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873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873A
KR20160051873A KR1020167008906A KR20167008906A KR20160051873A KR 20160051873 A KR20160051873 A KR 20160051873A KR 1020167008906 A KR1020167008906 A KR 1020167008906A KR 20167008906 A KR20167008906 A KR 20167008906A KR 20160051873 A KR20160051873 A KR 2016005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tire
rib
circumferential direc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883B1 (ko
Inventor
타카노리 이토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11/1315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having variable inclination angles, e.g. warped groov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4Circumferential groove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5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3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7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depth
    • B60C2011/0369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depth with varying depth of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편마모성(耐偏摩耗性)을 향상하는 것과 함께, 리브에 있어서의 크랙(crack)이나 결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와 비드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주(主)홈을 설치하여 6열의 리브를 구획하고, 센터 리브, 중간 리브 및 숄더 리브의 각 에지(edge)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를 형성하고,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각각에 주홈 사이를 잇도록 복수 개의 제1 세(細)홈을 형성하고,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각각에 제1 세홈끼리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제2 세홈을 형성하고, 제1 세홈의 간격 Pg1이 20mm ~ 60mm이고, 제1 사이프의 간격 Ps1이 제1 세홈의 간격 Pg1의 15% ~ 45%이고, 트레드부의 전개(展開) 폭 TDW에 대한 센터 리브의 폭 Wa의 비 Wa/TDW가 0.08 ~ 0.18이고, 중간 리브의 폭 Wb의 비 Wb/TDW가 0.08 ~ 0.18이고, 센터 리브의 폭 Wa에 대한 숄더 리브의 폭 Wc의 비 Wc/Wa가 1.20 ~ 1.30이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리브 기조(基調)의 트레드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내편마모성(耐偏摩耗性)을 향상하는 것과 함께, 리브에 있어서의 크랙(crack)이나 결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럭이나 버스 등에 사용되는 중하중용(重荷重用)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주(主)홈을 설치하고, 이것들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5열의 리브를 구획한 리브 기조의 트레드 패턴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2 참조). 이와 같은 4개의 주홈을 가지는 리브 기조의 트레드 패턴에서는, 통상(通常), 타이어 적도면의 위치에 센터 리브가 배치된다.
이것에 대하여, 근년(近年)에는, 트레드부의 전개(展開) 폭을 넓게 한 와이드 베이스의 공기입 타이어가 제안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타이어에 상술한 리브 기조의 트레드 패턴을 그대로 적용한 경우, 각 리브의 폭이 넓어지고, 그 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부터, 레일 마모 등의 편마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와이드 베이스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리브마다의 접지압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그와 같은 불균일한 접지압이 편마모를 조장하는 것과 함께 리브에 크랙이나 결손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293호 WIPO 국제공개공보 제2010/1470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편마모성을 향상하는 것과 함께, 리브에 있어서의 크랙이나 결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兩側)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것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內側)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주홈을 설치하고, 당해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6열의 리브를 구획하고, 이것들 리브를 타이어 적도면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센터 리브와 각 센터 리브의 외측(外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리브와 각 중간 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숄더 리브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센터 리브, 상기 중간 리브 및 상기 숄더 리브의 상기 주홈에 인접하는 각 에지(edge)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 리브 및 상기 중간 리브의 각각에 상기 주홈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細)홈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 리브 및 상기 중간 리브의 각각에 이웃하는 상기 제1 세홈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이 20mm ~ 60mm이고, 상기 제1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1이 제1 세홈의 간격 Pg1의 15% ~ 45%이고, 상기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상기 센터 리브의 폭 Wa의 비 Wa/TDW가 0.08 ~ 0.18이고, 상기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상기 중간 리브의 폭 Wb의 비 Wb/TDW가 0.08 ~ 0.18이고, 상기 센터 리브의 폭 Wa에 대한 상기 숄더 리브의 폭 Wc의 비 Wc/Wa가 1.20 ~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5개의 주홈을 가지는 리브 기조의 트레드 패턴을 채용하고, 센터 리브, 중간 리브 및 숄더 리브의 주홈에 인접하는 각 에지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리브의 각 에지부에 생기는 마찰 에너지를 제1 사이프에 의하여 놓아줄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각각에 주홈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홈을 형성하고, 또한 이웃하는 제1 세홈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강성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내편마모성을 향상하는 것과 함께, 리브에 있어서의 크랙이나 결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리브의 폭 Wa와 중간 리브의 폭 Wb와 숄더 리브의 폭 Wc를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하여 