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17A -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3717A KR20160043717A KR1020140138243A KR20140138243A KR20160043717A KR 20160043717 A KR20160043717 A KR 20160043717A KR 1020140138243 A KR1020140138243 A KR 1020140138243A KR 20140138243 A KR20140138243 A KR 20140138243A KR 20160043717 A KR20160043717 A KR 201600437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resistant pipe
- cable
- fir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는: 패널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개구되며, 내부에 방화구획재가 충전되는 내열용 관; 내열용 관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제1폐쇄부와 제2폐쇄부를 포함하는 폐쇄부; 및 일단이 제1폐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폐쇄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확구획재에 새 기기나 회선이 추가되는 경우, 기존의 방화구획재를 파손하지 않으면서 케이블을 증설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건축법 제5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2시간), 일정 온도(1,049℃)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방화구획재의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한 실내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방화구획재 관통부의 밀폐는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서 건축물에 새로운 기기나 회선이 추가되는 경우에 추가로 케이블을 시공하기 위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구획재를 훼손하고 추가로 케이블 설치를 위한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 케이블을 시공한 후 방화구획재에 개구된 관통공의 틈새를 매우기 위하여 방화실리콘을 도포한다. 이러한 관통공의 틈새를 도포하는 작업에서 부실한 마감 등으로 인하여 방화구획재의 연소방지 능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9469호(2013.04.22. 공개,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추가 시공시에 기존의 방화구획재를 파손하지 않으면서 추가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는: 패널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개구되며, 내부에 방화구획재가 충전되는 내열용 관; 상기 내열용 관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제1폐쇄부와 제2폐쇄부를 포함하는 폐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폐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폐쇄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열용 관에는 상기 내열용 관 내부로 방화실란트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주입관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폐쇄부는, 상기 제1폐쇄부의 외경이 상기 내열용 관의 하단 내경에 상응되어, 상기 내열용 관의 하단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방화구획재는 상기 제1폐쇄부의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제2폐쇄부는 상기 내열용 관의 상단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방수단에는, 상기 제1폐쇄부와 연결되는 갈고리형의 걸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방수단의 타단에는 곡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열용 관은 원통형관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열용 관은 다각형관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는 패널에 손상을 주지 않고 내열용 관을 개방하고 내열용 관에 추가 케이블의 설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수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아당기고 걸림부를 통하여 폐쇄부와 방화구획재가 제거되어, 내열용 관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수단의 작동으로 내열용 관이 개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내열용 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에 방화실란트가 충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의 하부를 테이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수단의 작동으로 내열용 관이 개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내열용 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에 방화실란트가 충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의 하부를 테이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축물 시공 초기에는 패널(5)에 케이블(50)이 시공되고, 케이블(50)이 시공된 후 패널(5)의 남은 부분에 케이블 증설용 방화 구획 장치(100)가 설치된다. 케이블 증설용 방화 구획 장치(100)는 건축물에 새로운 기기나 회선이 추가되는 경우에 추가로 케이블(50)을 시공하거나 또는 재시공시에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는 내열용 관(10), 폐쇄부(20) 및 개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열용 관(10)은 패널(5)에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방화구획재(60)가 충전(充塡)된다. 여기서 패널(5)은 화재 발생시 화재 확산 방지 및 유해 가스가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는 방화구획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화구획재(60)는 무기재료 계통인 암면(Mineral 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 등이 사용된다. 내열용 관(10)의 빈 내부 공간에는 방화구획재(60)가 충전된다. 내열용 관(10)에 충전되는 방화구획재(60)는 상기에서 기재한 암면(Mineral 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실리콘 폼 등이 사용된다. 이들 충전재료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재(60)는 난연성, 신축성, 경량성 등에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방화구획재(60)는 절단 작업 등을 통하여 작은 조각 상태로 내열용 관(10)에 충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열용 관(10)은 패널(5)에 삽입 설치가 용이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내열용 관(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형의 케이블(50)이 내열용 관(10)의 내부 공간에 맞게 설치된다. 내열용 관(10)은 추가 설치되는 케이블(50)이 단수 개 인지 복수 개 인지, 또는 케이블(50)의 직경에 따라 내열용 관(10)의 크기를 미리 예정하여 패널(5)에 설치될 수 있다. 내열용 관(10)이 원통형관으로 이루어져 케이블(50)이 원통형 내열용 관(10)의 내부에 손상되지 않으면서 설치될 수 있다.
