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216A - 자기력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력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216A
KR20160056216A KR1020140156353A KR20140156353A KR20160056216A KR 20160056216 A KR20160056216 A KR 20160056216A KR 1020140156353 A KR1020140156353 A KR 1020140156353A KR 20140156353 A KR20140156353 A KR 20140156353A KR 20160056216 A KR20160056216 A KR 2016005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gnet
magnetic force
buff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765B1 (ko
Inventor
용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리서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리서치
Priority to KR102014015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3/00Clutches or holding devices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e.g. using Johnson-Rahbek ef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2Attenuating devices
    • H01P1/23Attenuating devices using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속흐름을 제어하여 자성체를 착탈할 수 있는 자기력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자성체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제1B폴(pole)부; 상기 제1B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에 상단측이 접하는 제1위치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과 상단측이 이격되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는 제1A폴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제1B폴부 및 상기 제1A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1자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접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상기 제1접속홈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제1접속홈의 제1이격면은 상기 제1자석부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폴부의 위치이동시 마찰이 없으므로 자기력착탈장치를 오래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 저하 내지 품질의 하락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기력착탈장치{Holding or Releasing Apparatus Using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착탈(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속흐름을 제어하여 자성체를 착탈할 수 있는 자기력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과 같은 자성체를 착탈(홀딩 또는 홀딩해제를 통칭한다.)하기 위하여 자기력을 이용한 착탈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자기력착탈장치는 사출기, 금형클램핑 장치, 홀딩 척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력착탈장치는 영구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자성체를 홀딩하고, 전자석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자성체를 홀딩해제 시키는 것을 기본적 작동원리로 한다.
이러한 자기력착탈장치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319052호 ( 발명의 명칭 : 영구자석 에너지 제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427066호 ( 발명의 명칭 : 잔류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이하 선행기술 2) 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1과 2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홀딩대상체(홀딩 또는 홀딩해제 시키려는 대상물을 말한다)를 착탈하기 위해 전자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베이스판과 폴피스를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영구자석에서 나오는 자기플럭스를 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2에 따르면 베이스판과 폴피스 사이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되되,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해서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기에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으며, 장치의 내구성 및 품질이 지속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125280호(발명의 명칭 :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이하 선행기술 3)에서는 선행기술 1,2와 달리 베이스판과 폴피스가 고정된 구조를 갖는 홀딩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3에 따르면, 코일내측에 위치한 철심과 같은 자성체가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따라 위치이동하며, 위치이동되는 자성체에 따라 영구자석에서 나오는 자기플럭스가 달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홀딩대상체를 홀딩 또는 홀딩해제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3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철심과 같은 자성체가 코일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에 따라 위치이동할 때, 베이스판 또는 폴(pole)피스와 마찰이 생길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의 방향을 스위칭하며, 자기플럭스의 손실을 억제하려면 철심과 같은 자성체가 베이스판 또는 폴피스와의 접촉은 필수적이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코일에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해야 했으며, 마찰로 인해 철심과 같은 자성체의 위치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자기력착탈장치 내에서 위치이동하는 폴(pole)에 대한 마찰을 억제하면서도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자기력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자성체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제1B폴(pole)부; 상기 제1B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에 상단측이 접하는 제1위치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과 상단측이 이격되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는 제1A폴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제1B폴부 및 상기 제1A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1자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접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상기 제1접속홈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제1접속홈은,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자석부의 하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제1A폴LD접면,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자석부의 상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제1A폴LU접면 및 상기 제1A폴LD접면과 제1A폴LU접면 사이에 형성된 제1이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이격면은 상기 제1자석부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제2B폴부; 및 상기 제2B폴부 및 상기 제1A폴부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A폴부에는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2접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이 상기 제2접속홈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제2접속홈은,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의 하측에 접하는 제1A폴RD접면,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의 상측에 접하는 제1A폴RU접면 및 상기 제1A폴RU접면과 제1A폴RD접면 사이에 형성된 제2이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면은 상기 제2자석부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A폴부가 수직으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는 비자성체로 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석부는, 제1영구자석; 및 일측이 상기 제1영구자석의 타측과 결합되며,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접속홈에 삽입되는 제1A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A버퍼는 강자성체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A버퍼에는 일측에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이 상기 체결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제1A버퍼와 체결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B폴부의 타측에는 자석고정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B폴부에 상기 제1영구자석이 체결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자석부는, 제2영구자석; 및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접속홈에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2영구자석의 일측과 결합된 제2A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2A버퍼는 