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42A -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742A
KR20160043742A KR1020140138335A KR20140138335A KR20160043742A KR 20160043742 A KR20160043742 A KR 20160043742A KR 1020140138335 A KR1020140138335 A KR 1020140138335A KR 20140138335 A KR20140138335 A KR 20140138335A KR 20160043742 A KR20160043742 A KR 2016004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mat
load
drive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237B1 (ko
Inventor
정재숙
정성용
권구포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4013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37B1/ko
Priority to PCT/KR2015/010822 priority patent/WO2016060459A1/en
Priority to CN201580055132.7A priority patent/CN107108135B/zh
Priority to US15/518,593 priority patent/US10220757B2/en
Priority to DE112015004715.8T priority patent/DE112015004715T5/de
Publication of KR2016004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을 하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재함 내에 하역매트, 상기 하역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과 체결되고 감김운동이 가능한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하역매트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이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역이 되도록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USING AN INCLINE MAT}
본 발명은 적재물을 하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재함 내에 하역매트, 상기 하역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과 체결되고 감김운동이 가능한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하역매트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이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역이 되도록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문 및 수령의 편리함에 있어 많은 장점을 가지는 택배 서비스업이 크게 발달하면서 택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택배물품을 운송수단에 싣는 과정 및 내리는 과정은 전체 운송 프로세스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과정으로서, 많은 운송 서비스 주체들은 해당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적재물을 하차하는 과정을 개선하고자 많은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적재물을 하차할 때에 적재함의 입구와 외부 컨베이어 사이에 경사면을 만들어 적재물이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차되도록 구현하는 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10-2010-0018824 등을 통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하역 장치는 적재함 입구와 컨베이어 사이 구간에서만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적재함 내부에서는 여전히 인력을 투입하여 적재함 입구까지 적재물을 밀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적재물 하차 작업을 더 쉽게 하기 위하여는 적재함 내부에서부터 적재물을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재물 하차 방식에 비해 인력 및 시간을 덜 요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내부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적재물이 자연스럽게 경사면을 따라 적재함 밖으로 미끄러져 내릴 수 있도록 한 적재물 하역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적재물이 하역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전방 및 후방 내벽에 각각 높이가 다른 축을 구비시키고, 각 축에 하역매트가 체결되도록 한 후 상기 축을 구동시켜 하역매트가 경사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이 위 경사를 따라 하역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역매트가 경사를 형성한 이후, 두 개의 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켜 위 하역매트 자체가 이동(convey)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을 용이하게 하역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내 축이 구비되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역매트가 이루는 경사각을 사용자 의사에 따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입구와 외부 컨베잉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연계부를 구비하되, 위 연계부를 호퍼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는 적재물이 이동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재물 하역장치는 적재함의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하역매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위치와 대응되어 후방하부 또는 전방상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하역매트의 타단과 체결된 고정축;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매트는 상기 구동축의 감김운동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구동축 또는 고정축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들의 적재 높이 초과를 방지하기 위한 높이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적재물 하역장치는 적재함의 전방상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하역매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제1구동축; 및 적재함의 후방하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하역매트의 타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제2구동축;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매트는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김운동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하역매트가 경사면을 형성한 이후,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은 동일 방향으로 감김운동을 하여 상기 하역매트를 이동(convey)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하역매트는 상기 적재함 내벽의 전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 때의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 내벽의 전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하역매트의 저면(底面) 일부와 부착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하역매트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적재함 내벽의 후방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컨베잉 장치와 연결된 컨베이어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수작업을 통해 적재물을 적재함 입구까지 옮기던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어 본 작업에 투입되던 인력,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어 하역 환경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하역매트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 두 개를 적재함 내에 구비시키고 하역매트가 평평한 경사면 형성 이후에 위 구동축을 동일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적재물을 더 쉽게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입구에서부터 연장되어 체결되는 연계부(400)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하역매트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는 적재물들이 경로를 벗어나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역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장치가 실제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역장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하역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하역매트가 적재함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패드의 구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적재함 내 구비된 구동축 또는 고정축의 높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하역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중 적재함 입구와 외부 컨베잉 장치를 연결하는 연계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역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운송수단(10)에 구비된 하역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적재물 하역 장치는 일반적으로는 적재함(1000) 내에 구비되며 하역매트(100), 고정축(200) 및 구동축(300)을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적재함(1000)은 다수의 물건이 적재될 수 있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적재함(1000)의 각 내벽면을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으로 구별하여 칭하기로 한다.
