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132A -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132A
KR20160054132A KR1020140152975A KR20140152975A KR20160054132A KR 20160054132 A KR20160054132 A KR 20160054132A KR 1020140152975 A KR1020140152975 A KR 1020140152975A KR 20140152975 A KR20140152975 A KR 20140152975A KR 20160054132 A KR20160054132 A KR 2016005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am
conductive patter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634B1 (ko
Inventor
임화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634B1/ko
Priority to US14/676,361 priority patent/US9980387B2/en
Publication of KR2016005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Abstract

제1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접촉되는 제2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접속되는 영역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댐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는 TV, 모니터, 노트북뿐만 아니라, 모바일폰, PDA, 스마트폰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각 적용 제품군 별로 요구하는 스펙이 다양하지만, 표시 장치의 해상도를 높이는 기본적인 표시 품질에 관한 것이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사항들은 제품군에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사항이다. 위 요구들에 맞추어 최근의 표시 장치는 좁은 공간 내에 많은 신호선들이 밀집하여 배치되고, 복잡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 구동칩들이 탑재된다. 상기 구동칩이나 기타 표시 장치의 구동부들은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다. 이를 위해 패널측에는 본딩 패드가 마련되고, 그에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다.
한편, 패널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본딩 부위는 습기 침투 등 외부 환경적 영향에 의해 접착이 떨어지거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불량 및 부식 발생은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치명적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표시 패널의 본딩부위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압력에 의해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표시 패널의 접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접촉되는 제2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접속되는 영역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댐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댐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댐패드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패드 및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드의 일측부와 및 상기 제2 패드의 일측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드와 및 상기 제2 패드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이고, 상기 제2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댐패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댐패드는 제1 댐패드와 상기 제2 댐패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댐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구비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도전 패턴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댐패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도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댐패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2 댐패드는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댐패드와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댐패드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상부는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표시 패널의 본딩부위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외부 압력에 의해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표시 패널의 접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 및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I 내지 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III 내지 II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13, 15,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 14, 16, 18 각각은 도 11, 13, 15, 17 각각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댐패드 및 패널 접속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그에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과 같은 다른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 및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상기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및 제1 기판(110)에 대향하는 제2 기판(13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화소 영역(PA)과 구동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PA)은 제2 기판(130)과 오버랩되지만, 구동 영역(DA)은 제2 기판(13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PA)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배선(112),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114)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배선(112)과 데이터 배선(114)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는 화소 전극(116)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의 제어 단자인 게이트 전극(118)은 게이트 배선(112)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인 소스 전극(120)은 데이터 배선(114)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인 드레인 전극(122)은 화소 전극(116)에 콘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의 채널은 반도체층(1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4)은 게이트 전극(118)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20)과 드레인 전극(122)은 반도체층(124)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구동 영역(DA)에는 화소 영역(P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의 일 예로, 구동 영역(DA)에 실장된 드라이버 IC(150)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0)의 구동 영역(DA)에는 드라이버 IC(150)에 입출력하는 복수의 배선(152, 154)이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150)를 기준으로 일측의 배선(152)들은 게이트 배선(112) 및 데이터 배선(114) 등과 연결된다. 드라이버 IC(150)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제1 기판(110)의 구동 영역(DA)에는 소정의 도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위 도전 패턴은 복수의 패널 패드들 및 위 패드들과 연결된 신호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패널 패드는 신호 배선을 통해 드라이버 IC(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영역(DA)에는 표시 패널(10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이 접속되는 패널 접속영역(PCA)이 포함될 수 있다. 패널 접속영역(PCA)은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100)의 일측에 배치된 도전 패턴과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에 배치된 도전 패턴이 직접 접착되는 영역 또는 이방성 도전 필름 등을 통해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휘어진 형태로, 표시 패널(100)과 인쇄회로기판(16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60)은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60)은 표시 장치(1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I 내지 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110)의 일측에 제1 도전 패턴(126)이 배치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에는 위 제1 도전 패턴(126)과 접속되는 제2 도전 패턴(220)이 배치된다. 