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229A -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229A
KR20160045229A KR1020140140173A KR20140140173A KR20160045229A KR 20160045229 A KR20160045229 A KR 20160045229A KR 1020140140173 A KR1020140140173 A KR 1020140140173A KR 20140140173 A KR20140140173 A KR 20140140173A KR 20160045229 A KR20160045229 A KR 2016004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566B1 (ko
Inventor
조승환
권도현
심동환
심수연
이민정
이성은
이일정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566B1/ko
Priority to US14/713,933 priority patent/US9711578B2/en
Publication of KR2016004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자발광형 표시장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덮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 및 상기 상부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 및 상기 상부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배선들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과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층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 및 상기 상부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상기 상부층의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의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화소는,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배선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덮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톡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RC delay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하나의 화소 회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화소(1)를 포함하는 표시부(10),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발광 제어 구동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표시부(10)는 복수의 주사선(SL1 내지 SLn+1), 복수의 데이터선(DL1 내지 DLm), 및 복수의 발광 제어선(EL1 내지 ELn)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대략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1)를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L1 내지 SLn+1) 및 복수의 발광 제어선(EL1 내지 ELn)은 행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데이터선(DL1 내지 DLm) 및 구동 전압선(ELVDDL)은 열 방향인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화소 라인에서 복수의 주사선(SL1 내지 SLn+1)의 n 값은 복수의 발광 제어선(EL1 내지 ELn)의 n 값과 상이할 수 있다.
각 화소(1)는 표시부(10)에 전달되는 복수의 주사선(SL1 내지 SLn+1) 중 세 개의 주사선에 연결되어 있다. 주사 구동부(20)는 복수의 주사선(SL1 내지 SLn+1)을 통해 각 화소(1)에 세 개의 주사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즉, 주사 구동부(20)는 제1주사선(SL2~SLn), 제2주사선(SL1~SLn-1) 또는 제3주사선(SL3~ SLn+1)으로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초기화 전압선(IL)은 외부의 전원 공급원(VINT)으로부터 표시부(10) 초기화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각 화소(1)는 표시부(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선(DL1 내지 DLm) 중 하나의 데이터선, 표시부(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제어선(EL1 내지 ELn) 중 하나의 발광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복수의 데이터선(DL1 내지 DLm)을 통해 각 화소(1)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 신호는 제1주사선(SL2~SLn)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1)로 공급된다.
발광 제어 구동부(40)는 복수의 발광 제어선(EL1 내지 ELn)을 통해 각 화소에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발광 제어 신호는 화소(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발광 제어 구동부(40)는 화소(1)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R, G, B)를 복수의 영상 데이터 신호(DR, DG, DB)로 변경하여 데이터 구동부(30)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MCLK)를 전달받아 상기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및 발광 제어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에 전달한다. 즉, 제어부(50)는 주사 구동부(20)를 제어하는 주사 구동 제어 신호(SCS), 데이터 구동부(30)를 제어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CS), 및 발광 제어 구동부(40)를 제어하는 발광 구동 제어 신호(ECS)를 각각 생성하여 전달한다.
복수의 화소(1) 각각은 외부의 제1전원전압(ELVDD) 및 제2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는다. 제1전원전압(ELVDD)은 소정의 하이 레벨 전압일 수 있고, 제2전원전압(ELVSS)은 상기 제1전원전압(ELVDD)보다 낮은 전압이거나 접지 전압일 수 있다. 제1전원전압(ELVDD)은 구동 전압선(ELVDDL)을 통해 각 화소(1)로 공급된다.
복수의 화소(1)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선(DL1 내지 DLm)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소정 휘도의 빛을 발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하나의 화소(1)의 등가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하나의 화소(1)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1 내지 T7) 및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2)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1)는 화소 회로(2)를 통해 구동 전류를 전달받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 및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한다.
