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777A -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 Google Patents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777A
KR20160051777A KR1020167006065A KR20167006065A KR20160051777A KR 20160051777 A KR20160051777 A KR 20160051777A KR 1020167006065 A KR1020167006065 A KR 1020167006065A KR 20167006065 A KR20167006065 A KR 20167006065A KR 20160051777 A KR20160051777 A KR 2016005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embers
escalator
plates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아이들러
우베 하우어
미하엘 마타이즐
토마스 일레디츠
로베르트 슐츠
크리슈토프 마코펙
노르베르트 프림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5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8Driving gear with separate drive chain or belt that engages directly the carrying surface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0Carrying belt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4) 또는 이동식 보도의 플레이트 (14) 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트레드 부재 (40) 및 베이스 (31) 를 구비하는 지지 보디 (30)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부재 (40) 는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 (41, 42, 43) 을 포함하고, 각 서브부재 (41, 42, 43) 는 그의 지역적 범위에서, 스텝 (4, 304) 또는 플레이트 (14, 114) 의 의도된 이동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2 개의 평행한 단부측들 (45, 46) 및 상기 단부측들 (45, 46) 에 직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에지측들 (47, 48, 147, 148) 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 (41, 42, 43) 은 상기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131, 231) 에 미리 결정된 시퀀스로 배치된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서브부재들 (41, 42, 43) 은 각각 그의 단부측들 (45, 46) 중의 하나에 의해 서로 맞닿고, 베이스 (31) 에 사전 배치된 서브부재 (41, 42) 는 베이스 (31) 에 후속 배치된 각 서브부재 (42, 43) 에 의해 지지 보디 (30) 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PALLET FOR A MOVING WALKWAY OR STEP FOR AN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또는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스텝 또는 팔레트는 지지 보디 및 트레드 부재를 포함한다.
사람을 위한 운송 디바이스 (에스컬레이터, 이동식 보도 등) 는 사람의 수송을 위한 장비의 잘 알려지고 효율적인 아이템이다. 수직 방향으로, 예컨대 건물의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사람을 수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사용되는 반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12도 이하의 약간의 경사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사람을 수송하기 위해 주로 이동식 보도가 사용된다. 사람을 위한 운송 디바이스의 길이와 폭은 각 적용에서의 예상 승객 규모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에스컬레이터 스텝 및 플레이트는 단일부분 또는 다중부분 부품으로서 생각되고, 보통 주조, 압출 또는 단조법에 의해 생산된다. 스텝과 플레이트의 트레드 부재의 상측은 트레드 부재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평행 리브들 또는 웹들의 열 (row) 형태의 트레드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리브들은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의도되는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다.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경우, 그의 라이저 부재가 보통 트레드 부재의 리브들과 연결되는 리브들을 또한 갖는다. 게다가, 리브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문턱 (threshold) 영역에서 빗살 구조로 맞물리도록 치수결정된다.
수개의 스텝들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벨트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수개의 플레이트들은 플레이트 벨트를 형성하도록 함께 합쳐진다. 이동식 보도 또는 에스컬레이터는 2 개의 편향 영역들을 갖는 지지 구조부를 보통 포함하고, 편향 영역들 사이에서 플레이트 벨트 또는 스텝 벨트가 순환하도록 안내된다.
플레이트 또는 스텝이 캐스트 또는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이나 금속 합금으로부터 일 피이스로 생산된다면, 플레이트 벨트 또는 스텝의 매 폭이 개별 몰드 공구를 필요로 하므로, 대규모 세트의 몰드가 이용가능해야 한다. 그렇지만, 플레이트와 스텝을 위한 몰드 공구는 매우 비싸다. 게다가, 이러한 성형품, 특히 리브를 갖는 트레드 부재의 크기는 주조 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수축 구멍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그의 회피를 위해 몰드 공구의 비용이 드는 온도 제어가 필요하다.
WO 0066476 A 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개의 더 작은 몰드 공구에 의해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상이한 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스텝 및 플레이트의 모듈식 구성을 제안한다. 스텝 또는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알루미늄의 압출 지지 보디 및 트레드 부재로 구성된다. 트레드 부재는 복수의 서브부재를 포함한다. 이 서브부재는 그루브-앤드-키 (groove-and-key) 연결에 의해 지지 보디에 고정된다. 이 해법의 첫 번째 단점은, 그루브-앤드-키 연결이 특히 밀어 넣기 초기에 캔트 (cant) 경향이 있으므로, 그루브 안으로의 키의 측방향 푸시에 의한 지지 보디에의 서브부재의 장착이 어렵고 시간소모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해법의 두 번째 단점은, 제안된 그루브-앤드-키 연결이 약간의 놀음을 갖고, 따라서 2 개의 트레드 부재들 사이의 맞닿음 위치에서만 키가 그루브 내에 연장되어서 그루브와 키 사이의 놀음이 단지 이곳에서만 제거되므로, 진동으로 인해, 트레드 플레이트와 지지 보디 사이의 상대 운동의 결과로서 불쾌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보디 및 트레드 부재를 갖는 스텝 또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트레드 부재는 간단히 그리고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고 빠르게 그리고 간단히 장착될 수 있으며 그의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스텝 벨트나 플레이트 벨트의 조용한 러닝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스텝 또는 플레이트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또는 이동식 보도의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트레드 부재, 및 베이스를 구비하는 지지 보디를 포함하고, 트레드 부재는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을 포함한다. 각 서브부재는 그의 지역적 범위에서,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평행한 단부측들 및 상기 단부측들에 직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에지측들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지지 보디는 압출 성형된 튜브나 성형된 섹션, 판금으로부터 절삭되고 굽혀진 성형품,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스텝 골격이나 플레이트 골격일 수 있다.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은 지지 보디의 베이스에 미리 결정된 시퀀스로 배치되고, 인접하게 배치된 서브부재들은 그의 단부측들 중의 하나에 의해 각각 서로 맞닿는다. 트레드 부재의 가능한 가장 간단한 장착은, 베이스에 사전 배치된 서브부재가 베이스에 연속 배치된 서브부재에 의해 지지 보디에 고정된다는 것으로써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부가적인 체결 수단이 불필요하다. 게다가, 이러한 디자인 덕분에, 트레드 부재는 부가적인 체결 수단 없이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폭에 걸친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 보디와 연결되고, 지지 보디에 전체 폭에 걸쳐 기대어진다. 더욱이, 서브부재들로의 분할을 통해 생산하기 어려운 트레드 플레이트는 예컨대 더 높은 사이클 비율로 작동하는 더 작은 다이캐스팅 기계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더 작은 서브부재들로의 분할을 통해, 동일한 서브부재들을 사용하여 현재의 모든 스텝 폭들 또는 플레이트 폭들을 생산할 수 있다.
