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47A -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47A
KR20160056047A KR1020140155933A KR20140155933A KR20160056047A KR 20160056047 A KR20160056047 A KR 20160056047A KR 1020140155933 A KR1020140155933 A KR 1020140155933A KR 20140155933 A KR20140155933 A KR 20140155933A KR 20160056047 A KR20160056047 A KR 2016005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seat
seat fram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5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047A/ko
Publication of KR2016005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은 자동차 바닥면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 몸체; 일단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에 링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및 양 단은 상기 브라켓들에 각각 연결되고, 일부 구간이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Seat fram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프레임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트 중 차량의 앞 열에 배치되어 있는 운전석 및 조수석은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안락함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해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에 진동과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시트의 하부에 서스펜션을 설치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트의 하부에는 탑승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는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그 높이가 정형화되어 있어, 시트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이 불편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높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관련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941호(2012.02.29. 공개)에는 자동차 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일 예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에어 스프링을 사용하여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구성이 단순하면서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시트 높이 조절장치는 교통사고와 같이 갑작스러운 하중이 부가되는 경우, 승객의 몸무게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브라켓 부분이 변형되어 시트 메커니즘이 승객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941호(2012.02.29. 공개)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은 자동차 바닥면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 몸체; 일단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에 링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및 양 단은 상기 브라켓들에 각각 연결되고, 일부 구간이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강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 프레임 안착부에서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중앙 부근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4회 밴딩(bending)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시트 프레임 몸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원통형상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횡 방향 파이프 부재들과 대응되는 굵기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단부의 높이가 상기 브라켓의 링크부재 연결부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와 연결되는 링크부재의 연결부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와 브라켓을 연결하되, 회전 동작에 의해 시트 프레임 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하중을 분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보강 프레임을 시트 프레임의 횡 방향으로 설치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의 양단부는 자동차용 시트가 설치되는 브라켓에 고정하면서, 중앙 부근은 밴딩을 통해 시트 내측에 배치하여,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트 프레임과 브라켓 모두에 강성 보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은 레일 프레임(100), 이동 프레임(200), 제 1 및 제 2 브라켓(210)(220), 시트 프레임 몸체(300), 제 1 및 제 2 링크부재(410)(430) 및 보강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00)은 자동차의 바닥면에 지지 부재(110)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00)은 양단부가 개구되어, 이 부분을 통해 후술할 이동 프레임(200)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100)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 프레임(100)은 한 쌍이 마련되어 후술할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양측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 프레임(100)의 상부면은 오픈된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200)의 상측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00)은 바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00)의 형상은 상기 레일 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통상 "T"자 또는 "H"자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00)은 외부 충격 발생 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단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210)은 상기 이동 프레임(200)의 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 프레임(200)의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210)은 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 1 링크부재(40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11)에는 상기 제 1 링크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힌지부가 마련되어, 시트 프레임 몸체(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브라켓(210)에는 보강 프레임(500)의 단부(510)가 수용되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5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강 프레임 안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 안착부(212)는 상측이 오픈된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해 보강 프레임(500)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프레임(500)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상기 보강 프레임 안착부(212)는 상측이 오픈된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외에 제 1 브라켓(210)의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동 프레임(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220)은 이동 프레임(200)의 후방 측에 한 쌍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한 제 1 브라켓(210)과 같이 한 상의 이동 프레임(200)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220)에는 후술한 제 2 링크부재(4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후방 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브라켓(220)은 상대적으로 제 1 브라켓(210)에 비해 더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제 1 브라켓(21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부재(400)는 일단은 상기 제 1 브라켓(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에 링크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링크부재(400)는 제 1 연결부(410)에서 상기 제 1 브라켓(21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부(420)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부재(400)는 2개가 한 쌍이 되도록 마련되어,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시트 프레임 몸체(300)를 레일 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410)(420)의 힌지 회동을 통해,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 2 링크부재(430)는 일단은 상기 제 2 브라켓(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에 링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링크부재(400)(430)는 모두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부재를 일부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일부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돌부를 형성하도록 가공하여, 상하 방향의 힘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500)은 양 단부(510)는 상기한 한 쌍의 제 1 브라켓(2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210)에 형성된 보강 프레임 안착부(212)에 용접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500)은 일부 구간이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적어도 4회 밴딩(bending) 되어, 중앙 부근이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안쪽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500)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 내부에 설치되는 횡 방향 파이프 부재들과 대응되는 굵기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500)은 상기 제 1 브라켓(210)과 연결되는 단부(510)의 자동차 바닥면에 대한 높이가 상기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링크부재(40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1)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500)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300)와 연결되는 제 1 링크부재(400)의 제 2 연결부(420)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프레임(500)의 양 단부(510)를 제 1 브라켓(210)에 고정 결합하면,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보강 프레임(500)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돌출부분은 시트 프레임 몸체(3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보강 프레임(500)의 양 끝단의 단부(510)는 제 1 브라켓(210)과의 고정을 통해 제 1 브라켓(210)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강도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보강 프레임(500)의 양 단부(510)는 자동차용 시트가 설치되는 제 1 브라켓(21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므로, 얇은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재질의 제 1 브라켓(210)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500)에 의해 전방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하중을 분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레일 프레임 110; 지지부재
200; 이동 프레임 210; 제 1 브라켓
211; 제 1 연결부 212; 보강 프레임 안착부
220; 제 2 브라켓 300; 시트 프레임 몸체
400; 링크부재 410; 제 1 힌지유닛
420; 제 2 힌지유닛 500; 보강 프레임
510; 안착단부

Claims (10)

  1. 자동차 바닥면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 몸체;
    일단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에 링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및
    양 단은 상기 브라켓들에 각각 연결되고, 일부 구간이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강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 프레임 안착부에서 용접으로 결합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중앙 부근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4회 밴딩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시트 프레임 몸체에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원통형상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횡 방향 파이프 부재들과 대응되는 굵기의 지름을 가지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단부의 높이가 상기 브라켓의 링크부재 연결부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와 연결되는 링크부재의 연결부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시트 프레임 몸체와 브라켓을 연결하되, 회전 동작에 의해 시트 프레임 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KR1020140155933A 2014-11-11 2014-11-11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KR20160056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33A KR20160056047A (ko) 2014-11-11 2014-11-11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33A KR20160056047A (ko) 2014-11-11 2014-11-11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47A true KR20160056047A (ko) 2016-05-19

Family

ID=561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33A KR20160056047A (ko) 2014-11-11 2014-11-11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0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599B2 (en) 2020-10-06 2024-04-23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preventing submarine phenomenon i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599B2 (en) 2020-10-06 2024-04-23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preventing submarine phenomenon i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527B2 (en) Vehicle seat
EP1908628B1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JP5576111B2 (ja) 乗物用シート
US20080258519A1 (en) Automobile Seat with Impact-Absorbable Seatback
US11312272B2 (en) Conveyance seat
JP5256653B2 (ja) 車体の側突荷重支持構造および側突荷重支持方法
WO2012086804A1 (ja) 乗物用シート
JP2020175896A5 (ko)
US20220402417A1 (en) Vehicle seat
KR20110014097A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 구조
CN110167793B (zh) 车辆用座椅构造
JP554483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697998B2 (ja) 車両用安全シート
WO2019187959A1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160056047A (ko)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JP4101617B2 (ja) 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7364852B2 (ja) 乗物用シート
JP647650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2015145244A (ja) 乗物用シート
JP4855064B2 (ja) リア・シート
JP201912343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634120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の補強構造
JP2014201248A (ja) 車両用シート
JPH0614823A (ja) リヤ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6974716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