내열용 관(10)의 외주면에는 불연 재질을 포함하는 필름이 도포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온의 열이 내열용 관(10)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여기서 불연 재질을 포함하는 필름은 180℃ 이상의 고온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내열용 관(10)을 개방하고 케이블(50)을 삽입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 후, 내열용 관(10)의 내부로 방화실란트(70)를 충전하기 위하여 내열용 관(10)의 일측(도 2 기준 하측면)에는 주입관(11)이 돌출 형성된다. 주입관(11)은 내열용 관(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 패널(5)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주입관(11)은 내열용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폐쇄부(20)는 내열용 관(10)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제1폐쇄부(21)와 제2폐쇄부(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폐쇄부(21)는 패널(5)에 수직하게 설치된 내열용 관(10)의 하단을 폐쇄하고, 제2폐쇄부(22)는 패널(5)에 수직하게 설치된 내열용 관(10)의 상단을 폐쇄한다. 제1폐쇄부(21)는 내열용 관(1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내열용 관(1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다. 제1폐쇄부(21)의 외경은 내열용 관(1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방화구획재(60)는 제1폐쇄부(21)의 상부에 거치된다. 제2폐쇄부(22)는 내열용 관(10)의 상부에 거치된다. 제2폐쇄부(22)는 내열용 관(10)의 내면을 향하여 단차가 형성되어, 내열용 관(10)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열용 관(10)을 폐쇄한다.
개방수단(3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단(도 2 기준 하단)이 제1폐쇄부(21)와 연결되고, 타단(도 2 기준 상단)이 제2폐쇄부(22)를 관통하여 내열용 관(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개방수단(30)은 일정 이상의 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방수단(30)은 철 재질을 포함하는 철사로 이루어진다. 개방수단(30)의 하단에는 제1폐쇄부(21)와 연결되는 걸림부(31)가 형성된다. 걸림부(31)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제1폐쇄부(21)를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개방수단(30)이 이동할 때 제1폐쇄부(21)도 같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개방수단(30)에서 내열용 관(10)의 외부로 노출된 타단(도 2 기준 상단)에는 곡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32)가 형성된다. 손잡이(32)는 일반 체형을 가진 사람의 검지 또는 중지의 손가락의 직경에 상응되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수단의 작동으로 내열용 관이 개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손잡이(32)에 손가락을 걸고 손잡이(32)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31)에 걸린 제1폐쇄부(21)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폐쇄부(2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열용 관(10)의 내부에 충전된 방화구획재(6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내열용 관(10)의 상부에 설치된 제2폐쇄부(22)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화구획재(60)에 의하여 내열용 관(10)에서 벗어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내열용 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열용 관(10)은 개방수단(30)에 의하여 폐쇄부(20), 개방수단(30), 방화구획재(60)가 모두 제거된 상태이다. 내부가 빈 상태의 내열용 관(10)에 케이블(50)을 삽입하여, 내열용 관(10) 내부에 케이블(50)이 위치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에 방화실란트가 충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열용 관(10)에 설치된 케이블(50)이 내열용 관(10)에 고정되고, 화재 발생시 케이블(50)에 고온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내열용 관(10)에 방화실란트(70)를 충전시킨다. 방화실란트(70)는 실란트 건(40)을 이용하여 주입관(11)을 통하여 내열용 관(10)에 충전된다. 방화실란트(70)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불길의 급속한 확산과 유해 가스를 차단하는 것으로, 액형으로 형성되어 실란트 건(40)을 통하여 내열용 관(10)에 주입된다. 내열용 관(10)에 주입된 방화실란트(70)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고형으로 변화되어 케이블(50)이 내열용 관(10)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되게 한다. 내열용 관(10)에 내열용 관(10)을 충분히 채우는 방화실란트(60)가 충전된 후, 주입관(11)은 임시 마개 등을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다. 주입관(11)을 막은 임시 마개는 방화실란트(70)가 고형화된 후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용 관의 하부를 테이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열용 관(10)에 방화실란트(70)가 충전된 상태에서 개구된 내열용 관(10)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방화테이프(80)를 이용하여 내열용 관(10)의 하부를 테이핑한다. 방화테이프(80)는 내열용 관(10)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50)의 내화·내열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테이프이다. 내열용 관(10)의 하부를 방화테이프(80)로 마감함으로써, 내열용 관(10) 내부에 케이블(50)의 추가 설치가 마무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a)에서는 내열용 관(10a)이 다각형관으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다각형관으로 내열용 관(10a)을 설치하여 패널(5)에 내열용 관(10a) 간에 서로 외측면이 접하게 되어 원통형의 내열용 관(10)에 비하여 패널(5)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열용 관(10a)은 외부의 충격에 강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는 육각형관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a)는 상기에서 설명한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에서 원통형의 내열용 관(1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 100a)는 패널(5)에 수직으로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5)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100, 100a)는 건축물에 방화구획재로 설치되는 패널(5)에 손상을 주지 않고 내열용 관(10, 10a)에 추가 케이블(50)의 설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수단(30)에 형성된 손잡이(32)를 잡아당기고 걸림부(31)를 통하여 폐쇄부(20)와 방화구획재(60)가 제거되어, 내열용 관(10, 10a)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10a: 내열용 관
