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211B1 -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211B1
KR101669211B1 KR1020140181594A KR20140181594A KR101669211B1 KR 101669211 B1 KR101669211 B1 KR 101669211B1 KR 1020140181594 A KR1020140181594 A KR 1020140181594A KR 20140181594 A KR20140181594 A KR 20140181594A KR 101669211 B1 KR101669211 B1 KR 10166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an
snow
time
grill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163A (ko
Inventor
정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2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실외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구;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된 제1송풍팬; 상기 제1송풍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발열부재;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구비되는 눈내림감지센서; 및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발열부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실외기의 제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주거공간, 레스토랑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와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실외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송풍팬 및 상기 압축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각종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 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즉, 실외기의 캐비닛)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실외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외 열교환한 뒤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실외기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겨울철에 눈이 내리고 상기 눈이 실외기의 상부에 쌓이게 되면, 실외기 상측에 형성된 토출구의 일부가 막히게 되어, 외부 공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실외기 상부에 쌓인 눈에 의해 외부 공기와 실외 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실외 열교환기의 증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의 증발성능이 저하되면, 실외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가 외부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기 내에 구비된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 역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에 실내기를 난방으로 구동할 때(즉,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기능할 때), 실외기 상측에 쌓인 눈에 의해 실내기의 난방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외기 상측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적설을 감지하여 실외기에 구비된 송풍팬을 소정 주기로 운전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적설 제거 방법에 따를 경우, 실외기 상측의 중앙부에 쌓인 눈은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실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종래 실외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종래 실외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외기(1)는 복수개의 측면(2) 및 상면(3)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상면(3)에 형성된 공기 토출홀(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2)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토출홀(4)을 통하여 위쪽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토출홀(4)에 송풍팬(9)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9)을 향하여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 토출홀(4)은 그릴(5)에 의해 둘러싸인다. 즉, 상기 그릴(5)은 상기 토출홀(4)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쪽으로 돌출된 측면그릴(7) 및 상기 토출홀(4) 위쪽을 덮도록 형성된 상부그릴(8)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그릴(8)의 중앙부에는 상기 그릴(5)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판(6)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9)에 의한 공기 유동은 상기 그릴(5)의 외부 둘레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발생된다(도 1의 (b)에서 화살표 A 참조).
즉, 상기 송풍팬(9)에 의한 공기 유동은 상기 그릴(5)의 중앙부를 향하지 않도록 발생되기 때문에(즉, 도 1의 (b)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발생), 이러한 지지판(6)은 상기 송풍팬(9)에 의한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지지판(6)에 의해, 겨울철에 눈이 올 때, 상기 그릴(5)의 중앙부로부터 눈이 적층되기 시작해서 상기 그릴(5)의 상부 전체에 눈이 쌓여서, 상기 송풍팬(9)에 의한 공기 유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실외기(1) 상부의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송풍팬(9)을 소정 주기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송풍팬(9)에 의한 공기 유동이 도 1의 (b)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6)의 상면(즉, 상부그릴(8))에 적층된 눈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토출구가 마련되는 실외기의 상부에 쌓이는 눈을 감지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의 상부에 쌓이는 눈의 제거를 통하여, 실외기 내의 실외 열교환기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겨울철 적설 시에,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통하여,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즉,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실외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구;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된 제1송풍팬; 상기 제1송풍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발열부재;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구비되는 눈내림감지센서; 및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발열부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그릴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그릴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상기 그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그릴의 상부에 상기 그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그릴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제2송풍팬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의 회전축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은 동일선 상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1송풍팬,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에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면, 상기 압축기를 상기 캐비닛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제설모드 진입 단계; 및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구비된 눈내림감지센서에 의해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지 여부가 판단되는 눈내림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내림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눈내림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 상기 제1송풍팬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그릴에 제공되는 열선 및 상기 그릴의 상부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눈내림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1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2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하는 제3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실외기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변화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에서 상기 제3시간동안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릴 또는 상기 실외기의 캐비닛이 공진하는 미리 결정된 공진주파수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기의 상부에 쌓이는 눈을 감지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기의 상부에 쌓이는 눈의 제거를 통하여, 실외기 내의 실외 열교환기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적설 시에,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통하여,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즉,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의 상측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3)와 실내 열교환기(11)와 팽창밸브(15)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에서 "100"은 실외기를 나타내고 "50"은 실내기를 나타낸다.