적정화하는 것에 의하여, 리브마다의 접지압을 균일화하고, 내편마모성, 내(耐)크랙성 및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사이프의 길이 Ls1은 1.5mm ~ 8.0mm이고,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사이프의 깊이 Ds1의 비 Ds1/GD은 0.30 ~ 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성 및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 세홈은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서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고, 제2 세홈은 제1 세홈과의 연결부에서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고,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세홈의 중간부의 깊이 Dg1의 비 Dg1/GD 및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2 세홈의 연결부의 깊이 Dg2의 비 Dg2/GD가 각각 0.30 ~ 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숄더 리브의 외측의 에지부에는 복수 개의 제2 사이프를 형성하고, 당해 제2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2가 3.0mm ~ 12.0mm이고, 당해 제2 사이프의 길이 Ls2가 5.0mm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숄더 리브의 내편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센터 리브의 상호 간에 위치하는 주홈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으로, 나머지의 주홈의 양(兩)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주기적으로 형성하여 당해 주홈의 홈 바닥 부분을 사행(蛇行)시킨 구조로 하고,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에 대한 볼록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x의 비 Px/Pg1가 0.5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의 주홈의 양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각 리브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하고,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은 40° ~ 90°이고,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는 0° ~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향하는 보강 코드를 포함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트레드부의 테 효과를 증대시켜 리브마다의 접지압을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란, 트레드부의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一方)의 에지로부터 타방(他方)의 에지까지의 폭이고 답면(踏面)을 따라 측정되는 폭이다. 또한, 센터 리브의 폭 Wa, 중간 리브의 폭 Wb 및 숄더 리브의 폭 Wc는 각각 트레드부의 답면을 따라 측정되는 폭이다. 나아가, 제1 사이프가 길이 Ls1 및 제2 사이프의 길이 Ls2는 각각 트레드부의 답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자오선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입 타이어의 센터 리브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의한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의한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에 의한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을 이루는 트레드부(1)와, 당해 트레드부(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2, 2)와, 이것들 사이드 월부(2)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3, 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비드부(3, 3) 사이에는 카커스층(4)이 걸쳐 놓아져 있다. 이 카커스층(4)은, 타이어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각 비드부(3)에 배치된 비드 코어(5)의 둘레에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비드 코어(5)의 외주(外周) 상에는 단면(斷面) 삼각형상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드 필러(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트레드부(1)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에는 복수 층의 벨트층(7(7A, 7B, 7C, 7D))이 매설되어 있다. 이것들 벨트층(7A ~ 7D)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또한 층간에서 보강 코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층(7A ~ 7D)에 있어서, 보강 코드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10° ~ 6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벨트층(7A ~ 7D)의 보강 코드로서는, 스틸 코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카커스층(4) 측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벨트층(7B)과 3번째의 벨트층(7C)과의 층간에는, 트레드부(1)의 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 코드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이하의 각도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둘레 방향 보강층(8)이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보강층(8)의 보강 코드로서는, 스틸 코드 외, 아라미드 등의 유기 섬유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트레드부(1)의 전개 폭 TDW는 트레드부(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의 에지(Et)로부터 타방의 에지(Et)까지의 폭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전개 폭 TDW가 280mm ~ 400mm의 범위로 설정된 와이드 베이스의 타이어이다. 전개 폭 TDW는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전개 폭 TDW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1)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주홈(11(11A, 11B, 11C))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들 주홈(11)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6열의 리브(12(12A, 12B, 12C))가 구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홈(11)은 타이어 적도면(E) 상에 위치하는 주홈(11A)과 당해 주홈(11A)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홈(11B)과 각 주홈(11B)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홈(11C)을 포함하고, 리브(12)는 타이어 적도면(E)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센터 리브(12A)와 각 센터 리브(12A)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리브(12B)와 각 중간 리브(12B)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숄더 리브(12C)를 포함하고 있다.
