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654A -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654A
KR20160064654A KR1020140168514A KR20140168514A KR20160064654A KR 20160064654 A KR20160064654 A KR 20160064654A KR 1020140168514 A KR1020140168514 A KR 1020140168514A KR 20140168514 A KR20140168514 A KR 20140168514A KR 20160064654 A KR20160064654 A KR 2016006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music information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370B1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3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방송 신호와 더불어 채널 탐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신호 수신부;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지정 방송 출력부;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방송 신호 수신부;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음악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ng broadcast in vehicle}
본 발명은 특정 방송이 선택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특정 방송이 선택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운행 중에 운전자가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라디오 장치가 대부분 탑재된다. 이러한 라디오 수신 장치는 차량의 실외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포착하여 스피커를 통해 해당 라디오 방송 신호를 출력시켜 차량의 운전자가 선국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라디오 수신 장치는 현재 접속중인 방송 채널로부터 주파수를 변경하여 다른 방송 채널에 접속하지 않는 한 다른 방송 채널에서 어떠한 방송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었다. 또한 다른 방송 채널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주파수를 변경해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려 자칫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56569호는 라디오 방송 채널 주파수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오디오 장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 값이 지역에 따라 다른 점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기호에 적합한 방송 채널로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방송 신호와 더불어 채널 탐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지정 방송 출력부;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음악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악 정보 생성부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상기 음성 신호와 관련된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획득하며, 상기 노래 제목, 상기 가수 이름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음악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하는 신호 분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방송 신호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채널을 변경하면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선택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저장된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리스트 포함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악 정보 출력부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방송 채널 변경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스트 포함 판단부는 헤더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나중 비교하여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송 채널 변경부는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채널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채널 변경부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적어도 두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스트 상에서 우선순위 값이 더 높은 음악 정보와 관련된 것을 방송 채널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라디오 방송을 출력할 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상기 음성 신호와 관련된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획득하며, 상기 노래 제목, 상기 가수 이름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음악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채널을 변경하면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선택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 사이에, 저장된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헤더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나중 비교하여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채널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적어도 두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스트 상에서 우선순위 값이 더 높은 음악 정보와 관련된 것을 방송 채널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은 라디오 방송을 출력할 때 수행된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방송 신호와 더불어 채널 탐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현재 청취중이지 않은 방송 채널에서의 방송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수신중인 방송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알맞는 방송으로 자동 채널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둘째,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채널의 음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한번에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채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세째, 한개의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기하여 사용함으로써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음악 정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즐겨찾기 곡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작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정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2채널의 라디오 튜너와 모뎀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현재 수신 가능한 전 주파수 대역에 곡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라디오 방송은 주파수 변경을 통해 방송 수신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방송중인 음악 정보를 알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 외에 다른 주파수 채널에 방송중인 음악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AVN 시스템(1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50), 모뎀(140), 제어부(130), 메모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DSP(150)는 안테나(161)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SP(150)는 하나의 안테나(161)와 2개의 튜너(151, 152)를 포함한다. 안테나(161)의 입력단에 분기 회로(160)가 구비되어 있어 안테나(161)로 입력된 RF 신호는 분기되어 튜너 1(151)과 튜너 2(152)로 입력된다.
튜너 1(151)은 운전자가 현재 듣고자 하는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용도로 사용된다. 즉, 현재 운전자가 듣고 있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튜너 2(152)는 백그라운드로 수신 가능한 채널 주파수를 수신하여 탐색하는 역할을 한다. 튜너 1(151)과 별도로 각 주파수별 일정 시간 수신하여 수신한 음성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수신 가능한 주파수가 87.1MHz, 87.9MHz, 90.1MHz, …, 107.9MHz이라면, 제어부(130)는 87.1MHz부터 87.9MHz 그리고 107.9MHz까지 일정 간격으로 수신하여 현재 방송되는 음악 정보를 분석한다. 하지만 수신 가능한 주파수가 다수 있다면, 1사이클(cycle) 도는 시간 동안 곡이 변경되어 업데이트 정보가 불일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주파수만을 수신하여 업데이트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뎀(140)은 웹에 접속하여 곡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20)는 사용자의 즐겨찾기 음악을 저장한다.