화소(1)는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에 제1주사 신호(Sn)를 전달하는 제1주사선(14),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에 제2주사 신호(Sn-1)를 전달하는 제2주사선(24),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에 제3주사신호(Sn+1)를 전달하는 제3주사선(34),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에 발광 제어 신호(En)를 전달하는 발광 제어선(15),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6), 제1전원전압(ELVDD)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26),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선(22)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 전극(C1)과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 게이트 전극(G1)은 제1전극과 동일한 층에 일체(一體)로 구비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소스 전극(S1)은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26)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드레인 전극(D1)은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화소(anode)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신호(Dm)를 전달받아 유기 발광 소자(OLE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한다.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데이터 전달 게이트 전극(G2)은 제1주사선(14)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데이터 전달 소스 전극(S2)은 데이터선(16)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데이터 전달 드레인 전극(D2)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26)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제1주사선(14)을 통해 전달받은 제1주사 신호(Sn)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선(16)으로 전달된 데이터 신호(Dm)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소스 전극(S1)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게이트 전극(G3)은 제1주사선(14)에 연결되어 있다.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소스 전극(S3)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node)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D3)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 전극(C1),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1초기화 소스 전극(S4)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함께 연결되어 있다.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는 제1주사선(14)을 통해 전달받은 제1주사 신호(Sn)에 따라 턴 온(turn on)되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구동 드레인 전극(D1)을 서로 연결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diode-connection)시킨다.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1초기화 게이트 전극(G4)은 제2주사선(24)과 연결되어 있다.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1초기화 드레인 전극(D4)은 초기화 전압선(22)과 연결되어 있다.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1초기화 소스 전극(S4)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 전극(C1),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D3)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함께 연결되어 있다.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는 제2주사선(24)을 통해 전달받은 제2주사 신호(Sn-1)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에 전달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의 전압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1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G5)은 발광 제어선(15)과 연결되어 있다.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1발광 소스 전극(S5)은 구동 전압선(26)과 연결되어 있다.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1발광 드레인 전극(D5)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소스 전극(S1) 및 데이터 전달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데이터 전달 드레인 전극(D2)과 연결되어 있다.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2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G6)은 발광 제어선(15)과 연결되어 있다.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2발광 소스 전극(S6)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드레인 전극(D1) 및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소스 전극(S3)과 연결되어 있다.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2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D6)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node)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2발광 제어 박막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선(15)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제어 신호(En)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어 제1전원전압(ELVDD)이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전달되어 유기 발광 소자(OLED)에 구동 전류(Id)가 흐르게 된다.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2초기화 게이트 전극(G7)은 제3주사선(34)에 연결되어 있다.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2초기화 소스 전극(S7)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node)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2초기화 드레인 전극(D7)은 초기화 전압선(22)과 연결되어 있다. 제2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7)는 제3주사선(34)을 통해 전달받은 제3주사신호(Sn+1)에 따라 턴 온되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node) 전극을 초기화시킨다.
스토리지 캐피시터(Cst)의 제2 전극(C2)은 제1 전극(C1)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전극(C2)은 구동 전압선(26)과 같은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 전극(C1)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D3) 및, 제1초기화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1초기화 소스 전극(S4)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cathode) 전극은 제2전원전압(ELVSS)과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구동 전류(Id)를 전달받아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하나의 화소 회로(2)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기판(110) 상에 구비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형성되기 전에 버퍼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1)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블록킹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버퍼층(111)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버퍼층(111) 상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은 폴리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상기 반도체층(120)을 덮도록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이 반도체층(12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공정 과정에서 초기 단계에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은 기판(110)의 전면(全面) 에 적층될 수 있으나 이후 공정에서 일괄 패터닝에 의해 패터닝되는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은 반도체층(120)과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 게이트 전극(G1)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G1)의 물질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 상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는 제1 전극(141), 스토리지 절연층(151), 제2 전극(170)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 게이트 전극(G1)은 제1 전극(141)과 동일한 층에 일체(一體)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중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제1 전극(141)이 일체(一體)로 형성되므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가 중첩하여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중첩하여 배치하고 있어서, 제1 전극(141) 및 제2 전극(170)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저장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70)은 상기 제1 전극(14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141)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151)은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7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7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과 동일층에는 패턴 절연막(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절연막(133)은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의 형성시 동시에 상기 기판(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일괄 패터닝 공정에 의해 배선부 영역(A1)에만 패턴 절연막(133)이 남도록 형성되는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 절연막(133)은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과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동일층에는 패턴 전극(143) 및 제1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은 발광 제어선(15), 제1주사선(14), 제2주사선(24), 제3주사선(34), 초기화 전압선(22), 및 메시 구동전압선(26') 등 구동 게이트 전극(G1)과 동일층에 배치되는 배선일 수 있다.