센터 리브(12A)의 상호 간에 위치하는 주홈(11A)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나머지의 주홈(12B, 12C)의 각각은 그 양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13)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홈(12B, 12C)의 홈 바닥 부분이 사행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덧붙여, 센터 리브(12A), 중간 리브(12B) 및 숄더 리브(12C)는 모두 답면에서의 타이어 폭 방향 양단 위치에 에지(Er)를 가지고 있지만, 주홈(11A, 11B, 11C)의 양 벽면은 대응하는 에지(Er)로부터 홈 바닥을 향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트레드부(1)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센터 리브(12A)의 폭 Wa의 비 Wa/TDW는 0.08 ~ 0.18의 범위로 설정되고, 트레드부(1)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중간 리브(12B)의 폭 Wb의 비 Wb/TDW는 0.08 ~ 0.18의 범위로 설정되고, 센터 리브(12A)의 폭 Wa에 대한 숄더 리브(12C)의 폭 Wc의 비 Wc/Wa는 1.20 ~ 1.3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각각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홈(11, 11)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홈(21)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각각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세홈(21, 21)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세홈(2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은 20mm ~ 60m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센터 리브(12A), 중간 리브(12B) 및 숄더 리브(12C)의 주홈(11)에 인접하는 각 에지부에는 복수 개의 제1 사이프(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사이프(31)는 일단(一端)이 주홈(11)에 개구(開口)하는 한편으로 타단(他端)이 리브(12) 내에서 종단(終端)하여 있다. 그리고, 제1 사이프(3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1은 제1 세홈(21)의 간격 Pg1의 15% ~ 4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트레드부(1)의 전개 폭 TDW를 크게 하는 것에 있어서, 5개의 주홈(11)을 가지는 리브 기조의 트레드 패턴을 채용하고, 센터 리브(12A), 중간 리브(12B) 및 숄더 리브(12C)의 주홈(11)에 인접하는 각 에지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3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리브(12)의 각 에지부에 생기는 마찰 에너지를 제1 사이프(31)에 의하여 놓아줄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각각에 주홈(11, 11)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홈(21)을 형성하고, 또한 이웃하는 세홈(21, 21)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2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강성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내편마모성을 향상하는 것과 함께, 리브(12)에 있어서의 크랙이나 결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리브(12A)의 폭 Wa와 중간 리브(12B)의 폭 Wb와 숄더 리브(12C)의 폭 Wc를 트레드부(1)의 전개 폭 TDW에 대하여 적정화하는 것에 의하여, 리브(12)마다의 접지압을 균일화하고, 내편마모성, 내크랙성 및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센터 리브(12A)의 폭 Wa를 규정하는 비 Wa/TDW, 중간 리브(12B)의 폭 Wb를 규정하는 비 Wb/TDW 및 숄더 리브(12C)의 폭 Wc를 규정하는 비 Wc/Wa가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리브(12)마다의 접지압을 균일화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제1 세홈(2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이 20mm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이 저하하고, 반대로 60mm보다도 크면 리브(12)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이 저하한다. 나아가, 제1 사이프(3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1이 제1 세홈(21)의 간격 Pg1의 15%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이 저하하고, 반대로 45%보다도 크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이 저하한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제1 사이프(31)의 길이 Ls1(도 2 참조)은 1.5mm ~ 8.0mm이고, 주홈(11)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사이프(31)의 깊이 Ds1의 비 Ds1/GD(도 4 참조)은 0.30 ~ 0.90이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성 및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이프(31)의 길이 Ls1은 1.5mm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하고, 반대로 8.0mm보다도 크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또한, 주홈(11)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사이프(31)의 깊이 Ds1의 비 Ds1/GD이 0.30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하고, 반대로 0.90보다도 크면 리브(12)의 에지부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세홈(21)은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다. 단, 도 5에 있어서, 제1 세홈(21)의 양단부에는 제1 사이프(31)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사이프(31)의 부분은 중간부와 마찬가지로 깊어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세홈(22)은 제1 세홈(21)과의 연결부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다. 그리고, 주홈(11)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세홈(21)의 중간부의 깊이 Dg1의 비 Dg1/GD 및 주홈(11)의 깊이 GD에 대한 제2 세홈(22)의 연결부의 깊이 Dg2의 비 Dg2/GD는 각각 0.30 ~ 0.80이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비 Dg1/GD 또는 비 Dg2/GD가 0.30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하고, 반대로 0.80보다도 크면 리브(12)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주홈(11)의 깊이 GD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1mm ~ 16mm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홈(11)의 답면에서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mm ~ 25mm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숄더 리브(12C)의 외측의 에지부에는 복수 개의 제2 사이프(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사이프는 일단이 주홈(11C)에 개구하는 한편으로 타단이 리브(12C) 내에서 종단하여 있다. 