제어부(130)는 음악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비교기(131)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DSP(150)에서 전달받은 음성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모뎀(140)으로 전달한다. 모뎀(140)은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서 검색하여 다시 제어부(130)로 곡 정보 및 가수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별 곡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음악 정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음악 정보로 해당 음악이 출력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210), 노래 제목(220), 가수 이름(230), 운전자의 기호 해당 여부(240)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중에 원하는 주파수 선택을 통해 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선호(Favorite)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곡이 선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로 리스트(List)화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하며, 리스트화된 곡 중에 사용자 선택을 통해 타 방송에서 그 곡이 재생될 경우 자동적으로 주파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여러 개의 곡을 동시에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즐겨찾기 곡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제어부(130)는 노래 제목(310), 가수 이름(320), 사용자 선호도(330)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 선호 리스트(Favorite List)를 생성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도(330)에 체크된 곡은 타 방송에서 재생될 경우 자동 주파수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은 오디오 기능만을 가진 오디오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AVN 시스템(100)의 음악 정보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디오 방송은 안테나(161)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DSP(150) 튜너로 입력된다. DSP(150)는 2개의 튜너를 가지고 있다.
튜너 1(151)은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신호로 앰프 또는 스피커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튜너 2(152)는 그외 주파수를 일정한 패턴으로 검색하여 수신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SPDIF 혹은 I2S 포맷으로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DSP(150)에서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 중 일부 구간을 추출하여 모뎀(140)으로 전달하고, 모뎀(140)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음악이 가지고 있는 고유 주파수와 동일한 음악을 웹 검색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AVN 시스템(100)의 즐겨찾기 곡 저장 방법 및 채널 변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2(152)에 의해 스캔되는 음악 정보는 해당 주파수, 곡명, 가수 등을 필드로 하는 하나의 레코드 형태로 메모리 1(121)에 주기적으로 기록 및 업데이트가 된다. 여기에 기록된 음악 정보 중에 즐겨찾기 기능으로 선택된 음악 정보는 메모리 2(122)에 주파수를 제외한 정보를 사용자 선호 리스트(Favorite List) 상에 복사한다.
메모리 2(122)에 저장된 음악 정보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은 메모리 1(121)에 음악 정보가 업데이트가 될 때마다 비교기(131)로 독출된다.
비교기(131)는 메모리 2(122)에서 독출된 데이터와 메모리 1(121)에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일치된 정보가 있다면, 비교기(131)에서는 메모리 1(121)에서 해당 레코드에 주파수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선택 여부에 따라 튜너 1(151)의 채널을 변경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한다.
AVN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1(151), 튜너 2(152) 등 2가지 동작 형태를 가진다.
튜너 1(151)은 라디오 모드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동작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 방송을 항상 수신한다.
튜너 1(151)과 별개로 튜너 2(152)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과정 및 튜너 1(151)에 의해 방송 수신 중 일부 사용자 설정 동작 과정을 포함한다.
채널 스캔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캔할 주파수 선택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주파수가 선택되면 튜너 2(152)는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채널 스캔을 수행한다(421). 그리고 튜너 2(152)는 스캔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모뎀(140)을 통해 튜너 2(15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곡명 및 가수 형태의 음악 정보를 획득한다. 곡 정보 DB 부분(422)은 제어부(130)가 획득한 음악 정보를 곡명 및 가수를 필드로 가지는 레코드 형태로 메모리 1(121)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메모리 1(121)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뎀(140)에서 전달되는 음악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Favorite List 부분(423)에서는 메모리 1(12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정보를 불러와 메모리 2(122)에 저장하게 된다. 메모리 2(122)에 저장된 곡 중에서 다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은 메모리 1(121)에서 업데이트되는 음악 정보와 비교 과정을 거치게 된다(424).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보가 있다면, 메모리 1(121)에서 해당 레코드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읽어와 튜너 1(411)에서 주파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사용자 선택에 따라 주파수 변경 여부가 결정되는데, 주파수 변경이 이루어지면(411) 튜너 1(151)은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AVN 시스템(100)에서 출력하도록 한다(412).
이상 설명한 튜너 2(152)의 과정은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작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98.1MHz 방송을 듣고 있고, 음악 정보를 받고자 하는 주파수 채널을 87.1MHz, 90.1MHz, 107.1MHz 등을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98.1MHz 방송 수신 중에 다른 채널 정보 보기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시 다음과 같다.
