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976A - 열전달 판 - Google Patents

열전달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976A
KR20160042976A KR1020167006233A KR20167006233A KR20160042976A KR 20160042976 A KR20160042976 A KR 20160042976A KR 1020167006233 A KR1020167006233 A KR 1020167006233A KR 20167006233 A KR20167006233 A KR 20167006233A KR 20160042976 A KR20160042976 A KR 2016004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plate
fluid
plate
centr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블롬그렌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6004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1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apparatus having an annula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6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having one or more openings therein forming tubular heat-exchan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10Arrangements for sealing the marg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4Reinforcing means f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전달 판으로서, 교호적 리지(26) 및 홈(27)의 복수의 줄(23, 24)을 포함하며, 동일한 줄(23)에서 각각의 리지(26)와 인접한 홈(27) 사이의 이행부는 중심 평면(P1)에 대해 경사지는 열전달 판의 부분(2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전달 판은 또한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이 유체 입구로서 작용할 수 있고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이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유체 분리 장치(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개구(22)를 포함하는 열전달 판에 있어서, 상기 판은 리지(26) 및 홈(27)의 줄(23, 24) 사이에서 연장되어 줄(23, 24)이 상호 분리되게 하는 판 부분(30, 3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달 판{HEAT TRANSFER PLATE}
본 발명은 중심 개구의 제1 부분이 유체 입구로서 작용하고 중심 개구의 제2 부분이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유체 분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개구를 갖는 형태의 열전달 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판 열교환기가 존재하며 이들은 그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일부 형태의 판 열교환기는 접합되는 열전달 판이 그 안에 배치되는 밀봉 포위체를 형성하는 케이싱으로 조립된다. 복수의 열전달 판이 열전달 판 스택을 형성하며 이들 열전달 판에는 제1 및 제2 유체를 위한 교호적 제1 및 제2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한 가지 형태의 판 열교환기, 소위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에 있어서, 각각의 열전달 판은 제1 유체 경로용 중심 개구(중심 포트)를 갖는다. 제1 유체 경로에서의 유체는 열전달 판의 중심 개구의 입구 섹션에서 열전달 판에 진입하고, 판을 가로질러 유동하며, 상기 중심 개구의 출구 섹션에서 판을 떠난다. 출구 섹션은 입구 섹션과 대향하며, 입구 섹션으로의 유체 유동을 출구 섹션으로의 유체 유동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유체 분리 장치가 중심 개구에 삽입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로 인해, 상기 포트는 열전달 판 위로 흐르는 유체를 위한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로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제1 유체는 열전달 판 위에서 180°선회하며, 따라서 제1 유체는, 중심 개구를 가로질러 볼 때, 제1 유체가 판에 진입하는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판을 떠난다.
제2 유체는 판 주위의 입구 섹션에서 열전달 판에 진입하고, 판을 가로질러 유동하며, 판 주위의 출구 섹션에서 판을 떠나고, 출구 섹션은 입구 섹션과 대향한다.
명백히, 제1 유체를 위한 입구와 출구는 제2 쌍의 판 마다 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유체를 위한 입구와 출구는 제2 쌍의 판을 걸러서 그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체는 제2 쌍의 열전달 판 마다 그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각 측부 위로 유동한다. 제1 유체를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갖는 판 쌍의 판은 그 전체 주위를 따라서 상호 밀봉되며, 제2 유체를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갖는 판 쌍의 판은 그 중심 개구에서 상호 밀봉된다.
열전달 판이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이기 때문에,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판 열교환기에 비해서 높은 압력 레벨을 견딜 수 있다. 여전히,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는 콤팩트하고, 이는 양호한 열전달 특성을 가지며, 혹독한 작동 조건을 제동 없이 견딜 수 있다.
접합된 열전달 판은 흔히 판 팩(plate pack) 또는 열전달 판 스택으로 지칭된다. 열전달 판 스택은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특징인 내부 중심 관통 구멍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열전달 판 스택은 열전달 판 사이에서 고무 개스킷이 생략될 수 있도록 완전-용접될 수도 있다. 이것은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를 고온 고압의 광범위한 공세적 유체와 더불어 작동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정비 중에, 열전달 판 스택은 예를 들어 셸의 상부 또는 하부 커버를 제거하고 열전달 판 스택을 세제로 씻어냄으로써 접근 및 세척될 수 있다. 열전달 판 스택을, 그것이 셸 내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는 한 이전 스택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신규 스택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는 종래의 열교환기로서 뿐만 아니라 응축기 또는 리보일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두 가지 후자의 경우에 셸은 응축물을 위한 추가 입구/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특수 분리 유닛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그 열전달 판 스택을 갖는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설계는, 지적했듯이, 그 형태상 매우 특정한 장점 및 특성의 조합을 제공한다.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복수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는 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EP2002193A1호에 나타나 있다.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판 열교환기에 비해서,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는 콤팩트한 설계를 가지며 고압 레벨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는 비교적 높은 압력 레벨이 취급될 수 있도록 여전히 보장하면서 하나의 유체에서 다른 유체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그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히, 판이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중심 개구를 갖는 열전달 판의 열전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이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전달 판이 제공된다. 열전달 판은 판 열교환기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줄(row)을 포함하며, 각각의 줄은 열전달 판의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의,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교호적 리지(ridge) 및 홈을 가지며,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은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심 평면의 각 측에 위치한다. 동일한 줄에서 각각의 리지와 인접한 홈 사이의 이행부는 중심 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열전달 판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열전달 판은 또한 중심 개구의 제1 부분이 유체 입구로서 작용할 수 있고 중심 개구의 제2 부분이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유체 분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심 개구, 및 리지 및 홈의 줄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줄이 상호 분리되게 하는 판 부분을 갖는다.