위 적재함(1000)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것이거나 또는 독립된 구조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택배물을 운송하는 트럭에 탑재된 적재함(1000)과 같이 복수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역매트(100)는 기본적으로 적재물이 실리고, 실린 적재물을 적재함(1000)의 입구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추후에도 설명하겠지만 위 하역매트(100)는 구동축(300)에 의해 말릴 수 있는 성질의 부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적재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위 하역매트(100)는 라운드 슬링, 타포린, PE탑지 방수원단 등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위 하역매트(100)의 모서리를 가로변(폭방향), 세로변(길이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하역매트(100)의 가로변은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위 체결수단에는 복수개의 고리, 압 버튼, 지퍼 등 다양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구동축(300)과 하역매트(10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 내에 일련의 구동축(300) 및 고정축(200)을 포함한다.
구동축(300)은 위 하역매트(100)의 일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이 가능한 장축을 의미하고, 동시에 감김운동을 위한 모터를 내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축(300)은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운동속도, 운동시간, 기어 변경에 의한 토크 제어 등을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300)은 상기 하역매트(100)가 감기는 길이 또는 감기는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감김운동을 시작 또는 멈출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축(300)은 하역매트(100)의 길이 및 구동축 단면의 원주길이를 고려하여 일정 길이를 감거나 푼 경우 자동으로 구동을 멈추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하역매트(100)의 끝단 주변에 센서가 인지가능한 식별표시기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300)에는 상기 식별표시기를 인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감김운동을 하는 도중 상기 하역매트(100)의 끝단에 설치된 식별표시기가 인지된 경우 자동으로 구동을 멈추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구동축(300)은 순수 인력(人力)에 의해, 즉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축(300)은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 구동축에의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 상기 기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톱니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축(200)은 위 하역매트(100)의 타단과 체결되며 상기 구동축(300)의 감김운동에 의해 하역매트(100)가 말려들어갈 때에 반대쪽 단을 고정시킴으로써 하역매트(100)가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때, 상기 고정축(200)과 구동축(300)이 논리적으로 당연히 같은 방향으로 감김운동을 하게 된다.
위 구동축(300), 고정축(200)은 적재함(1000) 내에서 그 설치 위치가 상보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축(300)이 적재함(1000)의 전방상부에 설치된 경우 고정축(200)은 적재함(1000)의 후방하부에, 반대로 구동축(300)이 적재함(1000)의 후방하부에 설치된 경우 고정축(200)은 적재함(1000)의 전방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위 구동축(300)과 고정축(200)은 적재함(1000)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재함(1000) 입구쪽으로 떨어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때,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이 전방상부에 설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이 적재함(1000)의 전면, 상면 또는 적재함(1000)의 양 측면을 활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방식으로,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이 후방하면에 설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이 적재함(1000)의 후면, 하면 또는 적재함(1000)의 양 측면을 활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역매트(100), 구동축(300) 및 고정축(200)이 구비된 하역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상차, 하차 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적재물을 상차하기에 앞서 구동축(300)을 구동시켜 하역매트(100)가 적재함(1000)의 전면 및 하면에 밀착되도록 풀어낸다. 하역매트(100)가 풀린 이후 사용자는 적재물을 상기 하역매트(100) 위에 실은 후 목적지까지 운송을 하게 된다.
