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513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513A
KR20110051513A KR1020090108129A KR20090108129A KR20110051513A KR 20110051513 A KR20110051513 A KR 20110051513A KR 1020090108129 A KR1020090108129 A KR 1020090108129A KR 20090108129 A KR20090108129 A KR 20090108129A KR 20110051513 A KR20110051513 A KR 20110051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user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후
임남주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513A/ko
Publication of KR2011005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음영지역 진입시 수신 강도가 일정 강도 이하인 경우와, 서비스 영역이 서로 다른 즉, 서비스 주파수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채널 또는 다수의 선호 채널들 중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채널들을 자동 스캔하여 수신강도가 최적인 일 선호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 채널정보와 상기 선호 채널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수신중인 채널에 대한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전 채널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높은 수신 감도의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수신 감도의 채널과 상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수신 중 음영지역으로 진입하여 현재 서비스중인 채널 의 수신강도가 기준값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다른 채널들의 수신감도들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선호도에 맞는 채널들중 선호 채널의 우선순위에 따라 최적의 일 채널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해당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하, DMB라 칭함)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이동 중에도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로 CD(Compact Disk)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DMB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송과는 달리 이동 통신망과 결합하며, 원격 구매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DMB 방송 서비스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손 안의 TV'라 불린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DMB는 지상파 DMB와 위성 DMB 두 종류가 있다. 지상파 DMB는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또한, 위성 DMB와 달리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 신호가 송출된다. 지상파 DMB는 보통의 방송처럼 방송국에서 쏘는 전파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지상파 DMB는 전국에서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 방송 가능한 위성 DMB와는 달리 지금의 텔레비전 방송처럼 지역에 따라 다른 주파수로 방송된다. 애당초 이동 수신이 되지 않는 미국식 디지털 TV 방송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상파 DMB는 유럽의 표준안인 디지털라디오방송(DAB)에 비디오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된 방식이다. 이 새로운 방식은 현재 DAB의 본산인 유럽에서 기술표준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점쳐질 만큼 시선을 끌고 있 다.
이렇듯, DMB 방송을 손쉽게 시청할 수 있게 되어서 DMB 수신 단말기를 차량에 부착하여 운행중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사람이 쉽게 휴대 가능한 DMB 단말기도 또한 그러하다.
하지만, 차량이나 사람이 DMB 수신 단말기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하다가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정지된 상태로 수신 강도가 일정 이상이 되어 해당 채널의 수신신호가 정상적으로 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채널의 수신감도를 직접 체크하여 수심감도가 좋은 일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변경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DMB 서비스 영역이 서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전에 서비스되는 채널의 방송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지역에 맞는 주파수를 갖는 채널들을 다시 별도의 키 입력을 통해 스캔하여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채널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목적은 음영지역 진입시 수신 강도가 일정 강도 이하인 경우와, 서비스 영역이 서로 다른 즉, 서비스 주파수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채널 또는 다수의 선호 채널들 중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채널들을 자동 스캔하여 수신강도가 최적인 일 선호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 채널정보와 상기 선호 채널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수신중인 채널에 대한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전 채널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높은 수신 감도의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수신 감도의 채널과 상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 채널이 선택되면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 있다면 최적 채널을 최종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최적 채널이 선택되면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 채널별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채널중 일 채널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널을 현재 채널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된 채널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최적 채널을 서비스 채널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신 감도는 지역별로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스캔(Scan)하여 각 주파수 별로 잡음율(SNR)과 수신 전계 강도(RSSI)의 정보를 취득하여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와 사용자 선호 채널에 따라 방송 재생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 수단; 상기 우선순위를 갖는 사용자 선호 채널 데이터 및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현재 수신중인 채널에 대한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전 채널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확인된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수신 감도의 채널과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우선순위에 따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방송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갖는 사용자 선호 채널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 및 영 상 및 오디오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 입력 수단은, DMB/DAB 신호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RF 수신부; 및 상기 RF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다중신호를 디지털 변조하는 디지털 변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제어 수단은, 현재 채널의 수신상태와 음영지역에 진입했을 경우 타 주파수의 수신 상태를 감지하는 RF 수신 관리부; 수신되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영상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방송 데이터 제어부; 사용자가 시청/청취한 내역을 기록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수신 지역의 모든 방송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방송 정보 관리부; 사용자의 입력 채널을 선택하는 방송 채널 제어부; 및 상기 방송 정보와 수신 데이터에 따라 채널이 변경되거나 상기 채널들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영지역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중인 방송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인 경우 모든 채널을 스캔하여 얻어진 높은 수신율의 채널과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정하여 재생/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 수신중 음역 지역으로 진입하여 수신감도가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면 전체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감도가 높을 채널을 선정하고 사용자의 선호 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도록 최적 선정 채널과 수신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원하는 채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중이나 보행중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전중 안전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110)과,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와 사용자 선호 채널에 따라 방송 재생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 수단(120)과, 상기 사용자 선호 채널 데이터 및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과,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이상 낮으면 방송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 감도에 따라 스캔된 채널과 사용자 선호채널을 비교하여 최적 채널이 선정되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선호 채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상기 저장부(150)에는 상기 결정된 선호 채널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 역시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정 명령 및 사용자 선호 채널 선택 명령 그리고, 사용자 선호 채널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 명령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152)와 영상 및 오디오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DMB/DAB 신호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RF 수신부(112)와 상기 RF 수신부(112)를 통해 입력된 다중신호를 디지털 변조하는 디지털 변조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제어 수단(120)은 현재 채널의 수신상태와 음영지역에 진입했을 경우 타 주파수의 수신 상태를 감지하는 RF 수신 관리부(122)와 수신되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영상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방송 데이터 제어부(124)와 사용자가 시청/청취한 내역을 기록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26)와 상기 수신 지역의 모든 방송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방송 정보 관리부(128)와 사용자의 입력 채널을 선택하는 방송 채널 제어부(130)와 상기 방송 정보와 수신 데이터에 따라 채널이 변경되거나 상기 채널들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영지역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RF 수신부(112)를 통해 교통정보가 포함된 DMB/DAB를 수신받아 영상/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변조부(114)를 통해 주파수를 분할하여 A/V 데이터와 교통정보데이터를 변조한다.
