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905A -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905A
KR20160060905A KR1020140163089A KR20140163089A KR20160060905A KR 20160060905 A KR20160060905 A KR 20160060905A KR 1020140163089 A KR1020140163089 A KR 1020140163089A KR 20140163089 A KR20140163089 A KR 20140163089A KR 20160060905 A KR20160060905 A KR 2016006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composition
resistant resin
heat resistant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진
이종찬
고춘원
이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905A/ko
Publication of KR2016006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전기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수지의 얼로이 소재에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과 고내열 특성을 갖는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POLYAMIDE ALLOY HIGH HEA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전기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수지의 얼로이 소재에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를 배합하고 개선된 기계적 특성과 고내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내아크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자동차, 전기전자 부품, 산업재 등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내열성이 더 우수한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을 혼합(alloy)하는 기술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이들 고분자 혼합 소재는 상용성이 없거나 낮으므로 상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상용화제를 통상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특정한 일종의 상용화제를 첨가하거나 필요 이상의 과량으로 상용화제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특성이나 열적 특성이 저하된다.
일례로 스타이렌계 고무를 상용화제로 사용하게 되면 상용성을 높이지만 충격 및 굴곡특성의 증가와 함께 인장 및 열적 특성이 감소할 수 있고,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상용화를 사용하게 되면 상용성이 높아지고 인장특성은 증가하지만 충격, 굴곡 및 열적 특성은 감소하게 되며, 이들 2종 상용화제는 각각 과량 투입시 기계적 특성 향상과 열적 특성 감소의 한계를 보이며, 이에 2종 상용화제를 병용 사용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매트릭스(matrix)와 도메인(domain) 사이에서 반응하고 남은 상용화제가 매트릭스의 영역을 감소시켜 열적 특성뿐 아니라 기계적 특성까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관련 선행문헌: 미국특허 제609376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고내열 전기 전자 부품용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에 관련하여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기계적 특성과 열적 특성의 상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얼로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러 충진된 폴리아마이드 및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의 얼로이로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이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17 내지 30wt% 범위 내로 포함되고,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관능기와 스타이렌계 고무가 그라프트 구조로 연결된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가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0.5 내지 7wt% 범위 내로 포함되며,
상기 필러는 애스팩트 비가 0.31 이상인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열변형 온도(HDT)가 244 내지 253 ℃인,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를 배합한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의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과 고내열 특성을 갖는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은 필러 충진된 폴리아마이드 및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의 얼로이로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은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17 내지 30wt% 범위 내로 포함되고,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관능기와 스타이렌계 고무가 그라프트 구조로 연결된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가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0.5 내지 7wt% 범위 내로 포함되며, 상기 필러는 애스팩트 비가 0.31 이상인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관능기는 일례로, 말레산 무수물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1이상 선택된 화합물 유래 관능기일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계 고무는 상기 얼로이 조성물 중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수지와 직접(directly) 결합되는 것으로, 일례로, 스타이렌-부틸렌-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고무, 및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 고무 중 1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는 일례로, 얼로이 조성물 중 0.5 내지 7wt%, 혹은 1 내지 5.1wt% 범위 내로 포함하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보강성과 상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량이 저감될수록 열변형 온도와 스파이럴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일례로, 96% 황산 용매에서 측정한 상대점도(relative viscosity)가 2.3 내지 2.8, 혹은 2.3 내지 2.5 범위 내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과 얼로이를 구성하기에 적절하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일례로, 얼로이 조성물 중 39 내지 45wt% 범위 내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과 얼로이를 구성하기에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일례로, 고리 구조의 락탐 또는 w-아미노산이 2종 이상 축중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2가산(diacids) 및 디아민(diamine)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호모폴리아마이드, 코폴리아마이드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폴리아마이드 6,6,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6,10, 폴리아마이드 6,12, 폴리프탈아마이드 및 폴리아마이드 4,6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폴리아마이드 제1 수지 10-60wt%와, 폴리 카프로락탐(나일론 6) 및 폴리라우로락탐(나일론 12)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폴리아마이드 제2 수지 90-40wt%를 사용하는 것이 외관 물성 보완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은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3만 내지 20만g/mol, 혹은 15만 내지 20만g/mol이고, 용융지수(300℃, 1.2kg)가 5-30 g/10분, 혹은 5-15g/10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폴리아마이드와 얼로이를 구성하기에 적절하다.