즉, 실외기(100)는 압축기(13)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포함하고, 실내기(50)는 팽창밸브(15)와 실내 열교환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3)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 상태로 만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13)는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3)가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실외 열교환기(120)는 공기조화장치(10)의 내방 모드에서 증발기와 응축기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고, 공기조화장치(10)의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와 증발기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실외 열교환기(12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 열교환기(11) 측에는 실내 팬(16)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 측에는 실외 팬(1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사이클과 난방 사이클이 전환되도록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전환밸브(14)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3)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오일을 다시 압축기(13)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오일 분리기(도시되지 않음)와 증발기에서 증발하지 않은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분리기(Accumulator,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에는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 센서 등 공조 공간의 상태정보 및 공기조화장치(10)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실외 열교환기(12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일 수 있고,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기능(냉매의 증발과 응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O)는 실외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겨울철에 눈이 내리면 상기 실외기의 상부에 눈이 쌓일 수 있다. 또한, 실외기(O) 상부에 눈이 쌓이게 되면, 상기 실외기(O)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외기(O)의 상부에 쌓이는 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실외기는 도면부호 "100"으로 나타낸다.
도 3 및 4에서 X축 방향은 폭방향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높이방향(또는 상하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전후방향을 나타낸다.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포함되는 실외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11),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130) 및 상기 제1송풍팬(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그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실외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111)는 상기 캐비닛(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흡입구(111)는 상기 캐비닛(110)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상기 캐비닛(110)의 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는 상기 공기 흡입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구(111)가 상기 캐비닛(110)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상기 캐비닛(110)의 후방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 역시 상기 캐비닛(110) 내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111)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는 복수의 냉매튜브(121) 및 상기 냉매튜브(121)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핀(122)은 소정의 간격에 따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튜브(1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핀(122)은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130)은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또는 상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111)를 통해 캐비닛(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130)은 상기 공기 토출구(1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비닛(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송풍팬(130)은 상기 공기 토출구(1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그릴(140)은 상기 제1송풍팬(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140)은 상기 제1송풍팬(130)의 상측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140)은 상기 캐비닛(110)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1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캐비닛(110)의 위쪽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그릴(140)에는 복수개의 유동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그릴(14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판(14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140)에 의해 상기 캐비닛(110) 위쪽으로부터의 이물질이 상기 제1송풍팬(130)을 향하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송풍팬(1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그릴(140)에 형성된 유동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상기 그릴(140)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발열부재(150) 및 상기 캐비닛(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눈내림감지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15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열부재(150)는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열선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150)는 상기 그릴(14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부재(150)는 상기 캐비닛(110)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상기 그릴(14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그릴(140)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140) 상에 눈이 쌓여있을 때 상기 발열부재(150)를 작동시키면, 상기 열선(150)으로부터 상기 그릴(140)로 열이 전도되어 상기 그릴(140)에 쌓인 눈을 녹일 수 있다.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또는, 적설감지센서 160)는 눈내림 여부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는 캐비닛(110)의 상면에서 상기 그릴(14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눈내림감지센서(160) 또는 적설감지센서로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상기 그릴(14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7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그릴(140)의 상면 중앙부에 쌓인 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레이드(1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의 상측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면, 캐비닛(110)의 상면(113)에는 공기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구(112)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112)를 둘러싸도록 그릴(14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그릴(140)에는 복수개의 유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140)은 상기 캐비닛(110)의 상면(113)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140)의 상면에는 상기 그릴(14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그릴(140)의 중앙부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1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은 그릴(140) 상면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140)의 측면에는 발열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재(150)는 상기 그릴(14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1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상기 그릴(140)로 전도되어 상기 그릴(140) 상에 쌓인 눈을 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열부재(150)는 상기 그릴(140)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거나, 상기 그릴(140)의 측면 둘레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발열부재(150)는 상기 그릴(140)의 상부(또는 상면)에서 상기 그릴(140)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발열부재(150)가 상기 그릴(140)에 접하여 상기 열선(15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그릴(140)에 전도될 수 있다면, 상기 열선(150)의 위치는 어디라도 상관없다.
