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679B1 -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679B1
KR101555679B1 KR1020140107870A KR20140107870A KR101555679B1 KR 101555679 B1 KR101555679 B1 KR 101555679B1 KR 1020140107870 A KR1020140107870 A KR 1020140107870A KR 20140107870 A KR20140107870 A KR 20140107870A KR 101555679 B1 KR101555679 B1 KR 10155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emperature
condenser
ma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구
Priority to KR102014010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용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 배관,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도록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구성되는 제빙용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며, 급수온도센서에 의해 급수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응축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응축기 또는 응축기의 배관표면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급수온도와 냉매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응축기의 응축성능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된 후 해당 제빙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과정이 해당시간 동안 동작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Ice size controlling apparatus for an ice mach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의 온도와 급수의 온도에 따라 제빙시간이 제어되도록 하여 제빙되는 얼음의 크기가 항상 동일하도록 할 수 있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로, 급수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도록 하는 장치로, 제빙용 음용수(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 배관과,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음용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도록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얼음이 제빙 배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용 냉각 사이클에 의해 그 운전이 제어된다.
이러한, 제빙기는 카페나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시설에서 음료를 냉각시키는데 주로 사용되거나,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 기능에 추가되어 사용자가 직접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정수기 등에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빙기는, 상기 제빙 배관에 의해 생성된 얼음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공개특허특 1997-7086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의 주위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가의 여부를 판별하여 주위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때에는 증발기에서의 얼음생성을 확인하여 두께 조절 스위치의 모드별 기준 제빙소요시간의 경과시에 이빙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주위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인 때에는 증발기의 표면 평균온도가 두께 조절 스위치의 모드별 설정온도에 도달된 때에 바로 이빙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한 때에는 기준 제빙소요시간의 경과시에 이빙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얼음의 두께가 일정하게 관리되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은, 주위온도를 제빙기의 외부 케이스 상에 설치된 외부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빙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실제 주위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령 협소한 공간에 제빙기가 설치된 경우 응축기 주변의 온도가 응축기의 방열에 의해 실제 주위온도 보다 높아지게 되거나 또는 응축기 주변의 공기 중의 습도에 의한 냉각 성능의 변화에 상기 압축기나 응축기의 압축용량이나 응축용량에 대한 대처가 어려워,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냉매 순환에 따른 제빙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얼음의 생성 상태가 불완전하고 빙질 상태도 매우 불량하거나 크기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빙기에 의해 제빙되는 얼음의 크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시간(t1,t2)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빙시간은 급수의 온도가 낮거나 응축기의 응축성능이 높을 경우 그 시간이 단축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그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빙시간은 급수의 온도와 응축기의 응축성능(운전상태)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급수의 온도와 응축기의 응축성능을 이용하여 제빙시간이 제어되도록 하는 경우 급수온도와 응축성능이 다르더라도 얼음이 항상 일정한 크기(기준얼음크기)로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이 대두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의 온도와 급수의 온도를 조합하여 제빙기에 의해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항상 동일하도록 제빙시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의 다양한 온도와 이때의 응축기의 응축성능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이 테이블로 사전에 구성되도록 한 후 해당 급수 온도와 응축기의 응축성능에 대응된 제빙시간 동안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용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 