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429A -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429A
KR20160056429A KR1020140155972A KR20140155972A KR20160056429A KR 20160056429 A KR20160056429 A KR 20160056429A KR 1020140155972 A KR1020140155972 A KR 1020140155972A KR 20140155972 A KR20140155972 A KR 20140155972A KR 20160056429 A KR20160056429 A KR 20160056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inverter motor
water
ai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681B1 (ko
Inventor
허윤성
황윤석
류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이앤지
허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이앤지, 허윤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이앤지
Priority to KR102014015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81B1/ko
Priority to PCT/KR2015/007678 priority patent/WO2016013886A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에어워터 공급장치는 인버터 모터를 갖는 압축기, 증발기, 식수 저수조, 저수조 수위 센서, 압축기 제어부를 갖는다. 압축기 제어부는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1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상향시켜 구동한다. 제1시간이 경과해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2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하향시켜 구동한다. 제2시간이 경과해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3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추가 하향시켜 구동한다. 제3시간이 경과해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구동 단계를 추가 하향시켜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최하 구동 단계로 제4시간 동안 구동하여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다.

Description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Air Water Generator with Trouble Sensing Function}
본 발명은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워터 공급장치는 공기 중의 습기로부터 응축수를 생성하여 식수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응축수 생성부, 정수부, 급수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응축수 생성부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가 압축된 냉매는 증발기에서 기화되는데, 이때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증발기 표면에서 습기가 응축되고, 그 결과 생성된 응축수는 증발기 하부의 집수조로 떨어져 집수된다.
특허등록 0571311호는 제상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압축기를 정지한 후 일정 시간 팬을 구동하여 증발기 표면의 얼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수위 감지 센서를 통해 집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임이 감지되면 압축기와 팬을 구동하여 증발기의 표면에 수분이 응결되도록 한다. 설정한 압축기 구동시간(t1)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하였으면 압축기만을 중지시켜 증발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압축기의 중지 시점부터 소정시간(t2)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했으면 팬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수위 감지 센서를 통해 집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집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으면 팬이 중지된 시점부터 일정주기(T)가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했으면 압축기를 가동하여 응축수 생성을 재개한다. 집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압축기와 팬을 중지시킨다.
종래기술은 증발기 표면에 얼음이 형성되어 응축수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경우, 일정 시간을 경과시킨 후 다시 압축기를 가동하고 있다.
그런데,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는 증발기 표면에 얼음이 생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냉매가 누출되었거나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압축기가 과도하게 가동되는 경우, 응축수의 낙수 지점에 집수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이러한 경우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예를들어, 종래기술은 먼저 팬을 가동시켜 증발기 표면의 얼음을 1차로 녹이고, 그럼에도 응축수 수위가 상승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을 더 경과시킨 후 압축기를 재가동하고 있는데,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증발기 표면의 얼음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처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증발기 표면의 얼음 형성에 따른 응축수 미생성은 물론, 다른 구성요소의 고장으로 인한 응축수 미생성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고,
둘째, 증발기 표면의 얼음 제거를 위한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워터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압축기, 증발기, 저수조, 저수조 수위 센서, 압축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압축기는 다수의 구동 단계를 갖는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여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매를 기화시켜 공기 중의 습기로부터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저수조는 응축수로부터 생성되는 식수를 저장할 수 있다.
