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041A - 화장용 제품 - Google Patents

화장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041A
KR20160044041A KR1020167008043A KR20167008043A KR20160044041A KR 20160044041 A KR20160044041 A KR 20160044041A KR 1020167008043 A KR1020167008043 A KR 1020167008043A KR 20167008043 A KR20167008043 A KR 20167008043A KR 20160044041 A KR20160044041 A KR 2016004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cosmetic
surfactant
concentrat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흐로우하
에스터 퀴슈터스
야스민 쇼르브
클라우스 니엔딕
미렐라 빈첵
슈테파니 자이들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6004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세정 조성물의 생산에 적합한 오일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제품 {COSMETIC PRODUCTS}
본 발명은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종류의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한 오일 농축물, 및 또한 화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조성물은 모발 및 피부의 세정 및/또는 케어에 사용된다. 모발 또는 피부의 세정에서, 이상적으로, 모발 및/또는 피부의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을 가능한 유지하기 위해, 세정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지질 및 물의 손실은 가능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급적으로, 샤워 젤, 목욕 거품, 또는 모발 샴푸와 같은 화장용 조성물은 케어 요건 또한 만족시키도록 요구된다.
WO 2008/155075 에서 비알콕시화 계면활성제뿐 아니라 알킬폴리글리코시드,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오일 성분 및 물로 구성된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제를 기술하고 있다. 이 화장용 제제는 실리콘 오일의 침착을 향상시키고,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특색으로 하는 오일을 모발 샴푸 내에 비교적 많은 양으로 도입하기 때문에 컨디셔닝 작용을 하는 모발용 샴푸로서 적합하다.
다음으로 WO 2011/116881 에서 알킬(올리고)글리코시드, 보조-계면활성제, 비수용성 유기 오일 성분, 및 또한 왁스 및 물로 구성된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용 세정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알콕시화 화합물 외에는, 이 마이크로에멀젼은 많은 수의 C6-C10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식물성 오일, 또는 탄화수소, 왁스와 같은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왁스 마이크로에멀젼은 지질 성분의 상당히 높은 피부 침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긍정적인 세정 활성의 약화 없이, 피부의 건조와 같은 세정제 물질의 부정적인 영향을 제거한다.
독일 출원 공개 명세서 DE 10 2007 063 134 는 유화제 농축물을 층류 유동장 내에서 오일상과 접촉시켜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유화제 및 오일상의 특성에 관하여 높은 유연성이 허용되나, 층류 유동장에 제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은 오일 및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및/또는 지방 알콜 에테르 포스페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용성 액체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액상 샤워 오일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샤워 오일은 풍성한 거품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피부를 위한 보호를 제공하며 거품이 줄어드는 (foam-damping) 효과를 갖는 왁스 및 오일 성분을 포함했음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이며, 안정하고, 미세한 거품을 나타내는 샤워 젤 및 모발 샴푸와 같은 세정용 화장용 조성물을 원한다. 실제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풍성한 거품은 효과적인 세정과 동일한 것이며, 적은 양의 거품은 소비자들이 불필요하게 각각 많은 양의 샤워 젤 또는 모발 샴푸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한 매우 우수한 케어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세정 효과뿐만 아니라 거품이 줄어드는 오일 성분에도 불구하고 풍성한 거품을 나타내는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은 가능한 저온 작업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의도되었다.
의외로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트,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특정한 극성도을 갖는 선택된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을 사용했을 때 이러한 종류의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이 수득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 이 오일 농축물은, 놀랍게도, 물과 거의 자발적으로 자기유화하여, 미세한 수중유 (O/W) 에멀젼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오일 농축물을 사용하는 것은 오일을 많은 양 함유하고 있는 화장용 조성물의 단순하며 안정한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은 투명하고, 높은 세정 능력 및 우수한 지질 침착을 보였으며, 우수한 감각적 촉각 품질 및 뛰어난 거품 거동 즉, 우수하며 오래 지속되는 거품을 나타냈다. 상기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쉬우며, 저온 작업이 가능하며, 미세하며 안정한 에멀젼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위한 오일 농축물이다:
(a) 상온에서 액체이며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다음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
(c1) 5 내지 3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극성 오일 및 임의로,
(c2) 35 mN/m 초과의 극성도를 갖는 무극성 오일,
(c1) : (c1+c2) 의 혼합 비는 0.1 내지 1 의 범위 이내임,
(d) 및 또한 임의로, 증점제.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오일을 많은 양으로, 오일 농축물에 기반해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오일 농축물은 상온에서 액체인, 즉 약 10 내지 30 ℃ 의 범위 이내에서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음이온성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를 계면활성제 (a) 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 수성 젤, 또는 오일 현탁액과 같은 희석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에, 음이온성 화합물 (a) 은 가급적으로 거의 100 중량% 의 활성-물질 함량, 바람직하게 90 내지 100 중량% 의 활성-물질 함량, 바람직하게 95 내지 100 중량% 의 활성-물질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a) 는 염과 같이 음이온 형태로 이미 존재하고 있는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수용액에서 사용되었을 때만 음이온 형태로 전환 (해리됨) 되는 계면활성제이다. 다시 말해서, 임의로 pH 개질제 또는 pH 조절제의 첨가 하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하나의 해리기를 포함하거나 수용액에서 이러한 기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는 항상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염 또한 포함한다.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및 이들의 염은 하기 화학식 (Ⅰ)을 따르는 시트르산과 알콕시화 알콜의 모노-, 디- 및/또는 트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의 라디칼임:
Figure pct00002
(식 중 R4 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및/또는 알케닐 라디칼이고,
R5 는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20 의 수이고, 조건에 따라서 라디칼 R1, R2, 또는 R3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이외의 것임)].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염으로서, 상응하는 카르복시기는 해리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것은 R1, R2, 또는 R3 은 화학식 (Ⅱ) 의 라디칼이고, R4 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및/또는 알케닐 라디칼이고, R5 는 수소이며, n 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의 수인, 화학식 (Ⅰ) 을 나타내는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이다.
