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717A -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717A
KR20160046717A KR1020150127609A KR20150127609A KR20160046717A KR 20160046717 A KR20160046717 A KR 20160046717A KR 1020150127609 A KR1020150127609 A KR 1020150127609A KR 20150127609 A KR20150127609 A KR 20150127609A KR 20160046717 A KR20160046717 A KR 2016004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elevator car
suspending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나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Abstract

[과제] 많은 기기(機器)를 유용(流用)하면서,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과는 다른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을 얻는다.
[해결 수단]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서는, 상부 지지체(13)로부터 균형추 리턴 쉬브(15)를 떼어낸 후, 구동 쉬브(23)를 가지는 새로운 권상기(21)를 상부 지지체에 설치한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를 가지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한다.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A MACHINE ROOM-LESS ELEVATOR REFURBISHING METHOD}
본 발명은,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설(旣設)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로 개수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서는, 기설(旣設)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를 장착함과 아울러, 기설의 균형추의 상부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를 장착한다. 또, 기계실에 설치된 기계대(機械台)로부터 권상기를 철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권상기 및 엔드 브라켓(end bracket)을 기계대에 설치한다. 이 후, 권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메인 로프를 감아 걸고, 메인 로프의 양단을 엔드 브라켓에 접속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1-220078호 공보
상기와 같은 기계실을 가지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에서는, 기설의 기계대에 새로운 권상기를 설치하므로, 권상기의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의 변경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내의 치수상의 제약이 심하기 때문에,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의 권상기와 동일한 권상기를 개수전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었다. 또,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과는 다른 권상기를 설치하는 경우, 승강로 내의 모든 기기를 철거하여 신설하는 공법을 취하고 있어, 개수 공사 기간이 꽤 길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많은 기기(機器)를 유용(流用)하면서,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과는 다른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은, 엘리베이터 칸,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서스펜딩체, 승강로 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서스펜딩체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설(旣設)의 권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에 마련되며, 서스펜딩체가 감아 걸려 있는 상부 리턴 쉬브(return sheave)를 구비하고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으로서, 상부 리턴 쉬브를 상부 지지체로부터 떼어내는 리턴 쉬브 철거 공정, 구동 쉬브를 가지는 새로운 권상기를 상부 지지체에 설치하는 권상기 설치 공정, 및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를 가지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을 가지며,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는, 엘리베이터 칸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上)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하면, 승강로 내의 상부의 상부 지지체로부터 상부 리턴 쉬브를 떼어내어 새로운 권상기를 상부 지지체에 설치하므로, 많은 기기(機器)를 유용(流用)하면서,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과는 다른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개수전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 및 균형추 리턴 쉬브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새로운 권상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VIII-VIII선을 따른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새로운 권상기의 지지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해서 개수된 개수후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권상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해서 개수된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개수전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서스펜딩체(3)에 의해 승강로(4) 내에 매달려 있다. 서스펜딩체(3)로서는, 복수개의 로프(rope) 또는 복수개의 벨트(belt)가 이용되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서스펜딩체(3)가 생략되어 있다.
균형추(2)는, 엘리베이터 칸(1)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1)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승강장으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2)는,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도 1에서는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해서 편측(도 1에서는 우측)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4) 내의 하부, 즉 승강로(4) 내의 피트(pit)에는, 기설(旣設)의 권상기인 권상기(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5)는, 서스펜딩체(3)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권상기(5)는, 권상기 본체(6)와 구동 쉬브(sheave)(7)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6)는, 구동 쉬브(7)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서스펜딩체(3)는, 구동 쉬브(7)에 감아 걸려 있다.
게다가, 권상기(5)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 보다도 큰 몸통이 긴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 권상기(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그 축선이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부분이 엘리베이터 칸(1)과 겹치도록, 엘리베이터 칸(1)의 후부(後部)의 2개 각부(角部, 귀퉁이) 중, 균형추(2)가 가까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각부의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구동 쉬브(7)의 서스펜딩체(3)의 인출 부분은,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1)과 겹치지 않는다.
승강로(4)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과, 균형추(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9a, 9b)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은, 엘리베이터 칸(1)의 전후 방향(도 1에서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 엘리베이터 칸(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은,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의 방향이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에는,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인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과 평행한 직선상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2)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2)는, 그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4) 내의 상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지지체(1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체(1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9a, 9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부 지지체(13)에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 및 균형추 리턴 쉬브(15)가 상부 리턴 쉬브로서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는,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7)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는, 그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리턴 쉬브(1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7)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 리턴 쉬브(15)는, 그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체(1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과 균형추 가이드 레일(9a)과의 사이의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가 마련되어 있다. 서스펜딩체(3)의 제1 단부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지지체(13)의 균형추 리턴 쉬브(15)와 균형추 가이드 레일(9a)과의 사이의 부분에는, 균형추측 로프 고정체(16)가 마련되어 있다. 서스펜딩체(3)의 제2 단부는, 균형추측 로프 고정체(16)에 접속되어 있다.
