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819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819A
KR20160051819A KR1020167008129A KR20167008129A KR20160051819A KR 20160051819 A KR20160051819 A KR 20160051819A KR 1020167008129 A KR1020167008129 A KR 1020167008129A KR 20167008129 A KR20167008129 A KR 20167008129A KR 20160051819 A KR20160051819 A KR 2016005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st
exhaust
electric blower
collect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908B1 (ko
Inventor
나오코 가와무라
야스히로 오츠
유키오 마치다
츠토무 이노우에
아츠시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12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1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3530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82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6005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효율 및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25), 및 전동송풍기(25)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비한 본체부(12)를 갖는다. 제1 원심분리부(3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키는 집진컵 본체(66), 및 집진컵 본체(66)의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저부로부터 배출하는 배기통부(74)를 구비한 집진컵(19)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선회시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이동시키면서 청소 가능한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 및 집진부 등을 갖춘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접속된 연장관 등의 풍로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의 파지(把持)용 핸들을 잡고 전기청소기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먼지를 풍로체로부터 집진부에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운반 가능한 전기청소기의 경우, 운반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본체부를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기 본체부에서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효율 좋게 배출하는 배기풍로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전기청소기에서는 전동송풍기의 원심팬이 고속 회전됨으로써 바람소리나 진동 등이 소음으로서 발생하고, 이와 같은 소음은 사용자에게 감지되기 쉬우므로, 가능한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배기풍로의 확보가 유효해지기는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를 소형화하는 경우에 배기풍로의 확보는 용이하지 않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5242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1569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체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효율 및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 및 이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상류측 분리부를 구비한 본체부를 갖는다. 상류측 분리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키는 수용부, 및 이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저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컵부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상류측 분리부를 하방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11"은 전기청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전기청소기(11)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움직이면서 스틱 클리너(업라이트 클리너)로서 사용하는 형태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를 이동시키면서 핸디 클리너로서 사용하는 형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기청소기(11)는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와 접속된 풍로체(13)를 구비하고, 이 풍로체(13)가 유지부(14)를 통하여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 가능해져 있고, 또한 본체부(12)에 본체용 핸들(15)이 돌출 설치되고, 풍로체(13)에 풍로체용 핸들(1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 상하 방향은 전기청소기(11)를 피청소면상에 얹은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U방향이 본 실시형태의 상방향, 화살표 D방향이 본 실시형태의 하방향이 된다.
본체부(12)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방향을 갖는, 즉 전후방향의 치수가 좌우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각의 치수보다 큰 본체 케이스(18)와, 상기 본체 케이스(18)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먼지 수용체로서의 컵부인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집진컵(19)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1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의 케이스 본체(21)와, 상기 케이스 본체(21)의 길이 방향의 단부인 전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유지 수용부(22)와, 상기 케이스 본체(21)의 전단부의 하부, 즉 유지 수용부(22)의 하방에 설치되고 케이스 본체(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풍로체 접속부(23)를 구비하며, 중량물인 전동송풍기(25)가 전동송풍기실(26)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전동송풍기(25)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제어부, 및 중량물인 전원부로서의 전지인 2차 전지(27)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8)(케이스 본체(21))의 후부에 본체용 핸들(15)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본체용 핸들(15)에 의해 본체부(12)가 파지 가능해져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하부에는 집진컵(19)을 착탈 가능한 장착 개구부(31)가 풍로체 접속부(23)의 후방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이 장착 개구부(31)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개구되어 있고, 이 장착 개구부(31)에는 집진컵(19)의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로의 장착에 의해 이 집진컵(19)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 집진컵(19)과 함께 상류측 분리부로서의 제1 분리부인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체부(33)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 개구부(31)의 상방의 케이스 본체(21) 내에는, 전동송풍기실(26)의 외주에, 장착 개구부(31)와 연통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연통풍로부(35)가 구획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풍로부(35)의 외방에는, 분리체부(33)(제1 원심분리부(32))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즉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분리하는 하류측 분리부로서의 제2 분리부인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통부(3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리통부(37)의 상부에서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에,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와 연통하는 풍로부(38)가 구획되어 있고, 이 풍로부(38)가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심분리부(32)로부터 연통풍로부(35), 제2 원심분리부(36), 풍로부(38)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원심분리부(32)는, 집진컵(19)의 내주면과 분리체부(33)의 외주면 사이에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먼지(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다.
분리체부(33)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집진컵(19)과 동축(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분리체부(33)는 원통형상의 분리체부 본체(41), 이 분리체부 본체(41)의 내측방향에 동축형상으로 위치하는 배기부(42), 및 분리체부 본체(41)보다 직경 치수가 큰 원통형상의 압축부(43)를 축방향에 인접하여 구비하고 있다.
분리체부 본체(41)는, 주위에 개구되고 연통풍로부(35)와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44)와, 이들 개구(44)를 덮는 분리필터(45)를 갖고 있다. 즉, 분리체부 본체(41)의 외부(집진컵(19)의 내부)와 연통풍로부(35)가 개구(44)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심분리부(32)에서는, 이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면과 집진컵(19)의 내주면 사이에서 공기가 선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배기부(42)는, 분리체부 본체(41)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 분리체부 본체(41)와 2중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배기부(42)는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인 중심축을 갖고, 실질적으로 전동송풍기(25)와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압축부(43)는, 쉐이드부라고도 불리고, 분리체부 본체(41)의 하단부에 단차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연속되고 있고, 이 분리체부 본체(41)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부(43)는 분리체부 본체(41)의 하단부의 주위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개구된 복수의 압축개구(47)와, 이들 압축개구(47)를 덮는 압축필터(48)를 갖고 있다. 그리고,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와 집진컵(19)의 내주 사이를 선회하는 공기의 일부가 압축부(43)의 하단부로부터 압축부(43)의 내부를 통하여 압축 개구(47)(압축필터(48))를 통과함으로써,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압축 필터(48)에 억압하여 압축부(43)내에서 압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통풍로부(35)는, 전동송풍기실(26)의 앞뒤에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좌우 양측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상방,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1 원심분리부(32)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분리통부(37)의 내면을 따라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먼지(미세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2 원심분리부(36)의 선회류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다.