화학식 (Ⅱ) 를 따르는 에스테르의 알콕시화 알콜 성분의 전형적인 예는 평균적으로 1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카프로일 알콜, 카프릴릴 알콜, 2-에틸헥실 알콜, 카프릴 알콜, 라우릴 알콜, 이소트리데실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팔미톨레일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엘라이딜 알콜, 페트로셀리닐 알콜, 아랄킬 알콜, 가돌레일 알콜, 베헤닐 알콜, 에루실 알콜, 및 브라시딜 알콜의 첨가 생성물, 및 이들의 기술적인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R1, R2, 또는 R3 은 화학식 (Ⅱ) 의 라디칼이고, R4 는 12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 라디칼이고, R5 는 수소이며, n 은 5 내지 10 의 수인, 화학식 (Ⅰ) 을 나타내는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R1, R2, 또는 R3 이 화학식 (Ⅱ) 의 라디칼인 화학식 (Ⅰ) 을 나타내는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기술적인 혼합물로, 단,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에 기반하여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더욱 특히 75 내지 80 중량% 의 양이고, 라디칼 R1, R2, 또는 R3 중 오로지 하나만 수소 이외의 것인 조건을 따른다.
뛰어나게 적합한 것은 5 내지 10, 더욱 특히 약 7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기술적인 C12-C18, 더욱 특히 C12-C14 지방 알콜 분획의 첨가 생성물에 기반한 알킬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라우릴 알콜과 예를 들어 상표명 Plantapon® LC7 (BASF & Personal Care & Nutrition GmbH) 로 시판되는 라우레스-7 시트레이트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이다.
원한다면,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뿐만 아니라 추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둘 다 상온에서 액체이거나 유리하게 오일 농축물 중의 용액으로 존재한다. 추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각각의 경우 이들의 염 형태로, 에테르카르복시산, 아실기 내에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사르코시드, 아실기 내에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타우라이드, 아실기 내에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알킬기 내에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설포석시닉 모노알킬 및 디알킬 에스테르 및 알킬기 내에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 내지 6 개의 옥시에틸기를 갖는 설포석시닉 모노알킬 폴리옥시에틸 에스테르,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칸설포네이트,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 8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알파-설포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알킬 설페이트, 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설페이트,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의 에스테르, 알킬 및/또는 알케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황산화 지방산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 및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및 또한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이라고 일컬어지는 C8-C30 지방 알콜과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또는 아미노산 및 이들 유도체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Lamepon®, Gluadin®, Hostapon® KCG, 또는 Amisoft®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a) 는 오일 농축물에 기반하여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더욱 특히 27 내지 32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화학식 (Ⅰ) 의,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는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a) 로서 단독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의 추가적인 성분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의 예는:
2 내지 3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0 내지 5 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8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 알콜,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 알킬기 내에 8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페놀, 및 또한 알킬 라디칼 내에 8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민과의 첨가 생성물;
알크(엔)일 라디칼 내에 8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이들의 에톡시화 유사체;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피마자유 및/또는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15 내지 6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피마자유 및/또는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글리세롤 및/또는 소르비탄과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선형 또는 포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3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의 부분 에스테르, 및 또한 이것과 1 내지 3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첨가 생성물;
폴리글리세롤 (평균 자기-축합 정도 2 내지 8),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400 내지 5000), 트리메틸올프로판, 당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알킬글리코시드 (예컨대, 메틸글루코시드, 부틸글루코시드, 라우릴글루코시드), 및 또한 폴리글리코시드 (예컨대, 셀룰로오스) 와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및/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3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의 부분 에스테르, 및 또한 이것과 1 내지 3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첨가 생성물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적인 예는: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의 혼합 에스테르 및/또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 메틸글루코스 및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의 혼합 에스테르; 모노-, 디-, 및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및 또한 모노-, 디- 및/또는 트리-PEG-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염; 라놀린 알콜; 폴리실록산-폴리알킬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상응하는 유도체;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중합체 유화제,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이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또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글리세롤의 부분 에스테르, 소르비탄의 부분 에스테르, 알킬- 및/또는 알케닐올리고글리코시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다.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또는 피마자 오일의 첨가 생성물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알려진 제품의 구성물이다. 이들은 평균 알콕시화 정도가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첨가 반응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기질의 성분의 양의 비에 상응하는 동족체들의 혼합물이다.
글리세롤의 부분 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릭 모노글리세리드, 하이드록시스테아릭 디글리세리드, 이소스테아릭 모노글리세리드, 이소스테아릭 디글리세리드, 올레익 모노글리세리드, 올레익 디글리세리드, 리시놀레익 모노글리세리드, 리시놀레익 디글리세리드, 리놀레익 모노글리세리드, 리놀레익 디글리세리드, 리놀레익 모노글리세리드, 리놀레익 디글리세리드, 에루식 모노글리세리드, 에루식 디글리세리드, 타르타릭 모노글리세리드, 타르타릭 디글리세리드, 시트릭 모노글리세리드, 시트릭 디글리세리드, 말릭 모노글리세리드, 말릭 디글리세리드, 및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제조 공정에서의 소량의 트리글리세리드를 계속해서 포함할 수 있는 이들의 기술적인 혼합물이다. 또한 적합한 것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언급된 부분 글리세리드의 첨가 생성물이다.
고려되는 소르비탄 부분 에스테르는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디올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에루케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디에루케이트, 소르비탄 트리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모노리신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리신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디리신올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리신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디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시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디시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말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말리에이트, 소르비탄 디말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말리에이트, 및 또한 이들의 기술적인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적합한 것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언급된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첨가 생성물이다.
