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025A -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0025A KR20160060025A KR1020167002570A KR20167002570A KR20160060025A KR 20160060025 A KR20160060025 A KR 20160060025A KR 1020167002570 A KR1020167002570 A KR 1020167002570A KR 20167002570 A KR20167002570 A KR 20167002570A KR 20160060025 A KR20160060025 A KR 20160060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m temperature
- room
- house
- toilet
- ave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4F11/001—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 F24F11/0012—
-
- F24F11/00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간단한 제어로 소비 에너지를 억제하고, 주택 내를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거공간 및 주거공간 이외의 방을 가지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이다.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택 내에 있어서, 적어도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된 온도센서(1B~10B)와, 주택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공조장치(1A~10A)와, 복수의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주거공간 이외의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거공간 및 주거공간 이외의 방을 가지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이다.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택 내에 있어서, 적어도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된 온도센서(1B~10B)와, 주택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공조장치(1A~10A)와, 복수의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주거공간 이외의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 주택의 실온(室溫)조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거공간의 하나인 침실과, 주거공간 이외의 방에 상당하며, 침실과 통하는 복도와의 실온(室溫) 차이를 없애, 히트쇼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침실과 복도의 실온차가 설정된 온도차 이상이 될 경우, 커튼 장치에 의해 복도와, 복도와 통하는 오픈된 공간을 칸막이하고, 복도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구동한다.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커튼 장치에 의해 복도와 오픈된 공간을 칸막이하기 때문에, 복도에 설치된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된 공조 공기가 복도로부터 오픈된 공간으로 유출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복도에 설치된 공조장치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침실과 복도 사이를 이동할 때 히트쇼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침실의 실온에만 기초를 두고 복도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구동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침실 이외의 방과 복도의 실온차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만일, 침실 이외의 방과 침실과의 실온차가 클 경우,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에 의해 복도가 실온 조정된 이후라 하더라도, 복도와 침실 이외의 방과의 온도차가 큰 상태인 채일 우려가 있다. 또한, 주택의 전체 방의 실온차를 줄이기 위해 주택의 전체 방의 실온을 집중 관리하여 각 방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제어하려고 할 경우, 제어가 복잡해지거나, 그 때문에 필요로 하는 소비 에너지가 많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제어로 소비 에너지를 억제하고, 주택 내를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거공간 및 주거공간 이외의 방을 가지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로서,
상기 주택 내에서, 적어도 상기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주택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공조장치와,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상기 주거공간 이외의 방에 설치된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거공간은, 거실, 침실, 식당, 및 부엌 등이고, 주거공간 이외의 방은, 욕실, 세면/탈의실, 변소, 복도 및 현관 등이다. 주거공간은, 계속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주거공간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개별적으로 거주자가 온도 설정하여 쾌적한 실온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주거공간 이외의 방은, 사용 빈도가 적고, 사용시간이 짧기 때문에, 거기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개별적으로 거주자가 온도 설정하는 경우가 적다.
이 때문에,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적어도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그 주변의 실온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주거공간 이외의 방에 설치된 공조장치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주거공간과 주거공간 이외의 방과의 실온차를 작게 하여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주택내의 각 방은 실온차가 발생한다. 그래서, 각 온도센서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목표 실온으로 실온 제어된 방과 다른 각 방과의 온도 차이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주거공간 이외의 실온 제어된 방과 다른 각 방 사이를 이동할 때의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온도센서가 장착된 위치가, 에어컨이 꺼져 있는 방이거나, 창문이 개방된 방이거나, 레인지의 열풍이 직접 닿는 장소이거나, 공조장치의 열원의 근방이거나 할 경우, 각 온도센서가 취득하는 실온 데이터 중에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실온 데이터가 포함되더라도, 평균치화함으로써, 목표 실온에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목표 실온이 극단적으로 치우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소비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간단한 제어로 소비 에너지를 억제하고, 주택 내를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적용한 주택의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적용한 주택의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실온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실온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적용한 주택의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실온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실온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 중, 상기 제 1 평균 실온에 대해 설정한 온도 범위내의 실온 데이터만의 평균치인 제2 평균 실온을 상기 목표 실온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컨이 꺼져 있는 방, 창문이 개방된 방, 부엌의 레인지의 열풍이 직접 닿는 장소, 또는 공조장치의 열원의 근방 등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취득하는 실온 데이터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제1 평균 실온에 대해 설정한 온도 범위 외의 실온 데이터를 이상치(異常値)로서 제외하고, 나머지의 실온 데이터만의 평균치를 제2 평균 실온으로 하여 목표 실온으로 함으로써, 이상치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목표 실온으로 할 수 있고,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적정한 실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2 층 주택에 적용하여 구체화한 실시예 1 및 2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적용한 2층 건물의 주택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층에 주거공간으로서, 거실(11), 식당(12), 및 부엌(13)이 설치되어 있고, 주거공간 이외의 방으로서 욕실(21), 세면/탈의실(22), 변소(23), 및 현관(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주택은, 2층에 주거공간으로서 3개의 침실(주침실(14), 어린이용 침실(15), 예비 침실(16))이 설치되어 있고, 주거공간 이외의 방으로서 변소(25), 복도(26), 및 수납실(27)이 설치되어 있다.