계속하여 RF 수신 관리부(122)에서 수신 감도를 체크하여 제어부(160)에서 판단했을 때,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의 수신감도가 감지되면, 해당 지역에서 입력되는 주파수 대역을 RF 수신부(112)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RF 수신 관리부(122)에서 방송 채널 제어부(130)의 채널 정보에 따라 수신 감도를 측 정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26)를 통해 기록된 우선순위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채널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리드하여 수신 감도가 높은 채널과 사용자에 의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 및 선호 채널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취합하여 최 우선순위의 최적 채널을 선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최적의 채널이 선정되면 채널 정보와 수신율을 표시부(144)를 통해 출력한다.
키 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방송 채널 제어부(130)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방송 정보 관리부(128)의 정보를 토대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며, 최적 선정 채널을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신율에 따른 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200)은 음영지역으로 진입하여 전 채널의 주파수를 스캔하여 잡음율(SNR)과 수신 전계 강도(RSSI)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의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채널의 수신감도 중 가장 높은 채널 순으로 왼쪽에는 채널 목록을, 오른쪽에는 수신 감도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터치(Touch)를 통해 재생 명령 입력을 대기한다.
또한, 수신 감도와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선정 채널을 표시하고 해당 채널의 수신감도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영지역 진입시 자동 채널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방송 채널이 선택되어 DMB 또는 DAB 를 수신하여 재생할 때(S300), 수신감도가 저하되는지 판단한다(S302).
상기 수신 감도가 설정된 기준 수신감도 이하의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는지 판단하는데(S304), 시간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 가능하며, 최초 생산시 임의의 시간을 정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S30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일정 시간 이상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 상태가 유지되면 전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를 체크한다(S306)
이때, 지역별로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여 각 주파수 별로 잡음율(SNR)과 수신 전계 강도(RSSI) 정보를 취득하여 신호 감도를 스캔하고, 스캔 후,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보다 높은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08).
상기 S308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상의 높은 채널이 존재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른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S310), 최적 채널을 선정한다(S312).
상기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는 사용자가 자주 보는 채널과 하나의 채널을 지속적으로 얼마만큼 시청 또는 청취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선호 채널을 지정하고 지정된 채널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신감도가 좋은 채널이 스캔 되고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를 토대로 선정된 최적 채널을 재생하기 전에 "자동 채널 설정"이 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14).
상기 자동 채널 설정은 최적 채널이 선정되면 바로 선정된 채널을 재생할 경우와, 최적 채널이 선정되었더라도, 바로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S314단게에서의 판단결과, 자동 채널 설정이 되어 있다면, 최적 채널을 최종적으로 설정하고(S316), 상기 설정된 최종 채널을 재생하도록 한다(S324).
상기 S31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자동 채널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캔된 채널별로 수신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 채널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수신율을 기준으로 가장 수신감도가 좋은 채널부터 할 수도 있으며, 수신 감도가 가장 좋지 않더라도 최적 선정 채널을 가장 상위에 표시한 후, 밑으로는 수신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선택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캔된 채널 목록이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선택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320).
단계 320의 판단결과,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널을 최종적으로 설정한 후(S322), 해당 채널을 재생하도록 한다.
