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890A -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890A
KR20160060890A KR1020140162948A KR20140162948A KR20160060890A KR 20160060890 A KR20160060890 A KR 20160060890A KR 1020140162948 A KR1020140162948 A KR 1020140162948A KR 20140162948 A KR20140162948 A KR 20140162948A KR 20160060890 A KR20160060890 A KR 2016006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embrane
nitrile rubber
vinylbenzyl
monomer
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658B1 (ko
Inventor
장봉준
박유인
남승은
이평수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전기 저항이 낮으면서 이온교환능력,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온교환능력 및 이온전도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Vinylbenzene-styrene 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s with nitrile rub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에 니트릴 고무를 포함시켜 상호 침입 고분자 망상(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를 형성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취성 및 기계적 취약성을 극복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교환막은 고분자 분리막의 한 종류로서 막에 도입된 이온교환기(ion-exchangeable group)의 종에 따라 정전기적 원리를 통해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이온교환막의 경우, 이온교환기로서는 크게 강산성인 술폰산 그룹(-SO3 -)과 약산성인 카르복실산 그룹(-COO-)으로 대별되어지며, 음이온교환막의 경우에 있어서는 주로 강염기성인 4 차 암모늄 그룹(-NH3 +)을 이온교환기로 갖게 된다.
이러한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분리공정은 증류 또는 화학적인 처리를 이용한 분리방법에 비하여 비교적 고순도의 분리정제가 가능하고, 에너지의 소비가 적으며, 장치가 간단하여 설비투자비가 적을 뿐만 아니라, 연속공정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능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분리 정제 공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이온교환막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이온성 물질의 제거를 위한 탈염 또는 정제를 위한 전기투석공정(electrodialysis), 물분해 전기투석공정(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산성 폐액에서 산을 회수하기 위한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 해수 또는 지표수의 탈염을 통한 반도체용 또는 발전용 초순수 생산을 위한 전기탈염과정(electrodeionization) 등의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그 응용 분야 또한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용막의 경우에는 높은 이온선택투과성(>0.95 - 0.98), 낮은 전기적 저항(<3.0 - 4.0 Ω/cm2), 적절한 함수율, 높은 기계적 강도 및 화학적 내성이 있어야 한다.
종래, 이온교환막은 기본 소재로 비닐벤질계-디비닐벤젠계 공중합물을 사용하여 벌크중합법, 라텍스법, 페이스트법을 이용한 제조공정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벌크중합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중합으로써 단량체만으로 또는 단량체에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벌크중합법은 비닐벤질계-디비닐벤젠계 단량체만으로 단독으로 중합시키는 경우, 취성이 증가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보강해 줄 수 있는 지지체를 사용하여야 하며, 더욱이 얇은 막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한 용기가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막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라텍스법은 비닐벤질계-디비닐벤젠계의 공중합체 또는 비닐벤질계-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라텍스를 지지체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 산화가교법에 의한 가교를 통해 기본막을 형성한 후, 이 기본막에 술폰화반응, 클로로메틸화반응 또는 4 급 아민화반응을 통하여 이온교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라텍스법은 중합체의 라텍스에 잔존해 있는 유화제의 영향으로 막의 기계적인 물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페이스트법은 비닐벤질계-디비닐벤젠 단량체, 이의 공중합체의 분말, 가소제 및 고무 따위를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이를 지지체인 얇은 천 등에 입혀 온도를 가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언급한 벌크중합법 또는 라텍스법에 의하여 얻어진 막보다 기계적 성질과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보다 향상된 기계적인 물성을 얻기 위해서는 첨가제가 첨가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조공정상의 복잡성은 막의 제조 단가를 상승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건조시에 막이 깨어지며,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Y. Mizutani, Structure of ion-exchange membranes, J. Member. Sci. 49 (1990) 121).