한편, 목적지에 도착하여 적재물을 하차할 때에, 사용자는 상기 구동축(300)을 앞서 상차시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하역매트(100)가 구동축에 말리도록 하며, 말려 올라가는 하역매트(100)로 하여금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역매트(100) 위 적재물들은 하역매트(100)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적재함(1000) 입구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며, 적재함(1000)의 입구에 연장 연결된 컨베잉(conveying) 장치(500)에 의해 최종적으로 옮겨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 적재물이 적재함(1000)을 가득 채우는 경우 하역매트(100)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없게 되는 실시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재함(1000) 내에 특정 높이의 적재 높이를 설정하여 적재물들이 위 적재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이 때, 상기 적재함(1000)의 내부 벽면에는 적재물의 높이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높이 감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함(1000) 내벽면의 특정 높이에 표시선을 표시할 수 있고, 나아가 해당 표시선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으로도 높이 초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적재함(1000) 내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센서는 유도형 센서, 용량형 센서, 광 센서 등 적재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에 의해 적재물의 높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하역매트(100)가 구동축(300)에 의해 말려올라가 경사면을 이루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일 실시예로서, 적재물 하역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축(300)을 구동시켜 적재함의 후면에 가까이 있는 적재물들을 먼저 하차시키고, 일부 화물이 하차된 이후 적재함 내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하역매트(100)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 내 구비된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은 필요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함(1000) 내부 벽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각 축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재물의 무게, 적재물의 부피, 도로면의 경사, 컨베잉 장치(500)의 높이 등에 따라 구동축(300) 또는 고정축(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축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하역매트(10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로서는 적재물을 보다 안전하게 또는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적재물을 보다 쉽게 이동시키기 위해, 즉 하역매트(100)의 표면과 적재물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하역매트(100)의 표면을 양각과 음각의 돌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적재물들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질 때에 하역매트(100)와의 마찰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하역매트(100)의 표면을 복수개의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기는 하역매트(100)의 표면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하역매트(10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추가 소재를 하역매트(100)에 부착하는 방식, 하역매트(100) 상에 에어쿠션 부재를 부착하는 방식 등 하역매트(100)에 추가적인 부재를 덧대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기본적으로 도 1의 적재물 하역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지만, 2개의 구동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즉, 도 3의 적재물 하역 장치는 1개의 구동축(200), 1개의 고정축(300)이 아닌 두 개의 구동축, 즉 제1구동축(230), 제2구동축(250)을 구비한다.
도 3에 따르면, 제1구동축(230)은 적재함(1000)의 전방상부 내벽에 구비되고 하역매트(100)의 일단과 체결된다. 또한 제2구동축(250)은 적재함(1000)의 후방하부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하역매트(100)의 타단과 체결된다. 이 때 하역매트(100)가 각 축과 체결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앞서 도 1에 대한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구동축(230)이 전방상부에 설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제1구동축(230)이 적재함(1000)의 전면, 상면 또는 적재함(1000)의 양 측면을 활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방식으로, 제2구동축(250)이 후방하면에 설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제2구동축(250)이 적재함(1000)의 후면, 하면 또는 적재함(1000)의 양 측면을 활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를 활용하여 적재물을 상차, 하차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적재물 상차시, 사용자는 제1구동축(230), 제2구동축(25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켜 하역매트(100)를 적재함(1000) 내벽, 구체적으로는 적재함(1000)의 전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도록 풀어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구동축을 동시에 구동시켜 하역매트(100)를 풀어낼 수도 있다. 즉, 적재물을 상차하기 위해서는 하역매트(100)가 적재함(100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며, 이 때 둘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 또는 두 개의 구동축을 이용하여 하역매트(100)를 풀게 된다.
마찬가지로, 적재물 하차시에도 사용자는 제1구동축(230) 또는 제2구동축(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구동시켜 하역매트(100)로 하여금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특히 적재물이 적재함에 가득 찬 경우를 상정하였을 때, 적재물 하역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제2구동축(250)을 구동시켜 적재함의 후면에 가까이 있는 적재물들을 먼저 하차시키고, 일부 화물이 하차된 이후 적재함 내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하역매트(100)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하역매트(100)가 적재함(1000) 내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역매트(100)의 양 단에 체결된 구동축의 감김운동에 의해 하역매트(100)가 평평하게 당겨져야 하며, 이 때 감김운동은 제1구동축(230) 또는 제2구동축(25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개의 구동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축(230)만 감김운동을 하는 경우 제2구동축(250)은 정지상태에, 제2구동축(250)만 감김운동을 하는 경우 제1구동축(230)은 정지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제1구동축(230)과 제2구동축(250)이 동시에 감김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양 구동축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즉 하역매트(100)가 평평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감김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하역매트(100)가 일정 경사를 형성한 이후에는 나머지 적재물들이 상기 하역매트(100)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구동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도 1에서의 적재함(1000) 하역 장치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하역매트(100)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두 개의 구동축을 구비한 적재물 하역 장치를 활용하여 적재물 하차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하역매트(100)가 일정 각도로 경사면을 이루게 된 이후, 제1구동축(230) 및 제2구동축(250)을 동일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하역매트(100) 자체를 이동(convey)시킬 수 있다.