상기 패턴 전극(143)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151)과 동일층에 상부층(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151)이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7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상부층(153)은 절연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스토리지 절연층(151)의 형성시 함께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이 형성되는 영역에 패턴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100)는 도 3에서 기판(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배선이 형성되는 영역(A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00)는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은 모두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가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 절연막(133)은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의 형성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 전극(143)은 구동 게이트 전극(G1) 및 제1 전극(141)의 형성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층(153)은 스토리지 절연층(151)의 형성시 함께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절연막(133)과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 패턴 전극(143)과 제1 전극(141), 상부층(153)과 스토리지 절연층(151)은 각각 모두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층이 모두 동일층에 적층 형성된 후 일괄 패터닝 공정에 의해 각각의 층이 패터닝되어 상기 배선 형성 영역(A1)에는 패턴부(100) 만이 남아 형성될 수 있다.
일괄 패터닝 공정에 의해 패턴부(100)만이 남도록 형성되는 상세한 제조 방법에 대하여는 이후 후술하도록 한다.
각각의 층이 패터닝에 의해 제거되고 상기 패턴부(100)만이 남도록 형성됨에 따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와 다른 배선들 사이에는 패턴 절연막(133)과 상부층(153)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판(110) 상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층들이 적층된 후 일괄적으로 패터닝되는바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는 패턴부(100)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들 사이에는 패턴 절연막(133) 및 상부층(153)이 존재하지 않아 배선 간에 영향을 미치는 커플링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든다. 배선 간에 영향을 미쳐 크로스 톡(X-talk)문제를 발생시키는 커플링 현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패턴부(100)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최상부에 위치한 제2 전극(170)의 상부에 구비되는 층간 절연막(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100)의 상부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뿐만 아니라 패턴부(100)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층간 절연막(160)은 층이 나뉘어져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물질인 유기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 절연막(16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유기물이면 어떤 물질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간 절연막(160)은 기판(110)의 상부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이 형성되는 층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패턴부(100)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공간이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100)의 상부뿐만 아니라 패턴부(100)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사이의 공간 또한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이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패턴부(100)를 제외한 부분은 패터닝에 의해 모두 제거되므로 패턴부(100)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사이의 공간 또한 층간 절연막(160)으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 및 패턴 절연막(133)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과 상기 패턴 절연막(133)의 사이에는 일괄 패터닝 공정에 의해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151) 및 상기 상부층(153)이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151)과 상기 상부층(153)의 사이에는 일괄 패터닝 공정에 의해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종래에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이 패터닝되지 않고 구동 게이트 절연막(131), 제1 전극(141), 스토리지 절연층(151)과 함께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던 구조와 명백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100)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사이의 공간 또한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160)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종래에 패터닝을 하지 않고 패턴 절연막(133), 패턴 전극(143) 및 상부층(153)이 적층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구조적인 측면, 재료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구조적으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일괄 패터닝이 수행되지 않아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층간 절연막은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제2 전극의 상부에만 적층되어 형성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경우 일괄 패터닝에 의해 패턴부(100)가 형성되는바 패턴부(100)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층간 절연막(160)으로 채워질 수 있다.