종래, 특허문헌 1에는 지지체로서 단량체 흡수성과 광가교성의 성질을 동시에 나타내는 비다공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지지체로 사용하여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팽윤 촉진 단량체, 디비닐벤젠 및 광 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하고 4 급 아민화 반응을 통하여 음이온교환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온교환막은 지지체 자체의 강도가 너무 낮고, 이온교환기 도입 후 높은 취성으로 인해 상업적인 생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벤질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에, 다공성 필름을 함침시켜 중합한 후 암모늄 이온의 도입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는 다공성 필름에 스티렌계-비닐벤질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이온교환막은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위한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고강도 및 고내충격의 물성 면에서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 3에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값비싼 올레핀계 첨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올레핀계 첨가제는 반응성이 떨어져,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물성 및 이온전도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모늄염화 반응 활성인 비닐벤질계 단량체, 암모늄염화 반응 불활성인 스티렌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가 혼합된 중합 용액에 니트릴 고무 첨가제를 첨가한 후, 이 중합 용액을 직물형태의 지지체에 침지시켜 내부를 포화킨 다음, 열가교 중합을 시킨 후, 4 급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전도성,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던 중, 본 발명의 상기 음이온교환 복합막이 이온교환능력이 우수하고, 전기저항이 낮으며,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229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048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2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저항이 낮고 이온 교환 능력, 가공성,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이온교환용량 및 이온 전도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복합막의 취성이 개선되고 고른 이온 교환 분포를 가지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
Figure pat00002
"은 랜덤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에 직물 형태의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함침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니트릴 고무를 첨가하여 가교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에 3 급 아민을 반응시켜 음이온교환기로 4 급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제공한다.
더욱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이용한 분리 정제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전기 저항이 낮으면서 이온교환능력,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온교환능력 및 이온전도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
Figure pat00004
"은 랜덤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전기 저항이 낮으면서 이온교환능력,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온교환능력 및 이온전도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서 사용되는 값비싼 올레핀계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올레핀계 첨가제는 반응성이 떨어져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형성하기 어려우나, 니트릴 고무의 경우에는 단량체 용액에 섞어 중합을 시켜 복합막을 제조시 니트릴 고무 첨가제가 용액 상에 균일하게 잘 녹으며, 중합이 진행되면서 용액이 고체화된 복합막으로 변화가 일어난 후에도 니트릴 고무 첨가제가 상분리 없이 막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어, 음이온교환 복합막 제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지지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직물형태의 고분자라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텔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95 중량% 내지 80 중량%와 니트릴 고무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공중합하여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릴 고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취성이 개선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유연성이 지나쳐 막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는 물질의 수득에 있어서, 암모늄염화 반응 활성 단량체로서 상기 비닐벤질계 단량체가 사용된 것이며, 상기 비닐벤질계 단량체는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비닐벤질 브로마이드 및 비닐벤질 아이오다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염화 반응 활성인 비닐벤질 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는 물질의 수득에 있어서, 암모늄염화 반응 불활성 단량체로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가 사용된 것이며,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을 포함하여 공지된 화합물이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비닐피리딘, 트리플루오로스티렌, 2-비닐 피리듐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염화 반응 불활성인 스티렌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암모늄염화 반응 활성인 비닐벤질계 단량체는 음이온교환기를 도입할 수 있는 작용기를 부여함으로써 그 공중합체에서 그 조성비가 증가할수록 이온교환능력과 함수율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암모늄염화 반응 불활성 스티렌계 단량체는 음이온교환기의 도입을 저해함으로써 그 조성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능력이 낮아지나, 함수율 또한 낮춤으로써 막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비닐벤질계 단량체의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이온교환능력 및 이온전도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는 물질의 수득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 고무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중합체에 첨가함으로써 막의 유연성을 더해 건조시 취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니트릴 고무이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니트릴 고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에 직물 형태의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함침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니트릴 고무를 첨가하여 가교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에 3 급 아민을 반응시켜 음이온교환기로 4 급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고무 첨가제를 단량체 용액에 섞어 중합을 시켜 복합막을 제조하는 경우 첨가제가 용액 상에 균일하게 잘 녹아야 하며, 또한, 중합이 진행되면서 용액이 고체화된 막으로 변화가 일어난 후에도 고무 첨가제가 상분리 없이 복합막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니트릴 고무 첨가제는 액체로 구성된 본 단량체 혼합물(비닐벤질클로라이드, 스티렌, 디비닐벤젠)에 매우 잘 녹아들어 균일한 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중합 및 가교 후에도 복합막 내부에 상분리 없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높은 첨가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에서, 니트릴 고무는 단량체 용액에 점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양에 따라 점도를 조절할 수 있어, 지지체 내에 단량체 용액을 포화시키는 과정에서 중합 용액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캐스팅시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니트릴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에 직물 형태의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의 중합 용액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중합 용액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95 중량% 내지 80 중량%와 니트릴 고무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중합 용액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가교제는 5 ~ 7 : 2 ~ 4 : 0.5 ~ 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단계 1의 가교제는 최종 복합막의 팽윤도와 가교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는데,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비닐벤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개시제는 열 가교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벤조일퍼옥사이드(BPO), 큐밀 퍼로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BPO)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계 1의 포화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는 단량체 혼합용액과 니트릴 고무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중합 용액에 직물형태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지지체를 상온에서 함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포화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는 지지체의 기공을 상기 중합 용액으로 채우고, 각 섬유와 섬유 사이의 공간들의 네트워크 구조들이 가공되는 과정에서 가소화되기 때문에, 종래의 막에 비해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이온교환막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함침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니트릴 고무를 첨가하여 가교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의 중합 반응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가 충분히 직물에 수착되어 평형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2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직물 형태의 지지체를 중합 용액에서 방치하여야 한다.