이때, 상기 열선(15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그릴(140)로 용이하게 전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릴(140)은 금속으로(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닛(110)의 상면(113)에는 눈이 내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형성된 눈내림감지센서(150)가 설치될 수 있다. 눈이 내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라면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이러한 눈내림감지센서(150)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그릴(140)의 상면 중앙부에는 블레이드(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그릴(140)의 상면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140)의 상기 지지판(141) 상에 상기 블레이드(17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의 하측에는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171)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의 상측에는 상기 블레이드(17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보조 그릴(17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그릴(172)은 외부 자극 또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블레이드(170)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70)는 캐비닛(110)의 상측(즉, 그릴(140)의 상부면)에 눈이 쌓인 경우에, 상기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70)는 제1송풍팬(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10)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즉, 위쪽 방향)으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제2송풍팬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전시키면, 상방(위쪽)을 향하는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상기 그릴(140)의 상면 중앙부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2송풍팬의 기능을 하는 상기 블레이드(170)에 의한 공기 유동(즉, 위쪽을 향하는 공기 유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141)에는 복수개의 유동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41)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170)의 회전을 통해 위쪽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그릴(140)의 상면에 쌓인 눈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실외기 구조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송풍팬(130)과 상기 블레이드(170)의 회전축은 동일선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제1송풍팬(130), 열선(150) 및 블레이드(170)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외기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된 온도감지센서(180) 및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80)는 실외기(100)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100) 밖의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눈내림감지센서(160) 및 온도감지센서(18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제1송풍팬(130), 열선(150), 블레이드(170) 및 상기 실외기(100) 내에 구비된 압축기(13)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송픈팬(130)과 상기 발열부재(1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어하도록(즉, 상기 블레이드(170)에 연결된 모터(171)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 신호가(즉,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송풍팬(130)이 소정 주기로 운전되도록 제1송풍팬(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송풍팬(130)이 운전되는 소정 주기는 30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 신호가(즉,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30분 주기로 예를 들어 2분씩 상기 제1송풍팬(130)이 운전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송풍팬(130)이 상기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블레이드(170)에 연결된 모터(171)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시간은 1 내지 3시간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간은 2시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경우, 그릴(140) 상의 적설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므로, 상기 제1송풍팬(130)이 소정 주기로 운전되도록 제1송풍팬(130)을 제어하는 것 만으로 그릴(140) 상에 쌓인 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제1시간 미만 지속된 경우에 비해 상기 그릴(140) 상의 적설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므로, 상기 그릴(140) 상의 눈을 제거하기 위해 제1송풍팬(13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송풍팬(130)이 상기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 및 발열부재(150)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발열부재(150)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열선(150)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열선(150)으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시간은 5 내지 7시간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간은 6시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제1시간 이상 및 상기 제2시간 미만으로 신호가 지속된 경우에 비해 상기 그릴(140) 상의 적설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므로, 상기 그릴(140) 상의 눈을 제거하기 위해 제1송풍팬(130),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8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180)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압축기(13)를 캐비닛(110)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13)는 상기 캐비닛(11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에 상기 압축기(13)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3)의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은 공진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3)의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에 떨림 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10)을 공진시키기 위한 상기 압축기(13)의 주파수는 실험 똔느 테스트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캐비닛(110)을 공진시킬 수 있는 주파수로 상기 압축기(13)를 작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그릴(140)에 붙어 있는 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3시간은 9 내지 11시간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시간은 10시간이 된다.