열전달 판은 매우 단단하고 강건한 동시에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 용으로 적합하며 효과적인 열전달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리지 및 홈의 줄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 부분은 보강 섹션 또는 보강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보강 섹션은, 중심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통상 리지 및 홈의 줄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보강 섹션은 임의의 조합에서 평탄한 형상, 계단 형상 및 파형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보강 섹션은 세장형일 수 있다. 보강 섹션은 통상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보강 섹션은 열전달 판의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은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심 평면의 각 측에 위치한다. 제1 평면은 상부 평면과 중심 평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평면은 중심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은 열전달 판을 그 평면 신장시에 강건하게 만든다.
열전달 판 상측에서의 복수의 리지의 상면의 접촉 면적은 열전달 판 하측에서의 복수의 홈의 하면의 접촉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것이 유리한 이유는 열전달 판의 일 측에서의 압력이 열전달 판의 다른 측에서보다 높은 상황을 열전달 판이 보다 양호하게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호적 리지 및 홈의 복수의 줄은 열전달 판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교호적 리지 및 홈의 복수의 줄은 열전달 판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경 방향은 판의 중심에서 출발하여 판의 주위로 향하는 일체의 방향일 수 있다. 접선 방향은 반경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열전달 판은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의 복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섹션 중 내부 섹션은 그 외부 섹션보다 높은 유동 저항을 제공하고, 상기 내부 섹션은 중심 개구에 대해 외부 섹션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높은 유동 저항을 갖는 내부 섹션은 그 안에 열전달 판이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작동 중에 그 위로 물이 흐르도록 의도된 섹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열전달 판의 섹션이 높은 유동 저항을 갖는다고 할 때, 이것은 그 섹션을 가로질러 흐르거나 또는 그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포위되는 채널 내에서 흐르는 유체에 대해 그 섹션이 높은 유동 저항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내부 섹션은 외부 섹션보다 높은 접선방향 유동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판은 중심 개구의 제1 부분을 가로질러, 열전달 판의 중심을 통해서 그리고 중심 개구의 제2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기하 중심축, 및 상기 제1 중심축에 수직하고 중심을 통해서 연장되는 제2 기하 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섹션은 제2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중심 개구에 대해 외부 섹션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열전달 판은 제1 중심축에 대해 대칭적일 수 있다. 열전달 판은 또한 제2 중심축에 대해 대칭적일 수도 있다.
내부 섹션의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은 외부 섹션의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과 다른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는 동일한 줄에서의 리지와 홈 사이에 다를 수 있고, 피치는 상이한 줄에서의 리지와 홈 사이에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한 줄 사이의 피치(거리)가 다를 수 있다.
내부 섹션과 외부 섹션 중 임의의 섹션은 굴곡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판은 중심 개구의 제1 부분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배플과 제2 배플, 및 중심 개구의 제2 부분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3 배플과 제4 배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플의 각각은 열전달 판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다.
열전달 판은 유체 입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제1 부분 및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제2 부분을 갖는 주변 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 에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중간에 위치하는 주변 에지 섹션은 열전달 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유사한 열전달 판의 대응 섹션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중심 개구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심 개구 섹션은 열전달 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유사한 열전달 판의 대응 섹션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그 각각이 전술한 특징부를 갖는 복수의 열전달 판, 밀봉 포위체를 형성하는 케이싱, 및 중심 개구가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양자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열전달 판의 중심 개구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복수의 열전달 판은 영구적으로 접합되며, 그 사이에 제1 및 제2 유체를 위한 교호적 제1 및 제2 유동 경로가 형성되도록 밀봉 포위체 내에 배치된다. 제공되는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이다.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 사이의 거리는 열전달 판의 외부 섹션에서보다 열전달 판의 내부 섹션에서 더 작을 수 있으며, 내부 섹션은 중심 개구에 대해 외부 섹션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열전달 판은 인접한 열전달 판의 대응하는 절첩된 중심 에지를 향해서 절첩되고 그와 접합되는 중심 에지, 및 다른 인접한 열전달 판의 대응하는 절첩된 주변 에지를 향해서 절첩되고 그와 접합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열교환기의 작동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에서는 배플이 배치되는 열전달 판의 측부 위로 물이 통과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상 매체는 중심 개구를 통해서 제1 유체 경로에 유입되고 기상 매체는 제2 유체 경로에 유입된다. 액상 매체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태양 및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도 2의 B-B선을 따라서 바라본,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서 바라본, 도 1의 열교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분류기(flow divider)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류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것과 같이 열교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열전달 판의 주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섹션 D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열전달 판이 유사 열전달 판의 상부 위에 배치될 때, 도 6의 C-C선을 따라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종류의 네 개의 열전달 판의 주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열전달 판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열전달 판의 섹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열전달 판의 평면도이며, 판 전체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6에 대응하지만 열전달 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열전달 판이 유사 열전달 판의 상부 위에 배치될 때, 도 11의 E-E선을 따라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열전달 판의 다른 실시예의 주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F-F선 및 G-G선을 따라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열전달 판의 다른 실시예의 주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H-H 및 I-I선을 따라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심-포트 판 열교환기(2)가 도시되어 있다. 열교환기(2)는 원통형 셸(3), 상부 커버(4) 및 하부 커버(5)를 포함하는 케이싱(19)을 갖는다. 상부 커버(4)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커버(4)의 주위는 원통형 셸(3)의 상부 에지에 부착된다. 하부 커버(5)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하부 커버(5)의 주위는 원통형 셸(3)의 하부 에지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4, 5)는 원통형 셸(3)에 용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4, 5)는 원통형 셸(3)의 플랜지(도시되지 않음) 및 커버(4, 5)와 접합하는 볼트를 거쳐서 원통형 셸(3)에 부착된다.