그 후, 상기 중합 용액이 수착된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위치시키고, 다른 유리판을 이용하여 덮은 후, 5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8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열을 이용하여 중합을 수행함으로써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막에 남아 있는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에탄, 아세톤, 톨루엔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담가 수회에 걸쳐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에 3 급 아민을 반응시켜 음이온교환기로 4 급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의 3 급 아민은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페닐에틸아민, 디에틸페닐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민 그 자체 또는 초순수,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희석시켜 상기 단계 2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질과 반응시킬 수 있다. 3 급 아민의 농도는 큰 제한 없이 반응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는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와 3 급 아민의 반응은 아민 또는 아민 용액에 상기 공중합체 막을 담가 상온에서 1 시간 내지 36 시간,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내지 24 시간 유지하면서 충분히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 또는 유기 용매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 또는 유기 용매에서 밤새 담그고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하고, 고강도의 직물형태의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니트릴 고무를 첨가하지 않은 음이온교환 복합막에 비해, 낮은 함수율을 가짐으로써 취성이 크게 낮아져 강도가 개선되고, 낮은 막 면적 저항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막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막의 이온분포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은 전기저항이 낮으면서 이온교환능력,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은 전기 저항이 낮으면서 이온 교환 능력,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더욱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이용한 분리 정제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이용한 분리공정은 증류 또는 화학적인 처리를 이용한 분리방법에 비하여 고순도의 분리정제가 가능하고, 에너지의 소비가 적으며, 장치가 간단하여 설비투자비가 적을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능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분리 정제 공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이온 교환 능력,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물성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 1
단계 1: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 스티렌 : 디비닐벤젠을 60 : 3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PO)를 1 중량%로 조절하여 포함시킨 중합 용액에 니트릴 고무를 9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가 약 180 ㎛인 직물형태의 폴리에틸렌 지지체를 상기 중합 용액에 4 시간 동안 침지시켜 포화 함침되게 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중합 용액이 함침된 폴리에틸렌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놓고 또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중합 용액의 손실을 막기 위해 테잎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65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온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다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수차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여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복합막을 25 부피%의 트리메틸아민 수용액과 75 부피%의 아세톤이 1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아민화하였다. 아민화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이 완료된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에서 밤새 담가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N+(R)3)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막 전체 두께가 약 230 ㎛인, 폴리에틸렌을 지지체로 하는 니트릴 고무가 첨가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 2
단계 1: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 스티렌 : 디비닐벤젠을 60 : 2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PO)를 1 중량%로 조절하여 포함시킨 중합 용액에 니트릴 고무를 87 :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가 약 180 ㎛인 직물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상기 중합 용액에 3 시간 동안 침지시켜 포화 함침되게 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중합 용액이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놓고 또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중합 용액의 손실을 막기 위해 테잎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65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온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다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수차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여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복합막을 25 부피%의 트리메틸아민 수용액과 75 부피%의 아세톤이 1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아민화하였다. 아민화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이 완료된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에서 밤새 담가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N+(R)3)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막 전체 두께가 약 230 ㎛인, 폴리에틸렌을 지지체로 하는 니트릴 고무가 첨가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 3