제1 도전 패턴(126) 및 제2 도전 패턴(220)은 복수의 패드들 및 위 패드들과 연결된 신호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220)은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 및 타면에는 보호막(230, 240)이 구비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2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는 제1 도전 패턴(126)과 제2 도전 패턴(220)이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도전 패턴(126)과 제2 도전 패턴(220)은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기판(11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 위치하되, 제 1 도전 패턴(126)과 제2 도전 패턴(220)이 접속되는 패널 접속영역(PCA)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댐패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패드(300)는 1 도전 패턴(126) 및 제2 도전 패턴(2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패드(300)는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패드(300)는 패널 접속영역(PCA)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댐패드(300)는 소정 방향(예컨대, X방향)으로 연장된 즉, 길이가 긴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패드(300)가 패널 접속영역(PCA) 보다 제1 기판(110)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패널 접속영역(PCA)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기판(110)과 연성회로기판(200)간 접속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댐패드(300)는 외부 압력에 대한 지지대 역할이 가능하여 제1 기판(11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00)간 접속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댐패드(300) 또는/및 패널 접속영역(PCA)의 주변에는 도면에 별도 표시하지 않았으나 방습 물질이 위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패널 접속영역(PCA)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패드(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층구조로 이루어져 제1 기판(110)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패드(300)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 다층 구조를 이루는 댐패드(300)의 일부가 제1 기판(110), 연성인쇄회로기판(200) 각각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에 댐패드(300)가 부착된 경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III 내지 II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댐패드(300) 전체가 연성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는 댐패드(300)의 일부가 연성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일면 및 타면을 구비한 베이스 필름(210), 상기 베이스 필름(210)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 도전 패턴(220) 및 상기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상기 제2 도전 패턴(2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2 도전 패턴(220)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댐패드(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제2 도전 패턴(22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 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베이스 필름(210)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3 도전 패턴(22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0)에는 제2 도전 패턴(220)과 제3 도전 패턴(222)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220)은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도전 패턴(222)은 콘택홀(212)을 통해 위 복수의 패드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막(230) 및 상기 베이스 필름(210)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막(240)을 포함하되, 상기 댐패드(300)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220)의 상부는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보호막(230)은 댐패드(300) 및 제2 도전 패턴(220)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베이스 필름(210)은 도면에 별도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면 상에 다른 인쇄회로기판 또는 입력 장치들과 접속하는 외부 단자 접속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 단자 접속영역에는 제4 도전 패턴(224)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필름(210)에는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배치된 제4 도전 패턴(224)과 베이스 필름(210)의 타면에 배치된 제3 도전 패턴(222)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댐패드(300)와 제1 도전 패턴(220)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제작을 간편화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댐패드(300)의 두께는 표시패널(10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00)간 결합을 고려하여 다양한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패드(300)를 단일층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댐패드(300)의 두께는 제1 보호막(23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패드(300)를 다층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댐패드(300)의 두께는 제2 도전 패턴(2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도면에 별도 표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댐패드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댐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댐패드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댐패드는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댐패드(300)는 다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의 10)와는 댐패드(300-1) 구성이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댐패드(도 5의 300)와는 달리, 제1 기판(110)과 접착되는 제1 패드(302)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착되는 제2 패드(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302)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04)는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30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304)는 상호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302)의 폭과 제2 패드(304)의 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304)는 평면 시점(plan view)에서 바라볼 때,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는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의 10)와는 댐패드(300-3) 구성이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댐패드(도 5의 300)와는 달리, 제1 기판(110)과 접착되는 제1 패드(306)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착되는 제2 패드(3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306)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08)는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306) 및 제2 패드(308)의 폭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3)는 도 10에 도시된 댐패드(도 10의 300-1)와는 달리, 제1 패드(306)와 제2 패드(308)가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만이 중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5)는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의 