각 분리통부(37)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실(26))의 측방의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즉,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와 대략 평행으로 축방향을 갖고 있다. 또한, 각 분리통부(37)는 집진컵(19)보다 직경 치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부(32)보다 선회류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리통부(37)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의 앞뒤에 복수, 예를 들어 3개씩, 각각 상방에서 보아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원호를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는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반대측의 위치에 각각 복수(3개)씩 배치되어 있고,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선 대칭으로 위치하고, 이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통부(37)의 상단 근방에는, 연통풍로부(35)와 연통하여 이 분리통부(37) 내로 접선 방향을 따라서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인도하는 흡입개구부(37a)가 축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측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통부(37)의 하단부는, 집진컵(19)의 상부에 대향하여 개구하고 먼지를 집진컵(19)으로 배출하는 먼지 배출구(37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분리통부(37)의 상단부에는, 이 분리통부(37)와 동축형상으로, 먼지를 원심 분리한 공기가 풍로부(38)로 연통하는 원통형상의 배출통부(49)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배출통부(49)의 하류단인 상단부가, 분리통부(37)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원심분리부(36)의 배출개구부(49a)로 이루어져 있다.
풍로부(38)는, 본체 케이스(18)의 케이스 본체(21) 내의 상부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고, 각 배출통부(49)의 하류단인 배출 개구부(49a)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유지 수용부(22)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한쪽 방향인 전방에 위치하고, 케이스 본체(21)의 전부(前部)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 수용부(22)는 전방으로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 수용부(22)의 내부에는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 수용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풍로체 접속부(23)는, 전후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 수용부(22)의 하방(바로 아래)에,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한쪽 방향인 전방에 위치하여 케이스 본체(21)의 전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유지 수용부(22)와 풍로체 접속부(23)는 본체부(12)의 동일측 방향인 전방에 각각 위치하고, 또한 본체부(12)(본체 케이스(18))를 앞쪽에서 보아 상하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풍로체 접속부(23)는 집진컵(19)에 대하여 기밀하게 접속되는 부분이고, 이 풍로체 접속부(23)내에는 풍로체(13) 및 집진컵(19)과 기밀하게 접속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시일부(61)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25)는, 2차 전지(27)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부압을 발생시켜 집진컵(19)으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풍을 형성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21)(본체 케이스(18))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흡입측인 흡기구(25a)를 상측으로, 배기측인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를 하측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전동송풍기(25)는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선회류의) 축방향과 평행인 성분, 즉 상하 방향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전동송풍기(25)는 수평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중심축(회전축)이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선회류의) 중심축에 대하여 측방에서 보아 예각형상(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의 예각형상)으로 교차, 또는 이 중심축과 동축인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이 전동송풍기(25)는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렬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중심축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흡기구(25a))은 본체부(12) 내의 상부 근방에 위치하여(풍로부(38)를 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의 하류측과 연통하고 있고, 또한 이들 풍로부(38), 제2 원심분리부(36) 및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와 연통하고 있다.
전동송풍기실(26)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2)의 본체 케이스(18)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전동송풍기실(26)의 앞뒤에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분리통부(37)가 3개씩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동송풍기실(26)(전동송풍기(25))과 분리통부(37) 사이에 연통풍로부(35)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중앙부에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와 연통하는 배출개구(65)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즉, 상기 배출개구(65)는 본체부(12)의 본체 케이스(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분리체부(33)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있고, 전동송풍기(25)를 도통각 제어하여, 상기 전동송풍기(25)를 소정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2차 전지(27)는, 전동송풍기(25), 본체 제어부 및 풍로체(13)측 등으로 급전하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충전회로와 접속 가능하고, 이 충전회로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서 충전 가능해져 있다. 그리고, 이 2차 전지(27)는 케이스 본체(21)(본체 케이스(18))의 후단부의 위치, 즉 제1 및 제2 원심분리부(32, 36)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타측방인 후방의 위치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수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지 수용부(22) 및 풍로체 접속부(23)와 2차 전지(27)는 제1 및 제2 원심분리부(32, 36)(집진컵(19))를 통하여 본체부(12)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집진컵(19)은,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는 부분이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제1 먼지 수용부로서의 수용부인 집진컵 본체(66)와, 이 집진컵 본체(66)의 전부에 돌출되는 도입부(67)와, 상기 집진컵 본체(66)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2 먼지 수용부로서의 미세먼지 수용부(6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집진컵(19)의 집진컵 본체(66)의 후부에는 이 집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서의 클램프(70)가 장착되어 있다.
집진컵 본체(66)는, 예를 들어 도입부(67) 및 미세먼지 수용부(68)와 함께, 투광성을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집진컵 본체(66)는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리체부(33)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이 집진컵 본체(66)는, 분리체부(33)와 함께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성하고 있고, 또한 하부가 이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모으는 먼지 저류부(71)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집진컵 본체(66)는 각 분리통부(37)보다 직경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집진컵 본체(66)의 저부에는, 이 집진컵 본체(66)와 동축(동심)형상으로, 즉 이 집진컵 본체(66)의 중심축을 따라서, 배출부로서의 배기통부(7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저부의 외면부에는 복수의 도풍부(導風部)인 리브(75)가 각각 직경방향을 따라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배기통부(74)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본체부(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고,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리체부(33)의 압축부(43) 및 분리체부 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고, 배기구(42)의 하단부에 동축 형상으로 기밀하게 접속되어 이 배기구(42)를 통하여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배출개구(65)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즉, 이 배기통부(74)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과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과 연통하는 배출개구(65)가 (배기부(42)를 통하여) 배기통부(74)의 상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외방이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하고,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내방이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과 연통하며, 이들 흡기측과 배기측이 서로 별개의 방이 되도록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통부(74)의 하류단인 하단부가,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본체부(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개구(76)가 되어 있다.