강자성체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A버퍼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영구자석이 상기 체결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B폴부의 일측에는 자석고정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영구자석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B폴부에 상기 제2영구자석이 체결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자석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A폴부의 상측의 일부분이 환형(loop shape)의 상기 코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1자석부의 하측 또는 상기 제1A폴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축-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이 환형(loop shpae)의 상기 코일부의 내측을 지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체결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제1A폴부를 하측에서 커버(cover)하는 제2A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 또는 상기 제1B폴부의 전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1자석부,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A폴부의 전측에서 커버(cover)하는 프런트패널(front panel)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 또는 상기 제1B폴부의 후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A폴부를 후측에서 커버하는 리어패널(rear panel)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패널부에는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위치이동 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어패널부에는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위치이동 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A폴LU접면, 상기 제1폴LD접면, 상기 제1A폴RU접면 및 상기 제1폴RD접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축-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에 대하여 면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홀딩되는 아마추어(armatur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자성체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B폴(pole)부; 상기 B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에 상단측이 접하는 제1위치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과 상단측이 이격되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는 A폴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B폴부 및 상기 A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A폴부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자석부에 접하는 제1접속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자석부에 접하는 제2접속단; 및 상측이 상기 제1접속단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제2접속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자석부에 대하여 이격된 폴바디(pole body);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단 또는 상기 제2접속단은 상기 폴바디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B폴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석부에 접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체결되며, 상기 A폴부와 접속되는 제A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A버퍼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A폴부의 상기 제1접속단과 접속되는 버퍼상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A폴부의 상기 제2접속단과 접속되는 버퍼하단; 및 상기 버퍼상단과 상측에서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기 버퍼하단과 결합된 버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바디는 상기 A폴부의 상기 폴바디에 대하여 이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코일에 의해 위치이동 되는 폴부가 마찰을 받지 않으므로 에너지소모가 억제된다. 따라서 전력에너지 소요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폴부의 위치이동시 마찰이 없으므로 자기력착탈장치를 오래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 저하 내지 품질의 하락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홀딩대상체인 자성체에 대한 홀딩능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에서의 제1A폴부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에서의 제1A폴부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의 제1A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 제1A버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 제1A폴부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의 제1A폴부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프런트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제1A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A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에서의 제1A폴부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에서의 제1A폴부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베이스부, 제1B폴(pole)부, 제1A폴부, 코일부 및 제1자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착탈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하거나 작동의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00)의 형상은 특정 형태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실시 예에서와 같이 판(plate)의 형태로 된 것도 있을 수 있다.
제1B폴부(110)는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B폴부(110)는 베이스부(100)와 마찬가지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B폴부(110)는 후술할 제1자석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플럭스(magnetic flux)에 의해 베이스부(100)와 함께 자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1A폴부(300)는 제1B폴부(110)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 된다.
여기서, 제1위치 및 제2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특정위치를 명명한 것이며, 제1위치 및 제2위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는 위치를 말한다.
먼저 제1위치는, 베이스부(100)의 하단측에 제1A폴부(300)의 상단측이 접하게 될 때 제1A부의 위치(베이스부(10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말한다. 즉, 제1A폴부(300)가 자기력에 의해 베이스부(100) 측으로 이동하여 가다가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접한 상태에서 위치이동을 멈추게 되며, 제1자석부(200)의 하측의 일부분이 제1A폴부(300)에 접한다. 이 때의 제1A폴부(300)의 위치를 제1위치라고 설명의 편의상 간략히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위치라 함은, 베이스부(100)의 하단측과 제1A폴부(300)의 상단측이 이격되는 위치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제1A폴부(300)가 자기력에 의해 제1위치로부터 하측( 도면에서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위치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A폴부(300)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제1A폴부(300)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자기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제1A폴부(300)의 상단측이 베이스부(100)의 하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 때 제1A폴부(300)의 상측의 일 부분이 후술할 제1자석부(200)의 상측의 일부분에 접하면서 위치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 때의 제1A폴부(300)의 위치(베이스부(10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제2위치라고 설명의 편의상 간략히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 ‘착탈’은 홀딩 또는 홀딩해제를 통칭한다.
이와 같이 제1A폴부(300)는 후술할 코일부(50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제1A폴부(300)에는 후술할 제1자석부(200)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접속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A폴부(300)에는 제1자석부(200)의 일 부분이 제1A폴부(300) 측으로 인입되어 위치하도록 제1A폴부(300)의 내측으로 파인 제1접속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접속홈의 내측으로 제1자석부(200)의 일부분이 인입되어 있다.
좀 더 설명하자면, 제1접속홈은 제1A폴LD접면(321), 제1A폴LU접면(311) 및 제1이격면(331)에 의해 형성된다.
제1A폴LD접면(321)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하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한다. 그리고, 제1A폴LU접면(311)은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상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하며, 제1이격면(331)은 제1A폴LD접면(321)과 제1A폴LU접면(311) 사이에 형성된 면이다.