자신이 선택한 주파수 채널에 현재 방송되는 음악 정보를 볼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선택(510, 520, 530)을 통해 해당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97.7MHz에서 방송되는 음악을 Favorite 선택(540)을 통해 Favorite List에 따로 저장이 가능하다.
도 6은 Favorite List 화면이다.
Favorite List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할 수 있다. 2번 곡을 선택했다고 한다면(640), 튜너 2(152)에 스캔 중인 주파수 중에서 2번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음악이 수신될 경우에 사용자에게 팝업으로 알려주게 되고, 사용자 선택 여부에 따라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정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음악 정보는 크게 헤더(Header) 정보(710)와 데이터(Data) 정보들(720, 730, 740)로 구성된다. 데이터 정보들(720, 730, 740)은 실제 음악 정보를 가지는 부분이고, 헤더 정보(710)는 음악 정보 비교시에 효율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데이터 정보들(720, 730, 740)의 일부 정보를 가지는 부분이다.
데이터 정보들(720, 730, 740)은 데이터 1(720), 데이터 2(730) 및 데이터 3(740)으로 구성되며, 가수 이름, 곡명 및 주파수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예를 들어, 107.9MHz에 방송되는 음악의 가수가 Artist이고, 곡명이 Title인 정보가 있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2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헤더 정보(710)에는 Artist와 Title의 앞글자 하나씩 가지고 있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Favorite 정보와 백그라운드에서 스캔중인 음악 정보를 비교할 때, 각각의 헤더 정보만을 읽어와 비교하게 된다.
헤더 정보(710)는 데이터 정보들(720, 730, 740)에 비해 정보량이 적기 때문에 빠르게 비교/판단이 가능하다.
헤더 정보(710)가 불일치할 경우, 데이터 정보들(720, 730, 740)을 확인할 필요 없이 다음 정보와 비교를 하게 되고, 헤더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추가적으로 데이터 1(720)과 데이터 2(730)인 가수 이름 정보와 곡명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이후 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데이터 3(740)에 저장되어 있는 주파수 정보를 읽어와 사용자에게 팝업으로 주파수 변경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라디오 방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여 각 채널별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AVN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둘째, 본 발명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수신하며, 이 RF 신호를 분기하여 서로 다른 라디오 방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신호들을 획득한다.
세째, 본 발명은 각 주파수 신호를 분석하여 가수 정보, 곡 정보 등 각 라디오 방송의 음악 정보를 생성한다.
네째, 본 발명은 즐겨찾기 등록된 음악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한다. 이때 음악 정보 비교시 Header 정보, Data 정보 중 가수 정보, 곡 정보 등을 순차적으로 이용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제1 방송 신호 수신부, 지정 방송 출력부, 제2 방송 신호 수신부, 음악 정보 생성부, 음악 정보 출력부, 전원부 및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라디오 방송을 출력할 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가 TV 방송 등을 출력할 때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가 차량용 AVN 시스템에 구비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차량용 배터리와 MCU(또는 ECU)에 의해 대체 가능할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방송 신호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방송 신호 수신부는 도 1의 튜너 1(151)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지정 방송 출력부는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방송 출력부는 앰프 또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방송 신호 수신부는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방송 신호 수신부는 도 1의 튜너 2(152)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제2 방송 신호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채널을 변경하면서 탐색하여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선택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악 정보 생성부는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악 정보 생성부는 도 1의 DSP(150)와 제어부(130)의 결합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음악 정보 생성부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음성 신호와 관련된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획득하며, 노래 제목, 가수 이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음악 정보 생성부는 도 1의 DSP(150), 제어부(130) 및 모뎀(14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음악 정보 출력부는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악 정보 출력부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음악 정보 출력부는 음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신호 분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분기부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이 무선 신호를 제1 방송 신호와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분기부는 도 1의 안테나(161)와 분기 회로(160)의 결합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리스트 포함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포함 판단부는 저장된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스트 포함 판단부는 도 1의 비교기(131)와 메모리부(120)의 결합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리스트 포함 판단부는 헤더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나중 비교하여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정보 출력부는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한다는 것은 예컨대 해당 정보의 글자 크기를 다른 정보의 글자 크기보다 크게 하여 사용자의 인식 가능성을 높인다던가, 해당 정보만을 표시한다던가, 다른 정보들보다 해당 정보를 먼저 출력한다던가, 색상을 달리 하여 해당 정보가 다른 정보와 구별되게 출력한다던가 하는 등을 말한다.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방송 채널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 변경부는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채널 변경부는 음악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방송 채널 변경부는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적어도 두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리스트 상에서 우선순위 값이 더 높은 음악 정보와 관련된 것을 방송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채널 변경부는 음악 정보가 출력된 뒤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음악 정보가 선택되면 이 음악 정보와 관련되는 방송 채널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방송 신호 수신부가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지정 방송 출력부가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한다.