도입부(67)는, 집진컵 본체(66)의 상단 근방, 즉 집진컵 본체(66)(집진컵(19))내로 삽입된 분리체부(33)의 분리체부 본체(41)(분리필터(45))의 전방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집진컵 본체(66)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도입하는 것으로,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류단부인 전단부가 시일부(61)를 통하여 풍로체 접속부(23)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이 도입부(67)의 하류단인 후단부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집진컵 본체(66)(집진컵(19))내로 도입하는 흡입구(77)가 집진컵 본체(66)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77)는 상하방향, 즉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의 축방향에서 분리체부(33)와 대략 동등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입구(77)는 전동송풍기(25)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 및 배기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어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미세먼지 수용부(68)는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하단부의 하부에 연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모으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미세먼지 수용부(68)는 집진컵 본체(66)의 상단부 근방에서 이 집진컵 본체(66)의 축방향과 교차(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전후방향에서 보아 상측에 개구된 받침 접시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클램프(70)는 집진컵 본체(66)의 후부 상단으로부터 미세먼지 수용부(68)의 후부의 하부에 걸쳐 대략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풍로체(13)는, 풍로체 접속부(23)의 상류측인 전측에 하류측인 후측이 연통 접속된 신축 가능한 호스체(82)와, 상기 호스체(82)의 상류측인 전측이 연통 접속된 흡입구체부(83)와, 상기 흡입구체부(83)의 상류측인 전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어태치먼트부(8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풍로체(13)는 청소의 형태에 따라서,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된 상태와, 본체부(12)로부터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호스체(82)는, 하류단측인 일단측 즉 후단측이 본체부(12)(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와 기밀하게 접속되고, 상류단측인 타단측 즉 전단측이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되어 흡입구체부(83)(어태치먼트부(84))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호스체(82)는 하류단측이 풍로체 접속부(23)를 통하여 집진컵(19)(제1 원심분리부(32))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집진컵(19), 연통풍로부(35),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 및 풍로부(38)를 추가로 개재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호스체(82)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축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고, 수축 방향을 향하여 힘이 가해져 있다. 즉, 이 호스체(82)는 자연상태(무부하 상태)에서 최대로 수축된 상태가 되어 있고, 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 내면의 요철이 밀착되어 평면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호스체(82)는 외력을 가하여 양단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본체부(12)측에 고정되어 있는 하류측에 대하여 상류측을 인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신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흡입구체부(83)는 호스체(82)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체부(83)는 원통형상의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이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연통하여 이 흡입구체부 본체(85)의 후부의 하측에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접속부(86)와,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부로서의 브러시부(87)와, 이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어태치먼트부(84)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유지 클램프(89)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부 본체(85)는 호스체(82)보다 경질의 부재인 합성수지 등에 의해 직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류단부인 후단부가 유지부(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86)는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축방향에 대하여 예각형상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이 경사진 직관형상이 되어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호스체(82)의 상류단부가 삽입되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브러시부(87)는 전단부에 청소부재인 브러시모(87a)를 복수 구비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가장자리의 양측이 흡입구체 본체(85)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클램프(89)는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해져 있다.
어태치먼트부(84)는, 청소의 형태에 따라서,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착탈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직관의 긴 형상의 연장관(91)과, 이 연장관(91)의 상류단인 전단에 착탈 가능한 흡입구체로서의 마루 브러시(92)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관(91)은 하류단부인 후단부에 접속구부(96)를 구비하고,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흡입구부(97)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구부(96)는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을 흡입구체부(83)에 접속할 때 흡입구체부(83)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흡입구부(97)는 원통형상의 흡입구부 본체(101)와, 상기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체부로서의 브러시모부(102)와, 상기 흡입구부(97)에 대하여 마루 브러시(92)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클램프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모부(102)는 전단부에 연장관용 청소부재인 브러시모(102a)를 복수 구비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가장자리의 양측이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이 흡입구부 본체(101)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램프부(104)는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해져 있다.
마루 브러시(92)는 좌우폭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 즉 가로로 긴 케이스체(106)와, 상기 케이스체(106)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회전관(107)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106)에는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흡입구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구에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를 배치해도 좋다.
회전관(107)은 케이스체(106)에 대하여 적어도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관(107)의 후단측(하류단측)은 연장관(91)의 하류단측과 대략 동등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고, 흡입구부(97)와 동일하게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도 착탈 가능해져 있다.
유지부(14)는, 풍로체(13)의 하류단측인 호스체(82)의 하류단부와 다른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체(82)의 상류측의 흡입구체부(83)를 본체부(12)(유지 수용부(2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흡입구체부(83)의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호스체(82)에 대하여 병렬로 분기되는 풍로체용 핸들(17)과, 이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117)와, 풍로체용 핸들(17)에 설치된 걸림고정수단으로서의 클램프체(1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풍로체용 핸들(17)은 유지부(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유지부(14)는 풍로체용 핸들(17)을 겸하고 있고, 풍로체(13)의 하류측인 호스체(82)와 다른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호스체(82)보다 상류측의 흡입구체부(83)와 전단측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가 본체부(12)에 대하여 호스체(82)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풍로체용 핸들(17)은, 본체부(12)로부터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분리한 풍로체(13)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체(82)보다 경질의 합성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흡입구체부 본체(85)와 동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체부 본체(85)와 대략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흡입구체부 본체(85)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17)는,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에 연속하여(유지부(14)의 일단측인 후단측에 위치하여)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에 끼워 맞추는 부분이고,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접속 볼록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 볼록부(122)는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장착할 때 유지 수용부(22)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이다.