또한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피부-친화적인 알킬- 및/또는 알케닐올리고글리코시드이다.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는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더욱 특히 포도당 또는 올리고당과 8 내지 22 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차 알콜과의 반응으로 제조된다. 글리코시드 라디칼에 대해서는 하나의 고리형 당 라디칼이 지방 알콜에 글리코시드 결합된 모노글리코시드 뿐만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의 올리고머화 정도를 나타내는 올리고머 글리코시드가 적합하다. 이 올리고머화 정도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 제품의 통상적인 동족체 분포에 기초한 통계적 평균값이다. 상표명 Plantcare® 로 시판 중인 제품은 평균 올리고머화 정도가 1 내지 2 인 올리고글루코시드 라디칼에 글리코시드 결합된 C8-C16 알킬기를 포함한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한 것은 글루카민-유래 아실글루카미드이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다. 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산 성분은 직선형, 분지형 사슬, 포화 및/또는 불포화이며 임의로 하이드록시기와 같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산 성분은 이소스테아르산 및/또는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 따라서, BASF Personal Care and Nutrition GmbH 에서 상표명 Lameform® TGI 로 시판 중인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물에서 쉽게 자기-유화하는 오일 농축물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임이 입증되었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적인 한 구현예에 따라서,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과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 더욱 특히 하기의 동족체 분포를 따르는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한 양은 괄호 안에 표기):
글리세롤 : 5 내지 35 (15 내지 30) 중량%
디글리세롤 : 15 내지 40 (20 내지 32) 중량%
트리글리세롤 : 10 내지 35 (15 내지 25) 중량%
테트라글리세롤 : 5 내지 20 (8 내지 15) 중량%
펜타글리세롤 : 2 내지 10 (3 내지 8) 중량%
올리고글리세롤 : 100 중량% 까지.
특히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BASF Personal Care and Nutrition GmbH 에서 상표명 Dehymuls® PGPH 으로 시판 중인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는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추가로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오일 성분은 극성 오일 (c1) 을 단독의 오일 성분이나 무극성 오일 (c2) 과의 혼합물 둘 중 하나로서 반드시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5 내지 3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극성 오일 (c1) 및 임의로 35 mN/m 초과의 극성도를 갖는 무극성 오일 (c2) 이 있는 오일 성분 (c) 을 포함하며, (c1):(c1+c2) 의 혼합비는 0.1 내지 1 의 범위 이내이다.
혼합비는 (c1+c2) 의 질량에 관한 (c1) 의 질량의 비를 의미한다. 무극성 오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c2=0), (c1) : (c1+c2) 의 혼합비는 1 의 값에 상응하며, 즉, 오로지 극성 오일 (c1) 만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오일" 은 바람직하게는 23 ℃ 에서 액체 또는 점성 농도 (consistency) 를 갖는 수-불용성, 유기, 천연, 또는 합성, 화장용으로 적합한 오일을 의미한다. 문맥 내 "비수용성" 은 20 ℃ 에서 오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2 중량% 이하 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오일 성분 (c) 은 5 내지 30 mN/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8 mN/m 의 극성도를 갖는 극성 오일 (c1) 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오일 성분 (c) 이 35 mN/m 초과,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무극성 오일 (c2)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오일 성분 (c) 는 0.3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더욱 특히 약 0.45 내지 0.55 인 (c1):(c1+c2) 혼합 비를 갖는다.
오일의 극성도는 물에 대한 오일의 극성 지수 (계면 장력) 로서 정의된다. 극성도는 ASTM 방법 D971-99a (2004) 와 유사하게 계면 장력을 mN/m 의 단위로 측정하는 링 표면장력계 (예컨대, Kruss K 10) 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본 발명에서, 35 mN/m 초과의 극성도를 갖는 오일을 무극성, 5 내지 3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오일을 극성이라고 일컫는다.
적합한 극성 오일 (c1) 은, 예를 들어, 6 내지 18 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에 기반한 게르베 (Guerbet) 알콜 (예컨대, Eutanol® G), 선형 C6-C22 지방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 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및/또는 분지형 C6-C13 카르복시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 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올리에이트, 미리스틸 베헤네이트, 미리스틸 에루케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올리에이트, 세틸 베헤네이트, 세틸 에루케이트, 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올리에이트, 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스테아릴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리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팔미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리에이트, 올레일 베헤네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Cetiol J600®), 베헤닐 미리스테이트, 베헤닐 팔미테이트, 베헤닐 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이소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올리에이트, 베헤닐 베헤네이트, 베헤닐 에루케이트, 에루실 미리스테이트, 에루실 팔미테이트, 에루실 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올리에이트, 에루실 베헤네이트, 및 에루실 에루케이트이다. 또한 적합한 것은 선형 C6-C22 지방산과 분지형 알콜, 더욱 특히 2-에틸헥산올과의 에스테르, C3-C38 알킬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 지방 알콜, 특히 디에틸헥실 말레이트와의 에스테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폴리하이드릭알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이량체 다이올, 또는 삼량체 삼량체 트리올) 및/또는 게르베 알콜과의 에스테르, C6-C10 지방산에 기반한 트리글리세리드, C6-C18 지방산에 기반한 액체 모노-, 디-, 및/또는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C6-C22 지방 알콜 및/또는 게르베 알콜과 방향족 카르복시산, 특히 벤조산과의 에스테르, C2-C12 디카르복시 산과 1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이나 2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 6 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과의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분지형 1차 알콜, 치환된 시클로헥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Cetiol® CC) 와 같은 선형 및 분지형 C6-C22 지방 알콜 카보네이트,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에 기반한 게르베 카보네이트, 벤조산과 선형 및/또는 분지형 C6-C22 알콜과의 에스테르 (예컨대, Finsolv® TN), 디카프릴릴 에테르 (Cetiol® OE) 와 같이 알킬기당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 디알킬 에테르, 및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올의 개환 생성물 (Hydagen® HSP, Sovermol® 750, Sovermol® 1102) 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라서, 사용된 극성 오일 (c1) 은 글리세롤의 모노-, 디-, 및 트리-지방 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이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4 개, 더욱 특히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포화 및/또는 불포화 일 수 있으며, 이 에스테르는 천연 (식물 또는 동물) 원료로부터 화학적인 합성으로 수득된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식물 원료로부터 유래한 화합물로, 더욱 특히 8 및/또는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BASF Personal Care & Nutrition GmbH 에서 상표명 Myritol® 312 로 시판되는 제품 (INCI 명칭: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의 디- 및/또는 트리글리세리드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사용된 극성 오일 (c1) 은 화장품 산업에서 널리 알려진 식물성 오일이며, 예로 땅콩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옥수수 오일, 올리브 오일, 팜 핵 (palm kernel) 오일, 해바라기 오일, 대두 (soybean) 오일, 유채씨 오일, 아몬드 오일, 포도씨 오일, 홍화 (safflower) 오일, 맥아 오일, 달맞이꽃 오일,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아르간오일, 아보카도 오일, 및 기타 등등이다.