즉,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3시간(예를 들어, 10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180)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면, 아침 시간(7 내지 9시)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신호가 제3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신호가 제1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및 신호가 제2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 따른 제1송풍팬(130), 블레이드(170) 및 열선(150)의 작동으로 이미 캐비닛(110) 상측(또는 그릴(140) 상측)에 쌓인 눈의 상당량(또는 대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180)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면, 캐비닛(110) 및 그릴(140)에 붙어있는 잔여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기(13)를 캐비닛(110)의 공진 주파수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눈내림이 지속되는 시간 및 외기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송풍팬(130),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상기 압축기(13)를 상기 캐비닛(110)의 미리 결정된 공진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그릴(140) 상에 쌓인 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그릴(140) 상에 쌓인 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에 따라서, 상기 실외기(100) 내의 실외 열교환기(120)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 증대(즉, 증발효율 증대) 및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증대(즉, 응축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캐비닛(110) 또는 그릴(140) 상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특징은 겨울철에 공기조화장치(10)를 제설모드로 설정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0)를 제설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상기 제설모드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한 외부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을 참조하면(도 2 내지 6을 함께 참조), 압축기(13)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구비하는 실외기(100), 및 팽창밸브(15)와 실내 열교환기(11)를 구비하는 실내기(5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10)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설모드 진입 단계(S10) 및 눈내림판단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설모드 진입 단계(S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장치(10)가 제설모드로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겨울철에 그리고 공기조화장치(10)가 운전되지 않는 밤 시간 대(예를 들어, 오후 11시 내지 오전 9시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눈내림판단단계(S20)에서는 실외기(100)의 상측에 구비된 눈내림감지센서(160)에 의해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가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내림판단단계(S20)에서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눈내림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130), 상기 제1송풍팬(13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그릴(140)에 제공되는 열선(150) 및 상기 그릴(140)의 상부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17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S30, S31, S40, S41, S50, S51, S60, S70).
즉, 제1송풍팬(130), 열선(160) 및 블레이드(170)의 선택적 구동에 의하여, 상기 그릴(140) 상에 쌓이는 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눈내림판단단계(S20) 이후에, 눈내림이 제1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1시간판단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S30)에서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S3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을 제어할 수 있다(S31).
즉,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S3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되는 제1송풍팬(130) 구동단계(S31)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간은 1 내지 3시간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간은 2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S3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시간판단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S40)에서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S4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어할 수 있다(S41).
즉,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S4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가 작동되는 제1송풍팬 및 블레이드 구동단계(S41)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70)가 작동된다는 것은 상기 블레이드(170)가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70)의 회전은 그릴(140)의 위쪽을 향하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시간은 5 내지 7시간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간은 6시간이 될 수 있다.
즉,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제1시간 이상 지속되되 제2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송풍팬 및 블레이드 구동단계(S41)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S4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3시간판단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S50)에서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S5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130),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를 제어할 수 있다(S51).
즉, 상기 제3판시간단단계(S5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송풍팬(130)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170) 및 상기 발열부재(150)가 작동되는 제1송풍팬, 블레이드 및 열선 구동단계(S51)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시간은 9 내지 11시간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시간은 10시간이 될 수 있다.
즉,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이상 지속되되 제3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송풍팬, 블레이드 및 열선 구동단계(S51)로 진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S50)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시간 동안 실외기(100)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180)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만큼 상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변화판단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S60)에서는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 변화(△T)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Tc)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가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구간(Tc)은 10℃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S60)에서는 상기 외기의 온도 변화(△T)가 +10℃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S60)에서는 외기 온도 자체가 1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3시간 동안 외기 온도가 10℃ 이상 상승하였는지가 판단된다.