상부 커버(4)는 제1 유동 경로(F1)를 거쳐서 열교환기(2)를 통과하는 제1 유체를 위한 유체 입구(8)를 갖는다. 이 유체 입구(8)는 제1 유체 입구(8)로 지칭된다. 하부 커버(5)는 제1 유동 경로(F1)를 거쳐서 열교환기(2)를 통과하는 제1 유체를 위한 유체 출구(9)를 갖는다. 이 유체 출구(9)는 제1 유체 출구(9)로 지칭된다. 제1 유체 입구(8)는 상부 커버(4)의 중심에 위치하고 제1 유체 출구(9)는 하부 커버(5)의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유체 입구(8)와 제1 유체 출구(9)는 케이싱(19) 내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한다.
원통형 셸(3)은 제2 유동 경로(F2)를 거쳐서 열교환기(2)를 통과하는 제2 유체를 위한 유체 입구(6)를 갖는다. 이 유체 입구(6)는 제2 유체 입구(6)로 지칭된다. 원통형 셸(3)은 또한 제2 유동 경로(F2)를 거쳐서 열교환기(2)를 통과하는 제2 유체를 위한 유체 출구(7)를 갖는다. 출구(7)는 제2 유체 출구(7)로 지칭된다. 제2 유체 입구(6)는 원통형 셸(3)의 측부에서 원통형 셸(3)의 상부 에지와 원통형 셸(3)의 하부 에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제2 유체 출구(7)는 제2 유체 입구(6)와 대향하는 원통형 셸(3)의 측부에서 원통형 셸(3)의 상부 에지와 원통형 셸(3)의 하부 에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케이싱(19),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통형 셸(3), 상부 커버(4) 및 하부 커버(5)는 그 안에 열전달 판 스택(20)이 배치되는 밀봉 포위체 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열전달 판(21', 21, 21")과 같은, 스택(20) 내의 열전달 판은 영구적으로 접합되고 제1 및 제2 유동 경로(F1, F2)가 열전달 판 사이의 각각의 교호적 유동 경로에서 유동하도록 밀봉 포위체 내에 배치된다. 스택(20) 내의 열전달 판의 각각은 중심 개구(22)를 갖는다. 스택(20) 내의 여러 개의 열전달 판의 중심 개구는 스택(20) 내의 중심 공간을 함께 형성한다.
추가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택(20) 내의 중심 공간에 유체 분리 장치(10)가 삽입된다. 유체 분리 장치(10)는 스택(20)내 열전달 판(21', 21, 21")의 중심 개구(22)에 딱 맞는 실린더(12)의 형태를 갖는다. 분리 장치(10)의 높이는 스택(20) 내의 중심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다. 분류기(11)는 실린더(12)의 상측 부분에서부터 실린더(12)의 하측 부분까지 대각선으로 연장되며 실린더(12)의 내부를 제1 실린더 섹션(15)과 제2 실린더 섹션(16)으로 분리시킨다. 분류기(11)는 제1 실린더 섹션(15)을 제2 실린더 섹션(16)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며, 따라서 유체는 일절 이들 섹션(15, 16)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유동할 수 없다. 대신에, 유체는 스택(20) 내의 열전달 판을 거쳐서만 제1 실린더 섹션(15)에서 제2 실린더 섹션(16)으로 유동할 수 있다.
분리 장치(10)는 제1 실린더 섹션(15)에 제1 개구(13)를 가지며 제2 실린더 섹션(16)에 제2 개구(14)를 갖는다. 제1 개구(13)는 제2 개구(14)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분류기(11)는 이들 개구(13, 14) 사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열교환기(2) 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열전달 판(21)이 도시되어 있다. 열전달 판(21)은 복수의 줄(23, 24)을 가지며, 각각의 줄(23, 24)은 줄(23)의 리지(26)와 홈(27) 및 줄(24)의 리지(26')와 홈(27')과 같은 교호적 리지 및 홈을 포함한다. 줄(23, 24)은 열전달 판(21)의 상부 평면(P2)과 하부 평면(P3) 사이의, 열전달 판(21)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된다. 중심 평면(P1)은 통상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전달 판의 상측 및 열전달 판(21)의 하측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열전달 판(21)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평면이다. 상부 평면(P2)과 하부 평면(P3)은 중심 평면(P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중심 평면(P1)의 각 측에 위치한다. 동일한 줄(23)에서의 각각의 리지(26)와 인접한 홈(27) 사이의 이행부는 중심 평면(P1)에 대해 경사지는 열전달 판(21)의 부분(28)에 의해 형성된다. 줄(24)은 리지(26')와 홈(27') 사이의 대응 경사진 부분(28')을 갖는다. 평탄한 세장형 판 부분(30, 31)은 리지와 홈의 줄(23, 24)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된다. 따라서 줄(23, 24)은 상호 분리된다. 평탄한 세장형 판 부분(30, 31)은 보강 섹션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중심 평면(P1)은 평탄한 세장형 판 부분(30, 31)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평면(P1, P2, P3)은 도 7에서 측면으로부터 도시된다.
리지(26)는 열전달 판(21)의 상측부(38) 상에 각각의 상면(35)을 가지며 홈(27)은 열전달 판(21)의 하측부(39) 상에 각각의 하면(36)을 갖는다. 상측부(38)는 열전달 판(21)의 제1 측부(38)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하측부(39)는 열전달 판(21)의 제2 측부(39)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면(35)은 열전달 판(21) 위에[그 상측부(38) 상에] 배치되는 열전달 판과 맞닿는 접촉 면적을 갖는다. 하면(36)은 열전달 판(21) 아래에[그 하측부(39) 상에] 배치되는 열전달 판과 맞닿는 접촉 면적을 갖는다. 리지 및 홈의 일부, 대다수 또는 심지어 전체에 있어서, 상면(35)의 접촉 면적은 하면(36)의 접촉 면적보다 크다.