저수조 수위 센서는 저수조의 식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저수조 수위 센서로부터 식수 수위를 수신한다. 압축기 제어부는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1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상향시켜 제1 상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2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켜 제1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3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제1 하향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켜 제2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구동 단계를 추가 하향시켜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최하 구동 단계로 제4 시간 동안 구동하여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습도 센서로부터 공기 습도를 수신할 수 있고,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공기 온도를 수신할 수 있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경우 경고부로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압축기, 증발기, 집수조, 집수조 수위 센서, 압축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압축기는 다수의 구동 단계를 갖는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여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매를 기화시켜 공기 중의 습기로부터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집수조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집수조 수위 센서는 집수조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집수조 수위 센서로부터 응축수 수위를 수신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1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상향시켜 제1 상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2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킨 제1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3 시간 동안 인버터 모터를 제1 하향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킨 제2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는,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구동 단계를 추가 하향시켜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최하 구동 단계로 제4 시간 동안 구동시켜도 응축수 수위가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습도 센서로부터 공기 습도를 수신할 수 있고,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공기 온도를 수신할 수 있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경우, 경고부로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의하면, 증발기 표면의 얼음 형성에 따른 응축수 미생성은 물론, 다른 구성요소의 고장, 예를들어 냉매가 누출되었거나 충분하지 않아서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집수조의 위치가 응축수 낙하 지점에 위치하지 않아서 응축수가 충분히 감지되지 않는 경우 등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의하면, 압축기의 가동/중지를 반복함으로써 야기되는 전력 과다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6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및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워터 공급장치는 응축수 생성부(100), 정수/급수부(200), 응축수 생성 제어부(300A)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응축수 생성부(100)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압축기(110), 응축기(120), 증발기(130), 집수조(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는 냉매 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보낸다. 압축기(110)는 인버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는 다수의 단계, 예를들어 4단, 5단, 6단 등으로 구성하여 구동할 수 있다. 각 단계의 구동은 인가되는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는 최소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최소 회전수는 1 단계를 말하며, 1 단계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응축수가 거의 생성되지 않고, 또한 소모 전력도 인버터 모터를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경우보다 줄일 수 있다.
응축기(120)는 압축기(110)가 보낸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여 액화시킨다.
증발기(130)는 팽창 밸브를 경유하여 유입하는 액체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 배관 주위의 공기가 냉각되고, 공기 중의 습기가 응축하여 응축수가 생성된다.
집수조(140)는 증발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증발기(130)에서 생성되어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 보관한다.
그 밖에, 응축수 생성부(10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증발기(130)로 유도하는 팬, 집수조(14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살균하는 살균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정수/급수부(200)는 응축수 생성부(100)의 응축수를 정화하여 식수를 생성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으로, 급수 펌프(210), 필터부(220), 저수조(230), 가열부(240), 온수 밸브(250), 냉각부(260), 냉수 밸브(270), 버튼부(280), 급수 제어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펌프(210)는 집수조(140)의 응축수를 필터부(220)로 이동시킨다.
필터부(220)는 급수 펌프(210)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를 정화하여 식수를 생성한다. 필터부(220)는 사용 용도에 따라 특정 기능의 필터들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필터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모래, 흙, 녹찌거기 등을 제거하는 침전(SED) 필터, 염소, 프로할로메탄, 냄새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PRE)카본 필터, 각종 중금속 유기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중공사막(UF) 멤브레인 필터, 나권형(CSM) 3구 멤브레인 필터, 또는 역삼투(RO) 멤브레인 필터, 물맛을 좋게 하고 가스나 냄새 등을 제거하는 후처리(POST) 카본 필터, 이온 볼 필터, 이온수 제조용 전해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필터는 침전 필터, 전처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 후처리 필터, 기능성 필터 등을 차례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저수조(230)는 필터부(220)가 보낸 식수를 받아 저장한다.
가열부(240)는 저수조(230)로부터 공급되는 식수를 가열한다. 가열부(240)는 저수조(230)와 온수 밸브(250) 사이에 설치되는 순간 가열기, 예를들어 배관을 둘러싸는 열선일 수 있다.
냉각부(260)는 저수조(230)로부터 공급되는 식수를 냉각시킨다. 냉각부(260)는 가는 관으로 구성되는 냉매관을 배관의 외면에 결합시키고, 그 속에 냉매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냉수 밸브(270)는 냉각부(260)의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버튼부(280)는 푸시 버튼 방식의 온수 버튼, 냉수 버튼, 상온수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해당 버튼이 가압되면, 대응하는 온수 신호, 냉수 신호, 상온수 신호가 급수 제어부(290)로 전송된다.
