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253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253A
KR20160047253A KR1020140143436A KR20140143436A KR20160047253A KR 20160047253 A KR20160047253 A KR 20160047253A KR 1020140143436 A KR1020140143436 A KR 1020140143436A KR 20140143436 A KR20140143436 A KR 20140143436A KR 20160047253 A KR20160047253 A KR 2016004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centration
temperature
alarm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681B1 (ko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일 측면은 수면 모드 설정 시 차량 내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와,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검출부와,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수면 모드를 적용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운전자가 차량 내에 장시간 머무르는 상황에서 운전자는 산소 부족, 저체온증과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는 일정시간 경과 후 차량 내의 환기 상태 또는 공조 상태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숙면을 취하게 되면 운전자가 차량 내의 환기 상태 등을 직접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차량 내의 환기 상태 등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수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운전자가 산소 부족, 저체온증 등의 상황에 방치될 수 있다.
일 측면은 수면 모드 설정 시 차량 내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측면은 수면 모드 설정 시 차량 내의 가스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측면은 수면 모드 설정 시 위험 상황에서 알람을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검출부; 및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내/외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외기 조절부는, 수면 모드 설정 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외기 조절부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 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체온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부는, 체온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 및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내/외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내/외기 조절부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수면 모드 설정 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검출된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0
또한,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면 모드에서 외기 온도 또는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을 자동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 이다.
도 2는 차량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어 방법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어 방법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제어 방법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도어(71)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72)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72)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 카메라, 측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좌측 카메라 또는 우측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방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차량(1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100)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레인 센서는 전면 유리(30)에 떨어지는 강수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레인 센서의 예로는 광 센서, 자기 센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차량(100)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10)와, 기어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AVN 장치(134)나 차량(100)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AVN 장치(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134)는 AVN 장치(13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AVN 입력부(13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AVN 디스플레이(1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150)는 실시 예에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은 입력부(210)와, 외기온도 검출부(220)와, 체온 검출부(230)와, 가스 검출부(240)와, 온도 조절부(250)와, 내/외기 조절부(260)와, 알람부(270)와, 저장부(280)와,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에서는 사용자의 수면 모드 설정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AVN 입력부(135)를 통해 수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방식에 의해 수면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외기온도 검출부(220)는 차량(100) 외기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외기온도 검출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주기적으로 차량(100) 외부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외기온도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제어부(29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290)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외기 온도 자료에 기초해 온도 조절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외기온도 검출부(220)의 온도 검출과 이에 기초한 제어부(290)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외기온도 검출부(220)는 접촉식 온도 센서로 구현되거나 비접촉식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측온 저항체(RTD) 온도 센서, 온도 변화에 따른 반도체 저항변화를 이용하는 서미스터 온도 센서, 재질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금속선의 접합점 양단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는 열전대 온도 센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트랜지스터의 양단 전압 또는 P-N 접합부의 전류전압특성을 이용하는 IC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외기온도 검출부(220)의 구현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0) 외기 온도를 검출할 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온 검출부(230)는 수면 모드 동작 시 차량(100)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의 체온를 검출할 수 있다. 수면 모드의 진행 중 사용자가 깊은 잠에 빠질 경우, 사용자의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체온 검출부(230)를 마련해 수면 모드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반영할 수 있다.
체온 검출부(230)는 차량(100)의 시트(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외기온도 검출부(220)와 유사한 방식의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외기온도 검출부(22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체온 검출부(230)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스 검출부(240)는 수면 모드 동작 시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농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90)로 출력할 수 있다.
수면 모드가 개시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100) 내부에 산소가 고갈되어 사용자는 호흡 곤란 등의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일산화탄소(CO) 등을 포함하는 유해 가스가 차량(100) 내부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깊은 잠에 빠질 경우 이러한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스 검출부(240)는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가스 검출부(240)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도 조절부(250)는 수면 모드에서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온도 조절부(250)는 외기온도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외기 온도 또는 체온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체온에 따라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조절부(250)는 전술한 공조 장치(131) 등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내/외기 조절부(260)는 차량(10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장치로, 전술한 윈도우(72)의 열림 정도를 조절해 차량(10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알람부(270)는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알람부(270)는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하이거나 차량(100) 내부에 유해 가스가 유입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체온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270)는 차량(100) 경적을 이용하거나, 차량(10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저드 스위치(미도시)의 온/오프를 조절해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280)는 차량(100)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80)는 입력부(210)의 입력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에서 다운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외기온도 검출부(220)의 검출 온도에 따른 차량(100) 내부의 온도 값, 체온 검출부(230)의 검출 온도에 따른 차량(100) 내부의 온도 값 또는 가스 검출부(240)에서 검출한 가스 농도에 따른 내/외기 조절부(260)의 조절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80) 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
제어부(290)는 차량(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차량(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28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집적 회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칩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 처리 장치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90)는 입력부(210)에서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온도 검출부(220)에서 검출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온도 조절부(250)는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 내부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면모드 설정 후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내/외기 조절부(2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 1 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수면모드 설정 후 30분이 경과하면 윈도우(72)가 약 3분 동안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100) 내부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스 검출부(240)의 검출 결과 또는 체온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에 따라 내/외기 조절부(2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290)는 가스 검출부(240)의 검출 결과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가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차량(100)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내/외기 조절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체온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 사용자의 체온이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제 2 온도 이상이면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난방 또는 냉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차량(100)의 제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따른 제어 과정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과정은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310),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와(320),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와(330),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다. 330, 350 및 370 단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330, 350 및 370 단계가 통합된 제어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수면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310). 사용자는 AVN 입력부(135)를 통해 수면 모드를 설정하거나, 음성 인식방식을 통해 수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330), 동시에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50)와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70)가 수행될 수 있다.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는 도 5 또는 도 6의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30)는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332),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와(334),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336, 338)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332),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334)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30)는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340),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와(342),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344),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346, 34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와 함께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와(350),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370)가 상시로 수행될 수 있다. 350 단계와 370 단계를 통해 상시로 차량(100)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와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를 반영해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농도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100) 내부의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352),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가 제 1 농도 이하이거나 차량(100)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제 2 농도 이상이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354, 356).
사용자가 깊은 잠에 빠져든 경우 상황에 따라 차량(100) 내부에 유해 가스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유해 가스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352 단계는, 차량(100) 내부에 예상치 못한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유해 가스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단계와(372), 사용자의 체온이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제 2 온도 이상이면 차량(100)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374, 376).
사용자가 깊은 잠에 빠져든 경우 상황에 따라 차량(100) 내부의 온도 조절 실패로 사용자의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저체온증의 발생)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변화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372 단계는 사용자의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상승하는 상황을 반영해 차량(100)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체온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과정은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3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점에 있어 도 4의 제어 과정과 차이가 있다. 이하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과정은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390).
예를 들어, 350 단계에서 차량(100) 내부의 산소 농도가 제 1 농도 이하이거나 차량(100)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제 2 농도 이상이면 차량(100) 내부를 환기 시키는 외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체온이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제 2 온도 이상이면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차량(100) 경적을 이용하거나, 차량(10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저드 스위치(미도시)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는 과정과 함께, 온도 조절부(25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차량(100)의 도어락을 오픈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차량(100) 및 그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차량
210 : 입력부
220 : 외기온도 검출부
230 : 체온 검출부
240 : 가스 검출부
250 : 온도 조절부
260 : 내/외기 조절부
270 : 알람부
280 : 저장부
290 : 제어부