재료적으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상부층(153) 및 스토리지 절연층(151)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 간에 형성되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141) 및 패턴 절연막(143) 또한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배선들 사이에 무기물로 이루어진 막들이 존재하였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경우에는 패턴부(100)가 형성됨에 따라 배선들 사이에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배선들 간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만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 톡(X-talk)문제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크로스 톡(X-talk)이란 배선들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커플링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써 표시 장치에 얼룩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커플링 현상은 유전율이 클수록 많이 발생하게 되고 유기물의 경우 무기물보다 유전율이 작기 때문에 커플링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배선들 사이에 유기물만이 존재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경우에는 커플링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크로스 톡(X-talk)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기판(100) 상에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2~T7,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괄 패터닝 공정을 통해 패턴부(100)가 형성됨에 따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액티브층(120)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2~T7)의 액티브층(120) 사이에도 상기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2~T7)의 배선들 사이도 모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T1~T7)의 액티브층 및 배선들 사이에도 모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이 구비됨에 따라 커플링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크로스 톡(X-talk)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기판(110)과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이 구비되는 층의 사이에 있어서 패턴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으로 모두 채워질 수 있어 RC delay가 저감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RC delay란 신호가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써 이러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표시 장치의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 RC delay는 배선간 혹은 전극간의 거리와 유전율에 영향을 받는다. 즉, 배선간 혹은 전극간의 거리가 멀수록, 유전율이 작을수록 RC delay가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일괄 패터닝에 의해 패턴부(100)를 형성하고 일괄 패터닝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에 모두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을 형성할 수 있어 RC delay가 저감될 수 있다. 이는 유기물의 경우 무기물보다 유전율이 작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제2 전극(170)의 상부에만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던 것과 달리 기판(110)의 상부에서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이 형성된 층까지 모두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됨에 따라 층간 절연막(160)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일괄 패터닝에 의해 패턴부(100)를 형성하고 나머지 공간을 유기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0)으로 채움에 따라 크로스 톡(X-talk) 문제가 개선되고 RC delay가 저감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되는 컨택홀(163)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택홀(CNH)의 형성은 마스크를 통한 패터닝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건식 식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식각 공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층간 절연막(160)의 상부에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은 컨택홀(163)을 통하여 각각 반도체층(12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을 덮는 비아층(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181) 또는 드레인 전극(183)이 노출되는 비아홀을 더 형성한다. 또한, 비아홀을 통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191)을 비아층(190) 상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층간 절연막(160)에 스토리지 절연막(151)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1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61)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전극(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70)은 제1 전극(141)과 중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개구부(161)는 제1 전극(141)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70)은 상기 개구부(161)에 배치되어, 스토리지 절연막(151)의 상면과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70)은 개구부(161)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170)은 개구부(161)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전극(C2)은 상기 소스 전극(S1, S6) 및 드레인 전극(D1, D6)이 형성될 때 동시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전극(C2)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마스크 공정 수가 줄어드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도 4에서 개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과정을 예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 버퍼층(111)을 적층시키고 반도체층(120)을 형성한다. 그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130)을 형성한다.
반도체층(120)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증착 방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이 때, 결정질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방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SPC(solid phase crystallzation)법, ELA(excimer laser annealing)법, MIC(metal induced crystallzation)법, MILC(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zation)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정화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서 패터닝 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상기 반도체층(120)과 그 상부에 형성될 구동 게이트 전극(G1)을 절연하는 것으로, 상기 반도체층(120)을 덮으며 기판(110) 전면(全面)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게이트 절연막(130)은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또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PECVD) 등 다양한 증착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 상기 반도체층(12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게이트 전극(140)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40)을 게이트 절연막(130)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40)의 물질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140) 및 제1 배선의 상부에 스토리지 절연막(151)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서 게이트 절연막(130), 게이트 전극(140) 및 스토리지 절연막(151)은 패터닝 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 게이트 전극(140) 및 스토리지 절연막(151)이 일괄적으로 패터닝 됨에 따라 배선 영역(A1)에는 패턴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00)는 패턴 절연막(131), 패턴 전극(143), 상부층(153)이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고 적층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괄 패터닝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100)와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기판(110)상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패턴부(100) 및 구동 게이트 전극(G1)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160)을 기판(110)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기판(110) 상의 빈 공간이 모두 층간 절연막(160)으로 채워지도록 층간 절연막(1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60)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층간 절연막(160)에 개구부(161) 및 컨택홀(16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61) 및 상기 컨택홀(163)의 형성은 마스크를 통한 패터닝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건식 식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식각 공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60)의 상부에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은 컨택홀(163)을 통해 각각 반도체층(12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층간 절연막(160)의 개구부(161) 내부에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전극(17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81) 및 드레인 전극(183)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전극(170)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소스 전극(181), 상기 드레인 전극(183)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덮는 비아층(19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이 노출되는 비아홀(191a)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비아홀(193)을 통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191)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도 6 에 있어서, 도 4 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93), 및 대향 전극(195)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정의막(200) 및 스페이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00)은 화소 영역과 비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00)은 화소 전극(191)을 노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중간층(193), 대향 전극(195)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루게 된다.