그리고, 제2 사이프(32)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2는 3.0mm ~ 12.0mm이고, 제2 사이프(32)의 길이 Ls2는 5.0mm ~ 15mm이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숄더 리브(12C)의 내편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사이프(32)의 간격 Ps2가 3.0mm보다도 작으면 숄더 리브(12C)의 에지부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하고, 반대로 12.0mm보다도 크면 숄더 리브(12C)의 에지부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내편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센터 리브(12A, 12A)의 상호 간에 위치하는 주홈(11A)을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으로, 나머지의 주홈(11B, 11C)의 양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13)를 주기적으로 형성하여 당해 주홈(11B, 11C)의 홈 바닥 부분을 사행시킨 구조로 하고, 제1 세홈(2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에 대한 볼록부(13)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x의 비 Px/Pg1가 0.5 ~ 2.0이면 된다. 이와 같이 외측의 주홈(11B, 11C)의 양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13)를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각 리브(12)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하고,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배치된 볼록부(13)를 설치하는 것으로 각 리브(12)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볼록부(13)의 위치에서는 제1 사이프(31)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길이 Ls1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에 있어서도 양호한 내편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세홈(21)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은 40° ~ 90°이고, 제2 세홈(22)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는 0° ~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리브(12A) 및 중간 리브(12B)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제1 세홈(21)의 경사 각도 θ1이 40°보다도 작으면 리브(12)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하고, 마찬가지로, 제2 세홈(22)의 경사 각도 θ2가 40°보다도 크면 리브(12)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크랙성이나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덧붙여, 제1 세홈(21) 및 제2 세홈(22)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는, 전개 폭 TDW를 크게 하는 것에 있어서, 트레드부(1)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향하는 보강 코드를 포함하는 둘레 방향 보강층(8)을 매설하고 있기 때문에, 트레드부(1)의 테 효과를 증대시켜 리브(12)마다의 접지압을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 보강층(8)의 추가와 트레드 패턴의 규정과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성 및 내결손성의 개선 효과를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타이어 사이즈가 355/50R22.5이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것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주홈을 설치하고, 당해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6열의 리브를 구획하고, 센터 리브, 중간 리브 및 숄더 리브의 주홈에 인접하는 각 에지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를 형성하고,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각각에 주홈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홈을 형성하고, 센터 리브 및 중간 리브의 각각에 이웃하는 제1 세홈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을 형성하고,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 제1 세홈의 간격 Pg1에 대한 제1 사이프의 간격 Ps1의 비 Ps1/Pg1,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센터 리브의 폭 Wa의 비 Wa/TDW,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중간 리브의 폭 Wb의 비 Wb/TDW, 센터 리브의 폭 Wa에 대한 숄더 리브의 폭 Wc의 비 Wc/Wa, 트레드부에 매설된 둘레 방향 보강층의 유무를 표 1과 같이 여러 가지 다르게 한 종래예 1 및 실시예 1 ~ 8의 타이어를 제작하였다.
종래예 1 및 실시예 1 ~ 8에 있어서, 제1 사이프의 길이 Ls1을 3.0mm로 하고,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사이프의 깊이 Ds1의 비 Ds1/GD을 0.7로 하고,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세홈의 중간부의 깊이 Dg1의 비 Dg1/GD 및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2 세홈의 연결부의 깊이 Dg2의 비 Dg2/GD를 각각 0.7로 하고,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을 60°로 하고,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를 20°로 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제2 세홈 및 제1 사이프를 설치하고 있지 않는 비교예 1의 타이어를 준비하였다.
이것들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하기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결손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내편마모성:
각 시험 타이어(355/50R22.5)를 림 사이즈 22.5×11.75의 휠에 조립하여 공기압을 900kPa로 하여 적재 중량 10톤의 트럭의 조타륜에 장착하고, 차도(車道)(고속도로 80%, 일반도로 20%)를 5000km 주행한 후, 각 리브의 편마모량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측정값의 역수를 이용하고, 종래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내편마모성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내크랙·결손성:
상기 주행 시험 후, 각 시험 타이어의 리브에 생긴 크랙 부분 및 결손 부분의 총 길이를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측정값의 역수를 이용하고, 종래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내크랙·결손성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8의 타이어는, 모두, 종래예 1과의 대비에 있어서, 내편마모성 및 내크랙·결손성에 뛰어나 있었다.
