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96B1 - 선박의 연돌 구조물 - Google Patents

선박의 연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96B1
KR102100396B1 KR1020180084825A KR20180084825A KR102100396B1 KR 102100396 B1 KR102100396 B1 KR 102100396B1 KR 1020180084825 A KR1020180084825 A KR 1020180084825A KR 20180084825 A KR20180084825 A KR 20180084825A KR 102100396 B1 KR102100396 B1 KR 10210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base frame
outside ai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854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to KR102018008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하며 배기가스를 배기하는 복수의 배기관, 선박에 설치하며, 배기관을 감싸도록 상면판과 좌측면판과 우측면판과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전면판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면판의 하단 및 후면판과 연결되는 각각의 좌측면판 후단 및 우측면판 후단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및 후면판 부분을 감싸도록 선박에 설치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베이스프레임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함과 더불어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외측으로 통과하는 외기도 베이스프레임 외부의 양측방 및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하면서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키는 아웃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연돌 구조물{Funnel Structur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 중에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상에 연돌(Funnel)과, 거주구(Accommodation) 등 각종 구조체와, 화물 등을 탑재한 상태로 목적지까지 항해를 하며, 이러한 선박은 기관실에서 연료를 사용하는 주기관, 보조기관, 보일러와 같은 내연기관 및 외연기관으로부터 연소 후 배기가스가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이렇게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온도가 높고 유해한 성분이 많으며 검은색을 띠고 있어 배기관 주변에 위치한 각종 항해통신 장비들이 열 또는 그을음으로 인하여 손상되기도 하고, 화물 구역이 스모크(Smoke)로 인하여 오염될 뿐만 아니라, 기관구역에 재 유입되어 작업자나 선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박은, 연돌의 후방에 와류가 발생하면서 상기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들이 외기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선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기관을 최대한 높이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 경우 주변의 레이더 마스트(Radar mast), 에어 드래프트(Air draft) 등의 간섭 등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그 높이가 제한되므로 이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선박은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하여 연돌 주변의 장비나 구조물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되고, 또한 연돌 후방에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하여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대기 중으로 흐르지 못하여 선체와 작업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에 대한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0343호(2014.01.16)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연돌 후방의 와류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멀리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여 선체와,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선체에 탑재되는 구조물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하며 배기가스를 배기하는 복수의 배기관, 상기 선박에 설치하며, 상기 배기관을 감싸도록 상면판과 좌측면판과 우측면판과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 및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각각의 좌측면판 후단 및 우측면판 후단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및 후면판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프레임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외측으로 통과하는 외기도 상기 베이스프레임 외부의 양측방 및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하면서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키는 아웃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상기 유입구가 복수로 분할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유선형 판재, 복수의 유선형 판재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프레임은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프레임은, 상기 좌측면판의 좌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좌측면판, 상기 우측면판의 우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우측면판, 상기 후면판의 후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 후면판은 반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판과 상기 우측면판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좌측면판과 상기 아웃프레임 사이 및 상기 우측면판과 상기 아웃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외기 중 일부를 상승되게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연돌 구조물은, 베이스프레임의 유입구로 유입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아웃프레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 후방에서 상승되고, 베이스프레임의 외부 양측으로 이동하는 외기는 아웃프레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및 후방에서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켜 대기 중으로 멀리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바, 배기가스에 의한 선박의 손상방지 및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선박의 연돌 구조물은, 배기관(100), 베이스프레임(200), 아웃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기관(100)은 선박(도면미도시)의 데크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박의 기관실 내에 설치된 내연기관이나 외연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기관들로부터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선박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 한다. 도 2에서, 상기 배기관(1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은 배기가스를 상기 선박의 후방으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선미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휘어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상기 배기관(100)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에 결합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상기 배기관(100)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기관(100)을 보호함과 더불어 상기 선박의 운항시 선측에서 외기가 유입된 후 후측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상면판(210), 좌측면판(220), 우측면판(230), 전면판(240), 후면판(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판(210)은 상기 선박의 데크 상방에 수평상태로 배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배기관(100)의 상단 부분을 관통 상태로 연결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상면판(210)에는 상기 배기관(100)을 대응되게 관통 배치할 수 있도록 체결공(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판(210)의 후단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상면판(210)의 외측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외기가 상기 상면판(210) 후방에서 상승되게 할 수 있도록 스포일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212)는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면판(220)은 상기 배기관(100)의 좌측에 배치하는 벽 부분이며, 상기 우측면판(230)은 배기관(100)의 우측에 배치하는 벽 부분으로, 상기 좌측면판(220) 상단과 상기 우측면판(230)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면판(210)의 양측에 고정 결합하며, 상기 좌측면판(220) 하단과 상기 우측면판(230)의 하단은 상기 선박에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좌측면판(220)과 상기 우측면판(230)은 상기 전면판(240)의 유입구(201)를 통해 베이스프레임(2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좌측면판(220)의 외측면 및 상기 우측면판(220)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 베인(203)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베인(203)은 상기 좌측면판(220)의 외측 및 상기 