Claims (23)

  1.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내/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 조절부는,
    상기 수면 모드 설정 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 조절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 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체온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체온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차량.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제공하는 차량.
  11.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 및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상기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내/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 조절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
  13. 제 11항에 있어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차량.
  15. 수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면 모드가 설정되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외기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모드 설정 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하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이상이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상기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상기 유해 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차량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농도에 도달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40143436A 2014-10-22 2014-10-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36A KR102163681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436A KR102163681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53A true KR20160047253A (ko) 2016-05-02
KR102163681B1 KR102163681B1 (ko) 2020-10-08

Family

ID=5602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436A KR102163681B1 (ko) 2014-10-22 2014-10-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90A (ko) 2019-01-30 2020-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취침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0933750B2 (en) 2016-12-07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30165B2 (en) 2018-12-10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y adjusting indoor temperature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07A (ko) * 1997-07-21 1999-02-18 홍종만 자동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9990059460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의 수면모드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19167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운전자의 체온에 따라 자동 조절 되는 차량용 온도 조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07A (ko) * 1997-07-21 1999-02-18 홍종만 자동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9990059460A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의 수면모드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19167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운전자의 체온에 따라 자동 조절 되는 차량용 온도 조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750B2 (en) 2016-12-07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30165B2 (en) 2018-12-10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y adjusting indoor temperature of vehicle
KR20200094390A (ko) 2019-01-30 2020-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취침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681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176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 unattended occupant in a vehicle and take safety countermeasures
US11292314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04346199A (zh) 用于车载计算系统的系统和方法
US1086486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004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KR20160047253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6137818A (ja) 車室内空気向上システム
JP4697136B2 (ja) データ記録装置の放熱制御装置
JP2007302154A (ja) 車載用入力装置
KR2020007372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1002795A (zh) 一种空气净化系统、方法及车辆
US2022016180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677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90036192A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168202A (ja) コンテンツ再生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機器の制御方法
JP5018465B2 (ja) 二酸化炭素濃度検出装置
US20230054367A1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88220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JP3835913B2 (ja) 排気ガス対応インテークドア制御装置
KR101668479B1 (ko) 액티브 인카센서의 필터링 방법
JPS59100012A (ja) カ−エアコン制御装置
CN118011359A (zh) 用于调节用于车辆的激光雷达的温度的方法、系统和车辆
KR20200125044A (ko) 차량의 실내 환기장치
JP2009126465A (ja) 電子制御装置の冷却システム
KR20000045841A (ko) 자동차 실내 환기 경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