배관,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도록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구성되는 제빙용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며, 급수온도센서에 의해 급수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응축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응축기 또는 응축기의 배관표면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급수온도와 냉매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응축기의 응축성능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된 후 해당 제빙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과정이 해당시간 동안 동작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시간 테이블은, 다양한 급수의 온도조건과 상기 응축기의 운전상태를 응축의 냉매온도로 구분하여 응축성능이 양호한 상태와 불량한 상태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그룹을 설정한 후, 각각의 조건에 대응된 제빙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온도 조건은, 20℃이상, 15℃ 내지 20℃, 10℃ 내지 15℃, 5℃ 내지 10℃, 5℃이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성능 조건은, 상기 응축기의 이상적인 동작온도 미만을 나타내는 그룹1, 이상적인 동작온도를 나타내는 그룹2 및 이상적인 동작온도 초과를 나타내는 그룹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에 의해 동작되어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급수온도-응축성능에 대한 제빙시간을 테이블로 구성한 상태에서 급수온도와 응축기의 배관표면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테이블의 각 요소와 비교하여 이에 대응된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온도, 부하 또는 급수 온도 등에 의해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성능이 변화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의 운전상태와 급수온도에 대응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테이블;
도 3은 도 2의 테이블을 토대로 급수온도와 제빙시간에 따른 응축기의 운전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 및
도 4는 제빙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의 운전상태와 급수온도에 대응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3은 도 2의 테이블을 토대로 급수온도와 제빙시간에 따른 응축기의 운전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4는 제빙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는, 제빙용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미도시)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 배관(P),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P)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도록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P)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얼음이 제빙 배관(P)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40)로 구성되는 제빙용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 또는 급수관 등에 구성되어 급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온도센서(미도시), 상기 응축기(20) 또는 응축기(20)로부터 압축기(10) 사이에 연결된 냉매관 등에 구성되어 배관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응축온도센서(120) 및 상기 급수온도센서(미도시)와 응축온도센서(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급수온도 정보와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를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응축기(20)의 응축성능(운전상태) 정보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한 후, 해당 제빙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과정이 해당시간 동안 동작되도록 한 후 이빙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 과정은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20)에 의해 응축된 후 팽창밸브(30)를 경유하여 저온의 상태에서 증발기(40)의 제빙 배관(P)에서 트레이의 급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상기 제빙 배관(P)의 가장자리에 소정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이빙 과정은 상기 트레이가 이빙모터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잔수가 제거된 후 상기 증발기(40)의 냉매관에 저온의 냉매 공급이 중단되고 이빙 배관(미도시;응축기로부터 직접 증발기(40)에 연결된 냉매관)을 따라 유동되는 고온의 냉매가 제빙 배관(P)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빙 배관(P)에 부착된 얼음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온도센서(미도시)는, 상기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 또는 급수 이송파이프 등에 구성되어 급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으로, 트레이 또는 급수관에 공지의 방식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응축온도센서(120)는, 상기 응축기(20) 또는 응축기(20)로부터 압축기(10) 사이에 연결된 냉매관 등에 구성되어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하여금 현재의 응축기(20)의 운전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는 온도측정수단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응축기(20)의 냉매관에 간단하게 구성되어 주위온도에 관계없이 응축기(20)의 현재 응축성능을 판단하기 위한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가 측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급수온도 정보와 응축기(20)의 응축성능(운전상태) 정보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한 후 해당된 제빙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과정이 해당시간 동안 동작되도록 한 후 이빙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이다.