단계 1: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 스티렌 : 디비닐벤젠을 60 : 2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PO)를 1 중량%로 조절하여 포함시킨 중합 용액에 니트릴 고무를 8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가 약 180 ㎛인 직물형태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지지체를 상기 중합 용액에 4 시간 동안 침지시켜 포화 함침되게 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중합 용액이 함침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놓고 또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중합 용액의 손실을 막기 위해 테잎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80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온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다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수차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여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복합막을 25 부피%의 트리메틸아민 수용액과 75 부피%의 아세톤이 1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아민화하였다. 아민화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이 완료된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에서 밤새 담가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N+(R)3)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막 전체 두께가 약 230 ㎛인, 폴리에틸렌을 지지체로 하는 니트릴 고무가 첨가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 4
단계 1: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 스티렌 : 디비닐벤젠을 60 : 2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PO)를 1 중량%로 조절하여 포함시킨 중합 용액에 니트릴 고무를 8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가 약 180 ㎛인 직물형태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를 상기 중합 용액에 4 시간 동안 침지시켜 포화 함침되게 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중합 용액이 함침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놓고 또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중합 용액의 손실을 막기 위해 테잎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80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온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다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수차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여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복합막을 25 부피%의 트리메틸아민 수용액과 75 부피%의 아세톤이 1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아민화하였다. 아민화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이 완료된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에서 밤새 담가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N+(R)3)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막 전체 두께가 약 230 ㎛인, 폴리에틸렌을 지지체로 하는 니트릴 고무가 첨가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니트릴 고무를 함유하지 않은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중합 용액 제조시 니트릴 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페이스트법에 의해 제조된 된 막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종래의 페이스트법에 의해 제조된 상용막(일본 아스톰사, AMX, 두께 : 약 140 ㎛)을 준비하였다.
< 비교예 3> 올레핀 첨가제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
단계 1: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 스티렌 : 디비닐벤젠을 60 : 3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N,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1 중량%로 조절하여 포함시킨 중합 용액에 올레핀계 첨가제로 1-헥센을 50 :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가 약 180 ㎛인 직물형태의 폴리에틸렌 지지체를 상기 중합 용액에 4 시간 동안 침지시켜 포화 함침되게 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중합 용액이 함침된 폴리에틸렌 지지체를 사각 유리판에 놓고 또 다른 유리판으로 덮은 후 중합 용액의 손실을 막기 위해 테잎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65 ℃의 온도에서 16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온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다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담그어 수차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여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복합막을 25 부피%의 트리메틸아민 수용액과 75 부피%의 아세톤이 1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아민화하였다. 아민화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이 완료된 복합막에 남아있는 미반응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순수로 상온에서 여러 번 세척하고 다시 초순수에서 밤새 담가 다시 수차례 세척하여 4 급 암모늄기(-N+(R)3)가 도입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막 전체 두께가 약 230 ㎛인, 폴리에틸렌을 지지체로 하는 올레핀이 첨가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음이온 교환막의 특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향상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함수율, 이온교환용량(IEC) 및 막 면적 저항을 하기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함수율은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초순수에 24 시간 이상 침적시켜 막을 충분히 팽윤시킨 후 표면 물기를 조심스럽게 닦아내고 늘어난 무게 W1(g)을 측정하고, 이것을 24 시간 동안 120 ℃의 온도로 설정된 진공 오븐에 건조시킨 후, 건조 무게를 W2(g)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함수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또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이온교환용량은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건조 무게를 측정한 후, 1.0 M의 염화나트륨(NaCl) 용액에 24 시간 동안 침지시켜 4 급 암모늄기를 -N+(R)Cl- 형태로 완전히 치환시켰다. 그 후, 다시 0.5 M의 탄산나트륨(Na2CO3) 용액에 24 시간 동안 침적시켜 N+(R)3CO3 -로 치환하고 이 용액에 중크롬산칼륨(5 %)을 1 - 3 방울 정도 떨어뜨려 이온기에서 멀어져 용액 중에 분포하고 있는 염소이온(Cl-)을 질산은(AgNO3)으로 적갈색 침전이 발생할 때까지 적정하여 소모된 질산은의 양(ml)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이온교환용량(IEC, 단위 meq/g)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Wy는 건조된 막의 무게, V는 소모된 수산화나트륨(NaOH)의 양, C는 적정에 사용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나타낸다).