지지 보디 및 트레드 부재로의 분할은 생산 공학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분할을 통해, 최적의 방식으로 상보적인 상이한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강제 지지 보디는 상응하는 알루미늄제 지지 보디보다, 동적이고 변하는 부하에 대해 실질적으로 더 높은 서비스 수명을 갖는다. 콤팩트한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지지 보디는, 그 서비스 수명이 진동 부하 변화로 인해 너무 작을 수 있으므로, 특히 1,100 밀리미터보다 큰 수송 폭 또는 플레이트 폭 또는 스텝 폭을 위해 거의 사용될 수 없다.
베이스에 연속 배치된 개별 서브부재에 의해 베이스에 사전 배치된 각 서브부재를 지지 보디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의 영역에서 서브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호 인접하는 단부측들의 돌출부들은, 베이스에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 아래에 걸리거나 아래에 맞물리도록 그리고 베이스에 후속 위치된 서브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지지 보디의 베이스 아래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아래에 걸린다" 는 구성은, 장착 상태에서, 서브부재가 그의 주된 장착 방향에서 지지 보디로부터 더 이상 느슨할 수 없도록 추가 부품 (서브부재 또는 지지 보디) 의 적절하게 성형된 영역 아래에 돌출하는 돌출부의 형태를 명시한다. 주된 장착 방향은, 본 경우에, 추가 부품에 돌출부를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피봇 운동을 고려함이 없이 지지 보디에 서브부재가 위치되는 방향이다. 주된 장착 방향은 보통 베이스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작동 준비 상태에서 트레드 부재의 로딩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베이스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지지 보디에 대한 서브부재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부재가 각 서브부재에 형성되고, 서브부재가 위치되는 때, 베이스의 정밀 끼워맞춤 위치결정 통로 내로 돌출한다. 위치결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절두원뿔형 구성이고, 정밀 끼워맞춤 위치결정 보어는 원통형 보어이므로, 베이스에 서브부재가 위치되는 때에, 위치결정 부재의 원뿔 표면이 위치결정 통로에 의해 약간 변형되고 이에 순응한다.
서브부재들 또는 그의 돌출부들은 사전 위치된 부재가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에 의해 베이스에 대해 편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속하는 서브부재가 위치되는 때에 인접 단부측이 베이스에 가압되도록, 서브부재는 그의 폭에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명히, 이 서브부재들은 그의 지역적 범위에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편향은 돌출부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베이스를 너머 돌출하고, 후속하는 서브부재가 위치되는 때에 돌출부의 이 부분 (돌기부로 불림) 이 베이스의 레벨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언급한 편향에 대안적으로 또는 서브부재의 편향과 함께, 베이스와 트레드 부재의 하측 사이에의 탄성 중간층의 배치가 또한 가능하고, 따라서 이 탄성 중간층은 서브부재들이 위치되는 때에 압축되고, 중간층은 서브부재를 지지 보디에 대해 편향시킨다. 탄성 중간층은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 플레이트일 수 있다. 그렇지만, 탄성 중간층은 베이스와 트레드 부재의 하측 사이에 접착제의 도입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이로써 지지 보디에의 트레드 부재의 특히 단단한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탄성 제품을 형성하도록 습기에 의해 가교 결합된 실란-개질 폴리머에 기초한 페이스티 또는 액체 단일-성분 접착제/실란트가 특히 적합하다. 이들은 예컨대, 금속 구조와 장치 구조뿐만 아니라 차체 및 차량 구조, 객차 구조 및 컨테이너 구조에 사용된다. 이러한 모든 해법은, 트레드 부재의 재료가 지지 보디의 재료와 상이한 경우, 지지 보디와 트레드 부재 사이의 계면 부식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트레드 부재는 보통 그의 보행가능 표면의 디자인에 대해 상이한 구역들을 갖는다. 보행가능 표면의 주된 부분은 위에서 이미 언급된 리브들을 갖는 반면, 예컨대 트레드 부재의 2 개의 단부측 단부들은 리브가 없는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트레드 부재를 재현할 수 있기 위해, 이는 상호 구별될 수 있는 서브부재들로 분할된다. 서브부재들 중의 하나가 시작 부재이고, 시작 부재의 왼쪽 단부측이 체결 영역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을 갖고, 이 측방향 에지 섹션은 왼쪽 단부측과 평행하다. 그의 오른쪽 단부측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가 형성된다.
사용되는 방향 표현 "오른쪽" 및 "왼쪽" 은 단지 서브부재의 2 개의 단부측들의 구별을 위한 것이고, 부품들의 위치 고려나 이동 방향에 대해 제한적 특징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방향 표현은 돌출부들이 특정 단부측과 연관된 때에 돌출부들과 관련하여 항상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출부가 시작 부재의 체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시작 부재가 지지 보디의 베이스에 위치되는 때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출부는 지지 보디의 베이스 아래에 걸린다. 이로써, 시작 부재의 체결 영역은 나사, 클립, 리벳 등과 같은 부가적인 체결 수단 없이 지지 보디에 체결된다.