10)와는 댐패드(300-5) 구성이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댐패드(도 5의 300)와는 달리, 제1 기판(110)과 접착되는 제1 패드(31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착되는 제2 패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3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12)는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310) 및 제2 패드(312)의 폭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310)의 폭은 제2 패드(312)의 폭 보다 클 수 있고, 제1 패드(310)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패드(312)와 중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제1 패드(310)의 폭이 제2 패드(312)의 폭 보다 큰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2 패드(312)의 폭이 제1 패드(310)의 폭 보다 클 수도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7)는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의 10)와는 댐패드(300-7) 구성이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댐패드(도 5의 300)와는 달리, 제1 기판(110)과 접착되는 제1 패드(314)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착되는 제2 패드(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314)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16)는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314)의 일측부는 제2 패드(316)의 일측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제1 패드(314)의 두께와 제2 패드(316)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드(314) 및 제2 패드(316)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패드(314)의 일측부 중 일부와 제2 패드(316)의 일측부 중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2의 I 내지 I’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9)는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의 10)와는 댐패드(300-9) 구성이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패드(300-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댐패드(도 5의 300)와는 달리, 제1 기판(110)과 접착되는 제1 패드(318)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착되는 제2 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318)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18)는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318)와 제2 패드(3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제1 패드(318)의 두께와 제2 패드(32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드(318) 및 제2 패드(320)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는 제1 패드(318)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베이스 필름(210)과 접촉되고, 제2 패드(32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110)과 접촉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패드(318)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베이스 필름(210)과 접촉되지 않고, 제2 패드(32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110)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패드(302, 306, 310, 314, 318)는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1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패턴(126)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고, 제2 패드(304, 308, 312, 316, 320)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패턴(220)과 동일 재질일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재질로 구현함에 따라 표시 장치(11, 13, 15, 17, 19)의 제작을 간편화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댐패드 및 패널 접속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330)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340) 및 제3 댐패드(350)를 포함한다는 점이 도 6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330) 및 제1 댐패드(330)의 양 끝단에서 제2 방향(Y방향) 즉,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댐패드(340) 및 제3 댐패드(350)를 포함한다. 도 19에서는 제1 댐패드(330)와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의 연장 방향이 수직한 관계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이 제1 댐패드(330)의 양 끝단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도 물론 아니다.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댐패드(330)와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댐패드(330)와 댐패드(340, 350)들은 일체이거나 접착될 수 있다.
제1 댐패드(330) 및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은 패널 접속영역(PCA)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댐패드(330)는 패널 접속영역(PCA)보다 제1 기판(110) 상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제1 댐패드(330)는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댐패드(340)는 패널 접속영역(PCA)일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댐패드(350)는 패널 접속영역(PCA)일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은 제1 기판(1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도전 패턴(126)을 얼라인 하기 위해 형성된 얼라인 키일 수 있다. 제1 댐패드(330)와 제2, 제3 댐패드(340, 350)들은 제1 도전 패턴(126) 및 제2 도전 패턴(2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330)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340, 350)들을 포함하여 여러 방향에서 패널 접속영역(PCA)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기판(110)과 연성회로기판(200)간 접속상태를 유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제2 기판(130)은 제1 기판(1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기판(130)은 복수의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컬러필터는 각 화소 전극과 대응할 수 있다. 각 컬러필터의 경계와 최외곽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 상에는 전면에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 사이에는 액정층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의 액정층에 접하는 면에는 각각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 사이에는 실런트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각 기판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을 상호 합착하고 밀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아래에는 광원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광원 어셈블리는 광원(410), 광원(4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판(420), 도광판(420)의 하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440), 및 도광판(4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출사된 빛의 광학적 특성을 변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시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410)은 도광판(420)의 일측 사이드에 배치된다. 광원(410)은 예를 들어, LED(Light Eimitting Diod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410)은 도광판(420)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광판(420)은 광원(4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내부 전반사를 통해 이동시키다가 도광판(420) 하면에 형성된 산란패턴 등을 통해 상측으로 출사시킨다. 도광판(420)의 아래에는 반사 시트(440)가 배치되어, 도광판(420)으로부터 아래로 출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한다.