도 2의 적재물 하역 장치에서의 적재물들이 하역매트(100)가 형성한 경사로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는 방식으로 이동 되었다면, 도 4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에서는 두 개의 구동축으로 하역매트(100)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적재물을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 4와 같이 하역매트(100) 자체를 이동시키는 경우 도 2에 비해 적재물이 불규칙적으로 구르거나 매트 밖으로 이탈할 확률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안전하게 적재물을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적재물을 상차할 때에도 상기 구동축 두 개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즉, 적재물 하차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경우 하역매트(100)가 적재함(1000) 입구로부터 적재함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위 하역매트(100)에 적재물을 실어 상차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 또는 도 4의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구동축(230) 또는 제2구동축(2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 6에는 이와 관련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인 부착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패드는 하역매트(100)를 적재함(1000) 내벽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재함(1000)의 내벽면에 부착패드를 구비시키고, 하역매트(100)의 표면 일부를 상기 부착패드에 부착시킴으로써 하역매트(100)가 적재함(1000) 내벽에 고정된 채로 밀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패드는 하역매트(100)의 표면이 직접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역매트(100)의 소재를 고려한 접착소재를 활용하여야 한다.
다른 방식으로는 두 면의 부착패드를 각각 적재함(1000)의 내벽면, 하역매트(100)의 표면에 구비시켜 두 면이 상호 접착되게 함으로써 하역매트(100)를 적재함(1000)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적재함(1000)의 내벽면 일부에 부착패드 일면을 구비시키고, 하역매트(100)의 표면에 부착패드의 다른 일면을 구비시킨 후 각각의 부착패드 두 면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하역매트(100)를 적재함(1000) 내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패드는 구동축이 하역매트(100)를 말아올리는 힘에 의해 떨어질 수 있을 정도의 부착력을 가져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접착용 천 등을 이용하여 부착패드를 구현한다.
도 6은 구동축 또는 고정축이 필요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적재물 하역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축과 고정축(제1실시예), 또는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제2실시예)은 필요에 따라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함(1000) 내부 벽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각 축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재물의 무게, 적재물의 부피, 도로면의 경사, 컨베잉 장치(500)의 높이 등에 따라 구동축 또는 고정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축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하역매트(10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로서는 적재물을 보다 안전하게 또는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의 부가 구성인 연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의하면,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입구와 외부 컨베잉(conveying)장치(5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계부(400)는 적재함(1000)의 입구와 밀착되어 적재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연장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연계부는 그 일단이 적재함(1000) 내벽의 후방하면, 즉 적재함(1000)의 입구와 연장될 수 있는 연장수단을 구비하여 타단이 컨베잉 장치(500)와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위 연계부(400)는 적재함(1000) 후방하면에 설치된 축(고정축 또는 구동축)과 일단이 체결되는 방식으로, 독립된 하나의 장치로서 위 적재물 하역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와 일체를 이룬 상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부(400)는 적재물 하역 장치로부터 내려받은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체 구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물들이 컨베잉 장치(500)로 연계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함(1000)으로부터 컨베잉 장치(500)까지 적재물이 이동될 수 있는 연장로를 제공하는 한 연계부(400)가 적재함(1000)과 컨베잉 장치(500)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은 위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위 연계부는 추가부재를 더 구비시키거나 또는 연계부 자체의 모양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적재물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도울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부(400)의 이동경로 측면에 측면부재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물들이 이동시 옆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계부를 호퍼(hopper)형상으로 구현하여 하역매트(10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적재물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올바르게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호퍼란 한 쪽의 입이 다른 쪽보다 큰 깔대기 모양의 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호퍼형 연계부를 적재함(1000)의 입구에 연장 연결하는 경우 적재물이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하는 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운송수단