여기서, 제1이격면(331)은 제1자석부(200)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어있다. 즉, 제1이격면(331)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 하더라도 접촉에 의한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자석부(200) 1A폴부(300), 베이스부(100), 제1B폴부(110) 그리고 다시 자석부(200)로 이어지는 자기경로(MF1,MF2)가 수월하게 형성된다.
코일부(50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코일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A폴부(3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 시키는 자기력을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생시킨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500)에 전류가 흐르면 제1A폴부(300)는 코일부(50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제1위치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코일부(500)의 전류의 흐름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코일부(500)에서 원형 속에 도트(dot)표시된 것은 전류가 지면 밖으로 나오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며, 원형 속에 X표시된 것은 전류가 지면 속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전류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제1A폴부(300)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제1자석부(200)는 제1B폴부(110) 및 제1A폴부(300)의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자석부(200)는 제1A폴부(300)를 홀딩(holding)하는 자기력을 형성한다.
제1자석부(200)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가 제1A폴부(300)로 손실없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자석부(200)의 하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A폴부(300)의 제1A폴LD접면(321)에 접한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상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의 제1A폴LU접면(311)에 접한다.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와 제1A폴LD접면(321)은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제1자석부(200)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석부의 N극, S극 방향은 특정방향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베이스부(100)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서 N극이 우측, S극이 좌측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N극이 좌측, S극이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제1A폴LU접면(311), 제1A폴LD접면(3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1A폴부(300)의 이동축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제1A폴부(300)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 에 대하여 면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A폴LU접면(311)과 제1A폴LD접면(321)의 면의 기울기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제1자석부(2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설명한 베이스부(100), 제1B폴부(110), 제1A폴부(300), 코일부(500) 및 제1자석부(200)를 포함하는 자기력착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위치에서, 베이스부(100)의 하단측에 제1A폴부(300)의 상단측이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1자석부(200)에서 제1A폴부(300)측이 N극을 띠고 반대측이 S극을 띄고 있다.
자기플럭스는 제1자석부(200)에서 시작되어 제1A폴부(300)를 거쳐 베이스부(100)를 지나 제1B폴부(110)로 와서 제1자석부(200)의 S극으로 들어가게 되는 자기경로(magnetic path)(MF1)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A폴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자기력에 의해 홀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를 코일부(500)로 흘려주면 코일부(500)로부터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력은 제1A폴부(300)를 베이스부(100)로부터 떼어내어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A폴부(3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떨어지면서 제1자기경로(MF1)가 끊어지게 되며, 제1A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위치이동완료 하게 된다.
여기서,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체로 이루어졌으며 홀딩하고자 하는 물체인 아마추어(armature)부(600)를 제1A폴부(300) 및 제1B폴부(110)의 하측에 접촉시키면, 자기플럭스는 제1자석부(200)에서 시작되어 제1A폴부(300)를 거쳐 아마추어부를 지나 제1B폴부(110)로 와서 제1자석부(200)의 S극으로 들어가게 되는 자기경로(MF2)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부(600)는 자기착탈장치에 의해 자기력으로 착탈될 수 있다.
자기착탈장치로부터 아마추어부(600)를 분리시키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의 방향으로 전류를 코일부(500)로 흘려준다. 코일부(50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력은 1A폴부를 베이스부(10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제1A폴부(300)는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1A폴부(300)가 제1위치로 이동하면서 도면부호 MF2의 자기경로가 끊어지면서 아마추어부(600)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하면서 도면부호 MF1의 자기경로를 따라 자기플럭스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제1A폴부(300)는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마치 스위치단자처럼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베이스부(100), 제1B폴(pole)부(110), 제1A폴부(300), 코일부(500), 제1자석부(200), 제2B폴부(140) 및 제2자석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100), 제1B폴부(110), 제1A폴부(300), 코일부(500) 및 제1자석부(200)는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다.
베이스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착탈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하거나 작동의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거의 같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B폴부(110)는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즉, 제1B폴부(110)의 상측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B폴부(110)는 베이스부(100)와 마찬가지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B폴부(110)는 제1자석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플럭스(magnetic flux)에 의해 베이스부(100)와 함께 자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1B폴부(110)는 제1자석부(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면(제1자석부(200)와 접하는 면)에 자석고정홈(115)이 마련된다. 이 자석고정홈(115)에 제1자석부(200)의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다음으로 도 6을 더 참조하여 제1A폴부(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착탈장치의 제1A폴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A폴부(300)는 제1B폴부(110)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 된다.
