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013A -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013A
KR20160046013A KR1020140140905A KR20140140905A KR20160046013A KR 20160046013 A KR20160046013 A KR 20160046013A KR 1020140140905 A KR1020140140905 A KR 1020140140905A KR 20140140905 A KR20140140905 A KR 20140140905A KR 20160046013 A KR20160046013 A KR 2016004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mney
flow
exhaust gas
shi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훈
이강훈
김형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013A/ko
Publication of KR2016004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63H21/34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having exhaust-gas defl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4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선체; 및 선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굴뚝과, 굴뚝에 설치되어 굴뚝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는 굴뚝장치를 포함하고, 흐름유도부는, 굴뚝의 측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굴뚝의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고, 돌출구조물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FUNNEL APPARATUS THAT CONTROLL FLOW OF EXHAUST GAS AND SHIP THEREWITH}
본 발명은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굴뚝 형상은 선주의 소속 회사의 식별 및 개개의 선박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식 중의 하나이며 그 형상은 선박의 미관에 있어 영향을 주기에 외관상의 모습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선박의 굴뚝 형상은 외관상의 모습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및 이로 인한 문제를 고려한 기능적 부분 또한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데크하우스(Deck house) 상부에서 교란된 공기의 범위를 난류영역이라 지칭하며, 그 높이는 데크하우스의 형상이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난류영역에서는 굴뚝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데크하우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어 데크하우스 내의 운항공간 또는 생활공간이 오염되는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266호(2011.06.23.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배기가스의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는: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굴뚝; 및 상기 굴뚝에 설치되어 상기 굴뚝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굴뚝의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유로의 폭이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돌출구조물 간의 간격이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굴뚝과, 상기 굴뚝에 설치되어 상기 굴뚝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는 굴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굴뚝의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따르면, 굴뚝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난류영역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데크하우스 내의 운항공간 또는 생활공간이 오염되는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배기가스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완성된 굴뚝에 흐름유도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계 과정 중인 선박뿐 아니라,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기운항 중인 선박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 및 굴뚝장치(15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본체를 이루며, 이러한 선체(110)에는 데크하우스(120)가 구비된다. 데크하우스(120)에는 항해하는 선원이나 승객들을 위한 생활 또는 객실공간(예컨데, 숙박실, 식당, 휴게실 등)이나, 운항공간(예컨데, 선박 조타실, 선박 엔진실 등)이 형성된다.
아울러, 선체(110)에는 선박(100)이 추진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엔진이 설치되어 있는 엔진룸(미도시)이 구비된다. 엔진룸은 통상 선체(110)의 하부 측에 구비되며, 이 엔진룸의 상부에는 굴뚝장치(150)가 설치된다.
굴뚝장치(150)는 엔진의 구동 중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굴뚝장치(150)는 굴뚝(160)과 흐름유도부(170)를 포함한다.
굴뚝(160)은 선체(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엔진룸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굴뚝(160)은 선박(100)의 운항 중에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배기가스를 선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해당 배기가스에 의한 선체(110)의 오염을 미리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굴뚝(160)에는 흐름유도부(170)가 설치된다. 흐름유도부(170)는 굴뚝(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굴뚝(160)의 측면에 설치되어 굴뚝(160)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흐름유도부(170)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을 포함한다.
돌출구조물(171)은 굴뚝(160)의 측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굴뚝(16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돌출구조물(171)과 돌출구조물(171)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p)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돌출구조물(171)은 선박(100) 운항시 선박(10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구조물(171)은 선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각각의 돌출구조물(171)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 즉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에 의해, 돌출구조물(171)과 돌출구조물(171) 사이에는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의 유로(p)가 형성된다.
즉 흐름유도부(170)는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의 유로(p)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을 구비함으로써, 굴뚝(160)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상부방향으로 유도되도록 굴뚝(160) 주변에 상승기류를 형성한다.
아울러 흐름유도부(17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 즉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치된다.
이로써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p)는, 그 폭이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 즉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유로(p)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흐름의 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된다.
즉 흐름유도부(170)는, 선체(110)의 선미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유로(p)를 형성하여 흐름유도부(17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킴으로써, 굴뚝(160)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상부방향으로 빠르게 유도되도록 하는 상승기류를 굴뚝(160) 주변에 형성한다.
한편, 흐름유도부(170)는 굴뚝(16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흐름유도부(170)에 구비되는 각각의 돌출구조물(171)이 굴뚝(16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흐름유도부(170)를 선박(100)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150)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굴뚝장치(150)는 데크하우스(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엔진룸의 상부에 설치되는 굴뚝(160)의 측면에 흐름유도부(170)가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흐름유도부(170)는,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이 굴뚝(160)의 측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박(100)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흐름유도부(170)는 선박의 건조 중, 굴뚝(160)의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설계에 반영되어 굴뚝(160)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기운항 중인 선박(100)에 설치된 굴뚝(160)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흐름유도부(170)는, 이미 건조되어 운항 중인 선박(100)에서 굴뚝(160)의 배기가스로 인한 문제가 발생될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굴뚝(16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선박(100)의 운항 중, 엔진의 구동 중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굴뚝(160)을 통해 선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굴뚝(160) 주변으로는 선박(100)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굴뚝(160) 주변을 통과하게 되는 공기 중 일부는, 흐름유도부(170)가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흐름유도부(170)가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게 되는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60)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복수개의 돌출구조물(171)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돌출구조물(171)과 돌출구조물(171)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로(p)를 따라 흐르게 된다.
또한 이처럼 유로(p)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유로(p)를 통과하면서 그 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된다.
즉 흐름유도부(170)가 형성된 굴뚝(160)의 주변에는, 굴뚝(160)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상부방향으로 빠르게 유도되도록 하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흐름유도부(170)의 후방에서 형성된 상승기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상부방향으로 유도한다.
통상 선박(100)의 데크하우스(120)의 상부에는, 데크하우스(120)의 상부에서 선체(110)의 선미 방향으로 부는 바람의 풍속과 선체(110)의 선미를 바라보는 데크하우스(120)의 배면에서 선체(110)의 선미 방향으로 부는 풍속 차이로 인해 공기가 교란되어 형성된 난류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난류영역에서는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데크하우스(120) 내부로 유입시키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120) 내부로 유입되어 데크하우스(120) 내의 운항공간 또는 생활공간이 오염될 뿐 아니라,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오염되는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흐름유도부(170)의 후방, 즉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굴뚝(160)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상부방향으로 빠르게 유도되도록 하는 강한 상승기류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상부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난류영역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굴뚝장치(150)는,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난류영역이 형성된 위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난류영역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150) 및 이를 구비한 선박(100)에 따르면, 굴뚝(16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난류영역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데크하우스(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데크하우스(120) 내의 운항공간 또는 생활공간이 오염되는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150)는, 이미 완성된 굴뚝(160)에 흐름유도부(17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계 과정 중인 선박뿐 아니라,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기운항 중인 선박(100)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체
120 : 데크하우스 150 : 굴뚝장치
160 : 굴뚝 170 : 흐름유도부
171 : 돌출구조물