상기 저장부는, 해당 급수온도와 이때 다양한 운전상태로 구동되는 응축기(20)의 응축성능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정보를 프로파일링 하여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온도, 부하 또는 급수 온도 등에 의해 변화되는 제빙 성능이 반영된 것으로, 다양한 급수의 온도조건과 상기 응축기(20)의 운전상태를 응축기(20)의 냉매온도로 구분하여 응축성능이 양호한 상태와 불량한 상태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그룹을 설정한 후, 각각의 조건에 대응된 제빙시간을 나타내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온도가 높고 응축성능이 불량할수록 제빙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급수온도가 낮고 응축성능이 양호할수록 제빙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급수온도 조건은, 제빙 과정 또는 이빙 과정에서 제거되는 잔수의 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20℃이상, 15℃ 내지 20℃, 10℃ 내지 15℃, 5℃ 내지 10℃, 5℃이하로 구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응축기(20)의 응축성능 조건 즉, 응축기(20)의 운전상태 조건은, 응축기(20)의 이상적인 동작온도가 45℃ 정도이므로, 이상적인 동작온도 미만을 나타내는 그룹1, 이상적인 동작온도를 나타내는 그룹2 및 상기 동작온도 초과의 온도를 나타내는 그룹3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그룹1은 응축기(20)의 응축성능이 양호한 상태이고, 그룹3은 응축성능이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며 그룹2는 보통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그룹1의 온도에서는 응축기(20)의 응축팬이 운전되지 않고 그룹2의 온도에서는 응축기(20)의 응축팬이 단속운전되며 그룹3의 온도에서는 응축기(20)의 응축팬이 연속운전되므로, 응축기(20)의 응축성능은 응축팬의 운전정지, 단속운전 및 연속운전 여부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때, 응축팬이 운전정지되는 상태는 그룹1로 구분되고, 단속운전되는 상태를 그룹2로 구분되며, 연속운전되는 상태를 그룹3으로 구분시, 상기 그룹2의 경우에는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가 이상적인 동작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룹1과 그룹3의 경우 각각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가 이상적인 동작온도 이하이거나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온도가 20℃이상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20)의 운전상태가 그룹1인 경우에는 10분, 그룹2인 경우에는 11.5분 및 그룹3인 경우에는 13.5분의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급수온도가 15℃ 내지 20℃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20)의 운전상태가 그룹1인 경우에는 9분, 그룹2인 경우에는 10분 및 그룹3인 경우에는 12분의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급수온도가 10℃ 내지 15℃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20)의 운전상태가 그룹1인 경우에는 7.5분, 그룹2인 경우에는 8.5분 및 그룹3인 경우에는 10분의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급수온도가 5℃ 내지 10℃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20)의 운전상태가 그룹1인 경우에는 6분, 그룹2인 경우에는 7분 및 그룹3인 경우에는 8분의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급수온도가 5℃이하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20)의 운전상태가 그룹1인 경우에는 4분, 그룹2인 경우에는 5분 및 그룹3인 경우에는 5.5분의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급수온도센서(미도시)로부터 급수온도 정보를 제공받고 응축온도센서(120)로부터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해당 제빙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급수온도와 응축기(20)의 운전상태에서도 항상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제빙시간 테이블은, 상기 제빙기에 다양한 얼음 크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얼음 크기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저장부에 프로파일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 또는 급수관 등에 구성된 급수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급수의 온도가 측정되고, 응축기(20) 또는 응축기(20)의 냉매관 등에 구성된 응축온도센서(120)에 의해 냉매의 온도가 측정된다.
이후, 상기 측정된 급수온도 정보와 응축기(20)의 냉매온도 정보가 제어부(미도시)에 제공된 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급수온도 정보와 냉매온도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된 후 해당 제빙시간 정보가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은, 다양한 급수의 온도조건과, 상기 응축기(20)의 운전상태를 응축기(20)의 냉매온도로 구분하여 응축성능이 양호한 상태와 불량한 상태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그룹을 설정한 후, 각각의 조건에 대응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수온도가 높고 응축성능이 불량할수록 제빙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급수온도가 낮고 응축성능이 양호할수록 제빙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특성을 통하여, 제빙 과정이 진행되기 이전의 다양한 급수온도와 복수 그룹의 응축성능을 판단한 후 주위온도, 부하 또는 급수 온도 등에 의해 변화되는 제빙 성능이 반영된 최적의 제빙시간을 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하며,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통계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추출된 제빙시간에 대응된 시간 동안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40)의 제빙용 냉각 사이클이 제어되는 제빙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공지의 이빙 과정이 이루어져 제빙 배관(P)에 생성 및 부착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탈빙 또는 이빙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급수온도-응축성능에 대한 제빙시간을 테이블로 구성한 상태에서 급수온도와 응축기의 배관표면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테이블의 각 요소와 비교하여 이에 대응된 제빙시간 동안 제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온도, 부하 또는 급수 온도 등에 의해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성능이 변화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제빙용 급수가 저장되는 트레이(미도시)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 배관(P),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빙 배관(P)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도록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40)로 구성되는 제빙용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며,
    급수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급수의 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응축온도센서(120)에 의해 상기 응축기(20) 또는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가 측정되는 단계;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수온도와 냉매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응축기(20)의 응축성능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급수온도-응축기 응축성능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제빙시간 테이블과 비교된 후 해당 제빙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빙용 냉각 사이클의 제빙 과정이 해당시간 동안 동작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시간 테이블은,
    다양한 급수의 온도조건과 상기 응축기(20)의 운전상태를 응축기(20)의 배관표면온도로 구분하여 응축성능이 양호한 상태와 불량한 상태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그룹을 설정한 후,
    각각의 조건에 대응된 제빙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온도 조건은,
    20℃이상, 15℃ 내지 20℃, 10℃ 내지 15℃, 5℃ 내지 10℃, 5℃이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성능 조건은,
    상기 응축기(20)의 이상적인 동작온도 미만을 나타내는 그룹1, 이상적인 동작온도를 나타내는 그룹2 및 상기 이상적인 동작온도 초과를 나타내는 그룹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방법.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크기 제어장치.