한편 제2 방송 신호 수신부가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음악 정보 생성부가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이 음성 신호를 기초로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음악 정보 출력부가 음악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제1 방송 신호와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신호 분기부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이 무선 신호를 제1 방송 신호와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사이에, 리스트 포함 판단부가 저장된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음악 정보 출력부가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된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방송 채널 변경부가 리스트에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에는 지정 방송 출력부가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된다면 언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변경하는 단계는 예컨대 판단하는 단계와 출력하는 단계 사이에 수행되거나, 출력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지정 방송 출력부;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음악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 생성부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상기 음성 신호와 관련된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획득하며, 상기 노래 제목, 상기 가수 이름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하는 신호 분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신호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채널을 변경하면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선택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된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리스트 포함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악 정보 출력부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방송 채널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포함 판단부는 헤더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나중 비교하여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송 채널 변경부는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변경부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적어도 두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스트 상에서 우선순위 값이 더 높은 음악 정보와 관련된 것을 방송 채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는 라디오 방송을 출력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10. 미리 정해진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기초로 지정된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채널 탐색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음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방송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웹 서버에서 상기 음성 신호와 관련된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획득하며, 상기 노래 제목, 상기 가수 이름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방송 신호로 분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저장된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악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헤더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나중 비교하여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음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방법.
KR1020140168514A 2014-11-28 2014-11-28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6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14A KR102269370B1 (ko) 2014-11-28 2014-11-28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14A KR102269370B1 (ko) 2014-11-28 2014-11-28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54A true KR20160064654A (ko) 2016-06-08
KR102269370B1 KR102269370B1 (ko) 2021-06-25

Family

ID=5619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514A KR102269370B1 (ko) 2014-11-28 2014-11-28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8386A (ja) * 2008-07-17 2010-02-0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電子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データの配信システム
KR20110035252A (ko) * 2009-09-30 201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20130128895A (ko) * 2012-05-18 2013-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권역별 운전자의 선호 채널 목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8386A (ja) * 2008-07-17 2010-02-0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電子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データの配信システム
KR20110035252A (ko) * 2009-09-30 201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20130128895A (ko) * 2012-05-18 2013-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권역별 운전자의 선호 채널 목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370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7410B2 (en) Audio apparatus
JPH08204594A (ja) 放送局関連情報を有するデータベースを備えた受信装置
US20020055340A1 (en) Automatic program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515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26948B1 (ko) Dmb 채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64654A (ko) 차량용 방송 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47047B2 (ja) 車載用受信装置
US2008009775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udio Content and Reproducing Only the Desired Audio Data
US9419734B2 (en) Enhanced radio
US20170353251A1 (en) Method for receiving radio broadcast signals by means of a radio broadcast reciever, and radio broadcast receiver
US8467752B2 (en) Recei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receiving device
JP2010245694A (ja) 受信装置、受信処理方法、受信処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9049954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1003046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using zip code
KR20050056569A (ko) 지역별 라디오 방송채널 주파수 자동 전환기능을 가지는차량 오디오 장치 및 방법
KR100842439B1 (ko) 차량용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채널 저장 방법
EP1406393B1 (en) Vehicle audio system
JP2013207688A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放送受信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放送受信装置用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20090019939A (ko) 고속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카 오디오 시스템의 라디오주파수 자동 동조 장치 및 방법
JPH10154966A (ja) 交通情報受信装置
JPH1093395A (ja) 多重放送受信装置
KR20100111477A (ko) 라디오의 주파수 자동 선국 방법
KR20060072801A (ko) 라디오시스템의 라디오주파수 선국방법
JP2002077770A (ja) Cm判定及び処理方法
US20120329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radio frequency in radio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