클램프체(118)는, 풍로체용 핸들(17)의 전측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예를 들어 전후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해져 있고, 접속 볼록부(122)의 상부에, 유지 수용부(22)의 걸어맞춤 수용부에 걸려 고정되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가 노출되어 있다.
본체용 핸들(15)은 본체부(12)의 후부와의 사이에서 본체부(12)의 길이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본체용 핸들(15)은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용 핸들(15)의 상부에는 이 본체용 핸들(15)을 잡은 손으로 사용자가 전동송풍기(25)의 동작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135)이 서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기청소기(11)는, 예를 들어 실내의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의 비교적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 수용부(22)의 위치에서 장착하고, 본체용 핸들(15)을 잡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한다.
이 때, 집진컵(19)은 미리 본체 케이스(18)에 장착해 둔다. 즉,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의 장착 개구부(31)에 위치를 맞추어 본체 케이스(18)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미세먼지 수용부(68)가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하단부에 대향하여 먼지 배출구(37b)와 연통하고, 분리체부(33)가 집진컵 본체(66) 내에 동축형상으로 삽입되며, 배기통부(74)가 분리체부(33) 내에 삽입되어 배기부(42)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이 배기부(42)를 통하여 배출 개구부(65)와 기밀하게 접속되며 또한 도입부(67)의 상류단부인 전단부가 시일부(61)를 통하여 풍로체 접속부(23)(풍로체(13))의 하류측인 후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클램프(70)의 작용에 의해 집진컵(19)이 본체 케이스(18)에 걸림 고정 유지된다.
또한, 풍로체(13)는, 흡입구체부(83)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연장관(91)의 접속구부(96)를 삽입 접속하고, 또한 연장관(91)의 흡입구부(97)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대하여 마루 브러시(92)의 회전관(107)을 삽입 접속한다. 이 때, 유지 클램프(89)의 작용에 의해 연장관(91)이 흡입구체부(83)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 유지되고, 또한 클램프부(104)의 작용에 의해 마루 브러시(92)가 연장관(91)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14)에서는, 도 2에 도시한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의 연결부(117)를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에 대하여 위치를 맞추면서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맞춤으로써, 접속 볼록부(122)가 유지 수용부(22)에 상대적으로 삽입되고, 클램프체(118)의 걸림부가 걸어 맞춤 수용부에 대하여 삽입 걸림 고정됨으로써, 유지부(14)의 위치에서 풍로체(13)가 본체부(12)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의 일부를 이루는 풍로체용 핸들(17)이 전후방향을 따라서 위치하고, 이 풍로체용 핸들(17)과 동축형상의 흡입구체부(83)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직관형상으로 위치함으로써, 풍로체(13)는 마루 브러시(92), 연장관(91)(어태치먼트부(84)), 흡입구체부(83) 및 풍로체용 핸들(17)이 대략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또한 흡입구체부(83)로부터 하방으로 분기한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이, 유지부(14)보다 하방의 풍로체 접속부(23)에서 본체부(12)에 대하여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유지부(14)에 의해, 호스체(82)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완만하게 굴곡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되고, 풍로체(13)가 제1 원심분리부(32)로, 상하 좌우로 급격하게 굴곡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대략 직선형상으로 연통된다. 이 때문에, 풍로체(13) 내에서의 압력손실이 적고, 공기 및 먼지가 내부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즉, 풍로체(13)는 유지부(14)의 위치와,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의 위치에서, 다시 말하면 상하로 나열된 위치에서 각각 본체부(12)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의 위치에서 풍로로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용 핸들(15)를 파지하면서 설정 버튼(135)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를 통하여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전동송풍기(25)를 구동시킨다. 이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은 풍로부(38), 제2 원심분리부(36), 연통풍로부(35), 제1 원심분리부(32), 도입부(67), 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 호스체(82), 흡입구체부(83) 및 어태치먼트부(84)를 통하여 마루 브러시(92)의 흡입구에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피청소면상에 얹은 마루 브러시(92)를 전기청소기(11) 전체와 함께 피청소면상에서 앞뒤로 번갈아 주행시키며 피청소면의 전동송풍기(25)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의 회전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거나 피청소면을 닦는 등의 청소 보조를 실시한다.
이때, 먼지와 함께 흡입된 공기, 즉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마루 브러시(92), 연장관(91), 흡입구체부(83), 호스체(82)로 이동하고, 이 호스체(82)의 내면을 따라서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호스체(82)의 하류단으로부터 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 도입부(67) 및 흡입구(77)를 통하여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으로 접선 방향을 따라서 흡입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구와 벽부 사이 등, 마루 브러시(92)를 삽입할 수 없는 좁은 틈새를 청소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마루 브러시(92)를 연장관(9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6). 이 경우에는 유지 클램프(89)를 조작함으로써 마루 브러시(92)의 걸림고정을 해제하여 연장관(91)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연장관(91)의 전단부의 흡입구부(97)의 브러시모부(102) 등을 사용하면서, 이 흡입구부(97)로부터 동일하게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한편, 예를 들어 테이블 위나 피청소면의 비교적 좁은 면적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체(13)에서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 및 마루 브러시(92))를 분리하여,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실시한다.