본 발명에서 특히 적합한 것은 올리브 오일, 대두 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및/또는 아보카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 오일 (c1) 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무극성 오일 (c2) 는 화장품 산업에서 널리 알려진 오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2 개, 더욱 특히 15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오일과 같은 탄화수소-기반 오일이 바람직하다. 예는 스쿠알란, 스쿠알렌, 액체 파라핀, 이소헥사데칸, 이소에이코데칸, 폴리데센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소첨가된 폴리이소부텐, 디알킬시클로헥산, 및 미네랄 오일이다. 바람직한 것은 25 내지 80 mPa·s 의 점성도를 갖는 저점성 파라핀 (파라미늄 퍼리퀴듐), 및/또는 오일성 액체로서 110 내지 230 mPa·s 의 점성도를 갖는 고점성 파라핀 (파라미늄 서브리퀴듐) 이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BASF SE 에서 상표명 Luvitol® 로 시판되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다. 본 발명에서 무극성 오일 (c2) 로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액체 파라핀 및/또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다.
본 발명에서 오일 성분 (c) 으로서 매우 성공적으로 사용된 것은 하기의 혼합물이다:
(c1) 식물성 오일 및,
(c2) 무극성 탄화수소-기반 오일, 더욱 특히 하기의 혼합물,
(c1) 식물성 오일 및,
(c2) 액체 파라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c1) 은 글리세롤과 8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 디- 및/또는 트리-지방 산 에스테르이고 (c2) 는 액체 파라핀인 혼합물을 오일 성분 (a) 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두 번째 구현예에 따라서, (c1) 은 해바라기 오일이고 (c2) 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인 혼합물이 오일 성분 (c) 으로 사용된다.
하기의 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형적인 오일의 극성도를 작성했다.
Figure pct00003
추가의 적합한 오일은 DE 102004003436 A1 에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여기에 도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04
또한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것은 13.5 mN/m 의 극성 지수를 나타내 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대두 오일이다.
본 발명에서, 오일 성분 (c) 은 오일 농축물에 기반해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오일 성분 (c) 이 왁스를 포함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이의 분율은 오일 성분에 기반해서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더욱 특히 15 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왁스는 상온 (21 ℃) 에서 단단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정한 변형성을 갖는 동물 또는 식물 유래 천연 물질이다. 왁스는 비수용성이나 지용성이며 발수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의 전형적인 예는 천연 왁스, 예를 들어 쇼레아 스테놉테라 (Shorea stenoptera) 버터 (cegesoft SH), 시어 버터, 칸데리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목랍 (japan wax), 아프리카 띠류 (esparto grass)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guaruma) 왁스, 쌀눈 오일 왁스, 사탕 수수 왁스, 오우리쿠리 (ouricury) 왁스, 몬탄 왁스, 밀랍, 쉘락 왁스, 경랍, 라놀린 (울 왁스), 미지선 그리스 (uropygial grease),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지랍), 페트롤라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왁스; 화학적으로 개질된 왁스 (하드 왁스), 예를 들어 몬탄 에스테르 왁스, 사솔(Sasol) 왁스, 수소첨가 호호바 왁스, 및 또한 합성 왁스,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이다. 바람직한 것은 천연 왁스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어버터 (또는 시어 지방, 카리테 지방 또는 가람 (galam) 버터) 이며, 이것은 식물 부티로스페르뭄 파르키 (Butyrospermum parkii), 즉 아프리카 시어 버터 나무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고체 지방 물질로, 시중에서 구입 가능하다. 이것의 용융 온도 범위는 35 내지 42 ℃ 이다. 시어 버터는 통상적으로 89 내지 98 중량% 의 트리글리세리드, 글리세롤 부분 에스테르, 및 유리 지방 산 (free fatty acids) 및 또한 2 내지 11 중량% 함량의 비비누화 (unsaponifiable) 성분을 포함하며, 성분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탄화수소 (카리텐), 트리테르펜 알콜, 및 스테롤이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추가적인 임의의 성분 d) 로서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도입되는 화장용 조성물의 점성도에 유리한 결과를 갖게 한다.
적합한 증점제 d) 는 잔탄 검, 구아 구아, 아가 아가, 알기네이트 및 틸로스 (Tyloses),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에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또한 지방산의 비교적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시클로펜타실록산,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인 벤토나이트 또한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가로 고려되는 것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과 예를 들어 펜타에트리톨 또는 트리메틸프로판과 같은 폴리올의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에스테르, 좁은 동족체 분포를 따르는 지방 알콜 에톡시레이트, 또는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및 또한 소듐 클로라이드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전해질이다.
오일 농축물은 d) 로서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폴리올 에스테르와 에톡시화 지방 알콜의 혼합물, 더욱 특히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트리메틸올 올리에이트와 에톡시화 라우릴 알콜의 혼합물로 BASF Personal Care & Nutrition GmbH 에서 상표명 Arlypon® TT 로 시판 중이다.