서브부재들 중의 다른 하나가 예컨대 중간 부재이고, 이 중간 부재는 2 개의 단부측들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왼쪽 단부측의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의 위치는 전술한 시작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의 위치에 정합되어서, 2 개의 서브부재들이 그의 단부측들이 서로 맞닿은 채로 지지 보디의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중간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의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는 중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서, 수개의 중간 부재들은 그의 단부측들이 서로 맞닿은 채로 지지 보디의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부재들 중의 다른 하나가 엔드 부재일 수 있고, 엔드 부재의 왼쪽 단부측이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를 갖고, 엔드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이 체결 영역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을 가지며, 이 측방향 에지 섹션은 상기 단부측에 평행하다. 그리고, 왼쪽 단부측의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의 위치는 시작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의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에 그리고 중간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의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에 정합하여서, 엔드 부재는 시작 부재뿐만 아니라 중간 부재에 연속적으로 지지 보디의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 영역은 체결 수단을 위한 적절한 부착점들, 예컨대 나사들을 위한 통과 보어들, 나사산구비 구멍, 슬롯, 클로 (claws) 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 등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부재들로의 트레드 부재의 분할을 통해, 동일한 서브부재들에 의해 상이한 폭의 지지 보디들이 끼워 맞춰질 수 있다. 가장 좁은 플레이트 또는 스텝은 엔드 부재에 의해 지지 보디에 고정되는 시작 부재를 갖는다. 더 큰 폭을 갖는 플레이트나 스텝의 지지 보디에 트레드 부재가 제공되는 한, 시작 부재와 엔드 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보디의 끼워 맞춤은 항상 시작 부재로 시작하고 엔드 부재의 배치로 끝나며, 엔드 부재의 체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에 의해 지지 보디의 베이스와 고정 연결된다.
지지 보디의 베이스가, 위치된 서브부재들의 상호 인접한 단부측들의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L자형 장착 통로를 갖는다면, 지지 보디에 대한 트레드 부재의 특히 안정적이고 콤팩트한 커플링이 생성될 수 있다. 서브부재들이 위치되는 때,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의 개별 돌출부 및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의 돌출부 (이 돌출부들은 인접 배치됨) 는 L자형 장착 통로 내에 연장된다. 따라서, 정밀하게 L자형 장착 통로의 영역에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에 의한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의 정밀하게 규정된 고정이 초래되는데, 이는 이 장소에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가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 아래에 걸리고 그에 바로 인접한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가 지지 보디의 베이스 아래에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브부재의 하측 및 베이스의 국부적인 불균형 또는 변형이 커플링의 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명확히, 장착 통로는 L자형 단면 형상과는 상이한 구멍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장착 통로는 예컨대 둥근, 계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T자형 또는 U자형 구멍 단면을, 그러한 형태가 편리하다면, 또한 가질 수 있다.
스텝 또는 플레이트는, 의도된 캐리 로드 (carry load) 또는 적재량을 받는다면 특정 정도의 형상 안정성을 구비해야 한다. 더욱이, 플레이트 또는 스텝의, 폭으로 연장되는 단면은, 인접하는 스텝들 또는 플레이트들 및 편향 영역들 내에 존재하는 공간들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지지 보디가 튜브형 구성이고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면, 문제없이 편향 영역에서 편향될 수 있고, 굽힘 및 비틀림 모멘트에 대해 높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에 복수의 전술한 플레이트들이 배치되고, 이로써 이동식 보도를 위한 플레이트 벨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벨트가 구성되고, 플레이트들 대신에, 복수의 스텝들이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에 배치된다. 그렇지만, 플레이트 벨트 또는 스텝 벨트를 위해 보통 2 개의 견인 수단이 사용되고, 이 경우 견인 수단들 사이에 플레이트들 또는 스텝들이 배치된다. 견인 수단으로서, 예컨대 링크 체인, 케이블 또는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저마찰 가이드 부재들, 예컨대 롤러 또는 슬라이드 보디가 지지 보디 또는 견인 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분명히, 본 발명은 단지 신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벨트에 의해 기존 플레이트 벨트를 대체함으로써 기존 이동식 보도가 현대화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벨트에 의해 기존 스텝 벨트를 대체함으로써 기존 에스컬레이터가 현대화될 수 있다.
예로써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보하여, 서브부재들로 분할된 트레드 부재 및 스텝 또는 플레이트의 지지 보디에의 그의 장착을 설명한다.
도 1 은 지지 구조부 또는 지지 프레임 및 2 개의 편향 영역들을 갖는 이동식 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가이드 레일이 지지 구조부 내에 배치되고, 둘러싸는 스텝 벨트가 편향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는 지지 구조부 및 2 개의 편향 영역들을 갖는 이동식 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가이드 레일이 지지 구조부 내에 배치되고, 둘러싸는 플레이트 벨트가 편향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 3 은 플레이트 벨트 섹션의 분해도이며, 2 개의 견인 수단 및 견인 수단들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플레이트의 지지 보디에의 서브부재의 배치를 3차원으로 보여준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부분 하부를 3차원으로 보여준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하부의 세부를 확대하여 3차원으로 보여준다.
도 7 은 튜브형 스텝 보디를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측 단면도이다.
도 8 은 스텝 골격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3차원으로 보여준다.
도 1 은 제 1 층 (E1) 을 제 2 층 (E2) 과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1) 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에스컬레이터 (1) 는 2 개의 편향 영역들 (7, 8) 을 갖는 지지 구조부 (6) 또는 지지 프레임 (6) 을 포함하고, 편향 영역들 사이에서 스텝 벨트 (5) 가 순환하도록 안내된다. 스텝 벨트는 견인 수단 (9) 을 포함하고, 견인 수단에는 스텝들 (4) 이 배치된다. 난간 (2) 에 헨드레일 (3) 이 배치된다. 난간 (2) 은 하단부에서 난간 베이스에 의해 지지 구조부 (6) 와 연결된다.
