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497B1 - 차량의 조립형 차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립형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497B1
KR102370497B1 KR1020200015430A KR20200015430A KR102370497B1 KR 102370497 B1 KR102370497 B1 KR 102370497B1 KR 1020200015430 A KR1020200015430 A KR 1020200015430A KR 20200015430 A KR20200015430 A KR 20200015430A KR 102370497 B1 KR102370497 B1 KR 10237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magnetic
vehicle
magnetic module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508A (ko
Inventor
황진호
차동은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97B1/ko
Priority to US16/898,979 priority patent/US11541947B2/en
Priority to CN202010616474.4A priority patent/CN113247114A/zh
Priority to DE102020209088.2A priority patent/DE102020209088A1/de
Publication of KR2021010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결합시 조립되어 하나의 차량을 형성하는 복수의 차체파트, 차체파트에 구비되고, 복수의 차체파트를 자기(magnetism)흐름에 의하여 결합하는 마그네틱 모듈 및 마그네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복수의 차체파트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조립형 차체{ASSEMBLED BODY OF VEHICLE}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복수의 차체파트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고, 마그네틱 모듈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차량의 조립형 차체에 관한 발명이다.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은 완성된 차체를 운행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자동차의 외형, 내장재, 부품에 대한 꾸준한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현대적인 자동차의 개념은 단순한 운송수단을 넘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생활공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현재 고전적인 개념의 자동차는 완성된 차량을 변형하거나 차체 일부를 선택적으로 교체,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완성된 자동차를 구매한 후에는 자동차의 외관에 대한 변경은 어렵고, 부품을 장착하는 등으로 외형을 변형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자동차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차체 일부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차체 일부의 분리와 결합이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자동차 하드웨어 체결구조는 물리적인 결합에 의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변경 가능한 범위가 한정적이고, 안정성에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분리, 교체, 결합이 자유로우면서도 결합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형 차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세계 최초로 차량이 복수의 차체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차체파트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차체파트는 마그네틱 모듈의 자기경로 제어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우면서 안정적인 차량의 조립형 차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결합시 조립되어 하나의 차량을 형성하는 복수의 차체파트; 차체파트에 구비되고, 복수의 차체파트를 자기(magnetism)흐름에 의하여 결합하는 마그네틱 모듈; 및 마그네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복수의 차체파트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치페트는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단부에 고정부가 구비되며, 고정부는 자기가 흐를 수 있는 자성체로 형성된 제1차체파트 및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단부에 마그네틱 모듈이 구비되는 제2차체파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마그네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가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을 통해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모듈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고, 영구자석 및 전자석은 자기가 상호작용 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어부는 전자석을 제어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은 접촉되고, 제어부는 전자석이 자성을 가지도록 전류를 제어하되, 전자석이 영구자석과 인접한 위치에 영구자석의 극과 동일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고정부 및 마그네틱 모듈에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전자석이 자성을 가지도록 전류를 제어하되, 전자석이 영구자석과 인접한 위치에 인접한 영구자석의 극과 상이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고정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또는 마그네틱 모듈에는 자기장의 형성에 의한 전압을 측정하는 홀센서(Hall Sensor)가 마련되며, 제어부는 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에 의하여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의 불완전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는 고정부에 마련된 제1홀센서이고,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제1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는 마그네틱 모듈에 마련된 제2홀센서이고, 제2홀센서는 마그네틱 모듈에 고정부가 접촉하는 지점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결합시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전자석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로상에 마련되며,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제2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가 불완전하게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송출할 수 있다.