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화소 전극(191)과 대향 전극(195)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는 중간층(193)의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OLED)만을 도시하였으나, 표시 패널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유기 발광 소자(OLED) 마다 하나의 화소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화소별로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기판
111: 버퍼층
120: 반도체층
131: 구동 게이트 절연막
141: 제1 전극
151: 스토리지 절연층
170: 제2 전극
133: 패턴 절연막
143: 패턴 전극
153: 상부층
100: 패턴부

Claims (19)

  1.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덮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 및 상기 상부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8.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 및 상기 상부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배선들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과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층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 및 상기 상부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상기 상부층의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패턴 절연막의 사이는 상기 층간 절연막으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7.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화소는,
    기판 상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배선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구동 게이트 절연막;
    상기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절연막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리지 절연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절연막,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상부층은 소정의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도록 일괄 패터닝되어 패턴부를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덮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기판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층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140173A 2014-10-16 2014-10-16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6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73A KR102366566B1 (ko) 2014-10-16 2014-10-16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713,933 US9711578B2 (en) 2014-10-16 2015-05-15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73A KR102366566B1 (ko) 2014-10-16 2014-10-16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29A true KR20160045229A (ko) 2016-04-27
KR102366566B1 KR102366566B1 (ko) 2022-02-25

Family

ID=5574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173A KR102366566B1 (ko) 2014-10-16 2014-10-16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1578B2 (ko)
KR (1) KR102366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55A (ko) * 2017-12-14 2019-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3051B2 (en) * 2016-03-07 2018-08-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iggered image sensing with a display
KR102638296B1 (ko) * 2018-03-19 2024-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148506A (ko) *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6924B1 (en) * 1999-02-12 2003-06-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t least a pixel unit and a driver circuit unit over a same substrate
JP2009157069A (ja) * 2007-12-26 2009-07-16 Toppan Printing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92068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3923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3719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40102561A (ko) * 2013-02-14 2014-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반도체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65B1 (ko) 2005-09-08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43186B1 (ko) 2008-05-20 2010-0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637B1 (ko) 2008-12-26 2013-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리페어 방법
KR101182231B1 (ko) 2010-06-04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779785A (zh) 2012-07-25 2012-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US20150014663A1 (en) * 2013-07-11 2015-01-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76050B2 (en) * 2014-02-25 2016-03-0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6924B1 (en) * 1999-02-12 2003-06-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t least a pixel unit and a driver circuit unit over a same substrate
JP2009157069A (ja) * 2007-12-26 2009-07-16 Toppan Printing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92068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3923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3719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40102561A (ko) * 2013-02-14 2014-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반도체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55A (ko) * 2017-12-14 2019-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1482A1 (en) 2016-04-21
KR102366566B1 (ko) 2022-02-25
US9711578B2 (en)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26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552083B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34928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551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178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50095B2 (en)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capacitor overlapp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US7456811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1283B1 (ko) 박막 반도체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667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01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13340A (ko) 표시 장치
KR2015010558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20734A (ko) 커패시터 소자들,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521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618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2917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513318A (zh) 製造顯示面板之方法
KR2023002874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844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274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45231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2865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719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13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56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