우 눌러주는 힘이 근육의 움직이는 힘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조각 재단을 하면 근육의 방향에 따라 부분별로 서로 다른 압력이 작용하게 하의 패턴을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부분들을 연결하는 테두리부(19)가 부분별로 이완을 끊어주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근육의 운동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조각 재단은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를 신축성이 다른 소재로 패턴을 형성한 후 서로 연결하여 하의 본체(10)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하의 본체(10)는 테두리부(19)에 의해 힙부(13)가 좌우대칭구조를 갖는데, 좌우대칭구조는 힙의 좌우측에 작용하는 힘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근육의 좌우 균형을 회복하는 것은 물론, 근육의 움직임이 활성화되고 근육의 운동성도 좋아지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는 4가지 타입이 채용될 수 있다.
첫번째 타입은 힙부(13)와 다리부(15) 사이에 테두리부(19)를 형성한 것이고, 두번째 타입은 힙부(13)와 다리부(15) 사이에 두 줄의 테두리부(19)를 형성한 것이며, 세번째 타입은 힙부(13)와 다리부(15) 사이에 두 줄의 테두리부(19)를 형성하고 허리부(13)의 형상도 변경한 것이다. 그리고 네번째 타입은 다리부(15)에 힙부(13)를 지지하는 테두리부(19)를 형성한 것이다.
테두리부(19)는 허리부(11), 힙부(13)를 연결한 봉재라인일 수 있다. 봉재라인은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오드람프 봉재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봉재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봉재라인을 과장되게 표현한 것일 뿐 오드람프 봉재방법은 아님을 밝혀둔다.
봉재라인에 띠 형태의 소재가 봉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힙부(13)와 다리부(15)를 연결하는 봉재라인에 띠 형태의 소재가 봉재될 수 있다. 물론, 띠 형태의 소재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일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위로 밀어올리는 힘을 증대시켜 근육과 살을 이동시킴으로써 힙 업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5)에 하지 근육의 근육결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다리 봉재라인(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리 봉재라인(21)은 하지 근육을 지지하여 근력의 균형있는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의 본체(10)의 앞면은 하의 본체(10)의 뒷면과 마찬가지로 인체의 곡선에 맞추어 각각의 패턴을 재단한 후 각 패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하의 본체(10)는 근골격의 균형은 유지하면서 힙 근육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근육의 운동성은 증진시키고 근육의 좌우 균형 회복력은 높여준다. 근육의 좌우 균형 회복은 인체가 균형을 잡도록 도와 인체의 곡선을 부각시킨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트임부(17)의 개수와 하의 본체(10) 앞면의 형상이 본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힙부(13)에 트임부(17)를 3개 형성한 것은 힙부(13)의 입체감 및 상하, 좌우로 늘어나는 힙 근육의 움직임을 더 고려한 것이고, 하의 본체(10) 앞면은 착용자의 배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힙 근육은 트임부(17)에 의해 수축과 이완 작용이 용이하고, 서로 다른 압력이 작용하는 허리부(11), 힙부(13), 다리부(15) 및 테두리부(19)에 의해 힙이 상부로 지지되고 인체 곡선이 부각되어 인체 곡선이 미려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하의의 기본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다리부 프레임이고 (b)는 트임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 위치이고 (c)는 하의 본체의 앞면 프레임이고 (d)와 (e)는 다리부 프레임이며 (f)는 트임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f)에 의하면, a점과 a'점, b점과 b'점을 중첩되게 하면 c점이 돌출되면서 입체적인 힙 라인이 형성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트임부(17)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트임부(17)는 힙부(13)에 둔부에 대응되는 입체라인을 형성하고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한다. 따라서 인체의 곡선을 잘 부각시키는 것은 물론 앉고,서고, 걷고, 달리는 동작에도 근육의 이완을 수용하여 하의 허리선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골반이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는 중심에 있으면서 모든 인체 동작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점, 척추가 하나인데 반하여 골반은 좌우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별개로 작용하여 인체의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기능성 하의를 통구조가 아닌 분리 대칭 구조로 한 것이다.
이때, 분리 대칭 구조는 힙을 좌우로 각각 지지하고 받쳐주는 힘과 움직이는 힘을 줄 수 있도록 하였고, 힙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 대둔근의 중심점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역학적으로 분리하였으며, 면과 면을 연결하는 봉재라인이 힘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하지에 차별화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하지에 근육의 위치와 근육이 늘어나는 방향에 따라 봉재라인을 두어 좌우측 근력의 균형있는 쓰임과 발달을 도와 왜곡되어 있던 근육의 균형을 회복시켜 주고 결과적으로 골격의 균형까지 바로 잡아줌으로써 체형의 균형이 바로 잡히도록 하였다.
특히, 볼륨있는 인체 곡선에 따라 입체적으로 재단하여 힙의 곡선을 극대화 시켜주어 힙 라인을 돋보이게 하였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하의 본체는 등산복, 사이클복, 스케이트복, 바이크복, 피트니스복 등의 각종 레져스포츠복과 체형보정을 위한 거들, 일반의류, 내의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아래의 표 1은 일반적인 하의 본체와 트임부를 갖는 하의 본체를 비교한 것이다.
구분 평면/막힘구조(비교예) 트임/입체구조(발명예)
구조 통판 재단
고무줄에 의한 말단부 조임
중앙으로 힘 집중
조임의 원리
소재의 수축력에 의존
근육의 움직임 방해
인체 부위별 조각 재단
인체 곡선에 맞춤
힘의 분배와 배분고려
근육의 움직임 고려
관심점 디자인/외적 체형 건강과 근육운동
설계원리 조임 인체 구조 역학
임파/혈액순환 저해 원활
근육의 움직임 둔화/왜곡 강화
외관(인체의 굴곡미)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하의 본체는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고, 근력강화에 도움을 주며 외관도 미려하였다.
반면, 일반 하의 본체의 경우 근육의 움직임이 방해되어 혈액순환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 발명예에 비해 외관면에서도 우수하지 못했다.
특히, 일반 하의 본체의 경우 인체를 압박하는 것인 만큼 둔부나 허벅지를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조여 혈액순환이 방해되었다.
도 12는 하의 본체의 구조에 따라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분별로 신축성이 다른 조각 재단을 이용하여 하의 본체를 제작한 경우이고, (b)는 조임의 원리를 이용하여 통판 재단한 경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면이 없이 통판 재단한 경우 하의 본체가 인체에 닿는 부위에서 압력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높았다. 반면 신축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조각 재단한 경우는 근육의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서 압력이 낮았으며, 힙을 지지하는 부위에서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참고로, 도 12에 표기된 수치는 하의 본체가 인체에 닿는 부위의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하의 본체의 구조에 따라 인체가 균형을 잡는 모습을 보인 모아레 (등고선) 사진이다.
도 13의 (a)는 인체의 힙부를 보인 것이고, (b)는 일반 하의(속옷)를 착용한 것이며, (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착용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착용한 경우 왜곡되어 있던 근육의 균형을 회복시켜주고 골격의 균형까지 바로 잡아 주어 체형의 균형이 바로 잡히며 특히, 힙부가 처진 힙의 살과 근육을 위로 올려주어 볼륨있는 둔부의 곡선을 극대화시키므로 힙 라인이 돋보이게 된다.
이는 도 13의 (c)에 보여지는 힙 라인과 힙부의 등고선이 대칭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써 확인된다.
위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하의 본체는 인체의 곡선은 부각하면서도 편안한 움직임과 더불어 근골격의 균형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하의 본체 11:허리부
13:힙부 15:다리부
17:트임부 19:테두리부
21:다리 봉재라인
A:대둔근 B:중둔근
C:대퇴사두근 D:대퇴이두근

