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138A - 차량용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138A
KR20160061138A KR1020140163676A KR20140163676A KR20160061138A KR 20160061138 A KR20160061138 A KR 20160061138A KR 1020140163676 A KR1020140163676 A KR 1020140163676A KR 20140163676 A KR20140163676 A KR 20140163676A KR 20160061138 A KR20160061138 A KR 20160061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now
hot water
mixing vess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607B1 (ko
Inventor
김성중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to KR102014016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3Sewing thread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이 마련된 혼합용기와,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으로 상기 제설수를 공급하는 제설수 공급부와,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혼합공간으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용기로부터 상기 제설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저온의 제설수에 고온의 온수를 혼합하여 고온의 혼합수를 제조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설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고온의 혼합수를 도로에 분사하므로 제설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설장치{Snow remov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결빙되거나 눈이 쌓인 도로에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적설이나 물기에 의한 노면의 결빙은 차량 미끄러짐을 야기하여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 도로 결빙 대책으로서는 인력으로 도로에 모래를 뿌리거나 제설차량과 같은 제설장비를 이용해 결빙 우려가 있는 도로상에 염화칼슘 등을 뿌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도로의 제설을 위해 사용되는 제설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차체 전면에 눈을 치울 수 있는 눈바켓과, 차체의 후측에 설치된 염화칼슘분사기와, 염화칼슘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염화칼슘탱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설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견고하게 노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눈바켓으로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눈이 결빙된 도로 노면의 제설작업에서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9249호에서는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는 염화칼슘이나 소금이 용해되어 저장되는 제설수 저장조와, 제설수 저장조의 제설수를 배출하는 제설수 토출관과,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설수 저장조로 공급하거나 공기가압관을 통해 상기 제설수 토출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기기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는 제설수 저장조에 수용된 제설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 없어 저온의 제설수를 결빙된 도로의 노면에 분사해야하므로 제설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저온의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를 혼합하여 고온의 혼합수를 제조하여 지면에 분사할 수 있는 차량용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내부에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이 마련된 혼합용기와, 상기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으로 상기 제설수를 공급하는 제설수 공급부와, 상기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으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용기로부터 상기 제설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상기 혼합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설수와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온수 공급부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유로가 마련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유닛과, 상기 메인관 및 혼합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유닛에 의해 가열된 상기 유입유로 내의 상기 원수를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하는 온수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혼합용기에서 혼합된 상기 혼합수 중 일부가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혼합용기 및 메인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혼합수 순환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상기 혼합용기 내의 상기 혼합수가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분사유닛에 연결된 배출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는 상기 혼합수의 수압이 기설정된 수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혼합수의 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혼합수 중 일부를 상기 제설수 공급부 또는 온수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수압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압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제설수 공급부 또는 온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수압조절관과, 상기 수압조절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압조절관에 설치되는 수압조절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혼합용기는 상기 제설수 공급수 및 온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제설제 및 온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저온의 제설수에 고온의 온수를 혼합하여 고온의 혼합수를 제조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설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고온의 혼합수를 도로에 분사하므로 제설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제설장치의 혼합용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제설장치의 온수 공급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혼합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설장치(100)는 내부에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206)이 마련된 혼합용기(200)와, 상기 혼합용기(20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상기 제설수를 공급하는 제설수 공급부(300)와, 상기 혼합용기(20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400)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용기(200)로부터 상기 제설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유닛(500)을 구비한다.
혼합용기(200)는 내부에 혼합공간(206)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제설수 및 온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201)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혼합용기(200)는 타단부에 혼합공간(206)에서 제설수 및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20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202)에는 혼합용기(200)의 혼합수를 펌핑하여 분사유닛(5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배출펌프(20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혼합용기(200)에는 상기 혼합공간(206)에 수용된 상기 제설수와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203)는 단부가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인입되게 상기 혼합용기(200)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열봉(204)을 구비한다. 가열봉(204)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기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가열부(203)가 혼합용기(200)에 설치된 가열봉(204)들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가열부(20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혼합용기(200) 내의 제설수 및 온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제설수 공급부(300)는 내부에 제설수가 수용된 제설수 탱크(301)와, 양단이 각각 제설수 탱크(301) 및 유입관(201)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설수 공급관(302)을 구비한다. 이때, 제설수는 물에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제설제가 용해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설수 탱크(301)는 내부에 수용된 제설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설수 공급관(302)에는 제설수 탱크(301)에 수용된 제설수를 펌핑하여 혼합용기(2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온수 공급부(400)는 내부에 고온의 온수가 수용된 온수 탱크(401)와, 양단이 각각 온수 탱크(401) 및 유입관(201)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온수 공급관(402)을 구비한다. 온수 탱크(40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온수 탱크(40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 공급관(402)에는 온수 탱크(401)에 수용된 고온의 온수를 펌핑하여 혼합용기(2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설수 공급관(302), 온수 공급관(402) 및 유입관(201)은 3웨이 밸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분사유닛(500)은 차량에 설치되는 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510)에 설치되며, 혼합용기(200)로부터 혼합수를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510)의 하방으로 혼합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520)와, 프레임(5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200)로부터 혼합수를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510)의 측방으로 제설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530)를 구비한다.