나아가,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막 면적 저항은 0.5 M의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에서 LCZ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과 위상각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막 면적 저항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7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θ는 위상각을, Z는 임피던스 값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중합
용액
성분
(중량%)
첨가제
(첨가제
종류)
10
(니트릴
고무)
13
(니트릴
고무)
15
(니트릴
고무)
20
(니트릴
고무)
- - 100
(1-헥센)
직물
지지체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
에틸렌
- 폴리
에틸렌
스티렌 30 25 25 25 30 - 30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60 60 60 60 60 - 60
디비닐벤젠 10 15 15 15 10 10



물성
이온교환
용량
(meq./g)
3.9 3.7 3.6 3.3 3.7 2.4 3.8
함수율
(%)
23 22 19 15 46 25 27
막면적
저항
(Ωㆍcm2)
2.1 2.5 2.5 2.7 3.7 3.6 2.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 용액 제조에 니트릴 고무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4의 음이온교환 복합막들을 니트릴 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상용막인 비교예 2 및 올레핀계 첨가제가 사용된 비교예 3과 상호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고강도의 직물형태의 지지체를 사용하고, 니트릴 고무를 포함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막보다 낮은 함수율을 가짐으로써 취성이 크게 낮아져 강도가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올레핀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의 음이온교환 복합막과 비교하였을 경우에도, 낮은 함수율을 나타내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비교예 1에 비해 음이온교환막의 기능과 연관되는 이온교환용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는 없으나, 종래 페이스트법에 의해 제조된 막에 비해 우수한 이온교환용량을 나타내었다.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이온교환 성능을 부여하는 이온교환기, 즉 이온교환용량이 높을수록 이온교환성이 높아지므로 복합막의 이온교환 능력은 높아진다. 하지만, 이러한 이온교환용량이 높을수록 복합막의 수팽윤도가 높아져 복합막의 기계적 물성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높은 이온교환용량을 유지하면서도 수팽윤도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인 니트릴 고무를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이온교환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수팽윤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낮은 막 면적 저항을 가짐으로써 이온전도도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막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막의 이온분포도가 향상되어 균질하게 제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의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두께는 230 ㎛로, 비교예 2의 상용막 AMX의 두께인 약 140 ㎛ 보다 두께가 더 두껍기 때문에, 이를 고려했을 때 막면적 저항이 훨씬 낮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특히, 올레핀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의 복합막과 비교하여 낮은 막면적 저항을 나타내어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전기저항이 낮으면서 이온교환능력,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가공성 및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니트릴 고무를 사용하여 경제적이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용이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
    Figure pat00009
    "은 랜덤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에텔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95 중량% 내지 80 중량%와 니트릴 고무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공중합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벤질계 단량체는 비닐벤질 클로라이드, 비닐벤질 브로마이드 및 비닐벤질 아이오다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단량체는 알파메틸스티렌, 비닐피리딘, 트리플루오로스티렌 및 2-비닐 피리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6.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니트릴 고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에 직물 형태의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함침된 직물 형태의 지지체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니트릴 고무를 첨가하여 가교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막에 3 급 아민을 반응시켜 음이온교환기로 4 급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중합 용액은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95 중량% 내지 80 중량%와 니트릴 고무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중합 용액 내 비닐벤질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가교제는 5 ~ 7 : 2 ~ 4 : 0.5 ~ 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
    Figure pat00011
    "은 랜덤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 급 암모늄기가 도입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복합막 모듈을 이용한 분리 정제 공정: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
    Figure pat00013
    "은 랜덤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KR1020140162948A 2014-11-20 2014-11-20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48A KR101726658B1 (ko) 2014-11-20 2014-11-20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48A KR101726658B1 (ko) 2014-11-20 2014-11-20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890A true KR20160060890A (ko) 2016-05-31