제1A폴부(300)에는 후술할 제1자석부(200)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접속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A폴부(300)에는 제1자석부(200)의 일 부분이 제1A폴부(300) 측으로 인입되어 위치하도록 제1A폴부(300)의 내측으로 패인 제1접속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접속홈(341)의 내측으로 제1자석부(200)의 일부분이 인입되어 있다.
좀 더 설명하자면, 제1접속홈(341)은 제1A폴LD접면(321), 제1A폴LU접면(311) 및 제1이격면(331)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1A폴LD접면(321)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하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한다. 그리고, 제1A폴LU접면(311)은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상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하며, 제1이격면(331)은 제1A폴LD접면(321)과 제1A폴LU접면(311) 사이에 형성된 면이다.
그리고, 제1이격면(331)은 제1자석부(200)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어있다. 즉, 제1이격면(331)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 하더라도 제1자석부(20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A폴부(300)에는 제2자석부(400)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2접속홈(3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접속홈(343)은 제1A폴RD접면(323), 제1A폴RU접면(313) 및 제2이격면(333)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1A폴RD접면(323)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2자석부(400)의 하측의 일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하고, 제1A폴RU접면(313)은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2자석부(400)의 상측의 일부분에 접하는 면을 말하며, 제2이격면(333)은 제1A폴RU접면(313)과 제1A폴RD접면(323) 사이에 형성되는 면으로서 제2자석부(400)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면을 말한다.
제1A폴부(300)에 제2이격면(333)이 마련되어 있기에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을 하더라도 제2자석부(40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A폴부(300)는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만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와 접촉되며,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을 하는 동안에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와의 마찰로 인한 에너지손실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1자석부(200)는 제1B폴부(110) 및 제1A폴부(300)의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자석부(200)는 제1A폴부(300)를 홀딩(holding)하는 자기력을 형성한다.
제1자석부(200)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가 제1A폴부(300)로 손실없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자석부(200)의 하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A폴부(300)의 제1A폴LD접면(321)에 접한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의 상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의 제1A폴LU접면(311)에 접한다.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자석부(200)와 제1A폴LD접면(321)은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제1자석부(200)는 제1영구자석(210) 및 제1A버퍼(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A버퍼(2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을 더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 제1A버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제1영구자석(210)은 일측의 일부분이 상기 제1B폴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자석고정홈(115)에 삽입되어 제1B폴부(1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영구자석(210)은 베이스부(100)의 지지를 받는 제1A폴부(300)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A버퍼(220)는 일측이 제1영구자석(210)의 타측과 결합된다. 제1A버퍼(220)의 일측이 제1영구자석(210)의 타측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A버퍼(220)의 일측에는 체결홈(2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체결홈(221)으로 제1영구자석(2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1A버퍼(220)는 안정적으로 제1영구자석(2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A버퍼(220)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A폴부(300)의 제1접속홈(34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A폴LU접면(311), 제1A폴LD접면(3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1A폴부(300)의 이동축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제1A폴부(300)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 에 대하여 면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A폴LU접면(311)과 제1A폴LD접면(321)의 면의 기울기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제1자석부(2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하면, 제1A버퍼(220)의 하단(226)의 면(227)이 제1A폴LD접면(321)과 접한다. 여기서 제1A버퍼(220)의 하단(226)의 면(227)과 제1A폴LD접면(321)의 기울기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 면 대 면(face to face)으로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1A버퍼(220)의 상단(222)이 제1A폴LU접면(311)과 접한다. 여기서도 제1A버퍼(220)의 상단(222)의 면(223)과 제1A폴LU접면(311)의 기울기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 면 대 면(face to face)으로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위치, 제2위치에서 면으로 접촉되면 자기플럭스에 의한 자기경로가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A버퍼(220)에서 제1A버퍼(220)의 상단(222)과 하단(226) 사이의 버퍼바디(224)의 면(225)은 제1A폴부(300)의 제1이격면(331)과 이격되며,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을 하더라도 접하지 않게 되어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1A버퍼(22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더 바람직하게는 제2B폴부(140) 및 제2자석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B폴부(140)는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결합된다. 즉, 제2B폴부(140)의 상측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체결된다. 제2B폴부(140)는 베이스부(100)와 마찬가지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B폴부(140)는 제2자석부(40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플럭스(magnetic flux)에 의해 베이스부(100)와 함께 자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2B폴부(140)의 일측에는, 제1B폴부(110)의 자석고정홈(115)처럼, 자석고정홈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제2B폴부(140)에는 제2자석부(4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면(제2자석부(400)와 접하는 면)에 단차(段差)지게 형성된 자석고정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자석고정홈에 제2자석부(400)의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제2자석부(400)는 제2B폴부(140) 및 제1A폴부(300)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2자석부(400)는 제1A폴부(300)를 홀딩(holding)하는 자기력을 형성한다.
