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76B1 -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76B1
KR102071276B1 KR1020180070648A KR20180070648A KR102071276B1 KR 102071276 B1 KR102071276 B1 KR 102071276B1 KR 1020180070648 A KR1020180070648 A KR 1020180070648A KR 20180070648 A KR20180070648 A KR 20180070648A KR 102071276 B1 KR102071276 B1 KR 10207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heat exchange
unit
main body
high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015A (ko
Inventor
이양우
황주원
Original Assignee
이양우
황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우, 황주원 filed Critical 이양우
Publication of KR2019009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해수보다 염도가 높은 고염도 해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는, 해수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고,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고염도 해수를 얻는 본체; 상기 해수유입구 하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해수를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열교환 유닛의 하측으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해수를 낙하시키는 수평 구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of high salinity seawater}
본 발명은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해수보다 염도가 높은 고염도 해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작업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살수차 등을 이용하여 도로에 물을 뿌리게 된다.
하지만, 겨울철에 도로에 물을 뿌리게 되면 도로가 결빙되어 차량이나 보행자가 미끄러져서 교통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물을 가열하여 도로에 뿌리기도 하지만 겨울철 외부온도가 낮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낮아져서 결국 도로가 결빙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겨울철에 눈이 쌓이면 보행자와 차량의 운행이 어려워서 제설을 하게 되는데, 보통 신속한 제설작업을 위해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 등의 염화물계 제설제를 습염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제설제는 염화칼슘 제조를 위해 석회석, 염산과 같은 원재료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9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를 이용하여 살수나 제설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료비 절감으로 인해 생산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요구되는 염도의 해수를 더욱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해수를 재순환시켜 자원낭비를 막을 수 있는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는, 해수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고,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고염도 해수를 얻는 본체; 상기 해수유입구 하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해수를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열교환 유닛의 하측으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해수를 낙하시키는 수평 구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챔버의 하단에는 염도측정기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염도측정기의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하부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외기공급제어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유니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 유닛은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열교환 셀이 수평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와 해수유입구를 연결하는 더 순환배관이 구비되고, 측정된 해수의 염도값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을 개폐시키도록 제어되는 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구획판은 상기 다수의 통공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해수의 낙하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외기공급제어유닛이 형성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외기공급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해수의 낙하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해수의 낙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수의 염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염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를 고염도의 해수로 제조하여 제설, 도로에 살수, 김치절임, 석탄 등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고염도 해수는 순수한 물보다 어는점이 낮아서 겨울철에도 결빙의 우려가 낮음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설제 제조를 위한 석회석, 염산과 같은 원재료비가 절감되어 생산단가를 낮추고, 도로의 결빙우려가 낮아서 안전사고를 좀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해수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이 순환되므로 환경오염이 예방된다.
외기공급제어유닛에 의해 본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해수와 접촉됨에 따라 증발량이 증가되어 고염도의 해수를 보다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염도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해수의 염도가 제설, 도로 결빙의 우려가 낮은 살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기준치에 미달하면 외기공급제어유닛에 의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상부 및 하부 챔버의 압력차이를 증가시켜 해수가 상부 챔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연장되면서 증발량이 증가되므로, 상기와 같은 기준치 이상의 염도를 갖는 고염도 해수만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기준치 미만의 염도를 갖는 해수를 사용한다면 제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도로가 결빙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기준치 이상의 고염도 해수만 얻을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적설량이나 온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해수의 염도의 기준치를 설정하여 상기와 같이 고염도 해수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설시 재결빙이나 도로의 결빙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 유닛의 상하로 돌출된 방열핀의 상단 및 하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가 형성되어, 방열핀으로 분사된 해수가 방열핀의 절곡단부를 따라 이동되므로 수직으로만 이동되는 것에 비해 이동시간이 연장되므로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되어 염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염도측정기의 측정농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열교환 유닛으로 피드백 순환시킴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 