상기 필러는 구체적인 예로, 애스팩트 비(L/D)가 0.31 이상 내지 5 미만의 유리섬유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유리섬유의 길이 L)/단면(유리섬유의 단면 D)의 애스팩트 비(L/D)가 0.31 이상 내지 1 이하인 것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신디오탁틱폴리스타이렌과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내 고분자 사이에서 매우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강성을 증대시켜 강성이 우선시되는 자동차 등의 플라스틱 부품 가공시 가격이 비싼 수지 및 금속을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면 D는 유리섬유를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단면의 가장 긴 변의 길이이고, 단면에 타원형인 경우에는 단면의 가장 긴 직경의 길이에 해당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 1 내지 5 mm, 혹은 2 내지 3 mm, 직경 10 내지 20 ㎛, 10 내지 15 ㎛, 혹은 10 내지 13 ㎛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타원형의 유리섬유로서 아미노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 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가장 짧은 변이 5 내지 15 ㎛, 혹은 7 내지 11 ㎛이거나, 혹은 타원형인 경우 가장 짧은 직경이 5 내지 15 ㎛, 혹은 7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일례로, 얼로이 조성물 중 35 내지 40wt% 범위 내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얼로이 조성물 중 필요로하는 충진제 역할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얼로이 조성물 100 중량% 중 상용화제를 1 내지 3wt%, 혹은 1 내지 2wt% 범위 내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종래 대비 상용화제의 사용량은 저감하면서 기계적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일례로,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추가 관능기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가 그라프트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추가 관능기는 구체적인 예로, 무수말레산 및 푸마르산 중 선택된 1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얼로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난연제, 광안정제, 사슬연장제,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불활성화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무기 충진제, 내마찰 및 내마모제 중에서 선택된 1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와 함께, 믹서 혹은 슈퍼믹서에서 일차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 일축 압출기 (single-screw extruder), 롤밀 (roll-mills), 니더 (kneader) 또는 반바리 믹서 (banbury mixer) 등 다양한 배합 가공기기 중 하나를 이용하여 200 내지 300 ℃, 혹은 280 내지 300 ℃의 온도구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압출 가공하여 펠렛(Pellet)을 얻고, 이 펠렛을 제습 건조기 또는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출 가공하여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를 양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전기전자 부품 용도에 요구되는 열적 특성, 인장특성, 굴곡특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에 부합하는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열변형 온도(HDT)가 244 내지 253 ℃인, 전기전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전자 부품은 일례로, 사출 고내열 전기전자 부품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차단기, 개폐기 또는 커넥터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그 기재된 함량으로 슈퍼 믹서(super mixer)에 투입하고 활제 및 산화방지제와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베럴온도 280 내지 300 ℃의 온도구간에서 용융 혼련시킨 후 압출가공(펠렛타이져 사용)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120 ℃에서 4 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 성형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일 방치한 후 시편을 물성 테스트를 위한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참고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A-1)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분자량 150,000~200,000g/mol,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따라 300도씨/1.2Kg에서 5~15g/10min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B-1) 폴리아마이드
96% 황산(sulfuric acid) 용매에서 상대점도(relative viscosity) 2.3~2.5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C-1) 충격보강제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과 그라프트된 스타이렌계 고무를 사용하였다. 함량은 1~5wt.% 범위에서 사용하였다.
(C-2) 충격보강제
글리시틸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와 그라프트된 스타이렌계 고무를 사용하였다. 함량은 1~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였다.
(D-1) 유리섬유
직경 10㎛, 길이 4mm의 아미노 실란(amino silane)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를 사용하였다.
(D-2) 유리섬유
직경 13㎛, 길이 4mm의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를 사용하였다.
구분(wt%)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A-1 17.91 19.11 19.11 18.81 17.91
B-1 41.85 44.67 44.67 43.97 41.85
C-1 5.03 1.01 2.01 5.03
C-2 1.01
D-1 35.21 35.21 35.21 35.21
D-2 35.21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외관: 표면의 가스 자국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표 내 5는 시편외관에 가스자국이 전혀 없이 깨끗한 상태이고, 수치가 낮아질수록 가스자국이 점차 심해지며, 수치 1은 시편외관 전반적으로 가스자국이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 인장강도(MPa) 및 인장신고(%): ASTM D638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 굴곡강도(MPa) 및 굴곡탄성률(MPa): ASTM D790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 Izod 충격강도(시편 두께 3.2mm, J/m): ASTM D256에 근거하여 23℃에서 측정하였다.