복수의 차체파트는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복수의 차체파트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와 홀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모듈 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전력 공급부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마그네틱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각각의 마그네틱 모듈에 별도로 마련되고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체를 구성하는 차체파트가 분리 및 결합되어 차량을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차량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목적의 차량으로 개조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차체파트가 물리적인 결합이 아니라 마그네틱 모듈의 자기경로 제어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의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의 차체파트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의 차체파트가 분리되는 경우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가 결합하는 모습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차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체파트가 각각 분리 또는 결합되어 차량을 목적에 따라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차체파트는 마그네틱 모듈(210)의 자성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구정될 수 있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에 과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는 차량이 복수의 차체파트(100, 200)로 구성되고, 복수의 차체파트가 결합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한다. 복수의 차체파트(100, 200)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메커니즘은 후술한다. 도 1에는 2개의 차체파트로 구성된 차량을 도시하였으나, 차체파트는 2개 이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차체파트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의 제1차체파트(100) 및 제2차체파트(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는 예시일 뿐 명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을 구성하는 차체가 각각 분리된 것을 의미하며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는 형상, 위치, 구체적인 연결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는 제1차체파트(100), 제2차체파트(200) 및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는 차량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 결합되면 조립된 차체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의 단부에는 고정부(110)가 구비되고, 제2차체파트(200)의 단부에는 마그네틱 모듈(21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은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틱 모듈(210)의 폐순환 자기경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결합된 경우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서로 맞닿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10)는 자기(magnetism)가 흐를 수 있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자기흐름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자기흐름에 의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위해서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마그네틱 모듈(210)은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체파트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의 예시는 제2차체파트(200)에 마그네틱 모듈(210)이 마련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는 마그네틱 모듈(210)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그네틱 모듈(210)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가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을 흐르도록 제어하여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의 차체파트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의 차체파트가 분리되는 경우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결합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그네틱 모듈(210)은 영구자석(211) 및 전자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2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극성의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영구자석(211)과 전자석(212)은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발생하는 자기가 상호작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자석(2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자석(212)에 형성되는 극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하여 전자석(212)은 인접한 영구자석(211)과 같은 극의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극의 자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가 전자석(212)을 제어하면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조절되므로 이를 통해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을 결합하는 경우 제어부는 전자석(212)에 자성이 발생하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는 전자석(212)이 영구자석(211)과 인접한 위치에 영구자석(211)의 극과 동일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자석(212)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영구자석(211)의 N극과 전자석(212)이 인접되어 있으므로, 제어부는 전자석(212)이 영구자석(211)과 인접되어 있는 하부에 N극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부에 S극이 형성되도록 제어한다.
전자석(212)에 전류가 인가되어 극성을 가지게 되면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흐르게 된다. 자기는 N극에서 나오고 S극으로 들어가는데, 영구자석(211)의 N극과 전자석(212)의 N극이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자기흐름은 영구자석(211)의 N극에서 나와 고정부(110)로 흐르게 된다. 자기경로는 고정부(110)를 지나 다시 영구자석(211)의 S극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자기경로가 마그네틱 모듈(210)과 고정부(110)를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접촉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어해야 한다.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는 전자석(2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형성된 자기경로는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은 자기경로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를 결합하는 경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차체를 조립할 수 있다. 자기경로는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에 폐순환경로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로써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결합력은 유지되므로 구조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을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전자석(212)이 영구자석(211)과 인접한 위치에 영구자석(211)의 극과 상이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자석(212)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영구자석(211)의 N극과 전자석(212)이 인접되어 있으므로, 제어부는 전자석(212)이 영구자석(211)과 인접되어 있는 하부에 S극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부에 N극이 형성되도록 제어한다.
전자석(212)에 전류가 인가되어 극성을 가지게 되면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흐르게 된다. 영구자석(211)의 N극과 전자석(212)의 S극이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자기흐름은 영구자석(211)의 N극에서 나와 고정부(110)로 흐르지 않고 마그네틱 모듈(210)로 흐르게 된다. 즉, 영구자석(211)에 의한 자기경로는 영구자석(211)에서 마그네틱 모듈(210)로 흐르고 고정부(110)에는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의 결합이 해제되며,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는 전자석(2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형성된 자기경로는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은 자기경로에 의하여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를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는 결합하는 경우와 반대로 전자석(212)을 제어하여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전자석(212)에 형성되는 자극의 제어는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단순하게 제어가 가능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는 홀센서(113, 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전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압을 증폭시켜 센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홀센서에서 측정된 전압으로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의 불완전 결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센서는 고정부(110)에 마련되거나 또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110)에 마련되는 홀센서를 제1홀센서(113), 마그네틱 모듈(210)에 마련되는 홀센서를 제2홀센서(213)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제1홀센서(113)는 고정부(110)에 마련되어 고정부(110)를 흐르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결합하는 경우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는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가 조립된 경우에 제1홀센서(113)에서는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에 의한 전압이 센싱될 수 있다.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완전하게 결합된 경우 제1홀센서(113)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제1기준값으로 정의한다.
만약,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의 결합이 불완전한 경우 제1홀센서(113)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수치가 제1기준값보다 낮게 측정된다.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 사이의 매칭이 불완전 하거나, 표면 가공이 불량이거나, 결합 위치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등의 원인은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불완전 결합시 고정부(110)를 흐르는 자기장이 감소하게 되고, 제1홀센서(113)가 자기장의 감소에 의한 전압 감소를 센싱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홀센서(113)의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제2홀센서(213)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마련되어 마그네틱 모듈(210)을 흐르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홀센서(213)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고정부(110)가 접촉하는 위치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0)가 결합하는 경우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전자석(212)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로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결합하는 경우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는 전자석(212)에 의하여 고정부(110)를 향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110)의 반대편에는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체가 조립된 경우 제2홀센서(213)는 조립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압의 측정값이 낮게 나타나야 한다.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이 완전하게 결합된 경우 제2홀센서(213)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제2기준값으로 정의한다.