이때,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는 유지 클램프(89)를 조작함으로써 흡입구체부(83)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전기청소기(11)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흡입구체부(83)의 브러시부(87)등을 사용하여, 이 흡입구체부(83)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이때 피청소면의 종류 등의 필요에 따라, 마루 브러시(92)만을 흡입구체부(83)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8). 이 경우에는 마루 브러시(92)의 회전관(107)을 흡입구체부(83)에 상류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유지 클램프(89)의 작용에 의해서 마루 브러시(92)가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피청소면상에 얹은 마루 브러시(92)를 전기청소기(11) 전체와 함께 피청소면상에서 앞뒤로 번갈아 주행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전동송풍기(25)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의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거나, 피청소면을 닦는 등의 청소 보조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천장 등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로부터 분리하여,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하여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연장관(91)의 전단부의 흡입구부(97)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텔레비전 등의 설치물의 내측, 차량의 시트, 또는 계단 등, 사용자 주위의 가까운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추가로 연장관(91)을 분리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하여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흡입구체부(83)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이들의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청소형태의 경우에는 클램프 본체(118)를 조작함으로써, 이 클램프체(118)의 걸림부를 유지 수용부(22)의 걸어맞춤 수용부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지부(14)에서,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의 연결부(117)가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로부터 이격되고, 접속 볼록부(122)가 유지 수용부(22)로부터 빼내어진다.
그리고, 한쪽 손으로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다른쪽 손으로 풍로체용 핸들(17)을 파지하고, 기본적으로는 호스체(82)를 신축시켜 풍로체(13)만을 움직이면서 흡입구부(97)의 브러시모부(102), 또는 흡입구체(83)의 브러시부(87) 등을 사용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호스체(82)의 신장만으로 충분히 닿는 범위를 청소하는 경우, 또는 침대 밑 등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는, 본체부(12)는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여 들어올리지 않고, 피청소면상에 배치한 상태 등으로 해도 좋다. 이 때, 리브(75)가 피청소면에 닿음으로써, 집진컵(19)의 하부의 배기개구(76)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 피청소면에 의해 폐색되지 않고, 배기통부(74)(배기개구(76))로부터의 배기가 방해받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에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과 분리체부(33)의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선회되고 특히 큰 먼지(굵은 먼지)가 자중(自重)에 의해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되어, 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여 집진컵 본체(66)의 먼지 저류부(71)에 포집된다. 이 먼지는, 집진컵 본체(66)내의 선회류의 일부가 압축부(43)의 하단부로부터 압축개구(47)(압축필터(48))를 통과함으로써 압축필터(48)에 억압되어 압축되어, 압축부(43)의 내부에 모인다.
먼지가 원심 분리된 공기는 분리 필터(45)를 통과하면서 개구(44)에 유입된다. 이 개구(44)(분리 필터(45))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부(42)의 매끄러운 원통형상의 외주에 의해 정류되면서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한다. 또한, 이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개구부(37a)를 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로 유입되고, 이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분리통부(37)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되어 미세먼지가 더욱 원심 분리된다. 이 분리된 미세먼지는 분리통부(37)의 하단부의 먼지 배출구(37b)로부터 집진컵(19)의 미세먼지 수용부(68)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즉, 집진컵 본체(66)와 미세먼지 수용부(68)에서 거친 먼지와 미세먼지가 별개로 포집된다. 이 미세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분리통부(37)의 상단부의 배출통부(49)의 배출 개구부(49a)로부터 풍로부(38)로 유출되고 이 풍로부(38)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된 공기는 이 전동송풍기(25)를 냉각하면서 배기풍이 되고, 배기구로부터 전동송풍기실(26)내로 배출된 후, 이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배출개구(65)로부터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매끄러운 내주면에 의해 정류되면서 분리체부(33)의 내방을 하방으로 통과하여 배기개구(76)로부터 집진컵(19)(본체부(12))의 외방인 하방으로 배출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설정 버튼(135)을 조작하여 전동송풍기(25)를 정지시킨다.
또한, 먼지를 폐기할 때에는 클램프(70)를 조작하여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로부터 분리하고, 쓰레기통 등의 위에서 집진컵(19)을 상하 반대로 하여 집진 저류부(71) 및 미세먼지 수용부(68)의 먼지를 배출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동송풍기(25)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8)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선회시키는 집진컵 본체(66)의 중심축을 따라서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저부(배기 개구부(76))으로부터 배출하는 배기통부(74)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12)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제1 원심분리부(32)의 중심축의 주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전동송풍기(25)로부터의 배기를 정류하면서 거의 저항없이 배출 가능한 배기 풍로를 배기통부(74)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바람소리 등의 소음의 음압에 대해서도, 배기통부(74)를 통하여 배기가 배출됨으로써 이 배기통부(74)에 의해 감쇠되어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집진컵 본체(66)를 선회하는,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되기 전의 소위 차가운 공기의 중앙에 위치하는 배기통부(74)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배출하므로, 전동송풍기(25)를 통과한 후의 소위 뜨거운 공기인 배기가 집진컵 본체(66) 내를 선회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이 배기가 가령 사용자의 신체에 닿아도, 미지근한 배기가 아니므로, 사용자의 사용감을 손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배기통부(74)를 원통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배기통부(74)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동송풍기(25)로부터의 배기를 배기통부(74)의 매끄러운 내주면에 의해 정류할 수 있고,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등도 억제할 수 있어,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 본체(66)의 중심축을 따라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주위에 선회시키고 또한 공기를 개구(44)로부터 내방으로 통과시키는 분리체부(33)를 배치하고, 이 분리체부(33)의 내방에 배기통부(74)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원통형상의 배기부(42)를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배기부(42)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체부(33)의 내방으로 통과한 공기가 원통형상의 배기부(42)의 매끄러운 외주면에 의해 정류되면서 연통풍로부(35)로 흐르므로, 풍로 저항이 적어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을, 제1 원심분리부(32)의 중심축과 평행인 성분을 갖도록,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과 제1 원심분리부(32)의 중심축과 