추가로 도 8을 참조하면, 열전달 판(21', 21, 22")의 주 도시도가 열전달 판(21)의 중심(C)에서 열전달 판(21)의 주변 에지(주위)(29)까지 연장되는 단면을 따라서 추가 열전달 판(22"')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열전달 판(21)의 주위(29)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상부 열전달 판(21')의 대응 주위와 접합된다. 판(21', 22")은 판(21)의 중심 평면(P1)에 대응하는 중심 평면(P1', P1")을 갖는다.
열전달 판(21)은 열전달 판(21)의 중심 개구(22)에서 상부 열전달 판(21')과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바, 즉 열전달 판(21)의 중심 개구(22)가 상부 열전달 판(21')의 유사한 중심 개구와 부분적으로 접합된다. 열전달 판(21)의 중심 개구(22)는 제1 부분(섹션)(32) 및 제2 부분(섹션)(33)을 제외하고 상부 열전달 판(21')과 접합된다. 중심 개구의 접합되지 않는 부분(32, 33)은 각각의 각도(α)에 의해 형성된다[각도 α는 제2 부분(33)에 대해서만 도시됨]. 부분(32, 33)은 상호 대칭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예시적인 열전달 판(21)은 반경 R2를 갖는 중심 개구(22)를 가지며, 제1 부분(32)이 α°의 각도에 대향(subtend)하기 때문에 제1 부분(32)의 길이(L)는 L = α·π·R2/180이다. 제2 부분(33) 또한 α°의 각도에 대향하기 때문에 제2 부분(33)의 길이(L)는 L = α·π·R2/180이다. 이것은 열전달 판(21)이 제1 부분(32)과 제2 부분(33) 사이의 두 섹션에서 그 중심 개구(22)에서 상부 열전달 판(21')과 접합됨을 의미한다. 접합된 섹션의 총 길이(L1)는 열전달 판(21)의 둘레에서 부분(32, 33)의 길이를 뺀 것인 바, 즉 L1 = 2·π·R2 - 2·(α·π·R2/180)이다.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은 제1 판 입구(32)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열전달 판(21)과 상부 열전달 판(21') 사이에서 열전달 판(21) 위를 유동해야 하는 유체에 대한 입구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은 제1 판 출구(33)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열전달 판(21) 위를 유동한 유체에 대한 출구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열전달 판(21, 21') 사이의 공간은 제1 유동 경로(F1)의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열전달 판(21, 21')을 그 중심 개구를 따라서 접합할 것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대신에 분리 장치(10)는 제1 판 입구(32)와 제1 판 출구(33) 이외의 섹션에서의 액체 유동을 방지한다. 분리 장치(10)의 제1 개구(13)는 α°의 각도에 대향하고 제2 개구(14)는 대응 각도 α°에 대향한다.
열전달 판(21)의 중심 개구(22)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하부 열전달 판(21")의 대응 중심 개구와 접합된다.
열전달 판(21)은 또한 열전달 판(21)의 주위(29)에서 하부 열전달 판(21")과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바, 즉 열전달 판(21)의 주위(29)는 하부 열전달 판(21")의 유사한 중심 주위와 부분적으로 접합된다. 주위(29)의 제1 부분(섹션)(17) 및 제2 부분(섹션)(18)은 하부 열전달 판(21")과 접합되지 않는다. 접합되지 않는 부분(17, 18)은 각각의 각도(β)에 의해 형성된다[각도 β는 제1 부분(17)에 대해서만 도시됨]. 부분(17, 18)은 대칭적이며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다.
예시적인 열전달 판(21)은 반경 R1의 원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부분(17)이 β°의 각도에 대향하기 때문에, 제1 부분(17)의 길이(L)는 L = β·π·R1/180이다. 제2 부분(18) 또한 β°의 각도에 대향하기 때문에 제2 부분(18)의 길이(L)는 L = β·π·R1/180이다. 이것은 열전달 판(21)이 제1 부분(17)과 제2 부분(18) 사이의 두 섹션에서 그 주위(29)에서 하부 열전달 판(21")과 접합됨을 의미한다. 접합된 섹션의 총 길이(L2)는 열전달 판(21)의 둘레에서 부분(17, 18)의 길이를 뺀 것인 바, 즉 L2 = 2·π·R1 - 2·(β·π·R1/180)이다.
주위(29)의 제1 부분(17)은 제2 판 입구(17)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열전달 판(21)과 하부 열전달 판(21") 사이에서 열전달 판(21) 아래를 유동해야 하는 유체에 대한 입구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18)은 제2 판 출구(18)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열전달 판(21) 아래를 유동한 유체에 대한 출구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열전달 판(21, 21") 사이의 공간은 제2 유동 경로(F2)의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열전달 판(21, 21")을 그 주위를 따라서 접합할 것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대신에 원통형 셸(3)은 제2 판 입구(17)와 제2 판 출구(18)를 제외한 모든 섹션에서의 액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판을 그 주위에서 밀봉한다. 따라서, 원통형 셸(3)은 이후 주변 에지를 각각의 각도 β°에 대향하는 섹션(17, 18)에서 별개로 밀봉한다.