프레임(51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소정기리 연장형성된다. 프레임(510)은 전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재(511)에 의해 차량의 후방에 고정된다. 플랜지부재(511)는 일단이 프레임(510)에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5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다네 의해 차량의 후방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프레임(510)은 제1 및 제2분사부(520,530)에 의해 분사되는 제설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사부(520)는 프레임(510)의 하면에 설치된 제1분사관(521)과, 상기 제1분사관(521)에 설치된 다수의 하방분사노즐(522)을 구비한다.
제1분사관(521)은 내부에 제설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사으로 형성되며, 프레임(510)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제1분사관(521)의 단부는 상기 배출관(202)에 연결된다. 또한, 제1분사관(521)은 내부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개폐밸브(523)가 설치되어 있다.
하방분사노즐(522)은 제1분사관(521)의 하측 외주면에, 프레임(5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하방분사노즐(522)은 제설수가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이 프레임(510)의 하방을 향사도록 형성되어 배출관(202)을 통해 제1분사관(521)으로 공급된 제설수를 프레임(510) 하측의 도로로 분사한다.
제2분사부(530)는 프레임(5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분사관(531)과, 제2분사관(531)에 설치된 다수의 측방분사노즐(532)을 구비한다.
제2분사관(531)은 내부에 제설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2분사관(531)은 고정브라켓(미도시)에 의해 프레임(5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전단부는 배출관(20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분사관(531)은 용이하게 내부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533)가 설치되어 있다.
측방분사노즐(532)은 제2분사관(531)의 측방 외주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측방분사노즐(532)은 제설수가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이 프레임(510)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배출관(202)으로부터 제2분사관(531)으로 공급된 제설수를 프레임(510)의 양측방의 도로로 분사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100)는 저온의 제설수에 고온의 온수를 혼합하여 고온의 혼합수를 제조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설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고온의 혼합수를 도로에 분사하므로 제설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설장치(600)는 내부에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206)이 마련된 혼합용기(700)와, 상기 혼합용기(70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상기 제설수를 공급하는 제설수 공급부(800)와, 상기 혼합용기(70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206)으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900)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용기(700)로부터 상기 제설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유닛(500)과, 분사유닛(500)으로부터 분사되는 혼합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부(950)를 구비한다.
혼합용기(700)는 내부에 혼합공간(206)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혼합공간(206)에서 제설수 및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70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701)은 분사유닛(500)의 제1 및 제2분사관(521,531)에 연통되며, 혼합용기(700)에 수용된 혼합수를 제1 및 제2분사관(521,531)으로 펌핑할 수 있도록 공급펌프(702)가 설치되어 있다.
제설수 공급부(800)는 내부에 제설수가 수용된 제설수 탱크(801)와, 양단이 각각 제설수 탱크(801) 및 혼합용기(70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설수 공급관(802)을 구비한다. 상기 제설수 탱크(801)는 내부에 수용된 제설수의 양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출력하는 제설수 감시부(8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설수 공급관(802)에는 제설수 탱크(801)에 수용된 제설수를 펌핑하여 혼합용기(7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보조펌프(803)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 공급부(900)는 원수 공급부(911)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유로가 마련된 메인관(910)과, 상기 메인관(91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유닛(920)과, 상기 메인관(910) 및 혼합용기(700)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유닛(920)에 의해 가열된 상기 유입유로 내의 상기 원수를 상기 혼합용기(700)로 공급하는 온수배출부(930)와, 상기 혼합용기(700)에서 혼합된 상기 혼합수 중 일부가 상기 메인관(9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혼합용기(700) 및 메인관(91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혼합수 순환관(940)을 구비한다.
메인관(910)은 내부에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보일러유닛(920)의 연통(921) 외주면에 다수회 감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관(910)은 연통(921)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원수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관(910)은 일단부가 원수 공급부(911)에 연통되어 원수 공급부(911)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내부의 유로를 통해 유동한다. 상기 원수 공급부(911)는 원수가 수용된 원수탱크(미도시)와, 원수탱크와 메인관(910)의 일단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 연결관(912)과, 연결관(912)에 설치되어 원수탱크의 원수를 펌핑하여 메인관(910)에 공급하는 연결펌프(913)를 구비한다.