기준치 미만이지만 통상적인 해수보다는 염도가 높은 해수를 이용하므로 기준치 이상의 고염도 해수를 더욱 더 신속하게 얻을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유닛의 일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예시의 열교환 유닛의 일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유닛의 전체 구조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의 분사부, 열교환 유닛 및 수평 구획판의 배열 구조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의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는 해수가 저장된 예비 해수증발조(1)로부터 해수를 공급받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구비되어 해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부(30)와, 이 분사부(30)에서 분사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40)과, 이 열교환 유닛(40)을 통과한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기(50)와, 이 염도측정기(50)의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외부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외기공급제어유닛(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비 해수증발조(1)는 해수가 1차 증발되어 저장되는 저장조로서, 해수가 본체(1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 해수증발조(1)의 내부에는 보조 열교환 유닛(2) 및 공기 분사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보조 열교환 유닛(2)은 해수에 잠기며 열교환 유닛(4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 분사부(3)에서 분사된 공기와 해수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되므로, 예비 해수증발조(1) 자체에서도 해수의 염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비 해수증발조(1) 전단에는 해수를 펌핑하여 저장하는 저장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3)로부터 분사된 공기에 의해 해수를 물방울 형태로 변환하도록 하고, 물방울 형태의 해수는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열교환 유닛(40)과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되므로, 해수의 증발량이 높아질 수 있다. 증발된 해수는 배출관(7)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본체(10)는 예비 해수증발조(1)로부터 1차 열교환된 해수를 공급받아서 2차 열교환시켜 염도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다수개의 챔버(12, 13)가 수평 구획판(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챔버(12, 13)는 상하로 다수의 통공(21)이 관통 형성된 수평 구획판(2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챔버(12, 13)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챔버(12)에는 예비 해수증발조(1)의 해수가 해수공급관(4) 및 펌프(5)를 통해 상부 챔버(12)로 유입되는 해수유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챔버(13)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 및 공기배출구(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30)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1)을 포함하며, 본체(10)의 상부 챔버(12)에 구비되어 해수유입구(11)로 유입된 해수를 분사노즐(31)들을 통해 하측으로 분사시킨다. 이때, 분사부(30)는 해수를 물방을 형태로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 유닛(40)은 본체(10)의 상부 챔버(12)에 구비되되 분사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분사노즐(31)에서 분사된 해수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된 해수의 증기는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 유닛(40)은 열교환 셀(400, 410)의 수평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며, 열교환 셀(400, 410)은 상부 챔버(12)에 수평연장된 열교환 파이프(401 411)와, 이 열교환 파이프(401, 411)의 둘레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방열핀(402, 412)을 포함할 수 있다.
염도측정기(50)는 본체(10)의 각 하부 챔버(13)에 구비되며, 분사부(30)에서 분사되고 열교환 유닛(4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부 챔버(13)로 낙하된 해수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외기공급제어유닛(60)은 염도측정기(50)의 측정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본체(10)의 하부 챔버(13)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되 그 유입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기준치는 적설량, 온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염도일 수 있다.
이러한 외기공급제어유닛(60)은 본체(10)의 하부 챔버(13)의 공기유입구(14) 및 공기배출구(15)에 각각 구비된 공기량조절밸브(61) 및 배기팬(62)과, 이 공기량조절밸브(61) 및 배기팬(6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염도측정기(50)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이면, 공기량조절밸브(61)는 본체(10)의 하부 챔버(13)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줄이고 배기팬(62)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챔버(12,13)의 압력차가 증가되어 상부 챔버(12)에서 열교환된 해수가 하부 챔버(13)로 보다 신속하게 낙하되므로, 요구되는 염도의 해수를 보다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염도측정기(50)의 측정치가 기준치 미만이면, 공기량조절밸브(61)는 본체(10)의 하부 챔버(13)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늘려주고 배기팬(62)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챔버(12, 13)의 압력차가 줄어 상부 챔버(12)의 해수가 하부 챔버(13)로 보다 천천히 낙하되므로, 해수가 상부 챔버(12)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연장되어 열교환 유닛(40)과의 열교환을 통해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의 염도가 증가되고 염도가 증가된 해수가 하부 챔버(13)로 낙하되므로, 요구되는 고염도의 해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는 도 1과 같이 본체(10)의 하부 챔버(13)와 해수유입구(11)를 연결하는 순환배관(70)과, 이 순환배관(70)을 개폐시키는 제어밸브(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밸브(71)는 염도측정기(50)에서 측정된 측정치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별도의 제어부 또는 외기공급제어유닛(60)의 제어부(63)에 의해 순환배관(70)을 개방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하부 챔버(13)에 저장된 해수가 본체(10)의 해수유입구(11)를 통해 상부 챔버(12)로 유입될 수 있고, 본체(10)의 하부 챔버(13)에 저장된 해수의 염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부 챔버(12)의 열교환 유닛(40)을 다시 거치도록 피드백 순환시켜 요구되는 고염도의 해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구획판(20)의 상단측으로는 본체(10)의 측벽으로 본체(10) 내부의 공기 자연 대류를 위한 공기유입부(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비 해수증발조(1) 및 본체(10) 내부에는 해수의 수위를 측량하여 제어부(63)에 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수위센서(6, 16)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유닛의 일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예시의 열교환 유닛의 일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유닛의 전체 구조 사시도이다.