1층의 거실(11), 식당(12), 부엌(13), 및 현관(24)은, 벽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넓은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거실(11)의 중앙에는 테이블(31)이 배치되어 있다. 식당(12)의 중앙에는 식탁 테이블(32)이 배치되어 있다. 식당(12)으로부터 부엌(13)으로 연장된 벽에 접하며, 그 벽으로부터 실내로 연장된 I형의 키친 캐비넷(33)이 장착되어 있다. 이 키친 캐비넷(33)에 의해, 식당(12)과 부엌(13)과의 경계가 형성되어 있다. 키친 캐비넷(33)은 싱크대(33A)와 레인지(33B)를 가지고 있다.
1층의 세면/탈의실(22), 욕실(21), 및 변소(2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실(11)등과 벽으로 나뉘어져 있다. 세면/탈의실(22)과 욕실(21)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면/탈의실(22)과 거실(11) 사이에 도어(41A)를 가지는 출입구(41)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욕실(21)과 세면/탈의실(22) 사이에 도어(42A)를 가지는 출입구(42)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세면/탈의실(22)에는 세면 화장대(34)가 장착되어 있다. 욕실(21)에는 욕조(35)가 장착되어 있다. 변소(23)와 거실(11) 사이에 도어(43A)를 가지는 출입구(43)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변소(23)에는 수세식 대변기(36)가 장착되어 있다.
2층의 각 침실(14, 15, 16), 변소(25), 복도(26), 수납실(27)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으로 나뉘어져 있다. 복도(26)는 1층에서 연장된 계단(28)에 연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침실(14, 15, 16)의 각각과 복도(26) 사이에 도어(44A, 45A, 46A)를 가지는 출입구(44, 45, 46)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주침실(14)에는 2대 한 조의 침대(37)가 배치되어 있다. 어린이용 침실(15)에는 침대(38) 및 공부책상(39)이 배치되어 있다. 변소(25)와 복도(26) 사이에 도어(47A)를 가지는 출입구(47)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변소(25)에는 수세식 대변기(40)가 장착되어 있다. 수납실(27)은 예비 침실(16)에 인접되어 있고, 이 침실(16)과 수납실(27) 사이에 도어(48)을 가지는 출입구(48A)가 설치되어 출입 할 수 있다.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택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10개의 공조장치(1A~10A) 및 10개의 온도센서(1B~10B)와, 각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에 근거하여 주거공간 이외의 방인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적절한 실온이 되도록, 거기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를 제어하는 것이다.