만약, 불완전 결합이 발생한 경우 영구자석(211)의 자기경로가 완전히 차단되지 않게 되므로 제2홀센서(213)에 영구자석(211)의 자기장에 의한 전압이 센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2홀센서(213)에 측정된 측정값이 제2기준값보다 높게 측정된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홀센서(113)나 제2홀센서(213)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제1기준값 또는 제2기준값을 비교하여 불완전 결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알람신호로 송출하여 경고할 수 있다. 알람신호는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되는 시각신호 이거나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소리신호일 수 있다. 차량을 제조하는 과정이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체파트의 불완전 결합 여부를 쉽게 인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제1홀센서(113), 제2홀센서(213)를 이용하여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분리되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차체가 완전하게 분리된 경우에는 결합된 경우보다 제1홀센서(113)에서는 전압이 낮게 측정되어야 하고, 제2홀센서(213)에서는 전압이 높게 측정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가 결합하는 모습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차체의 차체파트에는 가이드(120)와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20)는 복수의 차체파트가 결합되는 경우 맞닿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홈(220)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가이드(120)가 홈(22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차체파트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결합하면 가이드(120)와 홈(220)이 맞물려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은 접촉하게 된다. 제어부에 의하여 전류가 제어되면 고정부(110)와 마그네틱 모듈(210)에 자기경로가 형성되어 제1차체파트(100)와 제2차체파트(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리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여 고정부(110)를 흐르는 자기경로를 제거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제1차체파트(100)에 가이드(120)가 형성되고, 제2차체파트(200)에 홈(220)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홈(220)과 가이드(120)는 복수의 차체파트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립형 차체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마그네틱 모듈(210)에 전력을 인가하여 전자석(212)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장치로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거나 마그네틱 모듈(210)에 별도로 마련되어 유/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차체파트
110 : 고정부
113 : 제1홀센서
120 : 가이드
200 : 제2차체파트
210 : 마그네틱 모듈
211 : 영구자석
212 : 전자석
213 : 제2홀센서
220 : 홈

Claims (12)

  1. 각각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결합시 조립되어 하나의 차량을 형성하는 복수의 차체파트;
    차체파트에 구비되고, 복수의 차체파트를 자기(magnetism)흐름에 의하여 결합하는 마그네틱 모듈;
    마그네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복수의 차체파트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마그네틱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차체파트는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고정부가 구비되며, 고정부는 자기가 흐를 수 있는 자성체로 형성된 제1차체파트 및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마그네틱 모듈이 구비되는 제2차체파트로 구성되며,
    전력 공급부는 마그네틱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마그네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폐순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가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을 통해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된 차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마그네틱 모듈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고, 영구자석 및 전자석은 자기가 상호작용 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어부는 전자석을 제어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기경로를 제어하여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고정부와 마그네틱 모듈은 접촉되고,
    제어부는 전자석이 자성을 가지도록 전류를 제어하되, 전자석이 영구자석과 인접한 위치에 영구자석의 극과 동일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고정부 및 마그네틱 모듈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전자석이 자성을 가지도록 전류를 제어하되, 전자석이 영구자석과 인접한 위치에 인접한 영구자석의 극과 상이한 극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고정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 또는 마그네틱 모듈은 자기장의 형성에 의한 전압을 측정하는 홀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에 의하여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의 불완전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홀센서는 고정부에 마련된 제1홀센서이고,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제1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홀센서는 마그네틱 모듈에 마련된 제2홀센서이고, 제2홀센서는 마그네틱 모듈에 고정부가 접촉하는 지점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결합시 영구자석의 자기경로가 전자석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로상에 마련되며,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 및 제2차체파트를 결합하는 경우, 제2홀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불완전 결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차체파트와 제2차체파트가 불완전하게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차체파트는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복수의 차체파트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와 홀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 공급부는 각각의 마그네틱 모듈에 별도로 마련되고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립형 차체.