열교환 유닛(40)은 도 4와 같이, 여러 열의 열교환 셀(400)이 수평 배열된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수평 배열된 열교환 셀(400) 각각은 고온수가 인입되는 입구들이 하나의 고온수 입구관(403)과 연결되고,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출구들이 하나의 열교환수 배출관(404)과 연결되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열교환 셀(400, 410)은 열교환 시간을 늘리기 위해 도 2와 도 3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열교환 셀(400, 410)은 고온수를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에 열교환 파이프(401, 411)가 위치되고, 열교환 파이프(401, 411)를 기준으로 방열핀(402, 412)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 셀(400)은 방열핀(402)의 적어도 상단 및 하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2a, 42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분사부(30)에서 분사된 해수가 열교환 유닛(40)의 방열핀(402)의 상단 절곡단부(42a) 및 하단 절곡부(42b)를 경유하므로, 해수가 종래와 같이 단순히 수직으로 돌출된 방열핀을 따라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에 비해 이동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방열핀(402)과의 접촉시간 증가로 인해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열교환 셀(410)은 고운수를 통과하기 위한 열교환 파이프(411)가 위치되고, 열교환 파이프(411)를 기준으로 방열핀(412)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핀(412)은 열교환 파이프(411)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며, 이는 해수와 방열핀(412)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해수의 증발량을 증가시킬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의 분사부, 열교환 유닛 및 수평 구획판의 배열 구조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10) 내의 분사부(30), 열교환 유닛(40) 및 수평 구획판(20)의 일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30), 열교환 유닛(40) 및 수평 구획판(20)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본체(10)의 4각면에 대응하여 좌우 양측이 본체(10)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사부(30)는 예비 해수증발조(1)로부터 1차 증발된 해수를 분사노즐(31)들을 통해 분사시키며, 분사된 해수는 열교환 유닛(40)을 거쳐 열교환되고 증발되며, 증발된 증발수는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되고, 열교환된 해수는 수평 구획판(20)의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하부 챔버(13)로 낙하할 수 있으며, 해수의 낙하는 수평 구획판(20)의 다수개의 통공의 크기에 의해 그 낙하시간이 조절될 수 있고, 또한 외기공급제어유닛(60)에 의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상부 챔버(12)와 하부 챔버(13)간의 압력을 달리하여 해수의 낙하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염도의 해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예비 해수증발조 2 : 보조열교환 유닛
3 : 공기분사노즐 10 : 본체
11 : 해수유입구 12 : 상부 챔버
13 : 하부 챔버 14 : 공기유입구
15 : 공기배출구 16 : 수위 센서
17 : 배출관 18 : 공기 유입부
20 : 수평 구획판 21 : 통공
30 : 분사부 31 : 분사 노즐
40 : 열교환 유닛 50 : 염도측정기
60 : 외기공급제어유닛 61 : 공기량조절밸브
62 : 배기팬 63 : 제어부
70 : 순환배관 71 : 조절밸브
400, 410 : 열교환 셀 401, 411 : 열교환 파이프
402, 412 : 방열핀 402a, 402b : 절곡단부

Claims (5)

  1. 해수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고,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고염도 해수를 얻는 본체;
    상기 해수유입구 하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해수를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열교환 유닛의 하측으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해수를 낙하시키는 수평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구획판은 상기 다수의 통공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해수의 낙하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외기공급제어유닛이 형성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외기공급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해수의 낙하시간을 조절하는,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염도측정기가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염도측정기의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외기공급제어유닛이 형성되는,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유니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 유닛은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열교환 셀이 수평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해수유입구를 연결하는 더 순환배관이 구비되고,