서스펜딩체(3)는, 제1 단부로부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b),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 구동 쉬브(7), 균형추 리턴 쉬브(15)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2)의 순서로 감아 걸려, 제2 단부에 이르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는, 2:1 로핑(roping)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엘리베이터 칸(1)은,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7)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7)에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18)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7)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본체(18)를 아래로부터 받는 하부 프레임(17a)과,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7b)과,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부 프레임(17a) 및 상부 프레임(17b) 사이를 연결하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에 개별로 대향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7c)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는, 하부 프레임(17a)에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의 정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7a)에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18a)이 얹어져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 및 균형추 리턴 쉬브(15)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상부 지지체(13)는, 각각 수평하게 배치된 제1 ~ 제4 상부 빔(13a~13d)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은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및 제4 상부 빔(13c, 13d)은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에는 제3 상부 빔(13c)이 고정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b)에는 제4 상부 빔(13d)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은, 제3 및 제4 상부 빔(13c, 13d) 사이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3 및 제4 상부 빔(13c, 13d)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은,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직각이며, 또한 수평한 방향인 엘리베이터 칸(1)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는 제3 상부 빔(13c)에 마련되고, 균형추측 로프 고정체(16)는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에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는, 제4 상부 빔(13d)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리턴 쉬브(15)는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에 지지되어 있고, 균형추 리턴 쉬브(15)의 하부는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기설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개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개수 방법에서는, 먼저 상부 지지체(13)로부터 균형추 리턴 쉬브(15)를 떼어낸다(리턴 쉬브 철거 공정). 이 후, 상부 지지체(13)의 균형추 리턴 쉬브(15)가 장착되어 있던 위치에 새로운 권상기(21)를 설치함(권상기 설치 공정)과 아울러,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한다(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 이 후,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를 서스펜딩체(3)에 의해 매단다(서스펜딩 공정).
새로운 권상기(21)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치수 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이다. 또, 새로운 권상기(21)는, 권상기 본체(22) 및 구동 쉬브(23)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22)는, 구동 쉬브(23)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23)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권상기(21)는, 구동 쉬브(23)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의 권상기 설치 공정에서는, 도 1과 도 4를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새로운 권상기(2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의 각각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부 지지체(13)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균형추 리턴 쉬브(15)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의 각각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와 동일하게 한다. 즉, 이 예의 권상기 설치 공정에서는, 새로운 권상기(2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23)의 폭 방향 양단부의 위치를, 균형추 리턴 쉬브(15)의 폭 방향 양단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한다.
도 6은, 도 5의 새로운 권상기(21)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권상기 본체(22)는, 제2 상부 빔(13b) 상에 지지되어 있고, 구동 쉬브(23)는,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의 공간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체(3)의 구동 쉬브(23)로부터 하부로 인출되어 있는 부분은,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 프레임(17b)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과,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에 서로 떨어져 마련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은,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마련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보다도 구동 쉬브(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또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의 각각의 회전축은,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도 7은, 도 4의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또, 도 8은, 도 4의 VIII-VIII선을 따른 개략의 단면도이다.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 프레임(17b)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하부 빔(32a) 및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상부 빔(32b)을 가지고 있다.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하부 빔(32a)은, 상부 프레임(17b)과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되어 상부 프레임(17b)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상부 빔(32b)은, 상부 프레임(17b)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상부 빔(32b)은,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하부 빔(32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하부 빔(32a) 및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 상부 빔(32b)은, 복수의 벨트의 체결에 의해 상부 프레임(17b)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딩체(3)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에 접속된 제1 단부로부터, 새로운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새로운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 새로운 구동 쉬브(23),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2)의 순서로 감아 걸려, 균형추측 로프 고정체(16)에 접속된 제2 단부에 이르고 있다. 즉, 도 4 및 도 5의 엘리베이터도,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측 로프 고정체(16)의 위치는 개수전과 동일하지만,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의 위치는 개수전으로부터 변경되어 있다. 이 예의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제3 상부 빔(13c)에 마련되어 있던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체의 위치가,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보다도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9a)로부터 먼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의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기설의 균형추 리턴 쉬브(15) 뿐만 아니라, 기설의 권상기(5), 기설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 및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도 승강로(4) 내로부터 철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개수전과 동일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새로운 기기와 교환해도 괜찮다.