급수 제어부(200)는 버튼부(280)로부터 수신하는 온수 신호, 냉수 신호, 상온수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가열부(240), 냉각부(260) 등을 동작시키고, 온수 밸브(250)와 냉수 밸브(27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응축수 생성 제어부(300A)는 저수조 수위 센서(310), 압축기 제어부(32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저수조 수위 센서(310)는 저수조(230)에 모인 식수의 양을 측정하여 압축기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저수조 수위 센서(310)는 저수조(23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센서용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수조(230)에 식수가 모이면 식수로 인해 센서용 전극의 저항값이 변하고, 이러한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230)에 식수가 어느 높이까지 채워져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수조 수위 센서(310)는 저수조(230)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팅부와 저수조(2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플로팅부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수조 수위 센서(310)는 식수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차면 식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저수조 수위 센서(310)는 식수의 수위를 다수의 단계로 감지할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식수 수위에 대응하여 다수의 식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식수 감지 신호는 저항값, 전압값, 전류값 등일 수 있고, 나아가 각 단계의 식수 수위에 대응하는 별도의 식별값일 수도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저수조 수위 센서(310)로부터 식수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식수 감지 신호는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 정보를 포함한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식수 감지 신호로부터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설정 식수 수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처음에는 인버터 모터를 현재 구동 단계보다 단계를 상향시켜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인버터 모터의 전체 구동 단계가 5단으로 구성되고, 현재 구동 단계가 3 단계이면, 인버터 모터를 4 단계 또는 5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고, 구동 시간은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보통은 한 단계만 상향시켜 4 단계로 구동시키고, 구동 시간은 예를들어 10분, 15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한 단계 상향시켜 소정 시간 구동시키는 이유는, 저수조(230)의 식수 부족이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가 낮아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4 단계로 10분간 구동시켰음에도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가 낮아서 식수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는 판단하지 않는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한 단계 상향시켜 충분한 시간 동안 구동시켰음에도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증발기(130) 표면에 얼음이 생겨 응축수가 증발기(130) 표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320)는 증발기(130) 표면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소정 시간 인버터 모터를 처음 구동 단계보다 하향시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단계는 처음 구동 단계가 3 단계였으므로 2 단계 또는 1 단계일 수 있고, 구동 시간은 증발기(130) 표면의 얼음이 제거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보통은 한 단계만 하향시킨 2 단계로 구동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은 예를들어 15분을 설정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하향시켜 구동하였음에도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1차적으로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가 증발기(130) 표면의 얼음을 녹일만큼 충분히 낮지 않거나 또는 설정 시간이 충분히 길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를 더 낮추거나, 구동 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를 추가로 낮추거나 구동 시간을 더 늘려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구동 단계의 하향 및/또는 구동 시간의 연장을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1 단계는 응축수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 구동 단계일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로 낮추고 구동 시간도 충분히 늘렸음에도,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이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의 고장, 예를들어 배관 속을 흐르는 냉매의 부족하거나 냉매 이동 배관이 파손되어 응축수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경고음 발생 신호, 경고 메시지 등일 수 있다. 경고음 발생 신호는 경고부로 전송하여 경고음을 발하게 하고, 경고 메시지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워터 공급장치는 경고음을 생성하는 경고부, 관리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는, 압축기(110)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101), 압축기 제어부(320)가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103)
압축기 제어부(320)는,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하여 구동시킨다.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N+1 단계로 제1 시간 예를들어 10분 동안 구동시킨다.(S105)
압축기 제어부(320)는, 제1 시간 즉 10분이 경과한 후, 다시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107) 이 때,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한다.(S108)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아직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낮은 N-1 단계로 제2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109)
압축기 제어부(320)는, 제2 시간 즉 15분이 경과한 후, 다시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111) 이 때,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한다.(S108)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아직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두 단계 낮은 N-2 단계로 제3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113,S114,S109) 이러한 과정을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까지 하강했음에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했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115).
압축기 제어부(320)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117)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수 생성 제어부(300B)가 습도 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330)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여 압축기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습도 센서(330)는 전기 저항이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것, 진동자에 설치한 흡수 물질의 중량 변화로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가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습구 습도계, 모발 습도계, 염화 리튬 습도센서, 전해 습도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 진동식 습도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센서, 세라믹 습도센서, 서미스터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결로센서, 노점센서, IC화 습도센서 등이 있는데, 이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습도 센서(330)는 공기 중의 습기가 부족하여 응축수가 거의 생성되지 못하는 경우에 압축기(110)가 불필요하게 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중의 습기가 부족하면 압축기(110)를 계속 가동하더라도 원하는 양의 응축수를 생성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는, 압축기(110)에 전력을 계속 공급하는 것이 낭비일 수 있다. 더구나, 응축수 생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인버터 모터가 고장날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인버터 모터의 기계 피로도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는, 압축기(110)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전력 소모, 응축수 생성 효율, 장치 수명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습도 센서(330)로부터 측정 습도를 수신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측정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설정 습도는 예를들어 39%로 정할 수 있다. 측정 습도가 39%보다 낮으면,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압축기(110)를 중지시킬 수 있다.
