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215B1 -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215B1
KR102529215B1 KR1020180079873A KR20180079873A KR102529215B1 KR 102529215 B1 KR102529215 B1 KR 102529215B1 KR 1020180079873 A KR1020180079873 A KR 1020180079873A KR 20180079873 A KR20180079873 A KR 20180079873A KR 102529215 B1 KR102529215 B1 KR 10252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hibious vehicle
air inlet
inclination angle
unit
amphib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301A (ko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각 측정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기준 각도와 비교하여 상기 작동부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looding prevention of amphibious vehicle}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기술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륙 양용 차량의 전복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공기 유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수륙 양용 차량은 육상과 수상을 동시에 운행이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수륙 양용 차량의 경우 다양한 산업분야 및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수륙 양용 차량의 경우 본체에 육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궤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수륙 양용 차량은 본체의 해상 이동을 위하여 구동원으로 워터제트, 프로펠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륙 양용 차량은 수상에서 이동시 수륙 양용 차량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수륙 양용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내연 기관의 연소를 위해 사용되거나, 내부 탑승자들의 생존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수륙 양용 차량이 수상에서 운행시 공기외에도 해수가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륙 양용 차량이 수상에서 이동 중에 해수가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에는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수륙 양용 차량이 과도하게 기울어져 전복 위험 상황이 발생되거나 수륙 양용 차량이 전복된 경우 공기 유입구를 신속하게 폐쇄해야 한다.
이때, 수륙 양용 차량의 공기 유입구 폐쇄는 수륙 양용 차량 내부의 탑승자가 수동으로 폐쇄해야 한다. 따라서, 해수 유입에 따른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9651호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각 측정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기준 각도와 비교하여 상기 작동부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흡기 차단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경사각이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경사각이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된 흡기 차단 밸브를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엔진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과 기준 각도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를 통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이 전복될 상황 등 위급 상황인 경우에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급 상황에 수륙 양용 차량 내부로 과도한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 내부로 해수가 유입됨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가 적용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가 적용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100)는 경사각 측정부(110), 제어부(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수륙 양용 차량(1)이 해상에서 운행 중인 경우에 수륙 양용 차량(1)과 해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의 경로 산출, 경사각 측정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복합 항법 장치 일 수 있다. 다만, 경사각 측정부(110)는 복합 항법 장치로 한정되지 않고,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도 있다.
경사각 측정부(110)는 측정한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 정보를 제어부(120)로 송신한다. 이때,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 정보외에 경로 등의 다른 정보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를 기준 각도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기준 각도는 수륙 양용 차량(1)이 전복될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각도는 45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를 기준 각도와 비교하여 작동부(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부(130)가 공기 유입구(2)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가 상기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는 작동부(130)가 공기 유입구(2)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를 기준 각도와 비교하여 엔진(미도시)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을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120)는 경사각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경사각 정보가 상기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작동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작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기 유입구(2)를 개폐시킨다. 구체적으로, 작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기 유입구(2)의 흡기 차단 밸브(3)를 조절하여 공기 유입구(2)를 개폐시킨다.
예를 들어, 작동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공기 유입구(2)를 개방하라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흡기 차단 밸브(3)를 수륙 양용 차량(1)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유입구(2)를 개방시킨다. 이때, 수륙 양용 차량(1)의 하측 방향은 수륙 양용 차량(1)이 해상에서 운행중인 경우에 해상측을 의미한다.
도 3은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a) 는 공기 유입구가 개방 상태일 때 정면도이고, 도 3 (b)는 공기 유입구가 개방 상태일 때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구(2)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외부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륙 양용 차량(1)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륙 양용 차량(1) 내부에 있는 선원 등이 공기를 공급받게 되고, 내연기관이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공기 유입구(2)를 폐쇄하라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흡기 차단 밸브(3)를 수륙 양용 차량(1)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유입구(2)를 폐쇄시킨다. 이때, 수륙 양용 차량(1)의 상측 방향은 수륙 양용 차량(1)이 해상에서 운행중인 경우에 상공측을 의미한다.
도 4는 수륙 양용 차량에 장착된 공기 유입구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a) 는 공기 유입구가 폐쇄 상태일 때 정면도이고, 도 4 (b)는 공기 유입구가 폐쇄 상태일 때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유입구(2)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외부 공기 또는 해수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수륙 양용 차량(1)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공기 유입구(2)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수륙 양용 차량(1)이 전복된 경우라도 해수가 유입되지 않아 수륙 양용 차량(1) 내부에 있는 선원 등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을 측정한다(S101). 구체적으로, 경사각 측정부(110)는 수륙 양용 차량(1)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수륙 양용 차량(1)이 해상에서 운행 중인 경우에 수륙 양용 차량(1)과 해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S101 단계에서 측정한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을 기준 각도와 비교한다(S103). 이때, 상기 기준 각도는 수륙 양용 차량(1)이 전복될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각도는 45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S103 단계에서 비교 결과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이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면 작동부(130)를 제어하여 공기 유입구(2)를 폐쇄시킨다(S105, S107).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작동부(130)를 통해 흡기 차단 밸브(3)를 수륙 양용 차량(1)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유입구(2)를 폐쇄시킨다. 이때, 수륙 양용 차량(1)의 상측 방향은 수륙 양용 차량(1)이 해상에서 운행중인 경우에 상공측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S103 단계에서 비교 결과 수륙 양용 차량(1)의 경사각이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면 수륙 양용 차량 내부에 장착된 엔진을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륙 양용 차량
2 : 공기 유입구
3 : 흡기 차단 밸브
100 :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110 : 경사각 측정부
120 : 제어부
130 : 작동부