다음으로, 제1 사이프가 길이 Ls1,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사이프의 깊이 Ds1의 비 Ds1/GD,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1 세홈의 중간부의 깊이 Dg1의 비 Dg1/GD 및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제2 세홈의 연결부의 깊이 Dg2의 비 Dg2/GD를 여러 가지 다르게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9 ~ 16을 준비하였다.
이것들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결손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9 ~ 16의 타이어는, 모두, 종래예 1과의 대비에 있어서, 내편마모성 및 내크랙·결손성에 뛰어나 있었다.
다음으로, 숄더 리브의 외측의 에지부에 복수 개의 제2 사이프를 형성하고, 당해 제2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2 및 길이 Ls2를 여러 가지 다르게 한 것, 외측 주홈의 양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주기적으로 형성하여 당해 주홈의 홈 바닥 부분을 사행시킨 구조로 하고,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에 대한 볼록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x의 비 Px/Pg1를 여러 가지 다르게 한 것,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 및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를 여러 가지 다르게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17 ~ 28을 준비하였다.
이것들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의하여, 내편마모성, 내크랙·결손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 ~ 28의 타이어는, 모두, 종래예 1과의 대비에 있어서, 내편마모성 및 내크랙·결손성에 뛰어나 있었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 월부
3: 비드부
8: 둘레 방향 보강층
11, 11A, 11B, 11C: 주홈
12, 12A, 12B, 12C: 리브
21: 제1 세홈
22: 제2 세홈
31: 제1 사이프
32: 제2 사이프

Claims (7)

  1.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兩側)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것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內側)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주(主)홈을 설치하고, 당해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6열의 리브를 구획하고, 이것들 리브를 타이어 적도면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센터 리브와 각 센터 리브의 외측(外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리브와 각 중간 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숄더 리브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센터 리브, 상기 중간 리브 및 상기 숄더 리브의 상기 주홈에 인접하는 각 에지(edge)부에 복수 개의 제1 사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 리브 및 상기 중간 리브의 각각에 상기 주홈 사이를 잇도록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세(細)홈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 리브 및 상기 중간 리브의 각각에 이웃하는 상기 제1 세홈끼리를 연결하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이 20mm ~ 60mm이고, 상기 제1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1이 제1 세홈의 간격 Pg1의 15% ~ 45%이고, 상기 트레드부의 전개(展開) 폭 TDW에 대한 상기 센터 리브의 폭 Wa의 비 Wa/TDW가 0.08 ~ 0.18이고, 상기 트레드부의 전개 폭 TDW에 대한 상기 중간 리브의 폭 Wb의 비 Wb/TDW가 0.08 ~ 0.18이고, 상기 센터 리브의 폭 Wa에 대한 상기 숄더 리브의 폭 Wc의 비 Wc/Wa가 1.20 ~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프의 길이 Ls1이 1.5mm ~ 8.0mm이고, 상기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상기 제1 사이프의 깊이 Ds1의 비 Ds10.30 ~ 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홈은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서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고, 상기 제2 세홈은 상기 제1 세홈과의 연결부에서 국부적으로 깊어지고 있고, 상기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상기 제1 세홈의 중간부의 깊이 Dg1의 비 Dg1/GD 및 상기 주홈의 깊이 GD에 대한 상기 제2 세홈의 연결부의 깊이 Dg2의 비 Dg2/GD가 각각 0.30 ~ 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리브의 외측의 에지부에 복수 개의 제2 사이프를 형성하고, 당해 제2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s2가 3.0mm ~ 12.0mm이고, 당해 제2 사이프의 길이 Ls2가 5.0mm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리브의 상호 간에 위치하는 주홈을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으로, 나머지의 주홈의 양(兩) 벽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주기적으로 형성하여 당해 주홈의 홈 바닥 부분을 사행(蛇行)시킨 구조로 하고, 상기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g1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간격 Px의 비 Px/Pg1가 0.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이 40° ~ 90°이고, 상기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가 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향하는 보강 코드를 포함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67008906A 2014-02-06 2014-12-24 공기입 타이어 KR101768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0868A JP5846227B2 (ja) 2014-02-06 2014-02-06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14-020868 2014-02-06
PCT/JP2014/084041 WO2015118786A1 (ja) 2014-02-06 2014-12-24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873A true KR20160051873A (ko) 2016-05-11
KR101768883B1 KR101768883B1 (ko) 2017-08-17

Family

ID=5377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06A KR101768883B1 (ko) 2014-02-06 2014-12-24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18588B2 (ko)
EP (1) EP3103657B1 (ko)
JP (1) JP5846227B2 (ko)
KR (1) KR101768883B1 (ko)
CN (1) CN105916704B (ko)
WO (1) WO20151187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301A (ko) * 2021-08-05 2023-02-1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돌끼임 방지 및 트레드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7139B2 (ja) * 2015-02-27 2018-08-0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661949B2 (ja) * 2015-10-06 2020-03-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3045485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74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72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75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92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ameliorees