제2자석부(400)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가 제1A폴부(300)로 손실없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제2자석부(400)의 하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A폴부(300)의 제1A폴RD접면(323)에 접한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2자석부(400)의 상측의 일부분은 제1A폴부(300)의 제1A폴RU접면(313)에 접한다.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2자석부(400)와 제1A폴RD접면(323)은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제2자석부(400)는 제2영구자석(410) 및 제2A버퍼(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영구자석(410)은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B폴부(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고정홈에 삽입되어 제2B폴부(14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2영구자석(410)은 베이스부(100)의 지지를 받는 제2B폴부(140)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A버퍼(420)는 타측이 제2영구자석(410)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2A버퍼(420)의 타측이 제2영구자석(410)의 일측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2A버퍼(420)의 타측에는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체결홈으로 제2영구자석(4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2A버퍼(420)는 안정적으로 제2영구자석(4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2A버퍼(420)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A폴부(300)의 제2접속홈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A폴RU접면(313), 제1A폴RD접면(3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1A폴부(300)의 이동축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제1A폴부(300)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 에 대하여 면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A폴RU접면(313)과 제1A폴RD접면(323)의 면의 기울기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제2자석부(4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하면, 제2A버퍼(420)의 하단이 제1A폴RD접면(323)과 접한다. 여기서 제2A버퍼(420)의 하단의 면과 제1A폴RD접면(323)의 기울기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 면 대 면(face to face)으로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2A버퍼(420)의 상단이 제1A폴RU접면(313)과 접한다. 여기서도 제2A버퍼(420)의 상단의 면과 제1A폴RU접면(313) 기울기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 면 대 면(face to face)으로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위치, 제2위치에서 면으로 접촉되면 자기플럭스에 의한 자기경로가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2A버퍼(420)에서 제2A버퍼(4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버퍼바디의 면은 제1A폴부(300)의 제2이격면(343)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A폴부(300)가 위치이동을 하더라도 접하지 않게 되어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2A버퍼(42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코일부(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서 제1A폴부(300)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코일부(500)는 제1자석부(200)의 하측 또는 제1A폴부(300)의 하측에 마련된다. 물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석부(400)의 하측 또는 제1A폴부(300)의 하측에 마련된다고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코일부(500)는 제1A폴부(300)의 이동축(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제1A폴부(300)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이 환형(loop shpae)의 형태를 이루는 코일부(500)의 내측을 지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코일부(500)의 형태가 환형이라는 것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나 육각형등과 같이 다소 각이 지더라도 밴드처럼 고리환형을 이룰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일부(500)는 제1A폴부(300),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의 하측에서 자기력을 발생시켜서 제1A폴부(300)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시킨다.
한 편, 코일부(500)의 위치는 제1A폴부(300),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의 하측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잠시 도 10을 더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500)의 일부분이 베이스부(100)와 제1자석부(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A폴부(300)의 상측의 일부분이 환형의 코일부(5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코일부(500)가 베이스부(100)의 하측과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의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코일부(50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자기력을 발생시켜서 제1A폴부(300)의 위치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일부(500)가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의 상측이나 하측에 마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실시 예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 제2A폴부, 프런트패널부, 리어패널부 또는 아마추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가이드부, 프런트패널부, 리어패널부, 제2A폴부 및 아마추어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150)는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체결되며, 제1A폴부(3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 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즉, 제1A폴부(3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시 비스듬하거나 어긋나게 위치이동 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150)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의 상측단이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체결되고, 제1A폴부(300)에는 가이드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50)가 가이드홀(305)에 삽입되어 제1A폴부(300)가 수직으로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가이드부(150)의 예로서 원형으로서 긴 막대형상인 가이드봉 2개가 한 조(crew)를 이루어서 가이드부(150)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가이드부(15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이러한 가이드부(150)는 가이드봉으로 된 형태 이외에 응용 내지 변형된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잠시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의 외주면 전체가 제1A폴부(300)에 형성된 가이드홀(305)의 내측면에 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가이드봉(153)의 일부분만 가이드홀(305)의 내면에 접하도록 가이드봉(153)의 일부 부분의 외경이 가이드홀(305)의 내경과 동등하고 나머지 부분의 외경이 가이드홀(30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가이드부는 가이드봉(153)과 가이드홀(305)과의 접촉면적이 대폭 감소되기 때문에 가이드역할을 그대로 하면서도 제1A폴부(300)가 좀 더 수월하게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프런트패널부(120)와 리어패널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패널(front panel)부(120)는 베이스부(100)의 전(前,front)측 또는 제1B폴부(110)의 전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프런트패널부(120)는 제1자석부(200), 코일부(500) 또는 제1A폴부(300)의 전측에서 외부환경에 대하여 커버(cover)한다.