Claims (6)

  1.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각 측정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기준 각도와 비교하여 상기 작동부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흡기 차단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흡기 차단 밸브를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시키거나 상기 흡기 차단 밸브를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도록 구동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각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경사각이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수륙 양용 차량의 경사각과 기준 각도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에서 비교 결과를 통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작동부가 흡기 차단 밸브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시키거나 상기 작동부가 상기 흡기 차단 밸브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방법.
KR1020180079873A 2018-07-10 2018-07-10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2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73A KR102529215B1 (ko) 2018-07-10 2018-07-10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73A KR102529215B1 (ko) 2018-07-10 2018-07-10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01A KR20200006301A (ko) 2020-01-20
KR102529215B1 true KR102529215B1 (ko) 2023-05-03

Family

ID=6936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873A KR102529215B1 (ko) 2018-07-10 2018-07-10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2663A (ja) * 2012-02-07 2013-08-19 Toyota Motor Corp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65B1 (ko) 2002-04-02 2005-03-25 최윤상 접이식 방호부양장치와 수륙양용장갑차
GB2420592B (en) * 2004-11-29 2007-04-25 Gibbs Tech Ltd An exhaust cooling system of an amphibious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2663A (ja) * 2012-02-07 2013-08-19 Toyota Motor Corp 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01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39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атчика обнаружения объект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2514557A (zh) 用于车辆的喷气式紧急安全系统
KR102529215B1 (ko)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6604839B (zh) 用于控制用于车辆内部空间的通风系统的方法
JP2004131055A (ja) エネルギー形成のための装置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
US9649901B2 (en) Amphibious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mphibious vehicle
RU2014142908A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пассажира от блокировки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148357U1 (ru) Вытяж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016103920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истемы отведения воздуха
US3042290A (en) Inflation aspirator lock
KR20160020928A (ko)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5299865A (ja) 水素貯蔵タンクの防護方法及び装置
KR1024452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4019174A (ja) 航空機の水流入防止装置、航空機用気圧調整弁、航空機
KR102099523B1 (ko)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및 선박
CN106864435A (zh) 一种机场摆渡车安全系统
KR101531398B1 (ko) 피난처 보호 장치를 지닌 선박
CN208730935U (zh) 一种汽车防落水及高空坠落的安全避障装置
KR20160046013A (ko) 배기가스 흐름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굴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80066409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818694A (zh) 一种弓网接触压力自适应调节方法、装置和系统
KR1020372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98622A (ko) 잠수정의 흡배기 차단장치
JP2016060429A (ja) 車両用救援装置
KR0174054B1 (ko) 차량의 부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