단계 32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아무 채널도 선택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선택 된 최적 선정 채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초 수신중인 방송 채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은 방송 수신중 음역 지역으로 진입하여 수신감도가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면 전체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감도가 높을 채널을 선정하고 사용자의 선호 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최적 선정 채널과 수신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원하는 채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중이나 보행중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전중 안전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MB채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감도에 따른 채널 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영지역 진입시 자동 채널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DMB 채널 제어 장치 110 : 정보 입력 수단
112 : RF 수신부 114 : 디지털 변조부
120 : 방송 제어 수단 122 : RF 수신 관리부
124 : 방송 데이터 제어부 126 : 사용자 정보 관리부
128 : 방송 정보 관리부 130 : 방송 채널 제어부
132 : 음영 지역 제어부 140 : 출력수단
142 : 데이터 복호부 144 : 표시부
146 : 오디오 처리부 150 : 저장부
152 : 키 입력부 160 :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 채널정보와 상기 선호 채널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수신중인 채널에 대한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전 채널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높은 수신 감도의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수신 감도의 채널과 상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채널이 선택되면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 있다면 최적 채널을 최종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채널이 선택되면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자동 재생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 채널별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채널중 일 채널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널을 현재 채널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채널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최적 채널을 서비스 채널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MB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는 지역별로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스캔(Scan)하여 각 주파수 별로 잡음율(SNR)과 수신 전계 강도(RSSI)의 정보를 취득하여 판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방법.
  6. 방송 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와 사용자 선호 채널에 따라 방송 재생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 수단;
    상기 우선순위를 갖는 사용자 선호 채널 데이터 및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현재 수신중인 채널에 대한 수신감도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전 채널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확인된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수신 감도의 채널과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우선순위에 따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방송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갖는 사용자 선호 채널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 및
    영상 및 오디오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수단은,
    DMB/DAB 신호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RF 수신부; 및
    상기 RF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다중신호를 디지털 변조하는 디지털 변조부를 포함하는 DMB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 수단은,
    현재 채널의 수신상태와 음영지역에 진입했을 경우 타 주파수의 수신 상태를 감지하는 RF 수신 관리부;
    수신되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영상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방송 데이터 제어부;
    사용자가 시청/청취한 내역을 기록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수신 지역의 모든 방송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방송 정보 관리부;
    사용자의 입력 채널을 선택하는 방송 채널 제어부; 및
    상기 방송 정보와 수신 데이터에 따라 채널이 변경되거나 상기 채널들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영지역 제어부를 포함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중인 방송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기준 수신 감도 이하인 경우 모든 채널을 스캔하여 얻어진 높은 수신율의 채널과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정하여 재생/표시하도록 제어하는 DMB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 장치.
KR1020090108129A 2009-11-10 2009-11-1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1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9A KR20110051513A (ko) 2009-11-10 2009-11-1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9A KR20110051513A (ko) 2009-11-10 2009-11-1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3A true KR20110051513A (ko) 2011-05-18

Family

ID=4436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29A KR20110051513A (ko) 2009-11-10 2009-11-1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15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55B1 (ko) * 2013-05-30 2014-12-05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원격지 컨텐트에 대한 수신상태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KR101494181B1 (ko) * 2011-09-21 2015-02-24 브로드퀘스트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및 송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705B1 (ko) * 2013-11-12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성 방송 재생 장치와 위성 방송을 재생하는 방법
KR20170071765A (ko) * 2015-12-16 2017-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0069959B2 (en) 2015-05-30 2018-09-04 Volkswagen Ag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for informing a driver of a vehicle regarding the availability of a communication lin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81B1 (ko) * 2011-09-21 2015-02-24 브로드퀘스트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및 송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155B1 (ko) * 2013-05-30 2014-12-05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원격지 컨텐트에 대한 수신상태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KR101526705B1 (ko) * 2013-11-12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성 방송 재생 장치와 위성 방송을 재생하는 방법
US10069959B2 (en) 2015-05-30 2018-09-04 Volkswagen Ag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for informing a driver of a vehicle regarding the availability of a communication link
US10200525B2 (en) 2015-05-30 2019-02-05 Volkswagen Ag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for informing a driver of a vehicle regarding the availability of a communication link
KR20170071765A (ko) * 2015-12-16 2017-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1022B2 (en) Wireless media player
US72493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presentation of embedded rich media across station boundaries
US6539210B1 (en) Automatic assignment and tuning of radio call letters to radio presets
KR101800889B1 (ko)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30071819A (ko)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수신 시스템
KR201100515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0586172C (zh) 重放dmb数据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dmb终端
KR101426948B1 (ko) Dmb 채널 제어 방법 및 장치
JP4027754B2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
CN101588616B (zh) 保证终端的业务服务连续的方法及装置
KR10072489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 및 위성 dmb 시스템 간의 서비스링킹 정보 제공 방법 및 dmb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링킹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변경 방법
KR10131459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20100040409A (ko) 사용자 선호 채널 기반의 자동 프리셋 기능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KR100709419B1 (ko)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40834B1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이동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방법
KR101295572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수신감도 표시 방법
JP2004357124A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
KR20070023464A (ko)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77770A (ja) Cm判定及び処理方法
KR20080002167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녹화장치 및 그 녹화방법
KR101152780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KR1014357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데이터 재생방법
KR100626516B1 (ko) 디엠비 단말기의 실시간 방송 저장 방법
JP2000224006A (ja) 選局装置
KR2007008481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녹화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