100: 하역매트
200: 구동축
230: 제1구동축 250: 제2구동축
300: 고정축
400: 연계부
500: 컨베잉 장치
1000: 적재함

Claims (12)

  1. 적재함의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하역매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위치와 대응되어 후방하부 또는 전방상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하역매트의 타단과 체결된 고정축;
    을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매트는 상기 구동축의 감김운동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축 또는 고정축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재물들의 적재 높이 초과를 방지하기 위한 높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5. 적재함의 전방상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하역매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제1구동축; 및
    적재함의 후방하부 내벽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하역매트의 타단과 체결되며, 감김(rolling)운동을 하는 제2구동축;
    을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매트는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김운동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하역매트가 경사면을 형성한 이후,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이 동일 방향으로 감김운동을 하여 상기 하역매트를 이동(convey)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역매트는 상기 적재함 내벽의 전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적재함 내벽의 전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하역매트의 저면(底面) 일부와 부착되는 부착패드;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역매트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적재함 내벽의 후방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컨베잉 장치와 연결된 컨베이어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KR1020140138335A 2014-10-14 2014-10-14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KR10168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35A KR101686237B1 (ko) 2014-10-14 2014-10-14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PCT/KR2015/010822 WO2016060459A1 (en) 2014-10-14 2015-10-14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ing formation of slope of loading and unloading mat
CN201580055132.7A CN107108135B (zh) 2014-10-14 2015-10-14 利用形成装卸衬垫的斜坡的装卸装置
US15/518,593 US10220757B2 (en) 2014-10-14 2015-10-14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ing formation of slope of loading and unloading mat
DE112015004715.8T DE112015004715T5 (de) 2014-10-14 2015-10-14 Be- und Entladevorrichtung, die die Bildung einer schrägen Fläche einer Be- und Entladeunterlage verwen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35A KR101686237B1 (ko) 2014-10-14 2014-10-14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42A true KR20160043742A (ko) 2016-04-22
KR101686237B1 KR101686237B1 (ko) 2016-12-13

Family

ID=5574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335A KR101686237B1 (ko) 2014-10-14 2014-10-14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20757B2 (ko)
KR (1) KR101686237B1 (ko)
CN (1) CN107108135B (ko)
DE (1) DE112015004715T5 (ko)
WO (1) WO2016060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667B (zh) * 2017-09-05 2019-10-11 台州市富龙塑胶有限公司 一种物流用卸货辅助装置
CN107963108A (zh) * 2017-11-14 2018-04-27 桐乡市搏腾贸易有限公司 一种货车用便于卸货的手推车
KR102104909B1 (ko) * 2018-02-20 2020-04-27 씨제이대한통운 (주) 볼 보드가 구비된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그 분류 방법
DE102019208681A1 (de) * 2019-06-14 2020-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laden eines Aufbewahrungssystems eines Kraftfahrzeuges mit Transportgütern
US11155424B2 (en) * 2019-11-07 2021-10-26 Cnh Industrial America Llc Pneumatically inflated pillow for grain bin unload
CN111422120B (zh) * 2020-04-30 2021-07-13 王于照 一种用于快递运输车的卸货设备
US11597309B2 (en) * 2020-06-16 2023-03-07 Nicholas Carlson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facilitating selective material movement and methods for employing such a system
KR20220102077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와트 물품 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9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電動運搬車の制御装置
KR200281246Y1 (ko) * 2001-12-26 2002-07-12 심창섭 톱밥운반차량
KR20110112060A (ko) * 2010-04-06 2011-10-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수화물 이송장치
US8454095B1 (en) * 2009-04-10 2013-06-04 Poet Research, Inc. Apparatus for unloading bulk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100A (en) * 1913-04-08 1914-02-24 Benjamin P Saunders Apparatus for unloading freight-cars.
US1207795A (en) * 1916-08-21 1916-12-12 Henry F Riekenberg Hay-sling.