열전달 판(21"', 21', 21, 21")의 접합은 통상적으로 용접에 의해 달성된다. 열전달 판(21)은 인접한 열전달 판(21")의 대응하는 절첩된 중심 에지(92")를 향해서 절첩되어 그와 접합되는 중심 에지(92)를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판(21)은 또한 다른 인접한 열전달 판(21')의 대응하는 절첩된 주변 에지(91')를 향해서 절첩되어 그와 접합되는 주변 에지(91)를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판은 이후 그 절첩된 에지에서 상호 접합될 수 있다. 판(21, 21')과 같은 판을 제1 판 입구(32)와 제1 판 출구(33) 이외의 모든 섹션에서 그 중심 개구(22)를 따라서 밀봉하기 위해 분리 장치(10)와 열전달 판 사이에 시일이 배치될 수 있다. 판(21, 21")과 같은 판을 제2 판 입구(17)와 제2 판 출구(18) 이외의 모든 섹션에서 그 주위(29)를 밀봉하기 위해 원통형 셸(3)과 열전달 판 사이에도 시일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열전달 판 위에서의 유동을 볼 수 있다. 제1 유체의 유동은 제1 유동 경로(F1)를 따른다. 분리 장치(10) 및 그 분류기(11)에 의해, 제1 유체의 유동은 제1 유체 입구(8)를 통과하고, 제1 실린더 섹션(15)에 진입하며, 분리 장치(10)의 제1 개구(13)를 통해서 유출되어 스택(20)내 열전달 판(21)의 제1 판 입구(32)에 유입된다. 제1 유체는 이후 열전달 판을 가로질러 유동할 때 "방향 전환"되고[도 1의 제1 유동 경로(F1) 참조], 스택(20)내 열전달 판(21)의 제1 판 출구(33)를 거쳐서 열전달 판을 떠나며, 제2 개구(14)를 거쳐서 제2 실린더 섹션(16)에 진입한다. 제2 실린더 섹션(16)으로부터 제1 유체는 제1 유체 출구(9)로 유동하고 그곳에서 열교환기(2)를 떠난다.
제2 유체의 유동은 제2 유동 경로(F2)를 따른다. 제2 유체의 유동은 제2 유체 입구(6)를 통과하고 스택(20)내 열전달 판(21)의 제2 판 입구(17)에 유입된다. 열전달 판의 모든 제2 판 입구(17) 내로의 유체 분배를 촉진하기 위해, 열교환기(2)는 제2 유체 입구(6)에 분배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수집기(도시되지 않음)가 제2 유체 출구(7)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전달 판(21)은 제2 판 입구(17)에 제1 절취부(4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판 출구(18)에 제2 절취부(47)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절취부(46, 47)가 열전달 판(21)의 주위(29)에 다른 형상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제2 판 입구(17)와 제2 판 출구(18)는 여전히 각각의 각도 β°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유체가 제2 판 입구(17)에 진입할 때, 이는 스택(20) 내의 판을 가로질러 유동하고[도 1의 제2 유동 경로(F2) 참조], 제2 판 출구(18)를 거쳐서 스택(20) 내의 열전달 판을 떠나며, 이후 제2 유체 출구(7)를 거쳐서 열교환기(2)를 떠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열전달 판(121)이 도시되어 있다. 열전달 판(121)은 제1 기하 축(A1) 및 제2 기하 축(A2)에 대해 대칭적이다. 도 9 및 도 10의 열전달 판(121)은 도 5의 열전달 판(21)에 대한 것과 동일한 여러가지 특징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열전달 판(121)은 제1 판 입구(32)와 제1 판 출구(33)를 갖는 중심 개구(22), 및 제2 판 입구(48)와 제2 판 출구(49)를 갖는 주위(29)를 갖는다. 제2 판 입구(48)와 제2 판 출구(49)는 도 1에 도시된 절취부(46, 47)와 같은 각각의 제1 및 제2 절취부를 포함한다. 열전달 판(121)은, 도 5의 열전달 판(21)이 다른 열전달 판에 접합 및 밀봉되는 방법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유사 판에 접합 및 밀봉된다.
열전달 판(121)은 또한, 리지 및 홈의 줄이 상호 분리되도록 리지 및 홈의 줄 사이에서 열전달 판(121)의 중심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탄한 세장형 판 부분(130, 131)을 갖는다. 이들 줄은 열전달 판(121)의 상이한 섹션에서 상이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교호적 리지(43) 및 홈(44)의 줄(42)의 제1 섹션(41)은 접선 방향(D1)으로 연장된다. 공지되어 있듯이, 접선 방향은 열전달 판(121)의 중심(C)으로부터 바라보는 반경(R1)을 갖는 판의 회전 반경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반경 방향은 열전달 판(121)의 중심(C)으로부터 바라보는 판의 회전 반경에 평행한 방향이다.
교호적 리지(53) 및 홈(54)의 줄(52)의 제2 섹션(51) 또한 접선 방향(D1)으로 연장되며, 교호적 리지(63) 및 홈(64)의 줄(62)의 제3 섹션(61)은 반경 방향(D2)으로 연장된다.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의 제4 섹션(81)은 반경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2 섹션(51)은 굴곡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굴곡 장방형은 그 형상의 두 변이 각각의 원호의 형태를 가지며(이들 원호는 상이한 반경을 갖지만 동일한 반경 중심을 공유하고 동일한 각도에 대향하며) 상기 두 변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추가 변에 의해 접합되는 기하학적 형상을 의미한다. 굴곡 장방형은 절두 원형 부채꼴 또는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제2 섹션(51)은 중심(C)에 대해 제3 섹션(61)보다 가깝게 배치되며 "내부 섹션"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3 섹션(61)은 중심(C)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며 외부 섹션 또는 주변 섹션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하학적 관점에서, 제1 기하 축(A1)은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을 가로질러, 열전달 판(121)의 중심(C)을 통해서,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2 기하 축(A2)은 제1 중심 축(A1)에 수직하며 중심(C)을 통해서 연장된다. 이후 내부 섹션(51)은 제2 중심축(A2)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중심 개구(22)에 대해 외부 섹션(61)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내부 섹션(51)은 외부 섹션(61)보다 높은 유동 저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내부 섹션(51)은 외부 섹션(61)보다 높은 접선방향 유동 저항을 갖는다. 상이한 유동 저항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섹션(51)의 교호적 리지 및 홈(53, 54)의 줄(52)은 예를 들어 외부 섹션(61)의 교호적 리지 및 홈(63, 64)의 줄(62)과 다른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유동 저항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리지 및 홈의 줄을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줄의 접선 방향은 줄의 반경 방향보다 높은 접선방향 유동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유동 저항은 줄 사이의 피치(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유동 저항을 이런 식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줄이 접선 방향일 수 있는 유동 방향으로 연장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외부 섹션(61)에서, 유동 저항은, 줄을 엇갈리지 않게 배치함으로써, 즉 상이한 줄에서의 리지를 유동 방향으로 서로의 뒤에 배치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상이한 줄의 홈은 유동 방향 또는 접선 방향으로 서로의 뒤에 배치된다. 유동 저항을 이런 식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줄이 반경 방향으로 또는 유동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섹션의 유동 저항은 또한 평탄한 세장형 판 부분(30, 31)을 인접한 판에 대해 더 가깝게 위치시키는 형상을 열전달 판(21)에 부여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유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따라서 그 섹션 위치에서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킨다.