보일러유닛(920)은 연통(921)과, 연통(921) 내부에 설치된 가열유닛(922)을 구비한다.
연통(921)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메인관(910)이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통(921)은 가열유닛(922)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메인관(910)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스틸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통(921)은 후술되는 가열유닛(922)의 버너(923)를 통해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열유닛(922)은 연통(921)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연토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버너(923)와, 버너(923)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버너(923)는 화염구가 연통(921)의 설치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통(921)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버너(923)는 연료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연통(921)의 내주면을 가열시킨다.
연료공급부재는 버너(923)에 연결되어 엘피지(LPG)와 같은 가연성 기체 연료를 버너(923)에 공급한다. 연료공급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에 설치되며, 다량의 기체 연료를 수용하는 가스탱크와, 가스탱크의 일측과 버너(923)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탱크에 수용된 기체연료를 버너(923)에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가스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을 개폐하는 가스밸브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가열유닛(922)이 가연성 기체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스 버너(923)인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가열유닛(922)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열선과 같이 연통(921)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온수배출부(930)는 일단이 메인관(910)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혼합용기(700)에 연결되는 연통관(931)과, 상기 연통관(931)에 설치되어 메인관(910)의 원수를 펌핑하여 혼합용기(700)에 공급하는 제2보조펌프(932)를 구비한다.
혼합수 순환관(940)은 일단이 혼합용기(700)에 연통되고, 타단은 메인관(91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혼합수 순환관(940)을 통해 혼합용기(700) 내의 혼합수 중 일부는 메인관(910)으로 유입되고, 가열유닛(922)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혼합용기(700)로 유입된다. 상기 혼합수 순환관(940)에 의해 혼합용기(700) 내의 혼합수를 순환시키며 가열하므로 원수 공급부(911)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분사유닛(500)은 도 1에 도시된 분사유닛(500)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압조절부(950)는 배출관(7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유닛(500)을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는 상기 혼합수의 수압이 기설정된 수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혼합수의 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관(701)을 통해 상기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상기 혼합수 중 일부를 상기 제설수 공급부(800)로 배출시킨다. 상기 수압조절부(950)는 일단이 상기 배출관(701)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제설수 공급부(800)의 제설수 탱크(801)에 연결되는 수압조절관(951)과, 상기 수압조절관(9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압조절관(951)에 설치되는 수압조절밸브(952)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압조절관(951)이 제설수 탱크(801)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수압조절관(951)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관(91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분사유닛(500)을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는 혼합수의 수압이 기설정된 수압보다 높을 경우, 작업자는 수압조절밸브(952)를 작동시켜 수압조절관(951)을 개방시킨다. 이때, 혼합용기(700)에서 분사유닛(500)으로 유동되는 혼합수 중 일부가 제설수 탱크(801)로 유입되므로 혼합수의 수압이 감소한다. 혼합수의 수압이 기설정된 수압보다 낮아지면 수압조절관(951)이 폐쇄되도록 작업자는 상기 수압조절밸브(952)를 조절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압조절부(950)는 배출관(701) 또는 제1 및 제2분사관(521,531)에 설치되어 혼합수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센서와, 상기 수압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압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수압조절관(951)이 개방될 수 있도록 수압조절밸브(95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압조절부(950)에 의해 배출관(701) 또는 제1 및 제2분사관(521,531)에 유입되는 혼합수의 압력이 조절되므로 배출관(701) 또는 제1 및 제2분사관(521,531)이 고압의 혼합수에 의해 파손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혼합용기(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혼합용기(250)는 상기 제설수 공급부(300) 및 온수 공급부(400)로부터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제설제 및 온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선돌기(2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혼합용기(250)는 일단부에 각각 제설수 공급관(302) 및 온수 공급관(402)이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분사유닛으로 혼합수가 공급되도록 배출관(20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설수 공급관(302)에는 혼합용기(250)로 배출되는 제설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30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선돌기(251)는 혼합용기(250)의 내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제설수 공급관(302) 및 온수 공급관(402)을 통해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제설수 및 온수는 나선돌기(251)에 의해 간섭되어 제설수 및 온수의 흐름에 와류가 발생되므로 제설수와 온수의 혼합효율이 향상된다.
