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02A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02A
KR20140107002A KR1020130021436A KR20130021436A KR20140107002A KR 20140107002 A KR20140107002 A KR 20140107002A KR 1020130021436 A KR1020130021436 A KR 1020130021436A KR 20130021436 A KR20130021436 A KR 20130021436A KR 20140107002 A KR20140107002 A KR 2014010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drain pan
drain
heat exchanger
indo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002A/ko
Publication of KR2014010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이도록 상기 실내 열교환기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응축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가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외측벽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의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 및 측정된 수위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냉매사이클을 일 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만을 공급하도록 냉각 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액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에서 냉매가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후에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증발기로 유입된다. 증발기로 유입된 액체 냉매는 기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매는 증발기에서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냉방운전의 경우 점선과 같은 경로로 냉매가 순환하여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고온다습한 실내공기로 인해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가 형성된다. 응축수는 실내 열교환기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팬에 모여 드레인 펌프에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에는, 응축수의 수위 측정을 위해 기계식 접점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일정 수위 이상이 되어 접점이 붙으면 펌프를 가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기계식 접점방식의 스위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부레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온/오프의 두가지 경우만 측정되므로 응축수의 수위를 활용한 효율적인 펌프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응축수의 수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응축수의 수위를 통해 드레인 펌프 및 냉방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이도록 상기 실내 열교환기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응축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가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외측벽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의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 팬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 펌프에 구비된 드레인 모터를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제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에 고이는 단계; 상기 드레인팬의 외벽에 밀착된 전극부가 상기 응축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레인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드레인팬에 고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응축수의 수위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응축수 수위를 통해 드레인 펌프 및 압축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냉매순환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와 냉매순환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9);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11)가 모이도록 실내 열교환기(9)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 팬(10); 드레인 팬(10)에 집수된 응축수(11)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응축수(11)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전극부(13); 및 전극부(13)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10)의 외측벽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5)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크게 실내기(8)와 실외기(3)로 구분된다. 실외기(3)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 압축기(4)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9) 또는 실외 열교환기(5)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사방밸브(6),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5) 및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7)를 포함한다. 한편, 실내기(8)는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 시키는 실내 열교환기(9), 및 드레인 팬(10), 드레인 펌프 등을 구비한다.
전극부(13)는 전원부(20)와 연결된다. 전극부(13)는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장이 가해진다. 응축수(11)의 수위가 변화하면 전극부(13)에 대향하는 응축수(11)의 대향면적이 변화한다. 전극부(13)는 응축수(11)의 수위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한다. 응축수(11)의 수위가 증가하면 정전용량은 증가한다. 전극부(13)는 회로기판(15)에 배치된다. 회로기판(15)은 드레인 팬(10)의 외측벽에 장착된다.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에는 응축수(11)가 생성된다. 응축수(11)는 실내 열교환기(9) 하단의 드레인 팬(10)에 집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3)는,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도록 평면으로 형성된 전극패드일 수 있다. 전극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된다.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전극은 전극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전극부(13)가 수용되고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부착되는 방수 하우징(17)을 포함한다. 방수하우징은 전극부(13)를 수용한다. 방수 하우징(17)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부착된다. 방수 하우징(17)은 물이나 오염물질을 전극부(13)와 격리시킨다. 방수하우징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재는 나사일 수 있다. 방수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기판(15)은 방수 하우징(17)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매립될 수 있다. 회로기판(15)은 방수 하우징(17)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회로기판(15)은 방수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3)는,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응측수의 수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13)는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전극부(13)는 각각 연결되어 제어부(40)와 연결된다. 전극부(13)는 후술할 IC소자(19)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전극부(13)에서 감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IC소자(19)를 더 포함하고, IC소자(19)는 회로기판(15)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IC소자(19)는 복수의 전극부(13)와 연결된다. 