    측정된 해수의 염도값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을 개폐시키도록 제어되는 제어밸브가 구비되는,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5. 삭제
KR1020180070648A 2018-02-13 2018-06-20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KR102071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873 2018-02-13
KR20180017873 2018-02-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89A Division KR101886682B1 (ko) 2018-02-13 2018-03-19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15A KR20190098015A (ko) 2019-08-21
KR102071276B1 true KR102071276B1 (ko) 2020-01-30

Family

ID=63594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89A KR101886682B1 (ko) 2018-02-13 2018-03-19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KR1020180070648A KR102071276B1 (ko) 2018-02-13 2018-06-20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89A KR101886682B1 (ko) 2018-02-13 2018-03-19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8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9528B (zh) * 2019-04-09 2023-07-21 海南大学 超重力低压恒温膜蒸馏海水淡化装置和淡化海水的方法
KR102068937B1 (ko) * 2019-08-06 2020-01-21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해수를 이용한 친환경 잡초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514B2 (ja) * 2000-10-18 2005-01-19 英雄 平良 製塩装置及び海水濃縮装置
JP6152416B2 (ja) * 2013-04-05 2017-06-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海水淡水化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83B1 (ko) * 2005-12-21 2007-07-10 (주)두웰테크놀로지 기상에서 가스 수화물을 생성하여 해수를 담수화하는시스템 및 그 담수화 방법
KR20110118871A (ko) * 2010-04-26 2011-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해수증발식 전해질 제조장치
KR101359996B1 (ko) 2013-06-20 2014-02-12 주식회사 와이씨씨 염화칼슘 제조시스템
KR20180006356A (ko) * 2017-12-29 2018-01-17 정하재 염수 증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514B2 (ja) * 2000-10-18 2005-01-19 英雄 平良 製塩装置及び海水濃縮装置
JP6152416B2 (ja) * 2013-04-05 2017-06-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海水淡水化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15A (ko) 2019-08-21
KR101886682B1 (ko)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276B1 (ko) 고염도 해수 제조장치
US20080018001A1 (en) Non Uniform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an Evaporative Cooler
KR101259592B1 (ko) 차량용 제설장치
RU201112220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JPS61276688A (ja) 直交流冷却塔および流動水の運動エネルギの比較的均一な分散方法
RU2486422C2 (ru) Система оборот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градирен
CN101256056A (zh) 一种蒸发冷却器
CN202274764U (zh) 立式全蒸发空冷器
KR102257345B1 (ko) 관정 지하수 라돈 저감시스템
RU2398170C1 (ru) Способ оборот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кочетов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градирен
US9835379B2 (en)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 cooling tower
KR101666607B1 (ko) 차량용 제설장치
RU2432539C1 (ru) Система оборот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US5368787A (en) White smoke generating apparatus
KR100653730B1 (ko) 스팀 발생 장치
KR101594068B1 (ko) 비닐하우스의 제설시스템
JP2010230261A (ja) 冷却塔
KR101295250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477744B1 (ko) 원격제설 방재 및 다목적 물관리 시스템
CN101413705A (zh) 降温用喷雾系统
JP2008150951A (ja) 路面散水システム及び路面散水方法
JP2010190525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水散水器
JP2013210136A (ja) 冷却塔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6322669A (ja) 冷却塔
KR102014455B1 (ko) 시설 하우스용 온도조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