열전달 판(121)은 중심 개구(22)의 제1 판 입구(32)[제1 부분(32)]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배플(71)과 제2 배플(72), 및 중심 개구(22)의 제1 판 출구(33)[제2 부분(33)]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3 배플(73)과 제4 배플(74)을 갖는다. 배플(71, 72, 73, 74) 각각은 열전달 판의 반경 방향(D2)으로 연장부를 갖는다. 이들 배플은 일 실시예에서 열전달 판(121)의 각각의 반경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배플은 통상적으로 세장형 리지의 형상을 갖는다.
배플은 제1 판 입구(32)에 진입하고 제1 판 출구(33)를 떠나는 유체가 열전달 판(121) 위에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보장하며, 따라서 유체는 제1 판 입구(32)에서 제1 판 출구(33)로 유동할 때 중심 개구(22)에 매우 가깝게 유동함으로써 지름길을 가지 않는다.
열전달 판(121)의 일 적용예에서, 그 안에 열전달 판(121)이 배치되는 열교환기는, 배플(71, 72, 73, 74)이 배치되는 열전달 판의 측부 위에서, 즉 배플이 각각의 돌출부 또는 세장형 리지를 형성하는 측부에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작동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열전달 판(221)이 도시되어 있다. 열전달 판(221)은 복수의 줄(223, 224)을 가지며, 각각의 줄(223, 224)은 교호적 리지 및 홈을 포함한다. 보강 섹션(230, 231)은 리지 및 홈의 줄(223, 224)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된다. 보강 섹션(230, 231)의 각각은 파형이며, 열전달 판의 제1 평면(P4)과 제2 평면(P5) 사이의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1 평면(P4)과 제2 평면(P5)은 중심 평면(P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중심 평면(P1)의 각 측에 위치한다. 제1 평면(P4)은 상부 평면(P2)과 중심 평면(P1)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평면(P5)은 중심 평면(P1)과 하부 평면(P3)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관련하여, 리지 및 홈이 두 개의 평면(P2, P3) 사이에서 연장될 때, 이것은 리지 및 홈의 전체가 이들 평면(P2, P3) 사이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보강 섹션(230, 231)의 전체가 제1 및 제2 평면(P4, P5)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 즉 보강 섹션(230, 231)의 연장은 제1 및 제2 평면(P4, P5)에 의해 제한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열전달 판(321)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보강 섹션(330)에 의해 분리되는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323, 324)을 도시한다. 줄(323, 324)은 엇갈리지 않으며 보강 섹션(330)은 계단 형성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열전달 판(421)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보강 섹션(430)에 의해 분리되는 교호적 리지 및 홈의 줄(423, 424)을 도시한다. 줄(423, 424)은 엇갈리며 보강 섹션(430)은 계단 형성되고 경사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기술하고 도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판 열교환기(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열전달 판으로서,
    상기 열전달 판은 복수의 줄(23, 24)을 포함하고, 각각의 줄(23, 24)은 열전달 판의 상부 평면(P2)과 하부 평면(P3) 사이의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되는 교호적 리지(26) 및 홈(27)을 가지며, 상부 평면(P2)과 하부 평면(P3)은 중심 평면(P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심 평면(P1)의 각 측에 위치하며, 동일한 줄(23)에서 각각의 리지(26)와 인접한 홈(27) 사이의 이행부는 중심 평면(P1)에 대해 경사지는 열전달 판의 부분(2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전달 판은 또한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이 유체 입구로서 작용할 수 있고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이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유체 분리 장치(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개구(22)를 포함하는 열전달 판에 있어서,
    리지(26) 및 홈(27)의 줄(23, 24) 사이에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을 따라서 연장되어 줄(23, 24)이 상호 분리되게 하는 판 부분(30, 31)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판.