Claims (4)

  1. 선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굴뚝; 및
    상기 굴뚝에 설치되어 상기 굴뚝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굴뚝의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유로의 폭이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돌출구조물 간의 간격이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4.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굴뚝과, 상기 굴뚝에 설치되어 상기 굴뚝 주변의 공기 흐름을 난류영역 외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는 굴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굴뚝의 측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굴뚝의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돌출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조물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40140905A 2014-10-17 2014-10-17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6004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05A KR20160046013A (ko) 2014-10-17 2014-10-17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05A KR20160046013A (ko) 2014-10-17 2014-10-17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013A true KR20160046013A (ko) 2016-04-28

Family

ID=559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905A KR20160046013A (ko) 2014-10-17 2014-10-17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54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의 연돌 구조물
KR20200115891A (ko) 2019-03-28 2020-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출가스 상승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54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의 연돌 구조물
KR20200115891A (ko) 2019-03-28 2020-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출가스 상승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188B2 (ja) 水上走行装置
JP2010120607A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CA26403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fluid drag on a submerged surface
KR101733874B1 (ko) 공기분출 슬릿의 개폐구조를 갖는 선저 돌출형 공기 윤활 장치
KR20160046013A (ko)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SE527787C2 (sv) Utloppsanordning till en jetmotor och en jetmotor innefattande sådan utloppsanordning
SE539235C2 (sv) Fartyg försett med luftkavitet
KR102099523B1 (ko)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및 선박
JP2017065445A (ja) 空気流ガイド構造
KR20150035202A (ko) 선박용 펀넬의 상부구조
WO2014087718A1 (ja) 海水吸入箱及び船舶
KR100650054B1 (ko) 고속단정의 주행성능 개선장치.
KR101226024B1 (ko) 선박
KR20140119219A (ko) 선박의 가스 배기유닛
KR101708395B1 (ko) 노즐
US11286010B2 (en) Mechanisms and methods to prevent debris from entering a vehicle cabin
KR101927547B1 (ko) 선박 추진 개선 장치
US1157423A (en) Boat.
KR102529215B1 (ko)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ATE511471T1 (de) Die dünung verringernde vorrichtung an bord einer schwimmenden struktur zur erleichterung des umschlags zwischen der struktur und einem transferschiff und schwimmende struktur damit
KR20130056483A (ko)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JP5843920B2 (ja) 船舶の気泡回収装置
KR102596134B1 (ko) 공기 윤활 장치
JP5729913B2 (ja) 摩擦抵抗低減型船舶
KR101599652B1 (ko) 선박의 저항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