도 2 는 유사한 구성의 이동식 보도 (11) 의 개략 측면도로서, 이 이동식 보도는 유사하게, 난간 베이스를 갖는 난간 (12) 및 헨드레일 (13), 지지 구조부 (16) 및 2 개의 편향 영역들 (17, 18) 을 포함한다. 도 1 의 에스컬레이터 (1) 와는 대조적으로, 스텝 벨트 대신에 플레이트 벨트 (15) 가 이동식 보도 (11) 의 편향 영역들 (17, 18) 사이에 순환하도록 배치된다. 플레이트 벨트 (15) 는 견인 수단 (19) 을 포함하고, 견인 수단에는 플레이트들 (14) 이 배치된다. 이동식 보도 (11) 는 예컨대 제 3 층 (E3) 을 제 4 층 (E4) 과 연결한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플레이트 벨트 (15) 의 섹션의 분해도이다. 플레이트 벨트 (15) 는 복수의 플레이트들 (14) 을 포함하고, 이 플레이트들은 2 개의 견인 수단들 (25, 26) 사이에 배치된다. 명확성의 이유로, 단 하나의 플레이트 (14) 가 도시된다. 2 개의 견인 수단들 (25, 26) 은 링크 체인들이고, 이 링크 체인들에는 롤러들 (27) 이 배치된다. 이 롤러들 (27) 은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에서 러닝하고, 이 가이드 레일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편향 영역들 사이의 지지 구조부 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 (14) 는 지지 보디 (30) 를 가지며, 지지 보디는 튜브형 구성을 가지며 지지 보디의 사다리꼴 형상의 튜브형 단면 (도 5 에서 더 잘 보임) 이 플레이트 (14) 의 폭 (B) 을 따라 연장된다. 지지 보디 (30) 는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황동, 강, 고합금 크롬강, 청동이나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합성 물질, 특히 유리섬유-강화 및/또는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보디 (30) 는 그 중량을 줄이기 위해 복수의 컷아웃 (32) 을 갖는다. 삼각형 단면의 결과로서, 트레드 부재 (40) 가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31) 가 지지 보디 (30) 에 존재한다.
스텝 및 플레이트 (14) 의 트레드 부재 (40) 는 평행 리브들 (49) 의 열 (row) 의 형태의 트레드 패턴을 갖고, 평행 리브들은 트레드 부재 상측에서 트레드 부재 (40) 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다. 리브들 (49) 은 스텝 또는 플레이트 (14) 의 의도된 이동 방향 (X) 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드 부재 (40) 는 복수의 서브부재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작 부재 (41), 수개의 중간 부재들 (42) 및 엔드 부재 (43) 를 포함한다. 각 서브부재 (41, 42, 43) 는 스텝 또는 플레이트 (14) 의 의도된 이동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2 개의 평행한 단부측 (45, 46) 및 그 단부측 (45, 46) 에 직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에지측 (47, 48) 에 의해 지역적 범위에서 경계 지어진다. 더 명확하도록, 중간 부재들 (42) 중의 하나에서만 단부측 (45, 46) 및 에지측 (47, 78) 에 도면부호를 제공한다.
트레드 부재 (40) 는 보통 그 보행가능 표면의 디자인에 대해 상이한 구역들을 갖는다. 트레드 부재 (40) 의 보행가능 표면의 소정 부분에 리브들 (49) 이 제공되는 반면, 예컨대 트레드 부재 (40) 의 2 개의 단부측 에지 섹션들 (51, 52) 은 리브 (49) 가 없는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레드 부재 (40) 는 3 개의 상호 구별가능한 서브부재들 (41, 42, 43) 로 분할된다. 서브부재들 중의 제 1 서브부재가 시작 부재 (41) 이고, 시작 부재의 왼쪽 단부측 (45) 이 체결 영역 (53) 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 (51) 을 갖고, 이 측방향 에지 섹션은 왼쪽 단부측 (45) 과 평행하다. 그리고, 체결 영역 (53) 에는 2 개의 체결 돌출부 (54) 가 형성된다. 시작 부재 (41) 가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 놓이면, 2 개의 체결 돌출부 (54) 가 베이스 (31) 의 직사각형 장착 개구 (34) 를 통해 돌출하고,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아래에 걸린다. 이로써, 시작 부재 (41) 의 체결 영역 (53) 은 나사, 리벳, 키, 클립 등과 같은 부가적인 체결 수단 없이 지지 보디 (30) 에 체결된다.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단부측 (46) 의 영역에, 2 개의 오른쪽 돌출부 (56) (단지 일부만 보임) 가 형성된다.