복수의 전극부(13)는 IC소자(19)와 연결된다. IC소자(19)는 각 전극부(13)로부터 정전용량을 감지한다. IC소자(19)는 회로기판(15)에 배치된다. 회로기판(15)은 전원부(20)와 연결되고, 전원부(20)는 5V전원 및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20)는 회로기판(15)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극부(13)는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장이 가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드레인 팬(10)에 집수된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를 더 포함하고, 드레인 펌프는, 응축수(11)의 수위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드레인 모터(30)를 포함한다. 드레인 펌프는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한다.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모터(30)를 포함한다. 드레인 모터(30)는 가변모터일 수 있다. 드레인 모터(30)는 응축수(11)의 수위가 높을수로 회전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응축수(11)의 수위는 단계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드레인 모터(30)는 응축수(11)의 수위단계가 높을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이 증가해도 회전수는 당분간 증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정 범위를 넘으면 회전수는 증가한다. 제어부(40)는 드레인 모터(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제어부(40)는 회로기판(15)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드레인 모터(30)는 제어부(4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드레인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고, 전극부는 제어부(40)에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I2C 통신방식은 SDA와 SCL 라인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I2C통신방식은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두개가 존재할 수 있다. I2C통신방식은 마스터가 슬레이브를 호출하는 형태의 통신이다. 제어부(40)는 회로기판(15)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9)의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 팬(10)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으로부터 집수된 응축수(11)를 드레인 펌프에 구비된 드레인 모터(30)를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1)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제어방법은, 실내 열교환기(9)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11)가 드레인 팬(10)에 고이는 단계(S101);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된 전극부(13)가 응축수(11)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단계(S103); 및 드레인펌프를 구동하여 드레인 팬(10)에 고인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107)를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기(9)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한다.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에는 응축수(11)가 응결된다. 응결된 응축수(11)는 드레인 팬(10)에 집수된다. 전극부(13)는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되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팬(10)에 고인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한다.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모터(30)를 구동시킨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9);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11)가 모이도록 실내 열교환기(9)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 팬(10); 드레인 팬(10)에 집수된 응축수(11)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응축수(11)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전극부(13); 및 전극부(13)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10)의 외측벽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5)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크게 실내기(8)와 실외기(3)로 구분된다. 실외기(3)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 압축기(4)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9) 또는 실외 열교환기(5)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사방밸브(6),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5) 및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7)를 포함한다. 한편, 실내기(8)는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 시키는 실내 열교환기(9), 및 드레인 팬(10), 드레인 펌프 등을 구비한다.
전극부(13)는 전원부(20)와 연결된다. 전극부(13)는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장이 가해진다. 응축수(11)의 수위가 변화하면 전극부(13)에 대향하는 응축수(11)의 대향면적이 변화한다. 전극부(13)는 응축수(11)의 수위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한다. 응축수(11)의 수위가 증가하면 정전용량은 증가한다. 전극부(13)는 회로기판(15)에 배치된다. 회로기판(15)은 드레인 팬(10)의 외측벽에 장착된다. 실내 열교환기(9)의 표면에는 응축수(11)가 생성된다. 응축수(11)는 실내 열교환기(9) 하단의 드레인 팬(10)에 집수된다.
전극부(13)는,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도록 평면으로 형성된 전극패드일 수 있다. 전극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밀착된다.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전극은 전극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극부(13)가 수용되고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부착되는 방수 하우징(17)을 포함한다. 방수하우징은 전극부(13)를 수용한다. 방수 하우징(17)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부착된다. 방수 하우징(17)은 물이나 오염물질을 전극부(13)와 격리시킨다. 방수하우징은 드레인 팬(10)의 외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재는 나사일 수 있다. 방수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제어방법은,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드레인 모터(30)를 회전시키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한다. 측정된 정전용량이 높으면 미리 설정된 회전수도 높을 수 있다. 측정된 정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회전수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이 증가해도 회전수는 당분간 증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정 범위를 넘으면 회전수는 증가한다.
공기조화기(1)는, 드레인 팬(10)에 집수된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를 더 포함하고, 드레인 펌프는, 응축수(11)의 수위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드레인 모터(30)를 포함한다. 드레인 펌프는 응축수(11)를 외부로 배출한다.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모터(30)를 포함한다. 드레인 모터(30)는 가변모터일 수 있다. 드레인 모터(30)는 응축수(11)의 수위가 높을수로 회전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응축수(11)의 수위는 단계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드레인 모터(30)는 응축수(11)의 수위단계가 높을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이 증가해도 회전수는 당분간 증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정 범위를 넘으면 회전수는 증가한다.