이러한 프런트패널부(12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0), 제1B폴부(110), 제2B폴부(140)와 후술할 리어패널(130)과 함께 체결 내지 조립됨으로써 자체적으로 케이스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리어패널(rear panel)부(130)는 베이스부(100)의 후측 또는 제1B폴부(110)의 후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부(200), 상기 코일부(500), 또는 상기 제1A폴부(300)의 후측에서 외부환경에 대하여 커버한다.
이러한 리어패널부(13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제1B폴부(110), 제2B폴부(140)와 프런트패널부(120)과 함께 체결 내지 조립됨으로써 자체적으로 케이스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패널부(120)와 리어패널부(13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한 편, 여기서 프런트패널부(120)와 리어패널부(130)에 가이드부가 있는 형태 또한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잠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프런트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패널부(120) 및 리어패널부(130) 각각의 내측면(제1A폴부(300)를 바라보는 면)상에 가이드부로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가이드바(125)가 있는 형태 또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패널부(120) 및 리어패널부(130)에 마련된 가이드바(125)에 대응하여 제1A폴부(300)의 전측단의 면과 후측단의 면에 가이드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홈에 가이드바(125)가 삽입되어 제1A폴부(3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한 편, 제1A폴부(3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며,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제1A폴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A폴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며, 하측부분의 길이에 따라 약간의 변형된 실시형태이다.
즉, 도 5,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A폴부(300)에서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에 접하는 제1A폴LD면과 제1A폴RD면이 있는 부분보다 더 하측에 있는 부분이 없는 형태 또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A폴부(300L)의 하측 부분이 연장(300b)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A폴부(300L)의 하측이 연장된 형태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A폴부(300)로서 동작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제1A폴부(300L) 하측의 연장된 부분(300b)이 코일부(500)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게 된다. 이 경우 연장된 하측부분(300b)은 코일부(500)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구간 내에서 제1A폴부(300)의 위치이동에 따라서 소폭의 위치이동이 있게 된다.
도 5,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A폴부(300)의 하측으로 더 연장된 부분이 없이 별개의 부재가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별개의 부재를 제2A폴부(350)라고 칭할 수 있다.
제2A폴부(350)가 별도로 있는 실시형태에서, 제2A폴부(350)는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체결된 가이드부(150)의 하측단과 체결된다. 그리고, 제2A폴부(350)는 제1A폴부(300)를 하측에서 커버한다. 이 경우에 제2A폴부(350)는 제1A폴부(300)처럼 위치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베이스부(100)가 가이드부(150)의 상측과 체결되어 가이드부(150)의 상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하여 주듯이, 제2A폴부(350)는 가이드부(150)의 하측단 (다시 말해서 가이드봉의 하단)과 체결됨으로써 가이드부(150)를 하측에서 고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대체로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위치에서, 베이스부(100)의 하단측에 제1A폴부(300)의 상단측이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1자석부(200)와 제2자석부(400)에서 제1A폴부(300)측으로 N극을 띠고 반대측이 S극을 띄고 있다. 자기플럭스는 제1자석부(200)와 제2자석부(400)의 N극에서 시작되어 제1A폴부(300)를 거쳐 베이스부(100)를 지나 제1B폴부(110), 제2B폴부(140)로 오며,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의 S극으로 들어가게 되는 자기경로(magnetic path)(MF1)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A폴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자기력에 의해 홀딩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를 코일부(500)로 흘려주면 코일부(500)로부터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력은 제1A폴부(300)를 베이스부(100)로부터 떼어내어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A폴부(3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떨어지면서 자기경로(MF1)가 끊어지게 되며, 제1A폴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위치이동완료 하게 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체로 이루어졌으며 홀딩하고자 하는 물체인 아마추어(armature)부(600)를 제1A폴부(300), 제1B폴부(110) 및 제2B폴부(140)의 하측에 접촉시키면, 자기플럭스는 제1자석부(200), 제2자석부(400)의 N극에서 시작되어 제1A폴부(300)를 거쳐 아마추어부를 지나 제1B폴부(110), 제2B폴부(140)로 와서 제1자석부(200)의 S극으로 들어가게 되는 자기경로(MF2)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부(600)는 자기착탈장치에 의해 자기력으로 착탈될 수 있다.