  2. 제1항에 있어서, 열전달 판 상측(38)에서의 복수의 리지(26)의 상면(35)의 접촉 면적은 열전달 판 하측(39)에서의 복수의 홈(27)의 하면(36)의 접촉 면적보다 큰 열전달 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교호적 리지(43) 및 홈(44)의 복수의 줄(42)은 열전달 판의 접선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열전달 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호적 리지(63) 및 홈(64)의 복수의 줄(62)은 열전달 판의 반경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열전달 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호적 리지(53, 63) 및 홈(54, 64)의 줄(52, 62)의 복수의 섹션(51, 61)을 포함하며, 섹션(51, 62) 중 내부 섹션(51)은 섹션(51, 61) 중 외부 섹션(61)보다 높은 유동 저항을 제공하고, 상기 내부 섹션(51)은 중심 개구(22)에 대해 외부 섹션(61)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열전달 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섹션(51)은 상기 외부 섹션(61)보다 높은 접선방향 유동 저항을 갖는 열전달 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을 가로질러, 열전달 판의 중심(C)을 통해서 그리고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기하 중심축(A1), 및 상기 제1 중심축(A1)에 수직하고 중심(C)을 통해서 연장되는 제2 기하 중심축(A2)을 포함하며, 내부 섹션(51)은 제2 중심축(A2)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중심 개구(22)에 대해 외부 섹션(61)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열전달 판.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섹션(51)의 교호적 리지 및 홈(53, 54)의 줄(52)은 상기 외부 섹션(61)의 교호적 리지 및 홈(63, 64)의 줄(62)과 다른 피치를 갖는 열전달 판.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섹션(51)과 상기 외부 섹션(61) 중 임의의 섹션은 굴곡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열전달 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배플(71)과 제2 배플(72), 및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의 각 측부에 배치되는 제3 배플(73)과 제4 배플(74)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71, 72, 73, 74)의 각각은 열전달 판의 반경 방향(D2)으로 연장부를 갖는 열전달 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입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제1 부분(17, 48) 및 유체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제2 부분(18, 49)을 갖는 주변 에지(29)를 포함하며,
    주변 에지(29)의 제1 부분(17, 48)과 제2 부분(18, 49)의 중간에 위치하는 주변 에지(29) 섹션은 열전달 판의 상측(38)에 위치하는 유사한 열전달 판(21')의 대응 섹션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과 제2 부분(33)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심 개구(22) 섹션은 열전달 판의 하측(39)에 위치하는 유사한 열전달 판(21")의 대응 섹션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되는 열전달 판.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열전달 판(21', 21, 21"), 밀봉 포위체를 형성하는 케이싱(3, 4, 5), 및 중심 개구(22)가 유체 입구(32)와 유체 출구(33) 양자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열전달 판(21', 21, 21")의 중심 개구(22)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1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이며,
    상기 열전달 판(21', 21, 21")은 영구적으로 접합되고, 열전달 판(21', 21, 21") 사이에 제1 및 제2 유체를 위한 교호적 제1 및 제2 유동 경로(F1, F2)가 형성되도록 밀봉 포위체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열전달 판의 중심 평면(P1, P1') 사이의 거리는 열전달 판(21', 21, 21")의 외부 섹션(61)에서보다 열전달 판(21', 21, 21")의 내부 섹션(51)에서 더 작으며, 내부 섹션(51)은 중심 개구(22)에 대해 외부 섹션(61)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열교환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판(21)은
    인접한 열전달 판(21")의 대응하는 절첩된 중심 에지(92")를 향해서 절첩되고 그와 접합되는 중심 에지(92), 및 다른 인접한 열전달 판(21')의 대응하는 절첩된 주변 에지(91')를 향해서 절첩되고 그와 접합되는 주변 에지(91)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동 방법이며,
    제1 유체는 중심 개구(22)의 제1 부분(32)을 거쳐서 제1 유체 경로(F1)에 진입하고, 180°선회하면서 열전달 판(21', 21, 21") 위를 흐르며, 중심 개구(22)의 제2 부분(33)을 거쳐서 제1 유체 경로(F1)를 빠져나가고, 따라서 제1 유체가 제1 유체 경로(F1)를 떠날 때의 유동 방향은 제1 유체 경로(F1)에 진입할 때의 유동 방향과 반대이며,
    제2 유체는 유체 입구로서 작용하는 주변 에지(29)의 제1 부분(17)을 거쳐서 제2 유체 경로(F2)에 진입하고, 열전달 판(21', 21, 21") 위를 흐르며, 주변 에지(29)의 제2 부분(18)을 거쳐서 제2 유체 경로(F2)를 빠져나가는 열교환기 작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180°선회만 하고, 상기 제2 유체는 주변 에지(29)의 제1 부분(17)에서 제2 부분(18)으로 직접 유동하는 열교환기 작동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유체는 중심 개구(22)를 통과하며, 제2 유체 경로(F2)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1 유체 경로(F1)에 유입되는 열교환기 작동 방법.