제어부(40)는 드레인 모터(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제어부(40)는 회로기판(15)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드레인 모터(30)는 제어부(40)와 연결된다. 공기조화기(1)는, 드레인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고, 전극부는 제어부(40)에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는, 측정된 정전용량이 증가할수록 더 빨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정전용량이 낮을수록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는 낮을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회전수는 최저속도와 최고속도의 한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 열교환기(9)를 흐르는 냉매가 상변화를 하면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면, 실내 열교환기(9)에는 실내공기가 응축되며 형성된 응축수(11)가 맺히게 된다. 이런 응축수(11)는 드레인 팬(10)에 집수된다. 드레인 팬(10)에 집수된 응축수(11)는 시간이 지나면서 수위가 계속 높아진다. 전극부(13)는 전원부(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전극부(13)는 전기장이 가해진다.
응축수(11)의 수위가 변화하면 전극부(13)에 대향하는 응축수(11)의 대향면적이 변화한다. 응축수(11)의 대향면적이 증가하면 전극부(13)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은 증가한다. IC소자(19)는 복수의 전극부(13)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을 취합하여 제어부(40)에 전달한다. 제어부(40)는 미리 정해진 정전용량을 인식하면 드레인 모터(3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40)는 정전용량에 따라 드레인 모터(30)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11)의 용량에 따른 모터 제어가 가능하므로 전력소모가 줄어든다. 한편, 전극부(13)는 방수 하우징(17)에 의해 감싸지며, 드레인 팬(10)의 외측벽면에 위치하므로 응축수(11)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3: 실외기
4: 압축기 5: 실외 열교환기
6: 사방밸브 7: 팽창밸브
8: 실내기 9: 실내 열교환기
10: 드레인팬 11: 응축수
13: 전극부 15: 회로기판
17: 방수 하우징 19: IC소자
20: 전원부 30: 드레인 모터
40: 제어부

Claims (12)

  1.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이도록 상기 실내 열교환기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응축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가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외측벽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외벽에 밀착도록 평면으로 형성된 전극패드인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가 수용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외벽에 부착되는 방수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방수 하우징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매립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외벽에 응측수의 수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에서 감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IC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C소자는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전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는 5V전원 및 접지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는,
    상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드레인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제어부에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공기조화기.
  10.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의 하단에 배치된 드레인 팬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 펌프에 구비된 드레인 모터를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에 고이는 단계;
    상기 드레인팬의 외벽에 밀착된 전극부가 상기 응축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레인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드레인팬에 고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로 상기 드레인 모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는,
    상기 측정된 정전용량이 증가할수록 더 빨라지도록 설정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21436A 2013-02-27 2013-02-27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7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36A KR20140107002A (ko) 2013-02-27 2013-02-27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36A KR20140107002A (ko) 2013-02-27 2013-02-27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02A true KR20140107002A (ko) 2014-09-04

Family

ID=5175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36A KR20140107002A (ko) 2013-02-27 2013-02-27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0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322A (zh) * 2018-05-17 2018-08-21 江苏科技大学 一种家用多联机空调冷凝水换热系统
CN110397993A (zh) * 2019-06-17 2019-1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盒的器件固定架、电器盒、电器盒组件和空调器
GB2531291B (en) * 2014-10-14 2019-12-04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detector
CN112585587A (zh) * 2019-01-18 2021-03-30 大金工业株式会社 环境控制系统、空调机或空调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291B (en) * 2014-10-14 2019-12-04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detector
CN108426322A (zh) * 2018-05-17 2018-08-21 江苏科技大学 一种家用多联机空调冷凝水换热系统
CN112585587A (zh) * 2019-01-18 2021-03-30 大金工业株式会社 环境控制系统、空调机或空调系统
US11619412B2 (en) * 2019-01-18 2023-04-04 Daikin Industries, Ltd.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er or air conditioning system
CN110397993A (zh) * 2019-06-17 2019-1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盒的器件固定架、电器盒、电器盒组件和空调器
CN110397993B (zh) * 2019-06-17 2020-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盒的器件固定架、电器盒、电器盒组件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36027B (zh) 空调机
JP5626439B2 (ja) 冷凍装置
EP2325580B1 (en) Refrigeration device
US20070144187A1 (en) Defrosting method of air conditioner
EP3279591A1 (en)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CN103889550A (zh) 除湿装置
US20150060557A1 (en) Energy sav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1401051A (zh) 低温环境冷却的空气调节系统
EP3064847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140107002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02678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9299986A (ja) 冷凍装置
JP5871747B2 (ja) 空気調和機
KR100556252B1 (ko) 냉장고
JP2003106619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気機器
KR101669211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9987A (ja) 冷凍装置
JP2013029307A (ja) 冷凍装置
KR10049716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57178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79560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1442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130323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9950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