이때,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S60)에서 상기 제3시간 동안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가(Tc) 이상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그릴(140) 또는 상기 캐비닛(110)이 공진하는 미리 결정된 공진 주파수로 상기 압축기(13)가 구동되도록 상기 압축기(13)를 제어할 수 있다(S70).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S60)에서 상기 제3시간 동안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가(Tc) 이상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13)가 상기 그릴(140) 또는 상기 캐비닛(110)을 공진시키는 미리 결정된 공진 주파수로 구동되는 압축기(13)의 공진 주파수 구동단계(S70)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외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값 만큼 상승되면, 제어부(190)는 압축기(13)가 그릴(140) 또는 상기 캐비닛(110)을 진동시킬 수 있는 공진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상기 압축기(13)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제2시간 및 제3시간 동안 지속되는 과정에서, 제1송풍팬(130), 블레이드(170) 및 열선(150)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그릴(140) 상에 쌓인 눈의 대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눈내림감지센서(160)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외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값 만큼 상승된 경우에, 상기 압축기(13)를 공진 주파수로 구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 및 그릴(140) 상에 붙어 있는 잔여 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실외기 110 캐비닛
120 실외 열교환기 130 제1송풍팬
140 그릴 150 열선
160 눈내림감지센서 170 블레이드
180 온도감지센서 190 제어부

Claims (15)

  1.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실외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구;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된 제1송풍팬;
    상기 제1송풍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발열부재;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구비되는 눈내림감지센서;
    상기 그릴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 및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그릴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상기 그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그릴의 상부에 상기 그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제2송풍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의 회전축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은 동일선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송풍팬이 소정 주기로 운전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1송풍팬,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고,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면, 상기 압축기를 상기 캐비닛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제설모드 진입 단계; 및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구비된 눈내림감지센서에 의해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지 여부가 판단되는 눈내림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내림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눈내림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 상기 제1송풍팬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그릴에 제공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그릴의 상면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눈내림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1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1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2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2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눈내림감지센서로부터의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미리 결정된 제3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하는 제3시간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미만으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송풍팬이 미리 결정된 주기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송풍팬,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발열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시간판단단계에서 눈내림 신호가 상기 제3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시간 동안 상기 실외기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변화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변화판단단계에서 상기 제3시간동안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 이상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릴 또는 상기 실외기의 캐비닛이 공진하는 미리 결정된 공진주파수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81594A 2014-12-16 2014-12-16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94A KR101669211B1 (ko) 2014-12-16 2014-12-16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94A KR101669211B1 (ko) 2014-12-16 2014-12-16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63A KR20160073163A (ko) 2016-06-24
KR101669211B1 true KR101669211B1 (ko) 2016-10-25

Family

ID=5634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94A KR101669211B1 (ko) 2014-12-16 2014-12-16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3971B (zh) * 2017-04-18 2019-07-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防雪控制方法、装置、系统及空调
CN108759013A (zh) * 2018-08-20 2018-11-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05098A (zh) * 2018-09-18 2019-03-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外转子电机走线结构及空调外机
CN113639436B (zh) * 2021-08-02 2022-12-23 海尔(深圳)研发有限责任公司 用于调节空调室外机换热量的方法及装置、空调室外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769A (ja) 2001-11-13 2003-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装置
JP2012092529A (ja) * 2010-10-26 2012-05-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Science & Disaster Provention 融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769A (ja) 2001-11-13 2003-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装置
JP2012092529A (ja) * 2010-10-26 2012-05-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Science & Disaster Provention 融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63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450B1 (ja) 空気調和機
KR101669211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60593B1 (ja) 空気調和機
JP201125264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0210223A (ja) 空気調和機
JP2018200127A (ja) 空気調和機
JP2021096034A (ja)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方法
JP5745381B2 (ja) 冷却装置
JP6914297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方法
KR101112476B1 (ko) 지능형 제상기능을 갖는 유닛쿨러
JP201321752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10029447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7002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87811A (ja) 空気調和機
JP2000074451A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ーフィルタ目詰まり検出装置
KR100784844B1 (ko) 에어컨의 응축수 건조장치
KR102462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0164758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시기 감지방법
JP6987250B2 (ja) ショーケースおよびクーリングユニット
CN111373205B (zh) 空调机
KR20160034057A (ko) 공기조화기
KR20080103856A (ko)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JP688150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512135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60139713A (ko) 냉동시스템의 증발기 제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