KR1020200015430A 2020-02-10 2020-02-10 차량의 조립형 차체 KR10237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30A KR102370497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의 조립형 차체
US16/898,979 US11541947B2 (en) 2020-02-10 2020-06-11 Assembled body of vehicle
CN202010616474.4A CN113247114A (zh) 2020-02-10 2020-06-30 车辆的组装主体
DE102020209088.2A DE102020209088A1 (de) 2020-02-10 2020-07-21 Zusammengesetzte fahrzeugkarosser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30A KR102370497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의 조립형 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08A KR20210102508A (ko) 2021-08-20
KR102370497B1 true KR102370497B1 (ko) 2022-03-07

Family

ID=7696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430A KR102370497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의 조립형 차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41947B2 (ko)
KR (1) KR102370497B1 (ko)
CN (1) CN113247114A (ko)
DE (1) DE102020209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2833A1 (de) * 2021-03-23 2022-09-29 Hyundai Motor Company Ladesystem und Verfahren zum seitlichen Be- und Entladen einer oberen Karosseriestruktur auf und von einer Fahrzeugplattform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036A (ja) * 2004-03-12 2005-09-22 Nissan Motor Co Ltd 車体構造
KR101681765B1 (ko) * 2014-11-11 2016-12-02 주식회사 이디리서치 자기력착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434A (en) * 1978-11-27 1980-06-11 Nissan Motor Co Ltd Car assembly control system
JP2859985B2 (ja) * 1991-10-18 1999-02-24 日本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US20060243767A1 (en) * 2005-05-02 2006-11-02 Mcmillan Michael Magnetic pad
US8073575B2 (en) * 2005-06-24 2011-12-06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Vehicle
KR101130218B1 (ko) 2011-05-20 2012-03-26 최태광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EP2463181B1 (de) * 2010-12-07 2018-07-1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
KR101427066B1 (ko) 2014-04-08 2014-08-0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US10029603B2 (en) * 2015-07-27 2018-07-24 NR-LOK, Corp. Interchangeable truck bed
US10479427B2 (en) * 2016-01-12 2019-11-19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components for electric vehicles
US10751800B2 (en) * 2017-07-25 2020-08-25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exoskeleton-based transport structures
US10940609B2 (en) * 2017-07-25 2021-03-09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endoskeleton-based transport structures
KR20190031115A (ko) 2017-09-15 2019-03-25 최태광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90031123A (ko) 2017-09-15 2019-03-25 최태광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DE102017216779B4 (de) * 2017-09-22 2022-02-24 Audi Ag Verbindungssystem zum festen aber trennbaren Verbinden von Fahrzeugteilen mittels magnetischer Verbindungselemente
KR102133157B1 (ko) * 2018-07-05 2020-07-13 (주)유엔디 로봇 툴 결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02478A2 (en) * 2018-11-14 2020-05-22 Magna International Inc. Modular vehicle architecture enabling range on demand
US10836306B1 (en) * 2019-07-15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portable signature ligh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036A (ja) * 2004-03-12 2005-09-22 Nissan Motor Co Ltd 車体構造
KR101681765B1 (ko) * 2014-11-11 2016-12-02 주식회사 이디리서치 자기력착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09088A1 (de) 2021-08-12
US20210245816A1 (en) 2021-08-12
US11541947B2 (en) 2023-01-03
CN113247114A (zh) 2021-08-13
KR20210102508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410B1 (ko) 조립형 차량
CN109476325B (zh) 无人搬运车以及无人搬运车的控制方法
KR102370497B1 (ko) 차량의 조립형 차체
JP5535139B2 (ja) 近接センサ
US6729427B1 (en) Locking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vehicle's buckle
US10508732B2 (en) Shift device
US20110068771A1 (en) Current sensor
JP2002372402A (ja) シートポジションセンサ
US6931696B2 (en) Multi-purpose buckle sensor assembly
US20020180427A1 (en) Linear position sensor assembly
US20110254539A1 (en) Target Activated Sensor
JP2012502295A (ja) 広範囲のオープンループ電流センサー
JP3961920B2 (ja) バックル装置
US20060197521A1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 vehicle to an object
WO2016093059A1 (ja) 電流センサ
US6742229B2 (en) Buckle device
JP2001086768A (ja) 車載用パワーモジュール
WO2018021474A1 (ja) 無人搬送車、および無人搬送車の制御方法
JP200308105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9678168B2 (en) Sensor system including multiple comparators
KR101447806B1 (ko) 비접촉 브레이크 스위치
JP5529064B2 (ja) 非接触スイッチ及び磁気センサ
JP2003025878A (ja) シートスライド位置検出装置
JP3582208B2 (ja) 埋設物の位置検出装置
JPH02758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