11: 주입관
20: 폐쇄부 21: 제1폐쇄부
22: 제2폐쇄부 30: 개방수단
31: 걸림부 32: 손잡이
40: 실란트 건 50: 케이블
60: 방화구획재 70: 방화실란트
80: 방화테이프
100, 100a: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20: 폐쇄부 21: 제1폐쇄부
22: 제2폐쇄부 30: 개방수단
31: 걸림부 32: 손잡이
40: 실란트 건 50: 케이블
60: 방화구획재 70: 방화실란트
80: 방화테이프
100, 100a: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Claims (7)
- 패널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개구되며, 내부에 방화구획재가 충전되는 내열용 관;
상기 내열용 관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제1폐쇄부와 제2폐쇄부를 포함하는 폐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폐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폐쇄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용 관에는 상기 내열용 관 내부로 방화실란트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주입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폐쇄부는, 상기 제1폐쇄부의 외경이 상기 내열용 관의 하단 내경에 상응되어, 상기 내열용 관의 하단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방화구획재는 상기 제1폐쇄부의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제2폐쇄부는 상기 내열용 관의 상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에는, 상기 제1폐쇄부와 연결되는 갈고리형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의 타단에는 곡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용 관은 원통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용 관은 다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243A KR20160043717A (ko) | 2014-10-14 | 2014-10-14 |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243A KR20160043717A (ko) | 2014-10-14 | 2014-10-14 |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3717A true KR20160043717A (ko) | 2016-04-22 |
Family
ID=5591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8243A KR20160043717A (ko) | 2014-10-14 | 2014-10-14 |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3717A (ko) |
-
2014
- 2014-10-14 KR KR1020140138243A patent/KR201600437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8822B2 (en) |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 |
US20120304979A1 (en) | Line Element Lead-Through with Support Structure | |
US20120216791A1 (en) | Line Element Lead-Through | |
KR101361647B1 (ko) |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 |
RU2676573C2 (ru) | Огнезащитная лента | |
US2004009381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 through-penetration | |
JP5606017B2 (ja) | 耐火閉塞用複合材、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 |
US20210310586A1 (en) | Air, acoustic and/or fire sealing sleeve insert and air, acoustic and/or fire sealing device | |
KR20150033328A (ko) |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 |
KR20170084970A (ko) |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 |
JP2011163553A (ja) | 耐火閉塞具による排水管を閉塞する方法 | |
JP5576349B2 (ja) | 耐火閉塞用複合材、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 |
KR20160043717A (ko) | 케이블 증설용 방화구획 장치 | |
ES2876002T3 (es) |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 |
KR20150001347A (ko) |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 |
JP4617394B1 (ja) | 耐火閉塞具 | |
JP2009243552A (ja) | 貫通孔防火措置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貫通孔防火措置キット | |
JP2012081175A (ja) | ケーブルダクトの防火区画処理構造 | |
KR20120133538A (ko) | 건축물의 관통부용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 |
EP3676351A1 (en) | Sealing compositions, method and use for sealing a service penetration | |
KR20180018248A (ko) |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 |
EP3698853A1 (en) | Assembly of a wall and fire collar | |
FI64481B (fi) | Anordning foer dragning av ledning genom brandtaetande genomfoering | |
KR20220001730U (ko) | 탈부착 덮개를 구비한 개방형 방화 트레이 | |
NL2012176C2 (en) | Seal device, kit of parts, adapter,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