특히 적합한 오일 농축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의 양의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및,
(b)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의 양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또한,
(c) 3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 40 내지 55 중량% 의 양의 오일 성분, 및 또한 임의로,
(d) 0 내지 15 중량% 의 양의 증점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적합한 하나의 오일 농축물은 하기로 이루어진다:
25 내지 35 중량% 의 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라우레스-7 시트레이트,
15 내지 25 중량% 의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 더욱 특히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40 내지 55 중량% 의 (c1) 로서 글리세롤과 8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 디- 및/또는 트리-지방산 에스테르 및 (c2) 로서 액체 파라핀의 혼합물로, (c1):(c1+c2) 의 혼합비가 0.45 내지 0.55 인 오일성분 (c).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적합한 다른 한 오일 농축물은 하기로 이루어진다:
25 내지 35 중량% 의 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라우레스-7 시트레이트,
15 내지 25 중량% 의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 더욱 특히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35 내지 50 중량% 의 (c1) 로서 해바라기 오일과 (c2) 로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혼합물로, (c1):(c1+c2) 의 혼합비가 0.45 내지 0.55인 오일성분 (c) 및,
5 내지 15 중량% 의 증점제,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트리메틸 올레이트와 에톡시화 라우릴 알콜의 혼합물.
실험실 스캐일에서,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실온 또는 약간 상승된 온도, 바람직하게는 60 ℃ 미만에서 단순한 수동 교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음에 오일 성분 (c) 을 도입하고,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및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및 임의로 증점제 (d) 를 교반한다. 계면활성제 및/또는 증점제의 수성 제형 형태로 도입되지 않는 추가의 물은 마지막 방법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거의 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 더욱 특히 0 내지 2 중량% 의 물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투명하며 낮은 점성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몇 주 동안 매우 높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물과 문제 없이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농축물이 상온에서 물의 초기 충전물에 첨가될 때, 추가의 기계적 에너지 투입 (예를 들어 교반) 없이 매우 미세한 수중유 (O/W) 에멀젼이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이에 따라서 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문제 없이 도입될 수 있어서 많은 오일 분획을 가지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의 경로를 통해서, 오일은 저온 작업의 일부로서 즉, 고온 없이, 힘이 드는 고-전단력 교반 없이 화장용 조성물 내에 도입될 수 있다. 게다가, 이에 따라서 생산된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은 투명하고, 입자 크기 1 μm 미만으로 매우 미세하며, 저장에 안정하다. 추가의 큰 이점은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이 우수한 거품 특성 또한 나타낸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용 세정 조성물, 더욱 특히 모발 샴푸, 모발 로션, 목욕 거품, 샤워 제품, 샤워 젤, 샤워 크림 및 모발 및 샤워 겸용 샴푸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는 저온, 다시 말해서 상온,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 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작업이 가능한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 화장용 첨가제, 및 E) 물과 함께 교반된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성분 B), C), D) 및/또는 E) 의 초기 충전물에 도입될 수 있다. 모든 성분 또는 일부분의 성분이 초기에 도입될 수 있으며, 초기에 전부 또는 일부분만 도입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은 화장용 조성물의 추가 성분인 B), 및 C) 및 D) 와 함께 물 E) 의 초기 충전물에 도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생긴 예비 혼합물에 첨가된다. 물 E) 의 총량 중 일부분만 초기 충전물에 도입된다면, 나머지 양의 물은 다른 성분을 도입하기 전까지는 첨가하지 않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을 화장용 조성물 내에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간략한 교반 또는 전체적인 교반으로 보조된다.
화장용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뿐만 아니라 추가 성분으로서,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B) 와는 상이한 추가의, 보조-계면활성제,
D) 화장용 첨가제 및,
E) 물.
전-제형화된 형태의 오일 농축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놀랍게도 특히 외관 및 저장 안정성에 관하여 향상된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장기간 저장 후에도, 오일이 화장용 조성물에 직접적으로, 즉 농축물로의 전제형화 없이 도입되면 나타나는 종류의 오일의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화장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를 포함한다:
A) 0.5 내지 20 중량% 의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B) 5.0 내지 20 중량% 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1 내지 15 중량% 의 B) 와 상이한 추가의, 보조-계면활성제,
D) 0.1 내지 10 중량% 의 화장용 첨가제 및,
E) 100 중량% 까지의 물.
화장용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는 비누,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칸설포네이트, 올레핀설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포네이트, α-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설포-지방산, 알킬 설페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산 에테르 설페이트, 하이드록실-혼합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설포석시나메이트, 설포트리글리세리드, 아미드 비누, 에테르카르복시산 및 이의 염,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N-아실아미노산, 예컨대 아실락틸레이트, 아실타르트레이트,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아실아스파르테이트, 예를 들어,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설페이트,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특히 밀 기반 식물성 생성물),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문맥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드 또는 비슷한 거품 거동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는 알려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대표하며, SO3 또는 클로로설폰산 (CSA) 을 이용한 지방 알콜의 황산화 또는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의 옥소-공정 및 연속적인 중화반응을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된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것은 화학식 (Ⅱ), R2O-(CH2CH2O)mSO3X (Ⅱ) 를 따르는 에테르 설페이트이며, 식 중 R2 은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및/또는 알케닐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10 의 수를 나타내고, X 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또는 글루크암모늄이다. 전형적인 예는 평균적으로 1 내지 10, 더욱 특히 2 내지 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카프로일 알콜, 카프릴릴 알콜, 2-에틸헥실 알콜, 카프릴 알콜, 라우릴 알콜, 이소트리데실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팔미톨레일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엘라이딜 알콜, 페트로셀리닐 알콜, 아라킬 알콜, 가돌레일 알콜, 베헤닐 알콜, 에루실 알콜, 및 브라시딜 알콜의 첨가 생성물의 설페이트, 및 또한 이들의 소듐 및/또는 마그네슘염 형태의 혼합물이다. 이 에테르 설페이트는 통상적 또는 그 밖의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평균적으로 2 내지 3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기술적인 C12/14 및/또는 C12/18 코코넛 지방 알콜 분획의 소듐 및/또는 마그네슘염 형태의 첨가 생성물에 기반한 에테르 설페이트의 사용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는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에테르카르복시 산 및/또는 이의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화장용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5.0 내지 15 중량% 의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B) 5.0 내지 20 중량% 의,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에테르카르복시산 및/또한 이들의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1 내지 10 중량% 의 B) 와 상이한 추가의, 보조-계면활성제,
D) 0.5 내지 5 중량% 의 화장용 첨가제 및,
E) 100 중량% 까지의 물.