이때, 온수 공급부(400)는 혼합용기(250)로 공급되는 온수 중 일부를 온수탱크(401)로 회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온수 공급관(402)에 연결되며, 타단은 온수탱크(401)에 연결되는 회귀관(411)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귀관(411)에는 상기 온수를 펌핑하기 위한 회귀펌프(4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제설장치
200: 혼합용기
300: 제설수 공급부
301: 제설수 탱크
302: 제설수 공급관
400: 온수 공급부
401: 온수탱크
402: 온수 공급관
500: 분사유닛
501: 프레임
511: 플랜지부재
520: 제1분사부
521: 제1분사관
522: 하방분사노즐
530: 제2분사부
531: 제2분사관
532: 측방분사노즐

Claims (7)

  1. 내부에 제설수와 고온의 온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이 마련된 혼합용기와;
    상기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으로 상기 제설수를 공급하는 제설수 공급부와;
    상기 혼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공간으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용기로부터 상기 제설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설수와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유로가 마련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유닛과,
    상기 메인관 및 혼합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유닛에 의해 가열된 상기 유입유로 내의 상기 원수를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하는 온수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제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혼합용기에서 혼합된 상기 혼합수 중 일부가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혼합용기 및 메인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혼합수 순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 내의 상기 혼합수가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분사유닛에 연결된 배출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는 상기 혼합수의 수압이 기설정된 수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혼합수의 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혼합수 중 일부를 상기 제설수 공급부 또는 온수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수압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제설수 공급부 또는 온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수압조절관과, 상기 수압조절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압조절관에 설치되는 수압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상기 제설수 공급수 및 온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제설제 및 온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KR1020140163676A 2014-11-21 2014-11-21 차량용 제설장치 KR10166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6A KR101666607B1 (ko) 2014-11-21 2014-11-21 차량용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6A KR101666607B1 (ko) 2014-11-21 2014-11-21 차량용 제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138A true KR20160061138A (ko) 2016-05-31
KR101666607B1 KR101666607B1 (ko) 2016-10-14

Family

ID=5609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76A KR101666607B1 (ko) 2014-11-21 2014-11-21 차량용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94B1 (ko) * 2020-05-28 2021-06-28 한국도로공사 연마재 워터젯 예초장비
KR102404672B1 (ko) * 2021-08-30 2022-05-31 임형택 염수 살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77B1 (ko) 2018-08-14 2019-03-28 창원시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040A (ko) * 2007-11-05 2009-05-11 이형근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100939807B1 (ko) * 2009-04-03 2010-02-02 준이앤씨(주) 제설시스템
KR20110100541A (ko) * 2010-03-04 2011-09-14 소영진 수동식 교반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040A (ko) * 2007-11-05 2009-05-11 이형근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100939807B1 (ko) * 2009-04-03 2010-02-02 준이앤씨(주) 제설시스템
KR20110100541A (ko) * 2010-03-04 2011-09-14 소영진 수동식 교반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94B1 (ko) * 2020-05-28 2021-06-28 한국도로공사 연마재 워터젯 예초장비
KR102404672B1 (ko) * 2021-08-30 2022-05-31 임형택 염수 살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607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607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259592B1 (ko) 차량용 제설장치
US20040227006A1 (en) Applicator assembly for application of adhesives, sealants and coatings
KR100927070B1 (ko)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US6325297B1 (en) Atmospheric liquid heater
KR20150004218A (ko) 제설용액 살포장치
KR101065561B1 (ko)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KR102071276B1 (ko)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KR101963377B1 (ko)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KR20140108847A (ko) 소화전을 이용한 제설장치
KR100671956B1 (ko)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의 열매체유 가열장치
CN107208520B (zh) 用于机动车液态工作介质的容器和包括这种容器的机动车
CN111305933A (zh) 尿素喷射装置及对尿素加热的尿素箱和加热方法
KR101295250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940667B1 (ko) 배기가스로 가열되는 가열수 분사를 이용한 제설차
CN200992674Y (zh) 沥青喷洒机
JP4134278B2 (ja) 路面散水システム及び路面散水方法
KR101678381B1 (ko)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비한 제설 장치
CN108699941A (zh) 用于储藏辅助液体及将辅助液体供给机动车内燃机或机动车内燃机部件的系统
RU38147U1 (ru) Система заправки водой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US9677449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n exhaust reductant used within an exhaust treatment system of a work vehicle
KR101309230B1 (ko) 증기발생시간이 단축된 해빙기
KR200346398Y1 (ko) 소방펌프 배관의 잔여 수압 자동 유입 시스템
NL20276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ed growing on a ground surface
EP26902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eezing a portion of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