서브부재들 중의 제 2 서브부재 (42) 가 중간 부재 (42) 이고, 중간 부재는 왼쪽 단부측 (45) 에 왼쪽 돌출부들 (55) 을 갖고 오른쪽 단부측 (46) 에 오른쪽 돌출부들 (55) 을 갖는다. 중간 부재 (42) 의 왼쪽 돌출부들 (55) 의 위치는 전술한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돌출부들 (56) 의 위치에 정합되어서, 중간 부재 (42) 는 그의 왼쪽 단부측 (45) 이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단부측 (46) 에 맞닿은 채로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부재 (42) 의 왼쪽 돌출부들 (55) 은 중간 부재 (42) 의 오른쪽 돌출부들 (56) 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서,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수개의 중간 부재들 (42) 은 그의 단부측들 (45, 46) 이 서로 맞닿은 채로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부재들 중의 제 3 서브부재 (43) 가 엔드 부재 (43) 이고, 엔드 부재의 왼쪽 단부측 (45) 이 2 개의 왼쪽 돌출부들 (55) 을 갖고, 엔드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 (46) 이 체결 영역 (57) 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 (52) 을 가지며, 이 측방향 에지 섹션은 오른쪽 단부측 (43) 과 평행하다. 2 개의 왼쪽 돌출부들 (55) 의 위치는 중간 부재 (42) 의 오른쪽 단부측 (46) 및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단부측 (46) 의 2 개의 오른쪽 돌출부들 (56) 에 다시 정합되어서, 엔드 부재 (43) 는 시작 부재 (41) 뿐만 아니라 중간 부재 (42) 를 뒤따르도록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부재들 (41, 42, 43) 이 전반적으로 그의 돌출부들 (55, 56) 에 의해 지지 보디 (30) 상에 놓이고 체결될 수 있도록, L자형 장착 개구들 (35) (장착 개구 내로 또는 장착 개구를 통해 돌출부들 (55, 56) 이 돌출함) 이 베이스 (31) 에 형성된다.
엔드 부재 (43) 의 체결 영역 (57) 은 체결 수단 (36) 을 위한 적절한 부착점들 (58), 예컨대 나사들 (36) 을 위한 통과 구멍들 (58) 을 갖는다. 부착점들은 분명히 나사산구비 구멍, 슬롯, 클로 (claws) 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엔드 부재 (43) 의 장착을 위해, 베이스 (31) 의 하측에 나사산구비 플레이트 (38) 가 배치된다. 장착 상태에서, 나사들 (36) 은 부착점들 (58) 및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를 통해 나사산구비 플레이트 (37) 의 나사산구비 구멍들 안에까지 돌출한다. 분명히, 나사산구비 플레이트 (37) 대신에, 상표가 있는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31) 의 개별 디자인에 따라, 나사산은 직접 베이스 보디 (30) 에 절삭될 수 있다.
도 3 은 꽤 넓은 플레이트 (14) 를 도시하며, 이 플레이트의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는, 시작 부재 (41) 와 엔드 부재 (43) 사이에 5 개의 중간 부재 (42) 가 배치된다. 최소 폭 (B) 을 갖는 플레이트 (14) 를 획득하기 위해, 적절하게 좁은 지지 보디 (30) 를 제외하고, 단 하나의 시작 부재 (41) 가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에 놓이고, 이는 엔드 부재 (43) 에 의해 지지 보디 (30) 에 고정된다. 더 큰 폭 (B) 을 갖는 스텝 또는 플레이트 (14) 의 지지 보디 (30) 에 트레드 부재 (40) 가 제공되는 한에 있어서, 시작 부재 (41) 와 엔드 부재 (43) 사이에 하나 이상이 중간 부재 (42) 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보디 (30) 에 서브부재들 (41, 42, 43) 을 비치하는 것은 항상 시작 부재 (41) 로 시작하고 엔드 부재 (43) 로 끝나며, 엔드 부재의 체결 영역 (57) 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36) 에 의해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31) 와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원형으로 둥근 구멍 단면을 갖는 위치결정 통로들 (38) 이 베이스 (31) 에 형성된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 에 기초하여 서브부재들 (41, 42, 43) 과 위치결정 통로들 (38) 및 장착 통로들 (35) 의 협력작동을 설명한다.
도 4 는 플레이트 (114) 의 지지 보디 (130) 에의 중간 부재 (42) 의 배치를 3차원으로 보여준다. 지지 보디 (130) 가 그 형태에 있어서 도 3 의 지지 보디 (30) 와 상이하지만, 그의 베이스 (131) 는 동일한 장착 통로들 (35) 및 위치결정 통로들 (38) 을 또한 갖는다. 시작 부재 (41) 는 베이스 (131) 에 이미 배치되어 있다. 중간 부재 (42) 는, 2 개의 왼쪽 돌출부들 (55) 이 장착 통로들 (35) 을 통해 돌출할 때까지, 비스듬히 유지된 상태에서 주 장착 방향 (H) 으로 지지 보디 (130) 의 베이스 (131) 에 놓이다. 후속하여, 중간 부재 (42) 는 화살표 (V) 로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131) 를 향해 피봇되거나 접힌다. 서브부재 (41, 42, 43) 가 피봇되면, 서브부재 (41, 42, 43) 의 하측에 형성된 위치결정 부재들 (59) 이 정밀 끼워맞춤 위치결정 통로들 (38) 에 도입된다. 위치결정 부재들 (59) 에 의해, 베이스 (131) 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지지 보디 (130) 에서의 서브부재 (41, 42, 43) 의 상대 변위가 방지된다. 위치결정 부재 (59) 는 바람직하게는 절두원뿔형 구성이고, 정밀 끼워맞춤 위치결정 통로 (38) 는 원통형 보어이므로, 베이스 (131) 에 서브부재 (41, 42, 43) 가 놓이는 때에, 위치결정 부재 (59) 의 원뿔 표면이 위치결정 통로 (38) 에 의해 약간 변형되고 이에 순응한다. 또한, 모든 다른 서브부재 (41, 43) 가 묘사된 중간 부재 (42) 와 똑같이 놓인다.
위치결정 통로들 (38) 사이에서 베이스 (131) 에, 본 예에서 수개의 섹션들로 분할되어 있는 탄성 중간층 (137) 이 배치된다. 탄성 중간층 (137) 은 예컨대 접착제 층, 또는 탄성 합성재료 플레이트, 또는 합성 재료 벨트의 섹션들일 수 있다.