도광판(420)의 상부에는 광학 시트(430)가 배치된다. 광학 시트(430)는 예컨대,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 입사된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 입사된 선편광을 일부 반사하는 휘도향상필름, 입사된 원편광을 일부 반사하는 액정 필름, 원편광 빛을 선형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위상차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상부 케이스(500) 및 하부 케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00)는 표시 장치(10)의 상부 및 측부의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00)는 표시 패널(100)을 상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600)는 표시 장치(10)의 하부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600) 내에는 상부 케이스(500)를 제외한 표시 장치(10)의 구성들이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600)는 바닥면 및 바닥면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600)의 측면은 상부 케이스(500)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광원 어셈블리로서 광원이 사이드에 위치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원이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광원 어셈블리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아래쪽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표시 패널(100)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연성인쇄회로기판
300: 댐패드

Claims (16)

  1. 제1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접속되는 제2 도전 패턴이 일측에 배치된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접속되는 영역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댐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패드 및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는 표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의 일측부와 및 상기 제2 패드의 일측부가 접촉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및 상기 제2 패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표시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이고,
    상기 제2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인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는 제1 댐패드와 상기 제2 댐패드가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11. 일면 및 타면을 구비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도전 패턴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댐패드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도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댐패드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패드 및 상기 제2 댐패드는 연결되어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패드와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동일 재질인 연성인쇄회로기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댐패드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상부는 노출되어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
KR1020140152975A 2014-11-05 2014-11-05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KR10228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75A KR102289634B1 (ko) 2014-11-05 2014-11-05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US14/676,361 US9980387B2 (en) 2014-11-05 2015-04-0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75A KR102289634B1 (ko) 2014-11-05 2014-11-05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32A true KR20160054132A (ko) 2016-05-16
KR102289634B1 KR102289634B1 (ko) 2021-08-13

Family

ID=5585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75A KR102289634B1 (ko) 2014-11-05 2014-11-05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0387B2 (ko)
KR (1) KR102289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3635A1 (en) 2015-12-16 2017-06-22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Emulsifier system for explosive emulsions
CN108684134B (zh) * 2018-05-10 2020-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线路板和显示装置
KR102457059B1 (ko) * 2018-05-11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931229A1 (en) 2019-02-28 2022-01-05 Rhodia Operations Compositions for high stabilization of emulsions
WO2020182919A1 (en) 2019-03-12 2020-09-17 Rhodia Operations Stabilized friction reducer emulsions
EP3761767A1 (en) 2019-07-02 2021-01-06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An interconnection structure connecting a chip to a printed circuit sheet
KR20210010763A (ko) * 2019-07-19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828480A (zh) * 2019-11-13 2020-0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4690461B (zh) * 2022-03-21 2023-09-0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备方法及显示面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79A (ko) * 2004-10-21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81919A (ko) * 2006-02-14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080277145A1 (en) * 2007-04-25 2008-11-13 Innocom Technology (Shenzhen) Co., Ltd;Innolux Display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080304000A1 (en) * 2007-06-05 2008-12-11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30117062A (ko) * 2012-04-17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836A (ko) 1999-05-14 2000-12-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구조
JP2006303238A (ja) 2005-04-21 2006-11-02 Sharp Corp 半導体チップ、半導体デバイス、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4579074B2 (ja) 2005-07-15 2010-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533085B2 (en) 2006-08-14 2009-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arching deep web services
KR20080066447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 젯 인쇄 헤드 칩, 잉크 젯 인쇄 헤드 칩의 제조방법,잉크 젯 인쇄 헤드 칩과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의연결구조, 및 잉크 젯 인쇄 헤드 칩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방법
CN101287329B (zh) 2007-04-13 2011-04-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US7952862B2 (en) * 2008-02-22 2011-05-31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6092714B2 (ja) * 2013-05-29 2017-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6911B2 (ja) * 2013-07-26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153394B1 (ko) * 2013-07-29 2020-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79A (ko) * 2004-10-21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81919A (ko) * 2006-02-14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080277145A1 (en) * 2007-04-25 2008-11-13 Innocom Technology (Shenzhen) Co., Ltd;Innolux Display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080304000A1 (en) * 2007-06-05 2008-12-11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30117062A (ko) * 2012-04-17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8174A1 (en) 2016-05-05
KR102289634B1 (ko) 2021-08-13
US9980387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63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 장치
US1018060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67998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070195B1 (ko) 표시 장치
KR10204676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54928B1 (ko) 디스플레이용 측면 커버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1699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15014582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0551556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source unit comprising the same
KR20100103364A (ko) 보호판 일체형 표시장치
WO2017073471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677980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11059149A (ja) 電子機器
US20200142242A1 (en) Display device
KR10183024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09414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US201402679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2331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23515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663452B (zh) 液晶顯示裝置與發光二極體組件
KR101962612B1 (ko) 액정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920760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930861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95136B1 (ko) 연성회로기판 고정구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소자
KR102162169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