이러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서는, 승강로(4) 내의 상부의 상부 지지체(13)로부터 균형추 리턴 쉬브(15)를 떼어내어 새로운 권상기(21)를 상부 지지체(13)에 설치함과 아울러,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에 새로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2a, 32b)를 배치하므로, 많은 기기(機器)를 유용(流用)하면서, 장착 치수 및 외형 치수가 개수전과는 다른 권상기(21)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최신의 권상기(21)를 사용하면서, 개수 공사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2a, 32b)의 위치를 개수전으로부터 변경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 및 균형추 리턴 쉬브(15)에 서스펜딩체(3)를 감아 걸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를 서스펜딩체(3)에 의해 매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체(3)의 경로를 개수전보다도 단순하고 짧게 할 수 있고, 서스펜딩체(3)의 장기 수명화 및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 프레임(17b)에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장착하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권상기(21)를 승강로(4) 내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피트가 침수해도, 권상기(21)가 젖지는 않는다.
게다가, 새로운 권상기(21)로서 박형 권상기를 이용했으므로, 균형추 리턴 쉬브(15)가 설치되어 있던 스페이스에 권상기(2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도 6에서는 제2 상부 빔(13b) 상에 권상기(21)가 직접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에 한 쌍의 권상기대(24a, 24b)를 가설(架設)하고, 권상기대(24a, 24b) 상에 권상기(21)를 설치해도 괜찮다. 즉,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상에 권상기대(24a, 24b)를 매개로 하여 권상기(21)를 설치해도 괜찮다. 이 경우, 권상기(21)에 걸리는 하중을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으로 분산하여 작용시켜,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에 생기는 응력을 개수전으로 가깝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해서 개수된 개수후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권상기(21)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권상기 설치 공정에서는, 새로운 권상기(2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균형추(2)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부 지지체(13)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균형추 리턴 쉬브(15)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균형추(2)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고,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부 지지체(13)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균형추 리턴 쉬브(15)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에 가까운 위치로 한다.
이 예의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 본체(22)를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에 가설한 상태에서, 새로운 권상기(21)가 상부 지지체(13)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권상기(21)는, 구동 쉬브(23)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23)는, 제2 상부 빔(13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23)로부터 균형추(2)를 향하여 하부로 인출되어 있는 서스펜딩체(3)의 부분은 제1 및 제2 상부 빔(13a, 13b)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구동 쉬브(23)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을 향하여 하부로 인출되어 있는 서스펜딩체(3)의 부분은 제2 상부 빔(13b)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에 가까운 측의 공간을 통과하고 있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다른 순서 및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서는, 새로운 권상기(21)를 상부 지지체(13)에 설치할 때에,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부 지지체(13)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균형추 리턴 쉬브(15)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에 가까운 위치로 하므로,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을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체(3)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1)의 서스펜딩 상태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해서 개수된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본체(18)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18a)의 하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과,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 사이에 배치된 비상 멈춤 프레임(42)이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은 엘리베이터 칸 바닥(18a)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b)은 엘리베이터 칸 바닥(18a)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은,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프레임(42)은,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비상 멈춤 프레임(42)은, 하부 프레임(17a)에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비상 멈춤 프레임(42)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을 개별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비상 멈춤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 비상 멈춤 프레임(42) 및 비상 멈춤 장치는, 개수전으로부터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예의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에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에서, 엘리베이터 칸(1)의 비상 멈춤 프레임(42)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의 각각에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볼트의 체결에 의해 장착한다. 이 예에서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이 분할되지 않고 단일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의 하면에,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b)의 하면에,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비상 멈춤 프레임(42)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이 각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 및 비상 멈춤 프레임(42)의 각각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마련되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는 서스펜딩 쉬브 프레임(32)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관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b)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보다도 구동 쉬브(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또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33a, 33b)의 각각의 회전축은,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a, 8b)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다른 순서 및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 및 비상 멈춤 프레임(42)의 각각에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장착하므로,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용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가 각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 및 비상 멈춤 프레임(42)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지만, 각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41a, 41b)에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장착해도 괜찮고, 비상 멈춤 프레임(42)에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장착해도 괜찮다. 이 경우,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하는 작업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설의 권상기(5), 기설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 및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가 승강로(4) 내로부터 철거되어 있지만, 이들의 기설의 기기는 새로운 권상기(21) 및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개수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기설의 권상기(5), 기설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1a, 11b) 및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 두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기설의 기기의 철거 작업의 수고의 경감화를 더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폐기물을 삭감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쉬브(23)가 엘리베이터 칸(1)측을 향하도록 권상기(21)가 설치되어 있지만, 구동 쉬브(23)가 엘리베이터 칸(1)과는 반대측을 향하도록, 즉, 권상기 본체(22)가 엘리베이터 칸(1)측을 향하도록 권상기(21)를 설치해도 괜찮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1) 상(上)으로부터 권상기 본체(22)의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균형추 리턴 쉬브(15)를 새로운 권상기(21)로 교환했지만, 승강로(4) 내의 상부에 배치된 기기의 레이아웃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를 새로운 권상기(21)로 교환해도 괜찮다. 즉,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를 상부 지지체(13)로부터 떼어낸 후, 상부 지지체(13)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4)가 장착되어 있던 위치에 새로운 권상기(21)를 설치해도 괜찮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설의 권상기(5)로서 몸통이 긴 권상기를 나타냈지만, 기설의 권상기는 박형 권상기라도 괜찮다.