도 5 는, 서브부재들이 이미 배치되어 있는 도 3 의 플레이트 (14) 의 부분 하부를 3차원으로 보여준다. 시작 부재 (41) 의 인접한 단부측 (46) 의 오른쪽 돌출부들 (56) 이 장착 통로들 (35) 안으로 그리고 중간 부재 (42) 의 하측 아래로 돌출하거나 또는 중간 부재 (42) 아래에 걸린다는 점에서, 시작 부재 (41) 는 연속적으로 놓인 중간 부재 (42) 에 의해 지지 보디 (30) 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놓인 중간 부재 (42) 가 시작 부재의 피봇을 방지하므로, 시작 부재 (41) 는 더 이상 피봇될 수 없다. 중간 부재 (42) 의 왼쪽 돌출부들 (55) (시작 부재 (41) 를 향해 있음) 은 지지 보디 (30) 의 베이스 (131) 아래에 걸리고, 이로써 이 위치에서 베이스 (31) 로부터 중간 부재 (42) 의 들어올림을 방지한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하부의 세부 A 를 확대하여 3차원으로 보여준다. 더 명확하도록, 지지 보디 (30) 뿐만 아니라 시작 부재 (41) 와 중간 부재 (42) 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 상세는 본질적으로, 중간 부재 (42) 의 왼쪽 돌출부 (55) 및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돌출부 (56) (이 돌출부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장착 통로 (35) 내로 돌출한다) 와 함께 장착 통로 (35) 를 보여준다. 특히, 시작 부재 (41) 의 오른쪽 돌출부 (56) 가 베이스 (31) 아래가 아니라 중간 부재 (42) 아래에 걸린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 경우, 특히 접촉점 (S) 가 중요하다. 오른쪽 돌출부 (56) 와 중간 부재 (42) 의 하측 사이에 놀음이 존재해서는 안 되며, 따라서 서브부재들 (41, 42, 43) 은 이 놀음의 범위 내에서 베이스 (31) 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없고 달카닥거리거나 찍찍거리는 소음을 야기할 수 없다. 각각의 경우에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 (41, 42) 가 연속적으로 놓이는 서브부재 (42, 43) 에 의해 베이스 (31) 에 대해 편향되도록, 오른쪽 돌출부 (56) 가 작은 융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보디 (30) 의 위치결정 통로 (38) 를 통해 돌출하는, 중간 부재 (42) 의 위치결정 부재 (59) 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개념이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7 은, 유사하게 베이스 (231) 를 갖는, 튜브형 지지 보디 (230) 를 갖는 스텝 (4) 의 측단면도이다. 지지 보디 (230) 는 예컨대 알루미늄 압출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스텝 롤러 (227) 를 장착하기 위한 스텝 롤러 마운트 (232) 가 베이스 (231) 로부터 멀리 있는 지지 보디 (230) 의 측에 배치된다. 또한, 스텝 (4) 의 경우, 폭으로 연장되는, 단부측들 및 에지 측들 (247, 248) 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트레드 부재 (240) 가, 서브부재들로 분할된다. 이들은 전술한 플레이트 (14) 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지 보디 (230) 에 체결되고, 단면도에서는, 단지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의 오른쪽 돌출부 (256) 및 연속적으로 놓인 서브부재의 왼쪽 돌출부 (255) 만이 보인다.
스텝 (4) 은 폭으로 연장된 에지 영역들 (281, 282) 에 배치된 하측 돌출부들 (283) 및 상측 돌출부들 (284) 을 갖는 라이저 부재 (280) 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 (231) 의 영역에 배치된 상측 돌출부들 (284) 은 베이스 (231) 아래에 걸림이 없이 상측 장착 통로들 (235) 내로 돌출한다. 스텝 풋 (232) 의 영역에 배치된 하측 돌출부 (283) 는 하측 장착 통로들 (236) 내로 돌출하고, 지지 보디 (230) 의 전방 벽 (239) 아래에 걸린다. 그러므로, 라이저 부재 (280) 의 고정은 트레드 부재 (240) 의 서브부재들의 고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라이저 부재 (280) 의 상측 돌출부 (284) 는 트레드 부재 (240) 의 인접한 에지 영역 (47) 아래에 걸린다. 장착 개념은 초기에 라이저 부재 (280) 가 놓이는 것을 제공한다. 후속하여, 처음에 시작 부재, 후속하여 그에 그리고 존재하는 한 하나 이상의 중간 부재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엔드 부재가 지지 보디에 놓이고 체결 부재들에 의해 지지 보디 (230) 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라이저 부재 (280) 는 트레드 부재 (240) 에 의해 지지 보디 (230) 에 고정된다.