자기착탈장치로부터 아마추어부(600)를 분리시키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의 방향으로 전류를 코일부(500)로 흘려준다. 코일부(50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력은 제1A폴부(300)를 베이스부(10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제1A폴부(300)는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1A폴부(300)가 제1위치로 이동하면서 도면부호 MF2의 자기경로가 끊어지면서 아마추어부(600)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A폴부(300)가 제1위치에 위치하면서 도면부호 MF1의 자기경로를 따라 자기플럭스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A폴부(300)는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자석부(200) 또는 제2자석부(400)와의 마찰이 없으므로 위치이동이 보다 더 수월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베이스부, B폴부, A폴부, 코일부 및 자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베이스부(100, 도 8 참조)와 같으며, B폴부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제1B폴부(110, 도 8 참조) 또는 제2B폴부(140, 도 8 참조)와 대동소이하며, 코일부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500, 도 8 참조)와 거의 같다.
다만 A폴부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관점과 달리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의 A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A폴부 또한 앞서 설명한 제1A폴부(300, 도 8 참조)에서와 같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A폴부는 제1접속단, 제2접속단 및 폴바디(pole body)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폴부의 제1접속단(310)은 제2위치에서 자석부에 접한다. A폴부의 제2접속단(320)은 제1위치에서 자석부에 접한다. 그리고 A폴부의 폴바디(330)는 상측에서 제1접속단(310)과 결합되고, 하측에서 제2접속단(320)과 결합된다. 그러나, A폴부의 폴바디(330)는 자석부에 대하여 이격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제1접속단(310) 또는 제2접속단(320)은 폴바디(33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자석부 또는 B폴부 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단(310) 또는 제2접속단(320)의 폭 내지 두께는 폴바디(330)의 폭 내지 두께보다 더 크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접속단(310) 또는 제2접속단(320)이 폴바디(33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자석부 또는 B폴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자석부에 대하여 폴바디(330)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A폴부가 위치이동하는 동안에도 폴바디(330)는 계속적으로 자석부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A폴부와 자석부 사이에 마찰로 인한 A폴부의 위치이동의 장애요인이 제거된다.
여기서 더 바람직하게는, 자석부는 영구자석과 제A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A버퍼는 버퍼상단, 버퍼하단 및 버퍼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A버퍼의 버퍼상단은 제2위치에서 A폴부의 제1접속단과 접속되는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제A버퍼의 버퍼하단은 제1위치에서 A폴부의 제2접속단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A버퍼의 버퍼바디는 버퍼상단과 상측에서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기 버퍼하단과 결합되며, A폴부의 폴바디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버퍼상단, 버퍼하단, 버퍼바디는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착탈장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오는 자기플럭스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코일에 의해 위치이동 되는 폴부가 마찰을 받지 않으므로 에너지소모가 억제된다 따라서 전력에너지 소요를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폴부의 위치이동시 마찰이 없으므로 자기력착탈장치를 오래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 저하 내지 품질의 하락을 억제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홀딩대상체인 아마추어에 대한 홀딩능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제1B폴부
120 : 프런트패널부 130 : 리어패널부
140 : 제2B폴부 150 : 가이드부
200 : 제1자석부 300 : 제1A폴부
400 : 제2자석부 500 : 코일부

Claims (24)

  1. 자성체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제1B폴(pole)부;
    상기 제1B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에 상단측이 접하는 제1위치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과 상단측이 이격되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는 제1A폴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제1B폴부 및 상기 제1A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1자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접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석부의 일 부분이 상기 제1접속홈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제1접속홈은,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자석부의 하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제1A폴LD접면,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자석부의 상측의 일 부분에 접하는 제1A폴LU접면 및 상기 제1A폴LD접면과 제1A폴LU접면 사이에 형성된 제1이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이격면은 상기 제1자석부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제2B폴부; 및
    상기 제2B폴부 및 상기 제1A폴부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2접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이 상기 제2접속홈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제2접속홈은,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의 하측에 접하는 제1A폴RD접면,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자석부의 일 부분의 상측에 접하는 제1A폴RU접면 및 상기 제1A폴RU접면과 제1A폴RD접면 사이에 형성된 제2이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면은 상기 제2자석부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A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A폴부가 수직으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비자성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는,
    제1영구자석; 및
    일측이 상기 제1영구자석의 타측과 결합되며,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접속홈에 삽입되는 제1A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A버퍼는 강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A버퍼에는 일측에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이 상기 체결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제1A버퍼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B폴부의 타측에는 자석고정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B폴부에 상기 제1영구자석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는,
    제2영구자석; 및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접속홈에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2영구자석의 일측과 결합된 제2A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A버퍼는 강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A버퍼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영구자석이 상기 체결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B폴부의 일측에는 자석고정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영구자석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B폴부에 상기 제2영구자석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자석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A폴부의 상측의 일부분이 환형(loop shape)의 상기 코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1자석부의 하측 또는 상기 제1A폴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축-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이 환형(loop shpae)의 상기 코일부의 내측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체결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제1A폴부를 하측에서 커버(cover)하는 제2A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탈착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 또는 상기 제1B폴부의 전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1자석부,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A폴부의 전측에서 커버(cover)하는 프런트패널(front panel)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 또는 상기 제1B폴부의 후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A폴부를 후측에서 커버하는 리어패널(rear panel)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부에는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위치이동 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패널부에는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위치이동 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2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A폴LU접면, 상기 제1폴LD접면, 상기 제1A폴RU접면 및 상기 제1폴RD접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축-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제1A폴부의 이동선(moving line)을 말한다- 에 대하여 면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16항, 제 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폴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홀딩되는 아마추어(armatur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착탈장치.