* HDT(열변형 온도, 18.6 kgf/℃): ASTM D648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 스파이럴(cm): 1mm 두께로 파여진 사출 금형에 일정한 보압을 주었을 때 수지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인장강도 131 147 128 141 107
인장신도 2.6 2.7 1.9 2.7 1.7
굴곡강도 213 223 229 246 179
굴곡탄성률 9967 10087 11118 9774 9458
충격강도 134 129 108 131 97
열변형온도 247 253 249 244 245
스파이럴 40.2 37.9 38.0 38.3 40.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는, 애스팩트 비가 0.30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비교예 1 대비, 인장강도, 인장신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등 전반적인 기계적 특성에 있어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실시예 1 내지 5, 추가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대체하여 (E)상용화제를 추가한 실험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참고로, 다음과 같은 재료를 추가 사용하였다:
(A-2)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분자량 130,000~150,000g/mol,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따라 300도씨/1.2Kg에서 15~30g/10min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B-2) 폴리아마이드
96% 황산 용매에서 상대점도 2.5~2.8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E) 상용화제
푸마르산(fumaric acid)와 그라프트 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였다. 함량은 1~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였다.
구분
(wt%)
추가 실시예 추가 비교예
1 2 3 4 5 1
A-1 18.81 18.51 18.51 17.00 16.39
A-2 17.00
B-1 43.97 43.26 43.26 39.74 38.33
B-2 39.74
C-1 1.01 1.01 5.03
C-2 1.01 1.01 1.01
D-1 35.20 35.21 35.21 40.24 40.24
D-2 35.21
E 1.01 2.01 2.01 2.01 2.01 5.04
구분(wt%) 추가 실시예 추가 비교예
1 2 3 4 5 1
인장강도 181 179 184 185 189 121
인장신도 2.6 2.8 2.8 2.2 2.3 1.7
굴곡강도 193 248 270 282 292 162
굴곡탄성률 9313 9742 10919 11818 11706 9577
충격강도 106 115 119 123 124 57
열변형온도 250 248 245 249 249 227
스파이럴 36.8 37.1 37.2 34.2 38.6 41.3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E)를 포함한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추가 실시예 1 내지 5는, 역시 상용화제(E)를 포함하되 애스팩트 비가 0.30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추가 비교예 1 대비 인장강도, 인장신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 전반적인 기계적 특성에 있어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고 열변형 온도, 스파이럴의 열적 특성 또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과 외관이 확보된 전기 전자 부품용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에 관련하여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C-1,C-2)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전자 부품이 보다 개선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상용화제(E)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전자 부품의 기계적 물성은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C-1,C-2)의 단독 사용시보다 다소 저감되지만, 현저하게 개선된 열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5)

  1. 필러 충진된 폴리아마이드 및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의 얼로이로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이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17 내지 30wt% 범위 내로 포함되고,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관능기와 스타이렌계 고무가 그라프트 구조로 연결된 충격보강제 겸용 상용화제가 얼로이 조성물 100wt% 중 0.5 내지 7wt% 범위 내로 포함되며,
    상기 필러는 애스팩트 비가 0.31 이상인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관능기는 말레산 무수물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1이상 선택된 화합물 유래 관능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계 고무는 스타이렌-부틸렌-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고무, 및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 고무 중 1이상 선택된 것으로,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 수지와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96% 황산 용매에서 측정한 상대점도(relative viscosity)가 2.3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얼로이 조성물 중 39 내지 45wt%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타이렌은 중량평균분자량(Mw) 13만 내지 20만g/mol, 및 용융지수(300℃, 1.2kg) 5-3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애스팩트 비(L/D)가 0.31 이상 내지 5 미만의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아미노 실란으로 표면 처리되고 길이 1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얼로이 조성물 중 35 내지 40wt%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은, 얼로이 조성물 100 중량% 중 상용화제를 1 내지 3wt% 범위 내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추가 관능기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가 그라프트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결합용 추가 관능기는 말레무수물 및 푸마르산 중 선택된 1 이상의 화합물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난연제, 광안정제, 사슬연장제,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불활성화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무기 충진제, 내마찰 및 내마모제 중에서 선택된 1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열변형 온도(HDT)가 244 내지 253 ℃인,
    전기전자 부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부품은 차단기, 개폐기 또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부품.
KR1020140163089A 2014-11-21 2014-11-21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KR20160060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089A KR20160060905A (ko) 2014-11-21 2014-11-21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089A KR20160060905A (ko) 2014-11-21 2014-11-21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07A Division KR101800588B1 (ko) 2017-07-26 2017-07-26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05A true KR20160060905A (ko) 2016-05-31

Family

ID=5609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089A KR20160060905A (ko) 2014-11-21 2014-11-21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9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225B1 (de)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ssfähigkeit
KR101537655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3115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6748423B2 (ja)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成形品
KR102362818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20140092454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EP2300537B1 (de) Fliessverbesserte thermoplasten
KR20190027115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1800588B1 (ko)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KR10202351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78735A (ko) 전도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KR20190064305A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60060905A (ko)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KR101776990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난연수지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75158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1218763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에이비에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146063A (ko) 고유동성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KR20150076619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90017569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30078771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117249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812865A (ja) Pbt樹脂成形材料
KR20170066829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4539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