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483A -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483A
KR20130056483A KR1020110122119A KR20110122119A KR20130056483A KR 20130056483 A KR20130056483 A KR 20130056483A KR 1020110122119 A KR1020110122119 A KR 1020110122119A KR 20110122119 A KR20110122119 A KR 20110122119A KR 20130056483 A KR20130056483 A KR 2013005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ip
weather shield
exhaust gas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동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483A/ko
Publication of KR2013005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63H21/34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having exhaust-gas defl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4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4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 F23J11/06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for conducting smok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관(7)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5)의 상면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10)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10)의 전방벽체(11)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1a)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10)의 후방벽체(12)는 상기 공기유입공(11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후방벽체(12)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 중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Exhaust gas flowing structure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 중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주로 디젤 엔진이 사용되고 이를 통한 동력으로 선박에 필요한 추진력을 얻는다.
그리고, 선박에는 각종 장비들과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들도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박내 탑재된 여러 설비들의 구동을 위해 공기의 공급이 필요하며, 공급된 공기는 연소에 활용된 후 배출가스와 함께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의 흡입과 배출 및 연소시 발생된 배출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선박의 선미부 주변에 연돌(funnel) 설비가 마련된다.
일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돌 설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연돌 설비는 연돌(5)의 상면에 배출관(7)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돌(5)의 상면인 웨더쉴드(9) 테두리를 둘러싸되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9)가 마련되며, 이밖에 상기 연돌(5) 내부에 연돌 설비로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미도시)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연돌 설비를 통해 공기가 처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공기 공급을 위한 흡입팬(미도시)에 의해 외부공기가 연돌(5) 내로 유입되면 연돌(5) 내의 기관실에 설치된 각종 장비, 즉 기관실, 메인엔진, 디젤 제네레이터, 보일러, 소각기 등의 필요처로 유입 공기가 공급되어 처리된 후 배출가스는 각각의 장비의 배출관(7)을 통해 선박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연돌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체방지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돌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 중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를 포함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웨더쉴드의 전방벽체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입량증대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증대구조는, 상기 웨더쉴드가 전방벽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서 상기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여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를 타고 발생되는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상승기류증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승기류증대수단은,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에어노즐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후방벽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그 하단의 에어유입부가 넓고 에어가 배출되는 그 상단인 에어배출부가 좁은 하광상협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부의 경사각은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 기울기보다 더 급격하게 기울어져 에어를 상향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 중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배출관(7)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5)과, 이 연돌(5)의 상면인 웨더쉴드(10)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10)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10)의 전방벽체(11)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1a)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10)의 후방벽체(12)는 상기 공기유입공(11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후방벽체(12)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선박이 전방으로 진행시 상기 웨더쉴드(10)의 전방벽체(11)의 공기유입공(11a)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그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후방벽체(12)의 경사면을 따고 상승기류를 형성하면서 상향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연돌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켜 이 배기가스가 선박에 정체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웨더쉴드(20)의 전방벽체(21)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입량증대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량증대구조는, 상기 웨더쉴드(20)가 전방벽체(2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서 상기 웨더쉴드(20)의 전방벽체(21)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21a)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여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웨더쉴드(30)의 후방벽체(32)를 타고 발생되는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상승기류증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승기류증대수단은, 상기 웨더쉴드(30)의 후방벽체(32)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에어노즐(33)일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33)은 상기 후방벽체(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그 하단의 에어유입부(33a)가 넓고 에어가 배출되는 그 상단인 에어배출부(33b)가 좁은 하광상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배출부(33b)의 경사각은 상기 웨더쉴드(30)의 후방벽체(32) 기울기보다 더 급격하게 기울어져 에어를 상향 배출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연돌(7)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더욱더 상방으로 유도하여 선박으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는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 중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선체 주변에 정체되어 선박과 선적화물을 오염시키거나 팬룸 입구로 역류되어 승무원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연돌 7 : 배출관
9, 10 : 웨더쉴드 11 : 전방벽체
11a : 공기유입공 12 : 후방벽체
20 : 웨더쉴드 21 : 전방벽체
21a : 공기유입공 22 : 후방벽체
30 : 웨더쉴드 32 : 후방벽체
33 : 에어노즐 33a : 에어유입부
33b : 에어배출부

Claims (7)

  1. 배출관이 상향 돌출 설치되어 있는 연돌의 상면인 웨더쉴드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방이 개방된 벽체 구조의 웨더쉴드를 포함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선수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선박의 진행에 따른 맞바람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선박의 선미 측에 해당되는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는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후방벽체에 의해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쉴드의 전방벽체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입량증대구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증대구조는,
    상기 웨더쉴드가 전방벽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서 상기 웨더쉴드의 전방벽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여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를 타고 발생되는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상승기류증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기류증대수단은,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승기류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에어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후방벽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그 하단의 에어유입부가 넓고 에어가 배출되는 그 상단인 에어배출부가 좁은 하광상협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부의 경사각은 상기 웨더쉴드의 후방벽체 기울기보다 더 급격하게 기울어져 에어를 상향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KR1020110122119A 2011-11-22 2011-11-22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KR2013005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19A KR20130056483A (ko) 2011-11-22 2011-11-22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19A KR20130056483A (ko) 2011-11-22 2011-11-22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83A true KR20130056483A (ko) 2013-05-30

Family

ID=4866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119A KR20130056483A (ko) 2011-11-22 2011-11-22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00A (ko) * 2018-11-01 2020-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연돌장치
KR20230060745A (ko) 2021-10-28 2023-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00A (ko) * 2018-11-01 2020-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연돌장치
KR20230060745A (ko) 2021-10-28 2023-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81983A (en) A ship including a gas tank room
KR20090054818A (ko) 선박의 연소가스 배기 펀넬구조
KR20130056483A (ko)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KR20140079902A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 유도장치
KR20130010602A (ko) 선박의 연돌 배기구조
CN107264766B (zh) 船艇通风结构组件
KR20130134143A (ko) 선박
KR101247771B1 (ko) 선박의 배기소음 저감구조
KR101864467B1 (ko) 배기가스 배출을 촉진시키는 연돌 구조
KR20150035202A (ko) 선박용 펀넬의 상부구조
KR100807417B1 (ko) 선박의 배기가스 방향 제어를 위한 연돌구조
JP5530505B2 (ja) 空気潤滑装置
KR101226024B1 (ko) 선박
KR200454122Y1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촉진장치
WO2014087718A1 (ja) 海水吸入箱及び船舶
KR102573809B1 (ko) 선박 연돌장치
JP5046102B2 (ja) 気泡吸引防止型取水口装置
KR102100396B1 (ko) 선박의 연돌 구조물
KR20200000164U (ko) 선박 배기가스 배출용 펀넬 구조체
KR20170039899A (ko) 선박 구조
KR100852532B1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성능 향상를 위한 연돌구조
KR20160028863A (ko) 덕트팬을 이용한 배기가스 유도장치
KR102473593B1 (ko) 자동차 전용 운반선용 연돌 구조물
JP2012066741A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KR102473594B1 (ko) 자동차 전용 운반선용 연돌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