도 2a의 나머지 구성은 도 1a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2a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제어 과정과 달리, 측정 습도에 따른 인터버 모터의 중지를 추가하고 있다.
제2 실시예는, 인버터 모터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101), 압축기 제어부(3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1) 이때,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115) 그렇지 않고,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103). 이하 제어 과정은 도 1b의 제어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b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수 생성 제어부(300C)가 온도 센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40)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압축기 제어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온도 센서(340)는 온도에 따라 전기 특성이 변하는 재료를 포함하는데, 검출 온도 영역, 검출 정밀도, 온도 특성, 양산성, 신뢰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공업 계측용으로서는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서미스터(NTC), 금속식 온도계가, 그리고 생활 용품으로는 서미스터(NTC, PTC, CTR), 감온 페라이트, 금속식 온도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온도 센서(340)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 응축수가 거의 생성되지 못하는 경우에 압축기(110)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의 온도가 낮으면 압축기(110)를 계속 가동하더라도 원하는 양의 응축수를 생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2a,2b의 공기 습도에 따른 압축기 중지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방지, 장치 수명 연장, 식수 생성 효율 개선 등을 위해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압축기(110)를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온도 센서(340)로부터 측정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설정 온도는 예를들어 18℃로 정할 수 있다. 측정 온도가 18℃보다 낮으면,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압축기(110)를 중지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320)는, 습도와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습도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압축기(110)를 중지시킬 수 있고, 또는 습도와 온도가 모두 설정 습도와 설정 온도보다 낮을 때 압축기(110)를 중지시킬 수도 있다.
도 3a의 나머지 구성은 도 1a,2a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3a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a,2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3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어 과정과 달리, 측정 온도에 따른 인터버 모터의 중지를 측정 습도에 따른 인버터 모터의 중지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추가하고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모터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101), 압축기 제어부(3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인지(S121), 그리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3).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320)는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킨다.(S115)
압축기 제어부(3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103). 이하 제어 과정은 도 1b의 제어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b의 관련 설명을 갈음한다.
제3 실시예는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거나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를 판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즉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저수조(230)의 식수 수위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4 실시예는 응축수 생성부(100), 정수/급수부(200), 응축수 생성 제어부(400A)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응축수 생성부(100), 정수/급수부(200)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하,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구별되는 응축수 생성 제어부(400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응축수 생성 제어부(400A)는 집수조 수위 센서(410), 압축기 제어부(42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집수조 수위 센서(410)는 응축수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차면 응축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집수조 수위 센서(410)는 응축수 수위를 2 단계로 감지하는 것이 보통이나, 3개 이상의 단계로 감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의 응축수 수위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응축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응축수 감지 신호는 저항값, 전압값, 전류값 등일 수 있고, 나아가 각 단계를 나타내는 별도의 식별값일 수도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집수조 수위 센서(410)로부터 응축수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응축수 감지 신호는 집수조(140)의 응축수 수위 정보를 포함한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응축수 감지 신호로부터 집수조(140)의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처음에는 인버터 모터를 현재 구동 단계보다 단계를 상향시켜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인버터 모터의 전체 구동 단계가 6 단이고, 현재 구동 단계가 4 단계이면, 인버터 모터를 5 단계 또는 6 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고, 구동 시간은 응축수 수위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보통은 한 단계만 상향시켜 5 단계로 구동시키고, 구동 시간은 예를들어 10분, 15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5 단계로 10분간 구동시켰음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가 낮아 응축수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는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한 단계 상향시켜 충분한 시간 동안 구동시켰음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인버터 모터를 처음 구동 단계보다 하향시켜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단계는 처음 구동 단계가 4 단계였으므로 3 단계, 2 단계, 또는 1 단계일 수 있고, 구동 시간은 증발기(130) 표면의 얼음이 제거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보통은 한 단계만 하향시킨 3 단계로 구동하고, 설정 시간은 예를들어 1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하향시켜 구동하였음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가 충분히 낮지 않거나 또는 설정 시간이 충분히 길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를 더 낮추거나, 구동 시간을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를 더 낮추거나 구동 시간을 더 늘릴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동 단계의 하향 및/또는 구동 시간의 연장을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로 낮추고 구동 시간도 충분히 늘렸음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다른 구성요소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게 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압축기(110)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201), 압축기 제어부(420)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203)
압축기 제어부(420)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하여 구동시킨다. 그렇지 않고,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N+1 단계로 제1 시간 예를들어 10분 동안 구동시킨다.(S205)
압축기 제어부(420)는, 제1 시간 즉 10분이 경과한 후, 다시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207) 이 때,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한다.(S208) 그렇지 않고,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아직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낮은 N-1 단계로 제2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209)
압축기 제어부(420)는, 제2 시간 즉 15분이 경과한 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211)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하고(S208),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했으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두 단계 낮은 N-2 단계로 제3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213,S214,S209) 이러한 과정을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 즉 1 단계까지 하강했음에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했으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215).