  23. 자성체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된 B폴(pole)부;
    상기 B폴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에 상단측이 접하는 제1위치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측과 상단측이 이격되는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는 A폴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A폴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의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B폴부 및 상기 A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A폴부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자석부에 접하는 제1접속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자석부에 접하는 제2접속단; 및
    상측이 상기 제1접속단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제2접속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자석부에 대하여 이격된 폴바디(pole body);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단 또는 상기 제2접속단은 상기 폴바디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B폴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석부에 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체결되며, 상기 A폴부와 접속되는 제A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A버퍼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A폴부의 상기 제1접속단과 접속되는 버퍼상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A폴부의 상기 제2접속단과 접속되는 버퍼하단; 및
    상기 버퍼상단과 상측에서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기 버퍼하단과 결합된 버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바디는 상기 A폴부의 상기 폴바디에 대하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착탈장치.
KR1020140156353A 2014-11-11 2014-11-11 자기력착탈장치 KR10168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53A KR101681765B1 (ko) 2014-11-11 2014-11-11 자기력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53A KR101681765B1 (ko) 2014-11-11 2014-11-11 자기력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216A true KR20160056216A (ko) 2016-05-19
KR101681765B1 KR101681765B1 (ko) 2016-12-02

Family

ID=5610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353A KR101681765B1 (ko) 2014-11-11 2014-11-11 자기력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83B1 (ko) * 2018-12-07 2019-07-30 (주)유엔디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WO2024025230A1 (ko) * 2022-07-25 2024-02-01 최태광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97B1 (ko) * 2020-02-10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립형 차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0B1 (ko) * 2010-09-20 2012-03-21 최태광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KR101319052B1 (ko) * 2013-06-07 2013-10-17 최태광 영구자석 에너지 제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427066B1 (ko) * 2014-04-08 2014-08-0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40124734A (ko) * 2014-06-24 2014-10-2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0B1 (ko) * 2010-09-20 2012-03-21 최태광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KR101319052B1 (ko) * 2013-06-07 2013-10-17 최태광 영구자석 에너지 제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427066B1 (ko) * 2014-04-08 2014-08-0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40124734A (ko) * 2014-06-24 2014-10-2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83B1 (ko) * 2018-12-07 2019-07-30 (주)유엔디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WO2020116835A1 (ko) * 2018-12-07 2020-06-11 주식회사 유엔디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CN113168950A (zh) * 2018-12-07 2021-07-23 株式会社Und 磁移动路径控制装置
CN113168950B (zh) * 2018-12-07 2022-12-09 株式会社Und 磁移动路径控制装置
US11817238B2 (en) 2018-12-07 2023-11-14 Und Co., Ltd. Magnetic flux path control device
WO2024025230A1 (ko) * 2022-07-25 2024-02-01 최태광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765B1 (ko) 2016-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0864B2 (en) Magnetic substance holding device
US8970334B2 (en) Magnetic substance holding device using permanent magnet energy control
US20130135067A1 (en) Magnet substance holder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KR101427066B1 (ko)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90031133A (ko)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823247B1 (ko) 얇은 판 형상의 자성체를 홀딩하기 위한 자성체 홀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얇은 판 형상의 비자성체를 홀딩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
KR20160130699A (ko) 자기흐름 제어장치
JP2011513979A5 (ko)
KR101553168B1 (ko)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681765B1 (ko) 자기력착탈장치
CN211905830U (zh) 自动对焦致动器及摄像模组
JP201318216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装置
JP4901642B2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操作開閉装置
KR101592271B1 (ko) 전자접촉기
US7940482B2 (en) Lens drive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lens drive apparatus
JP5553247B2 (ja) リニアスライダ
KR101182849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JP5750903B2 (ja) 電磁石装置
KR101182848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CN101498826A (zh) 透镜驱动装置
KR200458093Y1 (ko) 전자접촉기
JP201304507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JP2019112203A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
JPH081440U (ja) ジャカード機の選針方法
JP2006339380A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