B) 와는 상이한 적합한 보조-계면활성제 C) 는 원칙적으로 비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오일 농축물의 본 개시과 관련하여 본원에 명확하게 언급된 성분 b) 로서 이미 기술되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아민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 혼합 에테르 및/또는 혼합 포르말, 임의로 부분적으로 산화된 알크(엔)일올리고글리코시드 및/또는 글루쿠론산 유도체, 지방산 N-알킬글루카미드, 단백질 가수분해물 (특히 밀 기반 식물성 생성물),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 알킬- 및/또는 알케닐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아민 산화물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인 또는, 바람직하게는,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인 보조-계면활성제 C) 로서 바람직한 것은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zwitterionic) 계면활성제이다.
바람직한 것은 하기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이다:
A) 5.0 내지 15 중량% 의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B) 5.0 내지 20 중량% 의,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에테르카르복시 산 및/또는 이들의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1 내지 10 중량% 의 양쪽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 0.5 내지 5.0 중량% 의 화장용 첨가제 및,
E) 100 중량% 까지의 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4차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어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에스테르 쿼트 (ester quats), 더욱 특히 4차화된 지방산 트리알칸올아민 에스테르 염이다.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미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및 설포베타인,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이다. 명시된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알려진 화합물이다. 특히 적합한 순한 계면활성제, 특히 피부-친화적인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지방산 글루카마이드, 알킬아미도베타인 예를 들어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암포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바람직하게는 밀 단백질에 기반한 지방산 축합물이다. C) 로서 존재하는 특히 바람직한 것은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이다.
화장용 첨가제 D) 는 글리세롤과 같은 히드로트롭 (hydrotrope), 보존제, 시트르산, 페녹시에탄올, 자외선 보호 필터, 항산화제, 활성 생체 성분, 향료, 염료, 살생물제, 소포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장용 조성물 생산을 위해 액체 계면활성제 a) 로서 알킬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를 시트레이트를 기반으로 한 오일 농축물을 사용할 때, pH 조절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화장용 조성물에 대해 확립된 pH 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4 내지 8 의 pH 범위이다.
추가의 통상의 화장용 첨가제 D) 의 예는 유화제, 펄 광택 왁스, 안정화제, 염, 증점제, 농도 조절제 (consistency agents), 셀프 선탠제, 안료, 항산화제, 비듬방지제, 필름 형성제, 팽창제, 방충제, 활성 탈취제 및 발한억제제 성분, 및 활성 생체 성분이다. 이 활성 생체 성분은 특히,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팔미테이트, 디옥시리보핵산, 코엔자임 Q10, 아스코르브산, 레티놀 유도체 및 레티닐 유도체, 비사보롤, 알란토인, 피탄트리올, 판테놀, AHA 산, 아미노산, 세라미드, 에센셜 오일, 히알루론산, 크레아틴, 단백질 가수분해물, 식물 추출물, 펩타이드, 및 비타민 복합체이다.
세정 젤 또는 페이스트 및 연고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농도 조절제 및 증점제와 같은 화장용 첨가제 (D) 의 존재가 바람직하다. 고려되는 농도 조절제는 12 내지 22 개, 바람직하게 16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차 지방 알콜 또는 하이드록시-지방 알콜, 및 또한 부분 글리세리드, 지방산, 또는 하이드록시-지방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물질과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같은 사슬 길이의 지방산 N-메틸클루카마이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조합물이다. 적합한 증점제의 예는 에어로실 (Aerosil) 등급 (친수성 실리카), 다당류, 특히 잔탄 검, 구아 구아, 아가 아가, 알기네이트 및 틸로스 (Tyloses),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에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추가적으로 지방산의 비교적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시클로펜타실록산,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벤토나이트 또한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에톡시화 지방 산 글리세리드,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좁은 동족체 분포의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및 또한 소듐 클로라이드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전해질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첨가제 D)로서 보존제가 사용되면, 이는 바람직하게는 벤조산 및 이의 염, 시트르산 및 이의 염, 페녹시에탄올, 벤질 알콜, 알킬 파라벤, 바람직하게는 에틸, 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로 적합한 보존제의 예는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펜탄디올, 또는 소르빈산, 및 또는 상표명 Surfacine® 인 은 착화물을 포함하며, 추가적인 물질의 종류는 부록 6 내 화장품 규정 A 및 B 부분에 기재하였다.