공조장치(1A~10A)와 온도센서(1B~10B)를 1 개씩 1조로 하여, 주택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한다. 1조의 공조장치(1A) 및 온도센서(1B)는 1층의 현관(24)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2조의 공조장치(2A) 및 온도센서(2B)는 1층의 변소(23)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3조의 공조장치(3A) 및 온도센서(3B)는, 1층의 거실(11)의 벽면으로, 계단(28) 아래 쪽에 장착되어 있다. 4조의 공조장치(4A) 및 온도센서(4B)는 1층의 식당(12)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5조의 공조장치(5A) 및 온도센서(5B)는 1층의 부엌(13)의 벽면으로, 레인지(33B) 위쪽에 장착되어 있다. 6조의 공조장치(6A) 및 온도센서(6B)는 1층의 세면/탈의실(22)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7조의 공조장치(7A) 및 온도센서(7B)는 욕실(21)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8조의 공조장치(8A) 및 온도센서(8B)는 2층의 주침실(14)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9조의 공조장치(9A) 및 온도센서(9B)는 2층의 어린이용 침실(15)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10조의 공조장치(10A) 및 온도센서(10B)는 2층의 변소(25)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각 온도센서(1B~10B)는 장착된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실온 제어방법을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50)는, 먼저, 각 온도센서(1B~10B)가 각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취득한다(스텝 S1). 다음으로, 각 실온 데이터(Tn)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T1)을 산출한다(스텝 S2). 그리고, 제어 대상의 공조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Tn)이 제1 평균 실온(T1) 이상인지를 비교한다(스텝 S3). 이들 방의 실온(Tn)이 제1 평균 실온(T1)보다 높은 경우는 제어 대상인 공조장치(2A, 6A, 10A)를 냉방 운전하고(스텝 S4), 낮은 경우에는 제어 대상인 공조장치(2A, 6A, 10A)를 난방 운전하여(스텝 S5), 목표 실온(제1 평균 실온)에 가깝게 한다. 그리고, 각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취득하는 스텝 S1으로 돌아가, 이러한 실온 제어를 반복한다.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겨울철에 실온 제어한 경우의 제어 개시 시와, 제어를 반복해서 안정된 상태의 각 방의 실온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어 대상의 공조장치(2A, 6A, 10A)가 장착되어 있는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 이외의 방의 실온은 변화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부엌(13)은 레인지의 사용 등에 의해 실온이 높아지고, 주침실(14)은 창문이 개방되어 실온이 낮아진 상태를 상정한다.
실온 제어를 개시한 시점에서, 각 방에 설치된 각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은 18.3이다. 이 때문에, 18.3을 목표 실온으로 하고,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러한 실온 제어를 반복하여 계속하면,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상승하여, 제1 평균 실온이 18.6로 수렴되고,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18.6에서 안정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주택의 소정의 10곳에 설치된 온도센서(1B~10B)가 각 방의 실온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주거공간 이외의 방인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주거공간 이외의 실온 제어된 방과 다른 각 방과의 실온 차이를 작게 하여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각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함으로써, 이 목표 실온으로 실온 제어된 방과 다른 각 방과의 온도 차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주거공간 이외의 실온 제어된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와 다른 각 방 사이를 이동할 때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인지(33B)의 사용 등에 의해 실온이 높은 부엌(13)에 설치된 온도센서(5B)나, 창문이 개방되어 실온이 낮은 주침실(14)에 설치된 온도센서(8B)가 취득하는 실온 데이터가 포함되더라도, 평균치화함으로써, 목표 실온에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목표 실온이 극단적으로 치우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소비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간단한 제어로 소비 에너지를 억제하고, 주택 내를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온 제어방법이 실시예 1과 다르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의 주택의 실온조정장치의 제어장치(50)은, 먼저 각 온도센서(1B~10B)가 각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취득한다(스텝 S11). 다음으로, 각 실온 데이터(Tn)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T1)을 산출한다(스텝 S12). 다음으로, 각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1개씩 제1 평균 실온(T1)과 비교하고, 제1 평균 실온(T1)과의 온도차가 설정 온도 이상인 실온 데이터(Tn)를 이상치로서 제외한다(스텝 S13). 다음으로, 이상치를 제외한 실온 데이터(Tn)의 평균치, 즉, 제1 평균 실온(T1)에 대해 설정한 온도 범위내의 실온 데이터(Tn)만의 평균치인 제2 평균 실온(T2)을 산출한다(스텝 S14). 그리고, 제어 대상의 공조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Tn)이 제2 평균 실온(T2) 이상인지를 비교한다(스텝 S15). 