직렬형상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동송풍기(25)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그대로 전동송풍기(25)의 축방향을 따라서 스트레이트로 배기통부(74)(배기부(42))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는 굵은 먼지를 원심분리하기 위해 집진컵 본체(66)의 직경 치수가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원심분리부(32)의 흡입구(77)를,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흡기구(25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하는, 즉 제1 원심분리부(32)와 전동송풍기(25)를 접근시키지 않고 축방향(상하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1 원심분리부를 전동송풍기의 측방에 배치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본체부(12)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의 흡입구(77)의 위치가, 분리체부(33)의 측방의 위치가 되므로, 이 흡입구(77)로부터 흡입된, 소위 차가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개구(44)를 통하여 분리체부(33)의 내부의 배기부(42)에 닿기 쉬워지므로,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를 통과하는 배기를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중심축을 갖고, 제1 원심분리부(32)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이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의 측방에 구비하는 것으로,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새어 나오는 소음이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차단된다. 즉,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차음벽이 되어, 정음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는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 유속을 높이도록 직경 치수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의 측방에 배치해도 본체부(12)가 대형화되기 어렵고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에 대향하는 부분과, 그 반대측의 부분에서 2중으로 차음을 하게 된다. 즉,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새어나온 소음은, 분리통부(37)의 외주부에 의해 다중으로 차단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정음성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가 전동송풍기(25)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송풍기(25)의 전방 및 후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의 전후를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둘러싼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전동송풍기(25)로부터 새어나오는 소음을 보다 확실하게 차음하여, 정음성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2)의 하부에 전동송풍기(25)의 하류측 및 제1 원심분리부(32)의 배치통부(74)의 상류측에 (배기부(42)를 통하여) 연통하는 배출개구(65)를 설치함으로써, 배기통부(74)를 통하여 배기가 본체부(12)의 하방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본체부(12)의 전방에 제1 원심분리부(32)와 연통하여 이 제1 원심분리부(32)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인도하는 풍로체(13)를 설치하고, 본체부(12)의 상부에 본체용 핸들(1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손이 어느 손이어도, 본체용 핸들(15)이나 풍로체(13)(풍로체용 핸들(17))을 잡은 손이나 사용자의 신체에 배기통부(74)의 배기풍이 닿기 어려워,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배기부(42)는 예를 들어 배기통부(74) 또는 전동송풍기실(26)과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즉, 배기구(42)의 하단부가 배출개구(65)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체용 핸들(15)은 본체부(12)의 후부에 설치했지만, 예를 들어 본체부(12)의 중심의 상방(바로 위) 등, 본체부(12)의 상부에 설치해도 좋고, 본체부(12)의 상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집진컵(19)이 집진컵 본체(66)의 하단부를 덮는 커버(14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커버(141)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인 연질부재에 의해 축방향 치수가 작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 즉 얕은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집진컵 본체(66)의 하단부(리브(75))를 덮어 이 집진컵 본체(6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141)의 외측부인 외주부의 전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긴 구멍 슬릿 형상의 복수의 배기개구(142)가 대략 등간격(대략 등각도)으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기개구(142)는 예를 들어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축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복수, 예를 들어 2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배기통부(74)의 배출개구부(76)로부터 배출되어 커버(141)에 닿은 후, 각 리브(75)를 통하여 직경 방향을 따라서 인도된 배기풍을 외부로 분산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배기 개구(142)는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직경방향인 커버(141)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구되어 있다(도 16). 이들 배기 개구(142)의 위치는 예를 들어 각 리브(75)에 대향하지 않은 위치가 되어 있고, 각 리브(75)간에 복수개씩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배기개구(142)는 집진컵(19)의 최하단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고, 본체용 핸들(15)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시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내의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의 비교적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 수용부(22)의 위치에서 장착하고, 본체용 핸들(15)을 잡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하고, 예를 들어 가구와 벽부 사이 등, 마루 브러시(92)를 삽입할 수 없는 좁은 틈을 청소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를 연장관(9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다(도 13). 한편, 예를 들어 테이블 위나 피청소면이 비교적 좁은 면적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체(13)에서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 및 마루 브러시(92))를 분리하여,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실시한다. 이 때, 피청소면의 종류 등의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만을 흡입구체부(83)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5). 또한, 천정 등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로부터 분리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해서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연장관(91)의 전단부의 흡입구부(97)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텔레비전 등의 설치물의 내, 차량의 시트, 또는 계단 등, 사용자 근처에 가까운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추가로 연장관(91)을 분리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해서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흡입구체부(83)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호스체(82)의 신장만으로 충분히 닿는 범위를 청소하는 경우, 또는 침대 밑 등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는, 본체부(12)는 본체용 핸들(15)을 잡고 들어올리지 않고, 피청소면상에 배치한 상태 등으로 했을 때에는, 커버(141)가 피청소면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지로서 작용하여 호스체(82)의 수축력에 의해 본체부(12)가 당겨 끌려가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에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과 분리체부(33)의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면 사이에서 선회되어 특히 큰 먼지(굵은 먼지)가 자중(自重)에 의해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되고, 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여 집진컵 본체(66)의 먼지 저류부(71)에 포집된다.