FR3045489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ameliorees
FR3045481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84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et de resistance au roulement ameliorees
FR3045477B1 (fr) * 2015-12-16 2017-12-22 Michelin & Cie Pneumat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usure ameliorees
JP6712907B2 (ja) * 2016-06-03 2020-06-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6224803A1 (de) * 2016-12-13 2018-06-2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CN110392637B (zh) * 2016-12-27 2021-09-17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车辆车轮的轮胎
JP6369602B1 (ja) * 2017-06-06 2018-08-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8225371A1 (ja) * 2017-06-06 2018-12-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69603B1 (ja) * 2017-06-06 2018-08-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087641B2 (ja) * 2018-05-02 2022-06-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104573B2 (ja) * 2018-06-26 2022-07-21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8218084A1 (de) * 2018-10-23 2020-04-23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7342630B2 (ja) 2019-11-06 2023-09-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DE102021105422A1 (de) * 2020-03-31 2021-09-30 The Yokohama Rubber Co., Ltd. R e i f e n
JP7485914B2 (ja) 2020-03-31 2024-05-1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
FR3117407B1 (fr) * 2020-12-11 2024-02-09 Michelin & Cie Pneumatique dont la bande de roulement comporte des fibres oriente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3312B1 (fr) 1989-02-22 1991-07-26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 poids lourd ", dont les nervures centrales sont munies d'incisions inclinees
JP3095301B2 (ja) * 1992-11-09 2000-10-0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USD394034S (en) * 1997-04-29 1998-05-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US6196288B1 (en) * 1997-12-15 2001-03-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Siping geometry to delay the onset of rib edge wear in truck tires
JP2002087021A (ja) * 2000-09-14 2002-03-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713785B2 (ja) * 2001-08-23 2011-06-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133147B2 (ja) * 2002-09-11 2008-08-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WO2006129708A1 (ja) * 2005-05-31 2006-12-07 The Yokohama Rubber Co.,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899650B2 (ja) 2006-06-07 2012-03-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793129B2 (ja) * 2006-06-23 2011-10-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09481B2 (ja) * 2007-05-29 2012-12-26 横浜ゴム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WO2009048078A1 (ja) * 2007-10-10 2009-04-16 Bridgestone Corporation タイヤ
JP5251235B2 (ja) * 2008-04-30 2013-07-31 横浜ゴム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2010202109A (ja) * 2009-03-05 2010-09-1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EP2444257B1 (en) 2009-06-15 2017-01-04 Bridgestone Corporation Heavy duty tire
JP5210334B2 (ja) * 2010-02-05 2013-06-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DE102012104799A1 (de) * 2012-06-01 2013-12-0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301A (ko) * 2021-08-05 2023-02-1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돌끼임 방지 및 트레드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3657B1 (en) 2019-04-17
KR101768883B1 (ko) 2017-08-17
CN105916704A (zh) 2016-08-31
EP3103657A4 (en) 2017-10-18
JP5846227B2 (ja) 2016-01-20
JP2015147484A (ja) 2015-08-20
CN105916704B (zh) 2018-01-16
US10518588B2 (en) 2019-12-31
US20160347125A1 (en) 2016-12-01
EP3103657A1 (en) 2016-12-14
WO2015118786A1 (ja)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883B1 (ko) 공기입 타이어
JP642476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72055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3647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42476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3458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WO2016056597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675636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535065B2 (en) Pneumatic tire
US20140311640A1 (en) Pneumatic tire
US11084330B2 (en) Pneumatic tire
WO2018150746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621740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241919B2 (en) Pneumatic tire
US11752805B2 (en) Pneumatic tire
JP2017001474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7097595B (zh) 充气轮胎
JP2016055722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364746B2 (en) Pneumatic tire
US11433710B2 (en) Pneumatic tire
JP663471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8903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16199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006996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7007641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