이들 방의 실온(Tn)이 제2 평균 실온(T2)보다 높은 경우는 제어 대상인 공조장치를 냉방 운전하고(스텝 S16), 낮은 경우는 제어 대상인 공조장치를 난방 운전하여(스텝 S17), 목표 실온(제2 평균 실온)에 가깝게 한다. 그리고, 각 방의 실온 데이터(Tn, n=1~10)를 취득하는 스텝 S11으로 돌아가, 이와 같은 실온 제어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겨울철에 실온 제어한 경우의 제어 개시 시와 제어를 반복하여 안정된 상태의 각 방의 실온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온 제어를 개시한 시점에서, 각 방에 설치된 각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은 18.3이다. 제1 평균 실온과의 온도차가 5이상인 이상치(부엌(13)과 주침실(14)의 실온 데이터(Tn))를 제외한 실온 데이터(Tn)의 평균치인 제2 평균 실온은 19.0가 된다. 이 때문에, 19.0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실온 제어를 반복하여 계속하면,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상승하여, 제2 평균 실온이 19.7로 수렴되고,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19.7에서 안정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여름 철에 실온 제어한 경우의 제어 개시 시와, 제어를 반복하여 안정된 상태의 각 방의 실온을 표 3에 나타낸다. 제어 대상의 공조장치(2A, 6A, 10A)가 장착되어 있는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 이외의 방의 실온은 변화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실온 제어를 개시한 시점에서, 각 방에 설치된 각 온도센서(1B~10B)가 취득한 실온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은 31.4이다. 제1 평균 실온과의 온도차가 5 이상인 이상치(현관(24)과 주침실(14)의 실온 데이터(Tn))를 제외한 실온 데이터(Tn)의 평균치인 제2 평균 실온은 30.2가 된다. 이 때문에, 30.2를 목표 실온으로 하여,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에 설치된 공조장치(2A, 6A, 10A)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실온 제어를 반복하여 계속하면,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내려가고, 제2 평균 실온이 28.2로 수렴되어, 1층의 변소(23), 세면/탈의실(22), 및 2층의 변소(25)의 실온이 28.2에서 안정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는, 제1 평균 실온과의 온도차가 5 이상인 실온 데이터를 이상치로서 제외하고, 나머지의 실온 데이터만의 평균치를 제2 평균 실온으로 하여 목표 실온으로 함으로써, 이상치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목표 실온으로 할 수 있으며, 히트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적정한 실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 1 및 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예 1 및 2에서는, 10개 방의 각각에 공조장치 및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나, 온도센서는 적어도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할 수 있다.
(2) 실시예 1 및 2에서는, 1층의 변소, 세면/탈의실, 및 2층의 변소의 공조장치를 제어하였으나, 주거공간 이외의 방의 적어도 하나의 방의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3) 실시예 1 및 2에서, 특정의 온도 이상, 예를 들면 30 이상의 실온 데이터, 및 특정의 온도 이하, 예를 들면 10 이하의 실온 데이터를 이상치로서 삭제하고, 남은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를 목표치로 할 수 있다.
(4) 실시예 1 및 2에서는, 각 방에 한개씩 공조장치와 온도센서를 설치하였으나, 하나의 방에 복수개의 공조장치 또는 온도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5) 실시예 2에서는, 제1 평균 실온과의 온도차가 5 이상인 실온 데이터를 이상치로 하였으나, 실온 데이터가 이상치라고 판단하는 제1 평균 실온과의 온도차는 5로 한정되지 않는다.
(6) 실시예 1 및 2에서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를 2 층 건물 주택에 적용하였으나, 2 층 간물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 배치에 적용할 수 있다.
(7) 실시예 1 및 2에서는, 공조장치와 온도센서가 별개이나, 공조장치 내에 온도센서를 편성하여 일체로 할 수 있다.
(8) 실시예 1 및 2에서는, 예비 침실과 2층의 복도에 공조장치 및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예비 침실과 2층의 복도에 공조장치 및 온도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11~16 거실(11: 거실, 12: 식당, 13: 부엌, 14: 주침실, 15: 아이용침실, 16: 예비 침실)
21~27 주거공간 이외의 방(21: 욕실, 22: 세면/탈의실, 23: (1층의) 변소, 24: 현관, 25: (2층의) 변소, 26: 복도, 27: 수납실)
1A~10A 공조장치
1B~10B 온도센서
50 제어장치
21~27 주거공간 이외의 방(21: 욕실, 22: 세면/탈의실, 23: (1층의) 변소, 24: 현관, 25: (2층의) 변소, 26: 복도, 27: 수납실)
1A~10A 공조장치
1B~10B 온도센서
50 제어장치
Claims (2)
- 주거공간 및 상기 주거공간 이외의 방을 가지는 주택의 실온(室溫) 조정장치로서,
상기 주택 내에서, 적어도 상기 주거공간의 소정의 두 곳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주택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공조장치와,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의 평균치인 제1 평균 실온을 목표 실온으로 하여, 상기 주거공간 이외의 방에 설치된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가 취득한 실온 데이터 중에, 상기 제 1 평균 실온에 대해 설정한 온도 범위 내의 실온 데이터만의 평균치인 제2 평균 실온을 상기 목표 실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196523 | 2013-09-24 | ||
JP2013196523A JP6099204B2 (ja) | 2013-09-24 | 2013-09-24 | 住宅の室温調整装置及び住宅の室温調整方法 |