또한 화장용 첨가제 D) 로서 유리한 것은 피부에 쾌적하고 매끈한 감촉 및 부드러움을 주는 양이온성 화합물이다. 특히 적합하게 포함되는 것은 4차 암모늄 화합물 또는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여기서 4차 암모늄 화합물은 특히, 4차화된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에스테르 염을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적합한 것은 알킬암모늄 할라이드이다.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의 예는 예를 들어 4차화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양이온성 녹말과 같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디알릴암모늄염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Luviquat® (BASF) 과 같은 4차화된 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 중합체, 폴리글리콜과 아민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콜라겐 (Lamequat®) 과 같은 4차화된 콜라겐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어 4차화된 밀 폴리펩타이드, 폴리에틸렌이민, 예를 들어 아미도메티콘인 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 아디프산과 디메틸아미노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틸렌 트리아민의 공중합체 (Cartaretins), 아크릴산과 디메틸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Merquat® 550), 예를 들어 FR-A 2252840 에 기재된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및 또한 이들의 가교화된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어 4차화된 키토산과 같은 임의로 미정질 분포를 따르는 양이온성 키틴 유도체, 예를 들어 디브로모부탄과 같은 디할로알킬과 예를 들어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과 같은 비스디알킬아민의 축합 생성물, 양이온성 구아 검, 및 예를 들어 Miranol 사의 Mirapol A-15, Mirapol AD-1, 및 Mirapol AZ-1 과 같은 4차화된 암모늄염 중합체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아미드 유도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INCI 명칭: 폴리쿼터늄-7, 또는 PQ-7), 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독중합체 (INCI 명칭: 폴리쿼터늄-37, 또는 PQ-37),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4차 공중합체 (INCI 명칭: 폴리쿼터늄-4, 또는 PQ-4), 트리메틸암모늄 치환 에폭사이드로 개질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중합 4차화된 암모늄 염 (INCI 명칭: 폴리쿼터늄-10, 또는 PQ-10), 4차화된, 탈중합된 구아 검 유도체 (INCI 명칭: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4차화된 구아 유도체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4차 공중합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양이온성 중합체는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및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게다가, 유리하게 EP 1 767 554 A1 에 따른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중합체는 본 출원인 회사에서 상표명 Polyquart Pro 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0.05 내지 2 중량% 의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적합한 한 구현예에 따라서, 화장용 조성물을 하기를 포함한다:
A) 5.0 내지 15 중량% 의 본 발명의 오일 농축물,
B) 5.0 내지 15 중량% 의 지방 알콜 에테르설페이트,
C) 2 내지 10 중량% 의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D) 0.5 내지 5 중량% 의, 보존제 및 증점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장용 첨가제, 증점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에톡시화 지방 알콜의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폴리올 에스테르의 혼합물, 및 또한,
E) 100 중량% 까지의 물.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 내 성분 A) 로서 오일 농축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만족스러운 양의 거품을 허용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피부 감각을 유도하는 오일 물질을 비교적 많은 양으로 포함하는 투명 내지 약간 탁한 혼성물을 얻는 데 성공했다. 결과적으로, 이는 오일을 포함하는 다른 화장용 조성물과 유리하게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오일 농축물의 사용은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에 필수적이다.
실시예
실시예 A: 오일 농축물
모든 성분 (즉, 성분 a), b), c1) 및 임의적으로 c2)) 을 상온 (23 ℃) 에서 적당한 기계적인 투입을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산출된 오일 농축물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고, 물에 대한 용해도를 시험했다.
발명예 (Inv) 모두에서 (a) 유형의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및 극성 오일 (c1) 과의 블렌드 중에서, 임의로 (c2) 와의 혼합물 중에서 항상 물에 쉽게 분산되어 미세하고,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투명한, 액체 오일 농축물을 생산한다.
이와 비교하여 (Comp), 음이온성 액체 계면활성제 (a) 가 없는 오일농축물 (비교예 A17)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가 없는 오일 농축물 (즉, 비교예 A18), 및 또한 락테이트 유형의 다른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오일 농축물 (비교예 A19 참고) 은 며칠 후에 침전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로 "투명", "탁함", "액체" 로 지정했다. "가용성" 평가를 위해, 3 중량% 의 수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용해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B: 샤워용 제품
상온에서 물 1, 벤조산 나트륨 및 또한 Texapon N 70® 및 Dehyton PK45® 를 균질화하고, 상기 혼합물에 연속으로 오일 농축물, Arlypon TT® 증점제, 및 물 2 를 상온에서 교반하고, 그 후에 조성물의 pH 를 조절하였다. 샤워용 제품 발명예 20 부터 36 까지는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오일 농축물로부터 오일 c1 및 임의적으로 c2 의 즉각적인 침전이 없음을 의미한다. 비교 실험 37 은 오일 농축물을 통한 전-제형화 없이 오일을 직접적으로 도입했을 때, 저장 안정성은 낮으며 심지어 상온에서 이미 오일은 분리됨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점성도는 상온 (23 ℃) 에서 Brookfield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laims (15)

  1.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위한 오일 농축물:
    (a) 상온에서 액체이며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다음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
    (c1) 5 내지 3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극성 오일 및 임의로,
    (c2) 35 mN/m 초과의 극성도를 갖는 무극성 오일,
    (c1) : (c1+c2) 의 혼합 비는 0.1 내지 1 의 범위 이내임,
    (d) 및 또한 임의로, 증점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a) 로서 하기 화학식 (Ⅰ) 을 나타내는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Figure pct00013

    [식 중 R1,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의 라디칼임:
    Figure pct00014

    (식 중 R4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및/또는 알케닐 라디칼이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20 의 수이고, 조건에 따라서 라디칼 R1, R2, 또는 R3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이외의 것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a) 로서 R1, R2 또는 R3 은 화학식 (Ⅱ) 의 라디칼이고, R4 는 12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 라디칼이고, R5 는 수소이며, n 은 5 내지 10 의 수인, 화학식 (Ⅰ) 을 나타내는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로서 폴리글리세롤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롤과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또는 이소스테아르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 내지 28 mN/m 의 극성도를 갖는 극성 오일 (c1) 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브 오일, 대두 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및/또는 아보카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 오일 (c1) 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35 내지 60 mN/m 의 극성도를 갖는 무극성 오일 (c2) 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무극성 오일 (c2) 로서 액체 파라핀 및/또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오일 : 무극성 오일 (c1) : (c1+c2) 혼합 비가 0.3 내지 0.7, 바람직하게 0.4 내지 0.6, 더욱 특히 0.45 내지 0.55 의 범위인 오일 농축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증가제 (d) 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에톡시화 지방 알콜의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폴리올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 농축물:
    (a)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의 양의 알크(엔)일 폴리글리콜 에테르 시트레이트 및,
    (b)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의 양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또한,
    (c) 3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의 양의 오일 성분, 및 또한 임의로,
    (d) 0 내지 15 중량% 의 양의 증점제.