압축기 제어부(420)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로 전송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217)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수 생성 제어부(400B)가 습도 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330)는 제2 실시예의 습도 센서와 동일하므로, 습도 센서(330)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습도 센서(330)로부터 측정 습도를 수신하고, 측정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 설정 습도가 예를들어 39%보다 낮으면,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도 5a의 나머지 구성은 도 4a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5a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4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5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는, 도 4b에 도시한 제4 실시예의 제어 과정과 달리, 측정 습도에 따른 인터버 모터의 중지를 추가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모터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201), 압축기 제어부(4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21)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215)
압축기 제어부(4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면,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203). 이하 제어 과정은 도 4b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4b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6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수 생성 제어부(400C)가 온도 센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40)는 제3 실시예의 온도 센서와 동일하므로, 온도 센서(340)에 대한 설명은 제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온도 센서(340)로부터 측정 온도를 수신하고,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측정 온도가 예를들어 18℃보다 낮으면,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압축기 제어부(420)는 습도와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습도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고, 또는 습도와 온도가 모두 설정 습도와 설정 온도보다 낮을 때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도 6a의 나머지 구성은 도 4a,5a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6a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4a,5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6 실시예는, 도 5b에 도시한 제5 실시예의 제어 과정과 달리, 측정 온도에 따른 인터버 모터의 중지를 측정 습도에 따른 인버터 모터의 중지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추가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모터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201), 압축기 제어부(4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인지(S221), 그리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23).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420)는 다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215)
압축기 제어부(420)는, 공기 중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203). 이하 제어 과정은 도 4b의 제어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4b의 관련 설명을 갈음한다.
도 6b의 제6 실시예는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거나 또는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집수조(140)의 응축수 수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고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즉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집수조(140)의 응축수 수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는 저수조 수위 센서(310)와 집수조 수위 센서(410)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는 점과, 압축기 제어부(510)는 저수조 수위 센서(310)로부터 수신하는 식수 수위와 집수조 수위 센서(410)로부터 수신하는 응축수 수위를 모두 고려하여, 즉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고 또한 응축수 수위도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인버터 모터의 구동 단계 상향, 구동 단계 하향, 추가적인 구동 단계 하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1,4 실시예와 다르다. 나머지 구성은 제1,4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4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터 공급장치의 제7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모터가 N 단계로 가동 중인 상태에서(S301),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 그리고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303).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거나, 또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즉 2개의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하여 구동시킨다.(S308)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고, 또한 응축수 수위도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N+1 단계로 제1 시간 예를들어 10분 동안 구동시킨다.(S305)
압축기 제어부(510)는, 제1 시간 즉 10분이 경과한 후, 다시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 그리고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판단한다.(S307)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거나, 또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한다.(S308)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고, 또한 응축수 수위도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한 단계 낮은 N-1 단계로 제2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309)
압축기 제어부(510)는, 제2 시간 즉 15분이 경과한 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 그리고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311)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까지 상승했거나, 또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까지 상승했으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인 1 단계로 조절한다.(S308) 그렇지 않고,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고, 또한 응축수 수위도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N 단계보다 두 단계 낮은 N-2 단계로 제3 시간 예를들어 15분 동안 구동시킨다.(S313,S314,S309) 이러한 과정을 인버터 모터의 최하 단계, 즉 1 단계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압축기 제어부(510)는, 인버터 모터를 최하 단계 즉 1 단계까지 하강시켰음에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고 응축수 수위도 설정 응축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S315).