우측면판(220)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외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좌측면판(220)과 이후 설명될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좌측면판(310) 사이를 이동하는 외기 중 일부와 상기 우측면판(230)과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우측면판(320) 사이를 이동하는 외기 중 일부를 상승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가이드 베인(230)은 상기 외기를 상승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베인(23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베인(230)을 통과하는 외기의 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배기관(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안정적으로 상승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40)은 상기 배기관(100)의 선측에 배치하는 벽 부분이며, 상기 후면판(250)은 상기 배기관(100)의 후측에 배치하는 벽 부분으로, 상기 전면판(240)은 상기 선박의 운항시 외기가 상기 상면판(210)과 상기 좌측면판(220) 및 상기 우측면판(2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유입구(2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201)는 상기 전면판(240) 부분을 개방되게 하면서 외기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전면판(240)은 선박의 항해시 외기에 의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40)은 상기 유입구(201)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게 하여, 외기의 유입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유선형 판재(231)와 연결지지부재(2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선형 판재(231)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하게 배치하며, 상기 연결지지부재(242)는 바 형상 부재로, 복수의 유선형 판재(231)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인접하는 유선형 판재(231) 사이를 연결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판(250)의 하단 및 상기 후면판(250)과 연결되는 각각의 좌측면판(220) 후단 및 우측면판(220) 후단에는 상기 전면판(240)의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다시 배출되게 하도록 배출구(202)가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배출구(202)가 상기 후면판(250)과 상기 좌측면판(220) 후단 및 상기 우측면판(220) 후단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이후 설명될 아웃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배기관(100)의 후측 및 좌우측에서 상승되며 배기가스를 안정적으로 상승되게 한다.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 외측과 우측면판(230) 외측으로 통과하는 외기도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외부 양측방 및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하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선박의 운항시나 바람이 불 때,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외기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외부 양측으로 이동하는 외기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외부에서 상승되게 하면서, 상기 배기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승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전방을 제외한 양측방 및 후방에서 외기가 상승되게 하면서 상기 배기관(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하강을 방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과 우측면판(230) 및 후면판(250)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에 결합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과 우측면판(230) 및 후면판(250)에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선박의 운항시나 바람이 불 때, 상기 외기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아웃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사이에서 외기가 배출될 때 압력을 높아지게 함과 더불어 유속도 빨라지게 하면서 상기 배기관(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하강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 아웃프레임(300)은 아웃 좌측면판(310), 아웃 우측면판(320), 아웃 후면판(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에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하는 벽 부분이며,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우측면판(230)에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하는 벽 부분으로,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의 하단과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의 하단은 상기 선박에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과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외부 양측으로 이동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양측방에서 상방으로 상승되게 함과 더불어 후방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상기 아웃 후면판(3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후면판(250)에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하는 벽 부분으로, 상기 아웃 후면판(330)의 하단은 상기 선박에 고정 결합하며, 양측단은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의 후단 및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의 후단에 연결되게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아웃 후면판(3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형성된 배출구(202)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으로 배출되는 외기 및,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과 상기 좌측면판(220) 사이 및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과 상기 우측면판(230) 사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으로 이동된 외기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에서 상승되게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 후면판(330)은 반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외기를 상기 아웃 후면판(330)의 중앙부로 이동되게 하면서 압력은 높아지게 하고 유속은 빨라지게 한 후, 상승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의 선박의 연돌 구조물의 배기가스 배출시 배기가스의 흐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박의 운항시에 외기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유입구(201)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과 상기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좌측면판(310) 사이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우측면판(230)과 상기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우측면판(320) 사이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후면판(330)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배기관(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좌측면판(220)과 상기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좌측면판(310) 사이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우측면판(230)과 상기 아웃프레임(300)의 아웃 우측면판(320) 사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아웃 좌측면판(310) 및 상기 아웃 우측면판(320) 및 아웃 후면판(33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전방을 제외한 양측방 및 후방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배기관(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되게 하여, 상기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멀리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여 상기 선박의 손상방지 및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돌 구조물은, 상기 선박의 운항시 상기 배기관(100)을 감싸도록 선박에 설치된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유입구(201)로 유입된 후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아웃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후방에서 상승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외부 양측으로 이동하는 외기는 상기 아웃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양측 및 후방에서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기관(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켜 대기 중으로 멀리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바, 상기 배기가스에 의한 상기 선박의 손상방지 및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기관 200: 베이스프레임
201: 유입구 202: 배출구
210: 상면판 220: 좌측면판
230: 우측면판 240: 전면판
250: 후면판 300: 아웃프레임
310: 아웃 좌측면판 320: 아웃 우측면판
330: 아웃 후면판