서브부재들로 분할된 트레드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개념에 의해, 분명히 스텝 골격을 갖는 스텝의 경우에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도 8 은 스텝 골격 (330) 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그러한 스텝 (304) 을 3차원으로 보여준다. 트레드 부재 (340) 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경우에서처럼, 서브부재들 (341, 342, 343) 로 분할되고, 스텝 골격 (330) 에 체결된다. 그렇지만, 라이저 부재 (380) 는 예컨대 스텝 골격 (330) 에 용접, 글루잉 또는 리벳팅된 딥드로잉 판금 부품이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형태의 묘사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인지함으로 다수의 추가 변형 실시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예컨대 플레이트의 경우, 튜브형 지지 보디 대신에 플레이트 골격이 사용된다. 게다가, 지지 보디는, 예컨대 추가 접힘부에 의해 다각형 단면 형상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과는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부재들은 반드시 캐스트 알루미늄 부품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또한, 트레드 부재의 서브부재들은 블랭크로부터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단조 부품으로서 단조 다이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분명히, 서브부재들은 판금 부품들, 특히 딥드로잉 판금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서브부재들은 유리섬유-강화 및/또는 탄소섬유-강화 합성 재료 또는 다른 복합 재료일 수 있다. 또한, 서브부재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으로부터 또는 유리와 같은 비정질 재료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Claims (15)

  1. 트레드 부재 (40, 240, 340) 및 베이스 (31, 131, 231) 를 구비하는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로서,
    상기 트레드 부재 (40, 240, 340) 는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 (41, 42, 43) 을 포함하고, 각 서브부재 (41, 42, 43) 는 그의 지역적 범위에서, 상기 스텝 (4, 304) 또는 플레이트 (14, 114) 의 의도된 이동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2 개의 평행한 단부측들 (45, 46) 및 상기 단부측들 (45, 46) 에 직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에지측들 (47, 48, 147, 148) 에 의해 경계 지어지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브부재들 (41, 42, 43) 은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의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미리 결정된 시퀀스로 배치되고,
    인접하게 배치된 서브부재들 (41, 42, 43) 은 각각 상기 단부측들 (45, 46) 중의 하나에 의해 서로 맞닿고,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사전 배치된 서브부재 (41, 42) 는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연속 배치된 각 서브부재 (42, 43) 에 의해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 (45, 46) 의 영역에서 상기 서브부재 (41, 42, 43) 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45, 56) 가 형성되고,
    서로 맞닿는 단부측들 (45, 46) 의 돌출부들 (55, 56) 은,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사전 위치된 상기 서브부재 (41, 42)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56) 가 후속 위치된 서브부재 (42, 43) 아래에 걸리도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후속 위치된 상기 서브부재 (41, 42, 43)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55) 가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의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아래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부재 (59) 가 각 서브부재 (41, 42, 43) 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부재 (41, 42, 43) 가 위치되는 때에,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의 정밀 끼워맞춤 위치결정 통로 (38) 내로 돌출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 (41, 42) 는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대해 연속 위치된 상기 서브부재 (42, 43) 에 의해 편향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와 상기 트레드 부재 (40, 240, 340) 사이에 또는 상기 트레드 부재의 상기 서브부재들 (41, 42, 43) 사이에 탄성 중간층 (137) 이 배치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재들 중의 하나의 서브부재 (41) 가 시작 부재 (41) 이고,
    상기 시작 부재의 왼쪽 단부측 (45) 이 체결 영역 (53) 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 (51) 을 갖고, 상기 측방향 에지 섹션은 상기 왼쪽 단부측 (45) 에 평행하고,
    상기 시작 부재의 오른쪽 단부측 (46) 이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 (56)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출부 (54) 가 상기 체결 영역 (53) 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위치된 상기 시작 부재 (41) 의 체결 돌출부 (54) 가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의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아래에 걸리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재들 중의 하나의 서브부재 (42) 는, 왼쪽 단부측 (45) 에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 (56) 를 갖고 오른쪽 단부측 (46) 에 적어도 하나의 오른쪽 돌출부 (56) 를 갖는 중간 부재 (42) 인,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재들 중의 하나의 서브부재 (43) 가 엔드 부재 (43) 이고,
    상기 엔드부재의 왼쪽 단부측 (45) 이 적어도 하나의 왼쪽 돌출부 (55) 를 갖고,
    상기 엔드부재의 오른쪽 단부측 (46) 이 체결 영역 (57) 을 구비하는 측방향 에지 섹션 (52) 을 갖고, 상기 측방향 에지측은 상기 오른쪽 단부측 (46) 에 평행한,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부재 (43) 가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에 위치되는 때, 상기 체결 영역 (57) 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36, 37) 에 의해 상기 베이스 (31, 131, 231) 와 고정 연결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330) 의 상기 베이스 (31, 131, 231) 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통로 (35) 를 갖고,
    상기 서브부재들 (41, 42, 43) 이 단부측들 (45, 46) 의 영역에서 서로 맞닿게 위치되는 때, 사전 위치된 서브부재 (41, 42) 의 돌출부 (55, 56) 및 연속 위치된 서브부재 (42, 43) 의 돌출부 (55, 56) 는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장착 통로 (35) 내에서 연장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디 (30, 130, 230) 는 튜브형 구성이고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형 단면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4, 304) 또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14, 114).
  12.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 (19, 25, 26), 및
    상기 견인 수단 (19, 25, 26) 에 배치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플레이트들 (14, 114)
    을 구비하는 이동식 보도 (11) 의 플레이트 벨트 (15).
  13.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 (9, 25, 26), 및
    상기 견인 수단 (9, 25, 26) 에 배치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스텝들 (4, 304)
    을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스텝 벨트 (5).
  14. 순환하도록 배치된 제 12 항에 따른 플레이트 벨트 (15) 를 구비하는 이동식 보도 (11), 또는 순환하도록 배치된 제 13 항에 따른 스텝 벨트 (5) 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1).
  15. 제 12 항에 따른 플레이트 벨트 (15) 에 의해 기존 플레이트 벨트를 대체함에 의한 이동식 보도 (11) 의 현대화,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스텝 벨트 (5) 에 의해 기존 스텝 벨트를 대체함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1) 의 현대화.