압축기 제어부(510)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로 전송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317)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응축수 생성부 110 :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증발기
140 : 집수조 200 : 정수/급수부
210 : 급수 펌프 220 : 필터부
230 : 저수조 240 : 가열부
250 : 온수 밸브 260 : 냉각부
270 : 냉수 밸브 280 : 버튼부
290 : 급수 제어부
300A~300C,400A~400C,500 : 응축수 생성 제어부
310 : 저수조 수위 센서 410 : 집수조 수위 센서
320,420,510 : 압축기 제어부 330 : 습도 센서
340 : 온도 센서

Claims (8)

  1.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구동 단계를 갖는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공기 중의 습기로부터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응축수로부터 생성되는 식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식수 수위를 측정하는 저수조 수위 센서;
    상기 저수조 수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1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상향시켜 제1 상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상기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2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상기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켜 제1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상기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3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상기 제1 하향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켜 제2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식수 수위가 상기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구동 단계를 추가 하향시켜 상기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최하 구동 단계로 제4 시간 동안 구동하여도 식수 수위가 설정 식수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압축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경우 상기 경고부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5. 에어워터 공급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구동 단계를 갖는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공기 중의 습기로부터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하는 집수조 수위 센서;
    상기 집수조 수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1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상향시켜 제1 상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상기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2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상기 최초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킨 제1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상기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제3 시간 동안 상기 인버터 모터를 상기 제1 하향 구동 단계보다 적어도 한 단계 하향시킨 제2 하향 구동 단계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축수 수위가 상기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구동 단계를 추가 하향시켜 상기 인버터 모터를 구동시키되, 최하 구동 단계로 제4 시간 동안 구동하여도 응축수 수위가 설정 응축수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압축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공기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8.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 모터를 중지시키는 경우 상기 경고부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 장치.
KR1020140155972A 2014-07-25 2014-11-11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KR10162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72A KR101627681B1 (ko) 2014-11-11 2014-11-11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PCT/KR2015/007678 WO2016013886A1 (ko) 2014-07-25 2015-07-23 에어워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72A KR101627681B1 (ko) 2014-11-11 2014-11-11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29A true KR20160056429A (ko) 2016-05-20
KR101627681B1 KR101627681B1 (ko) 2016-06-08

Family

ID=5610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72A KR101627681B1 (ko) 2014-07-25 2014-11-11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782A (ja) * 2002-05-27 2003-12-05 Denso Corp 冷却装置
KR100571311B1 (ko) * 2004-11-08 2006-04-17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이중 식수 생성장치의 제상 방법
KR20100104336A (ko) * 2009-03-17 2010-09-29 (주)베스트에어워터 에어 워터 공급장치
KR20110034950A (ko) * 2009-09-29 2011-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782A (ja) * 2002-05-27 2003-12-05 Denso Corp 冷却装置
KR100571311B1 (ko) * 2004-11-08 2006-04-17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이중 식수 생성장치의 제상 방법
KR20100104336A (ko) * 2009-03-17 2010-09-29 (주)베스트에어워터 에어 워터 공급장치
KR20110034950A (ko) * 2009-09-29 2011-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81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689B1 (ko)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US8890703B2 (en) Passive water heater anode rod depletion sensor algorithm
CN108626843B (zh) 一种空调排水泵控制系统及方法
US20120042667A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defrost termination
EP0552913A2 (en) Condensate removal device for air conditioners
KR101627681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EP1510768A1 (en) Dehumidifier with a defrost control system
KR101669211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5679B1 (ko)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273889B2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heat pump
JP2008075962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US11732905B2 (en) Heat pump water heater systems and methods thereto
JPH08193937A (ja) 電子機器および腐食モニタ装置
CN107013446A (zh) 变频压缩机的控制方法、变频控制板和制冷设备
US9163843B2 (en) Wear-leveling for components of an auxiliary heat source
KR101604126B1 (ko)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CN114183805B (zh) 在磁性过滤器中测量磁性碎片的堆积
US202203974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water level
JP2007318872A (ja) 制御装置
WO2022040297A1 (en) Water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557125B1 (ko) 저온창고 제상장치
KR20160029166A (ko) 수위 및 습도에 따라 압축기를 제어하는 에어워터 공급장치
JP3991938B2 (ja) 自動製氷機
JPH08210740A (ja) 冷蔵庫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
EP3339773B1 (en) Excitation based ice detection unit, refrigerator with ice detection unit and method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