KR1020167006233A 2013-08-12 2014-05-27 열전달 판 KR20160042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0151.6 2013-08-12
EP13180151.6A EP2837905B1 (en) 2013-08-12 2013-08-12 Heat transfer plate, heat exchanger and operating methode
PCT/EP2014/060967 WO2015022098A1 (en) 2013-08-12 2014-05-27 Heat transfer pla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316A Division KR20180120808A (ko) 2013-08-12 2014-05-27 열전달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976A true KR20160042976A (ko) 2016-04-20

Family

ID=48949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233A KR20160042976A (ko) 2013-08-12 2014-05-27 열전달 판
KR1020187031316A KR20180120808A (ko) 2013-08-12 2014-05-27 열전달 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316A KR20180120808A (ko) 2013-08-12 2014-05-27 열전달 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87076A1 (ko)
EP (1) EP2837905B1 (ko)
JP (1) JP6235141B2 (ko)
KR (2) KR20160042976A (ko)
CN (1) CN105431703B (ko)
BR (1) BR112016002567B1 (ko)
DK (1) DK2837905T3 (ko)
WO (1) WO2015022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00A (ko) 2020-11-06 2022-05-13 양준혁 미끄럼방지재자동분사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3062949T2 (sl) * 2013-10-29 2023-08-31 Swep International Ab Postopek trdega lotanja ploščatega izmenjevalnika toplote s pomočjo s sitotiskom nanešenega lota
EP3080541B1 (en) * 2013-12-10 2019-05-08 SWEP International AB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flow
EP3112787B1 (en) * 2015-07-01 2017-12-20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EP3179190A1 (en) * 2015-12-11 2017-06-14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EP3527320B1 (en) * 2016-03-31 2020-12-23 Alfa Laval Corporate AB Method for joining heat transfer plates of a plate heat exchanger
EP3236188B1 (en) * 2016-04-18 2018-12-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eat exchangers
DK179767B1 (da) * 2017-11-22 2019-05-14 Danfoss A/S Varmeoverføringsplade til plade-og-skal-varmeveksler og plade-og-skal-varmeveksler med samme
SE545536C2 (en) * 2020-02-14 2023-10-17 Alfa Laval Corp Ab A heat exchanger plate, and a plate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59307A (fr) * 1905-01-16 1906-03-21 Alexander Shiels Appareil pour le chauffage, la réfrigération, la condensation, l'évaporation et autres applications similaires
US3534813A (en) * 1969-03-11 1970-10-20 Gen Electric Heat exchanger
US3831674A (en) * 1972-11-16 1974-08-27 Avco Corp Plate type heat exchangers
JPS5722394B2 (ko) * 1975-03-19 1982-05-12
SE414829B (sv) * 1975-09-02 1980-08-18 Parca Norrahammar Ab Plattvermevexlare
US4431050A (en) * 1981-10-16 1984-02-14 Avco Corporation Stacked-plate heat exchanger made of identical corrugated plates
US4631213A (en) * 1984-02-06 1986-12-23 Hamon-Industries Thermoformed sheet for a plate-type gas-gas heat exchanger and the exchanger including said sheet
CN85102624B (zh) * 1985-04-01 1988-08-31 张力中 全自动节能开水炉
JPH073315B2 (ja) * 1985-06-25 1995-01-18 日本電装株式会社 熱交換器
JPH0612224B2 (ja) * 1987-01-20 1994-02-16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シエルアンドプレ−ト式熱交換器
JPH0531418Y2 (ko) * 1987-11-06 1993-08-12
CN1061278A (zh) * 1991-07-05 1992-05-20 孙喜权 螺线形通道热交换器
DE69323505T2 (de) * 1992-04-02 1999-06-17 Denso Corp Wärmetauscher
DE4437167A1 (de) * 1994-10-18 1996-04-25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Kraftstoffkühler
CN2216234Y (zh) * 1995-04-13 1995-12-27 王平 耐高压螺旋板式换热器
JP3685890B2 (ja) * 1996-10-17 2005-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H10122768A (ja) * 1996-10-17 1998-05-15 Honda Motor Co Ltd 熱交換器
CN1115541C (zh) * 1996-10-17 2003-07-2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热交换器
WO1998044305A1 (en) * 1997-04-02 1998-10-08 Creare Inc. Radial flow heat exchanger
SE9702420L (sv) * 1997-06-25 1998-12-26 Alfa Laval Ab Plattvärmeväxlare
CA2312113C (en) * 2000-06-23 2005-09-13 Long Manufacturing Ltd. Heat exchanger with parallel flowing fluids
SE518256C2 (sv) * 2001-01-04 2002-09-17 Alfa Laval Ab Värmeöverföringsplatta, plattpaket samt plattvärmeväxlare
US7004237B2 (en) * 2001-06-29 2006-02-2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hell and plate heat exchanger
WO2003038363A2 (en) * 2001-10-29 2003-05-08 Chart Heat Exchangers Lp Heat exchangers
FI118391B (fi) * 2001-12-27 2007-10-31 Vahterus Oy Laite pyöreän levylämmönvaihtimen lämmönsiirron parantamiseksi
JP2003247796A (ja) * 2002-02-26 2003-09-05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用再生熱交換器
GB0220652D0 (en) * 2002-09-05 2002-10-16 Chart Heat Exchangers Ltd Heat exchanger
SE529808C2 (sv) * 2006-04-06 2007-11-27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
JP4726728B2 (ja) * 2006-07-21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熱装置
SE534306C2 (sv) * 2008-06-17 2011-07-05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platta och plattvärmeväxlare
EP2741041B1 (en) * 2011-07-13 2019-09-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device
JP5506773B2 (ja) * 2011-12-27 2014-05-28 株式会社タクボ精機製作所 除湿機
CA2956845A1 (en) * 2014-07-31 2016-02-04 Dana Canada Corporation Battery cell heat exchanger with graded heat transfer su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00A (ko) 2020-11-06 2022-05-13 양준혁 미끄럼방지재자동분사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7076A1 (en) 2016-06-30
BR112016002567B1 (pt) 2020-12-01
JP6235141B2 (ja) 2017-11-22
EP2837905A1 (en) 2015-02-18
BR112016002567A2 (pt) 2017-08-01
WO2015022098A1 (en) 2015-02-19
CN105431703B (zh) 2019-06-14
KR20180120808A (ko) 2018-11-06
CN105431703A (zh) 2016-03-23
DK2837905T3 (da) 2020-05-18
EP2837905B1 (en) 2020-02-12
JP2016528469A (ja)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2976A (ko) 열전달 판
JP4981063B2 (ja) プレート熱交換器用の手段
KR101918869B1 (ko) 열전달 판 및 판 열교환기
US9739542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transfer plate
CN108474626B (zh) 板式热交换器
JP6916347B2 (ja) ポート孔ガスケットおよび熱交換器用組立体
RU2293271C2 (ru) Теплообменная пластина, пакет пластин и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US10393448B2 (en) Plate heat exchanger
JP6471225B2 (ja) 平板熱交換器
EP3660436B1 (en) Plate heat exchanger
KR20180022916A (ko) 플레이트 열 교환기
CN219494895U (zh) 换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4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9

Effective date: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