KR101726658B1 KR101726658B1 (ko) 2017-04-14

Family

ID=5609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48A KR101726658B1 (ko) 2014-11-20 2014-11-20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3260A (zh) * 2016-07-28 2018-02-0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聚合物、及包含其的离子交换膜与结构增强膜材
KR20180025394A (ko) * 2016-08-30 2018-03-09 한국화학연구원 가소제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857B1 (ko) 2017-05-10 2017-11-24 한국화학연구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9996B1 (ko) * 2017-05-10 2017-11-22 한국화학연구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한 스티렌계-tert-부틸스티렌계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47A (ko) * 2002-07-10 2004-01-16 광주과학기술원 음이온 교환기로서 피리디늄 또는 그 유도체를 도입한음이온 교환막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막을 포함하는 장치
KR100542295B1 (ko) 2003-05-22 2006-01-11 광주과학기술원 폴리에틸렌/폴리비닐벤질 클로라이드 음이온교환막의제조방법
KR20100013871A (ko) * 2008-08-01 2010-02-10 한국화학연구원 스티렌계-비닐벤질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음이온교환 복합막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3023A (ko) * 2009-05-14 2010-11-24 한국화학연구원 지지체로서 직물을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8267B1 (ko) 2012-05-18 2012-10-08 한국화학연구원 올레핀계 첨가제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47A (ko) * 2002-07-10 2004-01-16 광주과학기술원 음이온 교환기로서 피리디늄 또는 그 유도체를 도입한음이온 교환막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막을 포함하는 장치
KR100542295B1 (ko) 2003-05-22 2006-01-11 광주과학기술원 폴리에틸렌/폴리비닐벤질 클로라이드 음이온교환막의제조방법
KR20100013871A (ko) * 2008-08-01 2010-02-10 한국화학연구원 스티렌계-비닐벤질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음이온교환 복합막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9048B1 (ko) 2008-08-01 2010-12-09 한국화학연구원 스티렌계-비닐벤질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KR20100123023A (ko) * 2009-05-14 2010-11-24 한국화학연구원 지지체로서 직물을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8267B1 (ko) 2012-05-18 2012-10-08 한국화학연구원 올레핀계 첨가제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3260A (zh) * 2016-07-28 2018-02-0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聚合物、及包含其的离子交换膜与结构增强膜材
CN107663260B (zh) * 2016-07-28 2020-06-0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聚合物、及包含其的离子交换膜与结构增强膜材
KR20180025394A (ko) * 2016-08-30 2018-03-09 한국화학연구원 가소제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658B1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48B1 (ko) 스티렌계-비닐벤질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KR101726658B1 (ko)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8267B1 (ko) 올레핀계 첨가제를 함유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3399531B2 (ja) 強塩基性アニオン交換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3396B1 (ko) 산 차단 음이온 막
JP4724971B2 (ja) 陰イオン交換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溶液処理装置
KR100542295B1 (ko) 폴리에틸렌/폴리비닐벤질 클로라이드 음이온교환막의제조방법
KR101800857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EP1490434B1 (en) Polymer grafted support polymers
KR101873236B1 (ko)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이온 교환막
KR101799996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한 스티렌계-tert-부틸스티렌계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1637B1 (ko) 니트릴 고무를 함유한 스티렌계-tert-부틸스티렌계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472B1 (ko) 지지체로서 직물을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0732B1 (ko) 올레핀계 첨가제를 함유한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1350A (ko) 고 안정성 레독스 흐름전지용 세공 충진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2061B1 (ko) 가소제를 함유한 비닐벤질계-스티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661B1 (ko) 음전하성 오염물질에 대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세공충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3423765B2 (ja) イオン交換膜の積層方法
KR100473351B1 (ko) 폴리에틸렌/폴리스티렌 양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KR101836410B1 (ko) 가소제를 함유한 스티렌계-tert-부틸스티렌계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2104A (ko) 방사선 그라프트 방법으로 비닐벤질 클로라이드가 그라프트된 탄화수소계 필름을 이용한 연료전지막 제조 방법
KR100447949B1 (ko) Pvc/폴리스티렌 양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KR20160127201A (ko) 이미다졸륨 고분자층을 포함한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8861B1 (ko) 음이온 교환막의 제조방법
KR101170971B1 (ko) 지지체로서 직물을 포함하는 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