먼지가 원심 분리된 공기는 분리 필터(45)를 통과하면서 개구(44)에 유입된다. 이 개구(44)(분리 필터(45))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부(42)의 매끄러운 원통형상의 외주에 의해 정류되면서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한다. 또한, 이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개구부(37a)를 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로 유입되고, 이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분리통부(37)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되어 미세먼지가 더욱 원심 분리된다. 이 분리된 미세먼지는 분리통부(37)의 하단부의 먼지 배출구(37b)로부터 집진컵(19)의 미세먼지 수용부(68)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이 미세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분리통부(37)의 상단부의 배출통부(49)의 배출 개구부(49a)로부터 풍로부(38)로 유출되고 이 풍로부(38)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로 흡입된다.
이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된 공기는 이 전동송풍기(25)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고, 배기구로부터 전동송풍기실(26)내로 배출된 후, 이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배출개구(65)로부터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매끄러운 내주면에 의해 정류되면서 분리체부(33)의 내방을 하방으로 통과하여 배기개구(76)로부터 집진컵(19)(본체부(12))의 외방으로 배출되고, 각 리브(75)에 의해 분산되면서 각 배기개구(142)로 인도되고, 이들 배기개구(142)로부터 직경방향을 따라 분산 배기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동송풍기(25)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본체부(12)의 하부의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선회시키는 집진컵 본체(66)의 선회축 방향을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을 따라서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저부로부터 배출하는 배기통부(74)를 설치하고, 또한 이 배기통부(74)를 포함하는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의 저부를 덮어 부착한 커버(141)의 외측부에 복수의 배기개구(142)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12)를 필요 이상 크게 하지 않고, 제1 원심분리부(32)의 중심축의 주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전동송풍기(25)로부터의 배기를 정류하면서 배출 가능한 배기풍로를 배기통부(74)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기통부(74)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커버(141)에 의해 정류하여 각 배기개구(142)로부터 분산 배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청소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배기되지 않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불어 날리지 않는다. 또한,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바람소리 등의 소음의 음압에 대해서도, 배기통부(74) 및 배기개구(142)를 통하여 배기가 배출됨으로써 감쇠되어,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를 집진컵(19)의 저부(커버(141))에서 피청소면에 얹어 청소하는 경우에는, 통상 풍로체(13)를 본체부(12)로부터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분리하여 호스체(82)를 신장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풍로체(13)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부분은 본체부(12)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되므로, 커버(141)가 피청소면에 얹혀 배기개구(142)가 피청소면에 접근하여 위치하고 있었다고 해도, 이들 배기개구(142)로부터 배출된 배기에 의해 청소해야 할 먼지가 날리지 않는다.
또한, 배기개구(142)를 직경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구함으로써, 이들 배기개구(14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집진컵(19)의 직경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 특정의 방향에 집중되지 않고, 압력이 완화된 마일드한 배기가 되어 배출되므로, 먼지를 날리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강하게 분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의 저부에 돌출되어 설치되거나 리브(75)에 의해 배기통부(74)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배기개구(142)로 인도함으로써, 배기통부(74)의 축방향으로부터 집진컵(19)의 직경방향으로 공기의 흐름 방향이 급변하는 집진컵(19)의 저부에서도 난류를 발생시키기 어려워,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리브(75)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기개구(142)를 개구하고 있으므로, 리브(75)에 의해 배기개구(142)로부터의 배기가 차단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기된다.
또한, 본체부(12)의 파지용 본체용 핸들(15)보다도 하방에 배기개구(142)가 위치하므로, 본체용 핸들(15)을 잡은 손에 대해서 배기개구(142)로부터의 배기가 분사되지 않아,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1)를 연질부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풍로체(13)를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본체부(12)에 대하여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커버(141)를 피청소면상에 얹어 둠으로써, 본체부(12)의 자중에 의해 커버(141)가 피청소면에 대해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슬라이딩 방지로서 작용하므로, 수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호스체(82)를 신장시키면서 청소를 해도, 본체부(12)가 호스체(8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는 일도 없다. 또한, 이와 같이 피청소면상에 얹었을 때나, 잘못하여 본체부(12)를 낙하시킨 경우 등에도, 커버(141)가 완충부재로서 작용함으로써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이 파손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제2 원심분리부(36)는 필수 구성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원심분리부(32)의 하류측에 제2 원심분리부(36)를 대신하여 필터 등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배기개구(142)는 적어도 커버(141)의 외측부 중 양측부에 설치되면, 전부나 후부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전동송풍기 및 이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상류측 분리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분리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키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저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컵부를 갖는,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류측 분리부는,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주위에 선회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분리체부, 및
    배출부의 상류측에 연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체부의 내측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배기부를 구비한, 전기청소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송풍기는 중심축이 상류측 분리부의 중심축과 평행인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전동송풍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중심축을 갖고, 상류측 분리부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상기 상류측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하류측 분리부를 상기 전동송풍기의 측방에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전동송풍기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류측 분리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며, 이 상류측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하류측 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류측 분리부는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수용부에 도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전방에, 상류측 분리부와 연통하여 상기 상류측 분리부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인도하는 풍로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부와 후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된 파지용 본체용 핸들, 및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송풍기의 하류측 및 상류측 분리부의 배출부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배출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류측 분리부는 복수의 배기개구를 외측부에 구비하고, 컵부의 저부를 덮어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기개구는 직경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구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류측 분리부는 컵부의 저부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배기개구로 인도하는 도풍부(導風部)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파지용의 본체용 핸들을 구비하고,