Claims (10)

  1.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와, 상기 하의 본체에 힙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트임량이 조절되도록 양측 힙부의 상부 일측에서 인체의 둔부에 해당되는 힙 꼭지점까지 연장 절개된 부분이 겹쳐져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의본체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좌우 옆라인을 지지하는 허리부,
    상기 허리부 하부에 배치되어 힙을 감싸는 힙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부, 힙부는 테두리부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 힙부는 신축성이 서로 다른 소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힙부 > 허리부 순으로 신축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힙부는 좌우방향 신축성 보다 상하방향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허리부는 상하방향 신축성 보다 좌우방향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임부는 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7. 삭제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허리부, 힙부를 연결하는 봉재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봉재라인에는 띠 형태의 신축성 소재가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10.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하의 본체와, 상기 하의 본체에 힙 근육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트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의 본체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좌우 옆라인을 지지하는 허리부와, 상기 허리부 하부에 배치되어 힙을 감싸는 힙부와, 상기 힙부와 테두리부에 의해 연결되고 하지 근육의 근육결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다리 봉재라인이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하의.
KR1020100019498A 2010-03-04 2010-03-04 기능성 하의 KR10119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498A KR101192578B1 (ko) 2010-03-04 2010-03-04 기능성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498A KR101192578B1 (ko) 2010-03-04 2010-03-04 기능성 하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77A KR20110100477A (ko) 2011-09-14
KR101192578B1 true KR101192578B1 (ko) 2012-10-17

Family

ID=4495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498A KR101192578B1 (ko) 2010-03-04 2010-03-04 기능성 하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9943B2 (en) * 2005-06-24 2010-09-21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omoting Michael addition reactions
KR200477498Y1 (ko) * 2013-08-14 2015-06-16 (주)마스터피스 다기능 거들
KR102404849B1 (ko) * 2020-09-18 2022-06-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레깅스를 이용한 운동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604U (ko) 1986-11-21 1988-06-04
KR200270974Y1 (ko) 2002-01-07 2002-04-06 김성기 여성용 팬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604U (ko) 1986-11-21 1988-06-04
KR200270974Y1 (ko) 2002-01-07 2002-04-06 김성기 여성용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77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115B1 (ko) 압박 의류 및 그 제조 방법
CA2629459C (en)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JP5836265B2 (ja) 体形矯正用ズボン
US7526929B2 (en) Tights
US20060169004A1 (en) Tights presenting a localized compression effect for practicing a sport
US20130145524A1 (en) Lower Torso Garment System
US20180318142A1 (en) Lower body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
CN100466924C (zh) 带裆部的矫正衣
JP2008188213A (ja) 骨盤矯正用パンティーガードル
KR101192578B1 (ko) 기능성 하의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JP6100426B1 (ja) 下肢用衣類
CN204889439U (zh) 连体式腰椎枕
KR200464415Y1 (ko)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JP4008276B2 (ja) 陸上競技用スパッツ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JP5080672B1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CN211095040U (zh) 一种便于矫正腿型腿雕
RU2498748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ель верхней одежды для школьников
KR102678407B1 (ko) 레깅스 올인원
JP3146532U (ja) 骨盤矯正機能を有するガードル
AU2013206022B2 (en)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2017155352A (ja) 二次元方式によるヒップ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の三次元化構造
WO2018061753A1 (ja) 補整衣類
CN110839969A (zh) 一种儿童体感压力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