또,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31)를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에 장착하는 실시 형태 3에서의 구성을, 구동 쉬브(23)에서의 서스펜딩체(3)의 엘리베이터 칸(1)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개수전의 균형추 리턴 쉬브(15)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에 가깝게 한 실시 형태 2에서의 구성에 적용해도 괜찮다.
1 : 엘리베이터 칸 2 : 균형추
3 : 서스펜딩체 4 : 승강로
5 : 기설의 권상기 7 : 구동 쉬브
8a :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8b :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13 : 상부 지지체
15 : 균형추 리턴 쉬브(상부 리턴 쉬브)
17b : 상부 프레임 21 : 새로운 권상기
23 : 구동 쉬브
31 :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33a :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33b :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41a, 41b :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
42 : 비상 멈춤 프레임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서스펜딩체, 승강로 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스펜딩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설(旣設)의 권상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지지체, 및 상기 상부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서스펜딩체가 감아 걸려 있는 상부 리턴 쉬브(return sheave)를 구비하고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수(改修)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리턴 쉬브를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떼어내는 리턴 쉬브 철거 공정,
    상기 리턴 쉬브 철거 공정후, 구동 쉬브를 가지는 새로운 권상기를 상기 상부 지지체에 설치하는 권상기 설치 공정, 및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를 가지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을 가지며,
    상기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직선상(上)에 배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새로운 권상기를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구동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상기 상부 리턴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인출 부분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새로운 권상기를 바로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구동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상기 균형추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상기 상부 리턴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상기 균형추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구동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상기 상부 지지체로부터 떼어내어지기 전의 상기 상부 리턴 쉬브에서의 상기 서스펜딩체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의 인출 부분의 위치 보다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가까운 위치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를 장착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 장착 공정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프레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새로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치를 장착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1020150127609A 2014-10-21 2015-09-09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20160046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4157A JP2016079010A (ja) 2014-10-21 2014-10-21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JP-P-2014-214157 2014-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717A true KR20160046717A (ko) 2016-04-29

Family

ID=5591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609A KR20160046717A (ko) 2014-10-21 2015-09-09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79010A (ko)
KR (1) KR20160046717A (ko)
CN (1) CN106185534B (ko)
TW (1) TW2016155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1719A (zh) * 2016-09-09 2019-04-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吊轮装置及吊轮装置的安装方法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WO2021010519A1 (ko) * 2019-07-15 2021-01-2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020B2 (en) 2018-01-30 2021-03-09 Otis Elevator Company Deflector sheave bracket for offset bedplate
CN109455596A (zh) * 2018-11-26 2019-03-12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一种有机房电梯结构
CN112499441B (zh) * 2020-12-08 2023-11-21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无机房电梯改造方法及无机房电梯
CN112499442A (zh) * 2020-12-08 2021-03-1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无机房电梯改造方法及无机房电梯
CN114988257B (zh) * 2022-07-01 2024-02-09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无机房直角开门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078A (ja) 2000-02-04 2001-08-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78478B1 (en) * 1999-12-06 2006-08-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CN1206152C (zh) * 2000-05-22 2005-06-1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WO2003008318A1 (ja) * 2001-07-11 2004-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595011B2 (ja) * 2008-10-31 2010-12-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2001308A (ja) * 2010-06-16 2012-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4:1ローピング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5748538B2 (ja) * 2011-04-15 2015-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CN203173643U (zh) * 2013-01-08 2013-09-04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斜轮式家用电梯装置
US9676596B2 (en) * 2013-03-04 2017-06-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efurbish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078A (ja) 2000-02-04 2001-08-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1719A (zh) * 2016-09-09 2019-04-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吊轮装置及吊轮装置的安装方法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WO2021010519A1 (ko) * 2019-07-15 2021-01-2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5532A (zh) 2016-05-01
CN106185534A (zh) 2016-12-07
CN106185534B (zh) 2019-08-06
JP2016079010A (ja)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6717A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US9617119B2 (en) Elevator apparatus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579736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WO20150253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7203633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方法
CN107555289B (zh) 无机房电梯的改装方法及无机房电梯
JP2001220078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WO2016166882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WO201502539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37564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2201497A (ja) マシンベッド及び揚重装置
JP626141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6758461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80666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5930842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及び据付用治具
JP2018165219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3223554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WO2023175881A1 (ja) 巻上機の据付方法
JP55706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5610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019452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機械台
WO2015011756A1 (ja) エレベー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