    배기개구는 상기 본체용 핸들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는 연질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KR1020167008129A 2013-11-07 2014-11-07 전기청소기 KR101821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1242 2013-11-07
JP2013231242A JP6291218B2 (ja) 2013-11-07 2013-11-07 電気掃除機
JP2013233530A JP6178214B2 (ja) 2013-11-11 2013-11-11 電気掃除機
JPJP-P-2013-233530 2013-11-11
PCT/JP2014/079613 WO2015068816A1 (ja) 2013-11-07 2014-11-07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819A true KR20160051819A (ko) 2016-05-11
KR101821908B1 KR101821908B1 (ko) 2018-01-24

Family

ID=5304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129A KR101821908B1 (ko) 2013-11-07 2014-11-07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4589B2 (ko)
EP (1) EP3066970B1 (ko)
KR (1) KR101821908B1 (ko)
CN (1) CN104822300B (ko)
HK (1) HK1222777A1 (ko)
WO (1) WO2015068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889B2 (en) 2016-01-08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70196423A1 (en) * 2016-01-08 2017-07-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17171496A1 (ko)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ES2965608T3 (es) 2016-03-31 2024-04-16 Lg Electronics Inc Aparato de limpieza
KR102560970B1 (ko) 2016-03-31 202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575689B2 (en) 2016-03-3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JP6819222B2 (ja) * 2016-10-31 2021-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手持ち型電気掃除機
EP3329821A1 (en) 2016-12-03 2018-06-06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EP3381343A1 (en) 2017-03-27 2018-10-03 Koninklijke Philips N.V. Battery-operated vacuum cleaner
GB2563667A (en) * 2017-06-23 2018-12-26 Dyson Technology Ltd Dir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CN209003807U (zh) * 2017-06-28 2019-06-2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手持吸尘器及吸尘器组合件
CN107184149B (zh) * 2017-07-26 2023-06-16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式集尘杯及其吸尘器
EP3749159A4 (en) * 2018-02-09 2022-03-16 SharkNinja Operating LLC ACCESSORIES FOR SURFACE TREATMENT DEVICE
US11723498B2 (en) 2018-07-02 2023-08-15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11399675B2 (en) 2018-07-31 2022-08-02 Sharkninja Operating Llc Upright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removable pod
CN112911981A (zh) 2018-09-07 2021-06-04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表面处理设备的电池和抽吸电机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表面处理设备
CN109805827B (zh) * 2019-04-01 2024-04-05 深圳市领峰实业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到地刷且具有旋风离尘结构的迷你吸尘器
CN112914417B (zh) * 2019-12-05 2022-03-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以及电动吸尘器
CN114929079A (zh) * 2019-12-27 2022-08-19 爱丽思欧雅玛株式会社 电动吸尘器
CN112617656A (zh) * 2020-12-16 2021-04-09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手持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3997B (en) * 2000-10-03 2004-07-21 Matsushita Electric Corp Airflow system for bagless vacuum cleaner
GB2385514B (en) * 2000-11-13 2004-07-21 Matsushita Electric Corp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GB0221512D0 (en) * 2002-09-17 2002-10-23 North John H Improved separation apparatus
KR100530359B1 (ko) * 2003-10-07 2005-11-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분리장치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WO2005041739A1 (en) * 2003-10-22 2005-05-12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dirt separation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with filter
US7547336B2 (en) * 2004-12-13 2009-06-16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KR100560967B1 (ko) 2005-01-14 2006-03-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556662B2 (en) * 2005-01-31 2009-07-07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594589B1 (ko) 2005-01-31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15360B1 (ko) 2005-04-18 2006-08-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KR20070078679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GB2474176A (en) 2006-07-18 2011-04-06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handle and suction pipe relatively angled
CA2599303A1 (en) *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837360B1 (ko) * 2007-03-23 2008-06-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배기환류를 이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101606837A (zh) 2008-06-20 2009-12-23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旋风吸尘器
US8424153B2 (en) 2009-03-19 2013-04-2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and filters therefor
AU2010201003B2 (en) * 2009-03-20 2014-05-08 Bissell Homecare, Inc. Filter locking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AU2010231185B2 (en) 2009-03-31 2013-04-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separating apparatus
US20110023261A1 (en) * 2009-07-29 2011-02-03 Proffitt Ii Donald E Filterless and bagless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sling shot separator
CN102302351B (zh) 2011-06-22 2013-05-22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多级旋风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4589B2 (en) 2018-07-31
EP3066970A1 (en) 2016-09-14
HK1222777A1 (zh) 2017-07-14
WO2015068816A1 (ja) 2015-05-14
CN104822300A (zh) 2015-08-05
EP3066970B1 (en) 2019-12-25
KR101821908B1 (ko) 2018-01-24
US20160270615A1 (en) 2016-09-22
CN104822300B (zh) 2017-07-11
EP3066970A4 (en)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908B1 (ko) 전기청소기
KR101892653B1 (ko) 전기청소기
US8397344B2 (en) Cleaning appliance
JP6710070B2 (ja) ハンディ型電気掃除機
JP6291218B2 (ja) 電気掃除機
JP2015119878A (ja) 電気掃除装置
EP3522762B1 (en) Low noise stick vaccum cleaner
JP6230346B2 (ja) 電気掃除機
JP2018015410A (ja) 電気掃除機
JP2017129110A (ja) ブロワ
JP6334913B2 (ja) 電気掃除機
EP3576590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5860697B2 (ja) 電気掃除機
JP6599596B2 (ja) 電気掃除機
JP6705864B2 (ja) 電気掃除機
JP6552785B2 (ja) 電気掃除機
JP6178214B2 (ja) 電気掃除機
JP2018015411A (ja)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電気掃除機
CN109717793B (zh) 电动吸尘器
JP6168931B2 (ja) 電気掃除機
CN118102958A (zh) 真空清洁器
JP6555705B2 (ja) 電気掃除機
JP2018015412A (ja) 電気掃除機
JP2010187922A (ja) 電気掃除機
JP202000056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この吸込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