PCT/JP2014/068973 WO2015045579A1 (ja) | 2013-09-24 | 2014-07-17 | 住宅の室温調整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0025A true KR20160060025A (ko) | 2016-05-27 |
Family
ID=5274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2570A KR20160060025A (ko) | 2013-09-24 | 2014-07-17 |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99204B2 (ko) |
KR (1) | KR20160060025A (ko) |
CN (1) | CN105556217A (ko) |
WO (1) | WO20150455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34308B2 (ja) * | 2015-07-03 | 2019-06-26 | リンナイ株式会社 | 浴室暖房装置の制御システム |
CN105823183B (zh) * | 2016-05-11 | 2019-05-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 |
CN108931995A (zh) * | 2018-06-30 | 2018-12-04 | 潍坊友容实业有限公司 | 盐碱地大棚智能保温的方法 |
CN111735162B (zh) * | 2020-06-22 | 2022-02-11 | 北京圣华安咨询有限公司 |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
CN113124549A (zh) * | 2021-04-28 | 2021-07-16 | 深圳市大景智能控制有限公司 | 一种具备温度感应的酒店客房智能控制系统 |
CN113418280B (zh) * | 2021-06-04 | 2022-07-19 |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和智能空调 |
US11761661B2 (en) * | 2021-12-02 | 2023-09-19 |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
JP7506902B1 (ja) | 2024-04-02 | 2024-06-27 | 東亜事業協同組合 | 空調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54156A (en) * | 1987-08-24 | 1989-03-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conditioner |
KR100640856B1 (ko) * | 2004-12-14 | 200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JP4917506B2 (ja) * | 2007-09-20 | 2012-04-18 | 株式会社サトーキ | 室内空調システム |
JP5108569B2 (ja) * | 2008-03-13 | 2012-12-26 |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 建物の空調システム |
CN201606984U (zh) * | 2010-03-18 | 2010-10-13 | 成都交大房产开发有限责任公司 | 家用中央新风、空调智能控制系统 |
JP2013015300A (ja) * | 2011-07-06 | 2013-01-24 | Panasonic Corp | 住宅システム及び温度制御装置 |
-
2013
- 2013-09-24 JP JP2013196523A patent/JP6099204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7-17 KR KR1020167002570A patent/KR201600600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7-17 WO PCT/JP2014/068973 patent/WO20150455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7-17 CN CN201480051584.3A patent/CN10555621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064115A (ja) | 2015-04-09 |
JP6099204B2 (ja) | 2017-03-22 |
WO2015045579A1 (ja) | 2015-04-02 |
CN105556217A (zh) | 2016-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60025A (ko) | 주택의 실온조정장치 | |
US7967218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zone forced air HVAC system to reduce energy use | |
US20190257537A1 (en) | Controllable duct system for multi-zone climate control | |
CN111954784A (zh) | 一种用于进行空气调节的方法和系统 | |
JP2018151114A (ja) | 換気システム | |
JP6376733B2 (ja) | 住戸 | |
JP2010091237A (ja) | 室内温度調整システム | |
JP2019007695A (ja) | 建物の空調システム | |
JP2015152192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JP2013221725A (ja) | 建物の温度調整システム | |
US2022002610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zone climate control | |
JP2014016045A (ja) | 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 |
JP2021096049A (ja) | 換気システム | |
WO2018179732A1 (ja) |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方法 | |
US11365540B2 (en) | Functional modular building cartridges and methods | |
JP2008285913A (ja) | 建物及び気流制御システム | |
JP6253536B2 (ja) | 換気システム | |
JP2022114707A (ja) | 空調制御システム、サーバ、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134289B2 (ja) | 空調の制御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 |
JP5570294B2 (ja) | 建物 | |
JP5563255B2 (ja) | 空調システム | |
Chang | Atmospheric exchange: air-conditioning, thermal material culture and public housing in Singapore | |
JP2006105473A (ja) | 換気システム | |
JP2018189329A (ja) | 建物の空調システム | |
JP2020008246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調和システムの機種選定方法、空気調和システムの機種選定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機種選定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