Claims (5)

  1. 선박에 설치하며 배기가스를 배기하는 복수의 배기관과;
    상기 선박에 설치하며, 상기 배기관을 감싸도록 상면판과 좌측면판과 우측면판과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 및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각각의 좌측면판 후단 및 우측면판 후단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및 후면판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프레임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외측으로 통과하는 외기도 상기 베이스프레임 외부의 양측방 및 후방에서 상승되게 유도하면서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승시켜 대기 중으로 멀리 퍼져 나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배기가스에 의한 상기 선박의 손상방지 및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아웃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판의 후단 테두리 부분에는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스포일러가 형성되어, 상기 상면판의 외측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외기가 상기 스포일러를 통해 상기 상면판 후방에서 상승되고,
    상기 좌측면판과 상기 우측면판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좌측면판과 상기 아웃프레임 사이 및 상기 우측면판과 상기 아웃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외기 중 일부를 상승되게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베인을 통과하는 외기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상기 유입구가 복수로 분할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유선형 판재와,
    복수의 유선형 판재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프레임은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프레임은,
    상기 좌측면판의 좌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좌측면판과,
    상기 우측면판의 우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우측면판 및,
    상기 후면판의 후측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하는 아웃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 후면판은 반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선박의 연돌 구조물.


  5. 삭제
KR1020180084825A 2018-07-20 2018-07-20 선박의 연돌 구조물 KR10210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25A KR102100396B1 (ko) 2018-07-20 2018-07-20 선박의 연돌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25A KR102100396B1 (ko) 2018-07-20 2018-07-20 선박의 연돌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54A KR20200009854A (ko) 2020-01-30
KR102100396B1 true KR102100396B1 (ko) 2020-04-13

Family

ID=6932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25A KR102100396B1 (ko) 2018-07-20 2018-07-20 선박의 연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888U (ko) * 1974-04-22 1975-11-06
JPS6086739U (ja) * 1983-11-19 1985-06-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舶用煙突構造
JPH0572697U (ja) * 1992-03-04 1993-10-05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舶用煙突の煙害防止装置
KR20160046013A (ko) * 2014-10-17 2016-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54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454B1 (ko) 선박용 scr 환원제 공급 시스템
KR20130055018A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선박
CN112357042B (zh) 船舶动力设备舷外冷却换热系统
KR102100396B1 (ko) 선박의 연돌 구조물
KR20140079902A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 유도장치
JP2014125033A (ja) 摩擦抵抗低減型船舶
KR20130134143A (ko) 선박
CN112357039B (zh) 动力设备壳侧冷却换热系统
KR20130134142A (ko) 선박
KR101247771B1 (ko) 선박의 배기소음 저감구조
CN107264766B (zh) 船艇通风结构组件
JP3730163B2 (ja) 小型滑走艇の検査装置
KR101226024B1 (ko) 선박
JP4237666B2 (ja)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KR102473593B1 (ko) 자동차 전용 운반선용 연돌 구조물
KR102473594B1 (ko) 자동차 전용 운반선용 연돌 구조물
WO2022088531A1 (zh) 船舶柴油动力系统
JP7297690B2 (ja) 船舶
KR20170039899A (ko) 선박 구조
KR102573809B1 (ko) 선박 연돌장치
CN205998096U (zh) 一种天然气燃料动力疏浚工程船气罐布置结构
KR20130056483A (ko) 선박용 배기가스 유동구조
NL2028602B1 (en) Marine Diesel Power System
US7281480B2 (en) Frictionally reduced hull
CN109774908A (zh) 适用于船舶的混合推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