KR1020167006065A 2013-09-09 2014-08-28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KR20160051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3514.2 2013-09-09
EP13183514 2013-09-09
PCT/EP2014/068207 WO2015032674A1 (de) 2013-09-09 2014-08-28 Palette für einen fahrsteig oder stufe für eine fahrtrep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777A true KR20160051777A (ko) 2016-05-11

Family

ID=4912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065A KR20160051777A (ko) 2013-09-09 2014-08-28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643822B2 (ko)
EP (1) EP3044153B1 (ko)
JP (1) JP6430514B2 (ko)
KR (1) KR20160051777A (ko)
CN (1) CN105517941B (ko)
AU (1) AU2014317281B2 (ko)
CA (1) CA2920719A1 (ko)
CL (1) CL2016000514A1 (ko)
DK (1) DK3044153T3 (ko)
ES (1) ES2632572T3 (ko)
HK (1) HK1223080A1 (ko)
MX (1) MX2016002984A (ko)
PL (1) PL3044153T3 (ko)
RU (1) RU2661246C2 (ko)
SG (1) SG11201601771TA (ko)
TW (1) TWI622547B (ko)
WO (1) WO2015032674A1 (ko)
ZA (1) ZA201601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760A1 (en) 2016-04-15 2017-10-18 Otis Elevator Company Fixing modules and pallets for a pallet conveyor
TWI720212B (zh) * 2016-06-21 2021-03-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將手扶梯或移動步道現代化之方法、用於此方法的裝置組合及新的橫樑
EP3269675B1 (en) * 2016-07-15 2020-11-18 Otis Elevator Company Transportation element for a people conveyor
KR102395688B1 (ko) 2016-08-31 2022-05-06 인벤티오 아게 플러그-인 파트들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스탭
WO2019048306A1 (de) 2017-09-11 2019-03-14 Inventio Ag Tritteinheit für eine personenförderanlage sowie verfahren zum fertigen einer tritteinheit
DE102017122790A1 (de) * 2017-09-29 2018-12-20 Thyssenkrupp Ag Fahrstufe für eine Beförd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EP3623336B1 (en) 2018-09-14 2021-10-27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element for a people conveyor
EP3686147B1 (en) 2019-01-23 2024-03-20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belt for a conveyor
EP3747822B1 (en) * 2019-06-03 2024-05-01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element for a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882A (en) * 1980-12-03 1982-06-11 Hitachi Ltd Step for man conveyor
US5337879A (en) * 1984-08-21 1994-08-16 Inventio Ag Tread element for moving pavement or escalator
EP0449780B1 (de) * 1990-03-28 1996-05-29 O&K ROLLTREPPEN GmbH Trittelement für Fahrsteig oder -treppe
DE29609299U1 (de) * 1996-05-24 1997-11-06 Kone Oy Trittelement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US6213278B1 (en) * 1999-04-22 2001-04-10 Otis Elevator Company Man-conveyor step
DE19850847A1 (de) * 1998-11-04 2000-05-11 Moessner Druckguswerk Gmbh Fahrtreppenstufe
DE19919710C2 (de) * 1999-04-30 2001-06-07 Kone Corp Stufe oder Palette einer Rolltreppe oder eines Rollsteiges
US6283270B1 (en) * 1999-12-16 2001-09-04 Inventio Ag Escalator step with removable demarcation inserts
JP4287701B2 (ja) * 2003-06-04 2009-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踏段
FI117240B (fi) * 2003-11-03 2006-08-15 Kone Corp Palettijärjestely
FI116563B (fi) * 2004-04-22 2005-12-30 Kone Corp Liukukäytävän tai vastaavan palettijärjestely
RU46247U1 (ru) * 2005-01-24 2005-06-27 ООО "Конструктор" Ступень эскалатора
EP2017216A1 (de) * 2007-07-16 2009-01-21 Inventio Ag Trittelement für eine Fahreinricht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üfen von Trittelementleisten
JP5252384B2 (ja) * 2007-07-31 2013-07-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JP5249361B2 (ja) * 2011-01-07 2013-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支持構造
JP5669768B2 (ja) * 2012-01-30 2015-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組立て式踏段
RU119339U1 (ru) * 2012-05-18 2012-08-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скомстроймонтаж-сервис" (ЗАО "Эс-сервис") Настил ступени эскалатор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601406B (en) 2017-08-30
JP2016529186A (ja) 2016-09-23
ES2632572T3 (es) 2017-09-14
CA2920719A1 (en) 2015-03-12
US9643822B2 (en) 2017-05-09
WO2015032674A1 (de) 2015-03-12
CN105517941A (zh) 2016-04-20
CL2016000514A1 (es) 2016-10-21
RU2016113560A (ru) 2017-10-16
TWI622547B (zh) 2018-05-01
HK1223080A1 (zh) 2017-07-21
US20160221798A1 (en) 2016-08-04
RU2661246C2 (ru) 2018-07-13
SG11201601771TA (en) 2016-04-28
EP3044153A1 (de) 2016-07-20
DK3044153T3 (en) 2017-10-02
TW201515983A (zh) 2015-05-01
PL3044153T3 (pl) 2017-11-30
CN105517941B (zh) 2017-04-12
MX2016002984A (es) 2016-06-02
RU2016113560A3 (ko) 2018-05-30
AU2014317281B2 (en) 2017-07-13
EP3044153B1 (de) 2017-06-14
AU2014317281A1 (en) 2016-03-24
JP6430514B2 (ja)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1777A (ko) 이동식 보도용 팔레트 또는 에스컬레이터용 스텝
US9617122B2 (en) Pallet for a moving walk or step for an escalator
CN106276559B (zh) 自动扶梯/自动人行道模块化桁架及对其组装的方法
JP2013508243A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構造
JP2010540377A (ja)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または動く歩道のプレート、および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ならびに製造方法
KR20150063472A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자동보도용의 트랙 시스템
JP2007518650A (ja) 動く歩道、動くスロープ、またはエスカレータ
US9950903B2 (en) Truss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comprising a single wall profile
JP5033442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9051602A (ja) 乗客コンベア
JP4860485B2 (ja) 動く歩道、動くスロープ、またはエスカレータ
JP5883338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KR20190042017A (ko) 플러그-인 파트들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스탭
CN110467100B (zh) 乘客传送设备的步梯及乘客传送设备
JP6471071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製造方法
CN107857186B (zh) 一种桁架支架
JP5085672B2 (ja) 乗客コンベア
WO2012038996A1 (ja) 乗客コンベアおよびその踏段
KR100302697B1 (ko) 에스컬레이터난간의설치구조
JP2002155607A (ja) ユニット階段
JP2014047011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CZ20012438A3 (cs) Pohyblivé schody nebo pohyblivý chodní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