  12.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 제 1 항에 따른 오일 농축물,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B) 와 상이한 추가의, 보조 계면활성제 및,
    D) 화장용 첨가제 및,
    E) 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 제 1 항에 따른 0.5 내지 20 중량% 의 오일 농축물,
    B) 5.0 내지 20 중량% 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1 내지 15 중량% 의 (B) 와는 상이한 추가의, 보조 계면활성제,
    D) 0.1 내지 10 중량% 의 화장용 첨가제 및,
    E) 100 중량% 까지의 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 제 1 항에 따른 5.0 내지 15 중량% 의 오일 농축물,
    B)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및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에테르-카르복시산 및/또는 이들의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5.0 내지 20 중량% 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1 내지 10 중량% 의 양쪽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 0.5 내지 5.0 중량% 의 화장용 첨가제 및,
    E) 100 중량% 까지의 물.
  15. 제 1 항에 따른 오일 농축물을 저온 작업으로 하기 성분과 함께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일-함유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 화장용 첨가제 및,
    E) 물.
KR1020167008043A 2013-08-29 2014-08-19 화장용 제품 KR201600440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2190 2013-08-29
EP13182190.2 2013-08-29
PCT/EP2014/067610 WO2015028344A1 (de) 2013-08-29 2014-08-19 Kosmetische mit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041A true KR20160044041A (ko) 2016-04-22

Family

ID=4903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043A KR20160044041A (ko) 2013-08-29 2014-08-19 화장용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79041A1 (ko)
EP (1) EP3038590B1 (ko)
JP (1) JP2016531136A (ko)
KR (1) KR20160044041A (ko)
CN (1) CN105592840A (ko)
ES (1) ES2656038T3 (ko)
WO (1) WO2015028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158A1 (de) * 2015-08-07 2017-02-09 Henkel Ag & Co. Kgaa Neue, den Weißgrad verstärkende Waschmittel
DE102015215163A1 (de) * 2015-08-07 2017-02-09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 mit Bügelhilfsmittel
EP3443951B8 (en) * 2016-04-11 2022-11-02 Sabo S.p.A. Superfatting agent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WO2019158411A1 (de) 2018-02-14 2019-08-22 Basf Se Verwendung von 1,2-alkandiolen als schaumverbesserer für citronensäureestertenside umfassend ethoxylierte alkohole
EP3556344A1 (en) * 2018-04-16 2019-10-23 Kao Corporation, S.A. Cosmetic compositions
EP3886794A1 (en) * 2018-11-26 2021-10-06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hyperbranched copolymers and oi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68901A1 (ko) 1973-11-30 1975-08-20
DE4424210C2 (de) * 1994-07-09 1997-12-04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en mit einem Gehalt an Tensiden sowie einem Gehalt an Ölkomponenten, die im übrigen wasserfrei sind, als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Duschöle
DE4428823A1 (de) * 1994-08-16 1996-02-22 Henkel Kgaa Schäumende Detergensgemische
DE19856555A1 (de) * 1998-12-08 2000-06-15 Cognis Deutschland Gmbh Ölbäder
DE102004003436A1 (de) 2004-01-21 2005-08-11 Beiersdorf Ag Dünnflüssige O/W-Emulsion II
DE102005018666A1 (de) * 2005-04-21 2006-11-09 Henkel Kgaa Körperreinigungszusammensetzung in für die Kosmetik neuer Anwendungsform
US7807766B2 (en) 2005-09-21 2010-10-05 Cognis Ip Management Gmbh Polymers for use in cleaning compositions
DE102007006778A1 (de) * 2007-02-08 2008-08-14 Beiersdorf Ag Neues Duschöl
ES2633101T3 (es) 2007-06-19 2017-09-19 Cognis Ip Management Gmbh Composición de champú con desempeño mejorado para el cuidado
DE102007063134A1 (de) * 2007-12-24 2009-06-25 Sasol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Öl in Wasser Emulsionen aus selbstemulgierenden Gelkonzentraten
ES2415804T3 (es) 2010-03-23 2013-07-29 Cognis Ip Management Gmbh Composición para lavar platos manualmente, suave con la pi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2840A (zh) 2016-05-18
EP3038590A1 (de) 2016-07-06
WO2015028344A1 (de) 2015-03-05
US20160279041A1 (en) 2016-09-29
ES2656038T3 (es) 2018-02-22
EP3038590B1 (de) 2017-10-11
JP2016531136A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907B2 (en) Use of cleaning agents containing microemulsions that contain wax
EP2729112B1 (en) Us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 cleaning compositions
CA2557369C (en) Liquid, peg-free, cold-processable oil-in-water emulsifiers obtainable by combining emulsifiers based on polyol partial esters and acid partial esters
KR20160044041A (ko) 화장용 제품
WO2013041388A1 (en) Use of isosorbide derivatives for producing cosmetic preparations
ES2284174T3 (es) Emulsificantes.
US7879789B2 (en) Surfactant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9732708C1 (de) Verwendung von Fettethern
JP2013063959A (ja) W/o型乳化毛髪化粧料
EP4031105A1 (en) Stabilizer concentrates for wax dispersions
KR20190005928A (ko)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 농축물
WO2021100812A1 (ja) 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EP3938093A1 (en) Stabilizer concentrates for wax dispersions
US7407926B2 (en) Oil-containing surfactant gels comprising a mixture of ethoxylated citric acid esters
EP1689351A1 (en) Ethoxylated polyurethane viscosity enhancers
US10517809B2 (en) Combination of isosorbide diesters with non-ionic surfactants for use as pearlizing agent
EP3104834A1 (de) Mikroemulsionen sowie kosmetische reinigungsmittel enthaltende mikroemulsionen
DE10201521902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smetischen Reinigungsemulsion
US20180147129A1 (en) Mild cosmetic cleaning composition with good foam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