KR1020140107870A 2014-08-19 2014-08-19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5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70A KR101555679B1 (ko) 2014-08-19 2014-08-19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70A KR101555679B1 (ko) 2014-08-19 2014-08-19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679B1 true KR101555679B1 (ko) 2015-09-25

Family

ID=5424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870A KR101555679B1 (ko) 2014-08-19 2014-08-19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6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80B1 (ko)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가정용 제빙기
KR102414709B1 (ko) 2021-04-29 2022-06-2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부하 적응형 제빙기, 음용수 공급장치 및 제빙 방법
WO2022196876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가정용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퍼니아이스 제빙방법
KR102621554B1 (ko) * 2023-06-15 2024-01-04 고한덕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제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80B1 (ko)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가정용 제빙기
WO2022196876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가정용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퍼니아이스 제빙방법
JP7450048B2 (ja) 2021-03-16 2024-03-14 ディーエイチ グローバ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家庭用製氷機及びこれを用いたファニーアイスの製氷方法
KR102414709B1 (ko) 2021-04-29 2022-06-2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부하 적응형 제빙기, 음용수 공급장치 및 제빙 방법
KR102621554B1 (ko) * 2023-06-15 2024-01-04 고한덕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제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1620B (zh)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unit
KR101555679B1 (ko) 제빙기의 얼음 크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29880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refrigeration system
JP6887979B2 (ja) 冷媒漏洩判定装置、この冷媒漏洩判定装置を備える冷凍装置、及び冷媒漏洩判定方法
JP5693328B2 (ja)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冷媒漏れ検知方法
JP2013228130A (ja) 冷凍装置
US105638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loss of refrigerant charge in a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JP2016191497A (ja) 冷蔵庫
JP2017215108A (ja) 冷蔵庫
US20190383541A1 (en) Icemaker
JP2008133976A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JP5366764B2 (ja) 冷却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926046B2 (ja) 異常判定装置、この異常判定装置を備える冷凍装置、及び圧縮機の異常判定方法
JP2011179790A (ja) 自動製氷機
CN109855356A (zh) 冰箱及冰箱内蒸发器结霜程度判断方法
JP2013170747A (ja) 冷媒漏れ検知装置及び冷凍装置
KR101716138B1 (ko) 식수 냉각장치 및 식수 냉각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075259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48081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JP5348770B2 (ja) 製氷機
JP7412608B2 (ja) 冷凍システム
JP2017166745A (ja) 冷蔵庫
KR101145080B1 (ko) 냉각관의 제상 시점 검출 및 제상 시스템, 냉각관의 제상 시점 검출 및 제상 시스템의 제상 방법
KR20150111408A (ko) 제상 기능 동작시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60047968A (ko) 가루얼음 제빙기와 이것의 제빙상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