US3443703A (en) 1967-01-16 1969-05-13 Tom T Matsumoto Dumping apparatus
US3471037A (en) * 1968-03-14 1969-10-07 Joseph E Mcwilliams Apparatus for loading bagged mail from a loading dock into a highway vehicle
US3856354A (en) * 1972-03-13 1974-12-24 D Davis Sugar cane wagon and the like
US4314788A (en) * 1980-01-24 1982-02-09 Williams Rodney B Crop handling apparatus
US4277220A (en) * 1980-01-31 1981-07-07 Wiley Frederick R Combined load cover and unloader
NL8102845A (nl) * 1981-06-12 1983-01-03 Leer Koninklijke Emballage Werkwijze voor het lossen van stortgoed uit een laadbak of laadkist alsmede laadbak of laadkist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US4629390A (en) * 1984-10-31 1986-12-16 Burke Donald D Truck bed unloader
US4892456A (en) * 1988-02-04 1990-01-09 Rolflor Industries, Inc. Unloading system for freight containers
US5156518A (en) * 1991-02-21 1992-10-20 Michael E. Wood Truck bed unloading device
US5295779A (en) * 1992-06-16 1994-03-22 Mihalich Robert M Flexible material vehicle unloader
US5573365A (en) * 1995-04-28 1996-11-12 Michalski; Daniel T. Tarp loader and related method
US6033179A (en) * 1997-09-12 2000-03-07 Abbott; William S. Truck bed clean out apparatus and method
US6974296B2 (en) * 2003-08-07 2005-12-13 Simrin Kirk A Cleanout cover system for unload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reciprocating floor assemblies
CN101021152B (zh) * 2007-03-07 2011-02-09 孟凡英 缓冲给料机
KR100990190B1 (ko) 2008-08-07 2010-10-29 대경특장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용 화물차
KR20110139614A (ko) 2010-06-23 2011-12-29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 효과 설비를 포함하는 영상물 상영 시설
CN202245398U (zh) * 2011-08-24 2012-05-30 安徽砀山海升果业有限责任公司 卸车保护原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9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電動運搬車の制御装置
KR200281246Y1 (ko) * 2001-12-26 2002-07-12 심창섭 톱밥운반차량
US8454095B1 (en) * 2009-04-10 2013-06-04 Poet Research, Inc. Apparatus for unloading bulk materials
KR20110112060A (ko) * 2010-04-06 2011-10-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수화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459A1 (en) 2016-04-21
KR101686237B1 (ko) 2016-12-13
DE112015004715T5 (de) 2017-07-06
CN107108135B (zh) 2022-05-03
CN107108135A (zh) 2017-08-29
US10220757B2 (en) 2019-03-05
US20170232879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237B1 (ko)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US9950881B2 (en) Robotic trailer loading device with telescoping robot
US20180215560A1 (en) Robotic carton unloader
KR101640649B1 (ko) 적재공간에서 적재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기구 및 방법
EP1253078B1 (en) Loading bridge for air cargo loading
CN114572719B (zh) 柔性自动装卸车机器人系统及方法
EP3597479A1 (en) Cargo loading system
US8978871B1 (en) Conveyor system
KR101404796B1 (ko) 무인운반차
EP2233380B1 (en) A transport system
CN112320393A (zh) 装车卸车系统
CN104691814A (zh) 同透卷材塑胶地板输送包装用生产线及生产工艺
US20170106967A1 (en) System for moving loads and cargo hold
US7153089B2 (en) Storage device
CN105366317B (zh) 一种物流自动上料系统
JP2007217076A (ja) 搬送車
CN110214119A (zh) 传送系统
JP6766524B2 (ja) バンニング・デバンニング装置
CN208931196U (zh) 储货装置及具有该储货装置的货车
CN107656525A (zh) 一种遥控式无轨运输平台车
CN210312597U (zh) 装卸系统
KR102046946B1 (ko)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JP4635267B2 (ja) 自動搬送装置
JP7383310B2 (ja) 荷物積卸システム
WO2023032124A1 (ja) 無人搬送車および牽引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