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860A -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860A
KR20160042860A KR1020160043699A KR20160043699A KR20160042860A KR 20160042860 A KR20160042860 A KR 20160042860A KR 1020160043699 A KR1020160043699 A KR 1020160043699A KR 20160043699 A KR20160043699 A KR 20160043699A KR 20160042860 A KR20160042860 A KR 20160042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water
resi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166B1 (ko
Inventor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주)써니스코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니스코파 filed Critical (주)써니스코파
Priority to KR102016004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1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58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and oxidised met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64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plastics, horn, rubber, or other organ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ceramic, tiles, concrete, stone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에 있어서,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되,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초과 0.5%미만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에 관한 것으로, 피전사체에 인쇄층 외에 다른 물질이 남지 않아 원하는 이미지 외의 윤곽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film free waterslide decal paper and deca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전사지는 잉크젯, 레이저 혹은 솔벤트 프린터로 인쇄한 물전사지를 물에 불려 박리지를 떼어 낸 뒤 얇은 인쇄층 필름을 딱딱한 표면(도자기, 유리, 금속 기타)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물과 필름 그리고 대상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붙이고 건조해서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한국 등록특허 제10-0382369호).
이러한 종래 물전사지의 문제점은 물전사지를 모양대로 오려서 붙일 때 오린 끝 부분의 두께감이 그대로 들어나므로 전사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또한 전사된 물품이 물에 오래 담그거나 외부적인 힘을 가했을 경우 필름이 쉽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실 생활에 사용하기 어렵고 오래 보관하는데도 문제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제품이 전사용지(한국 등록특허 제10-0684042호)로서 물전사지에서 떼어낸 인쇄된 접착층을 판박이식으로 배면으로 부착하고 열을 가한 후 2차 박리층인 필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물전사지는 얇은 인쇄층을 유지하며, 가열에 의해서 얇은 인쇄열접착층이 단단해져 쉽게 떨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의한 물전사지는 얇은 박막의 상기 인쇄열접착층이 함께 표면에 남아 있으므로 전사지를 자른 끝 부분이 보이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인쇄층만 떨어지게 하는 물전사지로는 세라믹안료를 이용하는 물전사지가 있는데 이것은 일반인이 사용하는 유기제의 잉크가 아닌 무기제의 세라믹 안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물전사지는 섭씨 800도의 고온에서 코팅필름을 태워버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 염료승화형 전사지를 사용한 방법이 있다.
상기 전사지는 염료승화형의 특수한 잉크를 사용해야 하며 피전사체의 표면도 그러한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특수한 레진의 코팅이 되어 있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또한, 염료승화형 전사지를 사용한 방법은 물전사지 방법이 아닌 열 프레스 전사에 따라 종이에서 잉크를 탈착시키는 방법이므로 평면 또는 프레스 작업이 가능한 형태를 띈 제품에만 사용이 가능한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전사체의 형태에 제한이 적고,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피전사체에 인쇄층 외에 다른 물질이 남지 않는 물전사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에 있어서,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되,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초과 0.5%미만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에 있어서,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되, 상기 박리성 물질은 왁스 계열의 물질이 2%초과 5%미만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필름층은 폴레우레탄 수지, 고무(rubber)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진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필름층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 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 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박리층은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박리층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박리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리지 상에 수용성 접착물질을 코팅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형성단계;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필름층 형성단계; 및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초과 0.5%미만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박리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리지 상에 수용성 접착물질을 코팅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형성단계;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필름층 형성단계; 및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성 물질은 왁스 계열의 물질이 2%초과 5%이하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필름층은 폴레우레탄 수지, 고무(rubber)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진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필름층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 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 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박리층은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 박리층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박리지, 수용성 박리 보조층,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1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를 물에 적시고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는 제2단계;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다음의 온도 환경에 상응하여 다음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제4단계; ⅰ) 섭씨 195도 내지 섭씨 215도 환경: 10분 내지 20분간 가열ⅱ ) 섭씨 215도 내지 섭씨 225도 환경: 8분 내지 15분간 가열 ⅲ) 섭씨 225도 내지 섭씨 235도 환경: 7분 내지 10분간 가열 상기 가열된 피전사체를 냉각하는 제5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박리지, 수용성 박리 보조층,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2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를 물에 적시고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는 제2단계;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다음의 온도 환경에 상응하여 다음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제4단계; ⅰ) 섭씨 125도 내지 섭씨 135도 환경: 25분 내지 40분간 가열 ⅱ) 섭씨 135도 내지 섭씨 145도 환경: 20분 내지 35분간 가열 ⅲ) 섭씨 145도 내지 섭씨 155도 환경: 15분 내지 30분간 가열 상기 가열된 피전사체를 냉각하는 제5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단계는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이 제거된 무필름 물전사지를 헤어 드라이어로 건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전사체를 추가로 가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군의 물질은 도자기, 유리, 석재, 크리스탈 및 석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군의 물질은 철,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금, 은 및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박리지, 수용성 박리 보조층,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 및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3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의 유성 박리층 상에 수용성 접착제를 발라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고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2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자연 경화시키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군의 물질은 비 가열성 고무, 나무, 플라스틱, 가죽, 점토 및 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전사체에 인쇄층 외에 다른 물질이 남지 않아 원하는 이미지 외의 윤곽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전사체의 형태에 제한이 적고 가정에서도 쉽게 전사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일부 단계에서의 무필름 물전사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나머지 단계에서의 무필름 물전사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0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1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2%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4%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제1군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를 섭씨 220도에서 9분간 가열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는 제2군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를 섭씨 150도에서 25분간 가열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유성 박리층 및 유성 필름층을 제거하는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박리지(110),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을 포함한다.
박리지(110)는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기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을 코팅하기 위한 기재가 된다.
박리지(110)는 일반적인 종이 용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이 뛰어난 여과지 형태의 종이로 이루어진다.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상기 박리지(110) 상에 코팅된다.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어느 정도 접착력을 가지면서 물에 쉽게 녹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물에 녹으면 상기 박리지(110)와 상기 유성 필름층(130)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덱스트린, 젤라틴 및 솔비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과 왁스류, 탈크, 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한 수용액을 한 번에 또는 두 차례 내지 세 차례 나눠서 전사용지에 5gsm 내지 15gsm 두께로 코팅한다.
유성 필름층(130)은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에 코팅되고 잉크의 전사를 보조한다.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에 상기 유성 박리층(140)을 바로 코팅하게 되면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고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과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그 구성성분 때문에 접착력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성 필름층(130)은 상기 유성 박리층(140)의 형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및 상기 유성 박리층(140) 모두와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성 필름층(130)은 가열시 수축하면서 상기 유성 박리층(140)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필름층(130)은 폴레우레탄 수지, 고무(rubber)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진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필름층(130)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된다.
유성 필름층(130)은 두께가 5마이크론 이하이면 유성 필름층(1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박리지(110) 분리 후 필름을 피전사체(160)에 부착하기 어려워지고 전사 후 피전사체(160)에서 제거하기도 어려워진다.
유성 필름층(130)은 두께가 30마이크론 이상이면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피전사체(160)에 부착 시 기공이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성 박리층(140)은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130) 상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며 0.1%초과 0.5%미만으로 혼합된다. 상기 비율은 상기 박리성 물질과 인쇄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 고형분 100%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이 0.1% 이하인 경우 전사 후 박리가 어려우며 잉크가 잘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이 0.5%를 이상일 경우 인쇄성 및 전사상태가 불량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즉, 박리성 물질이 과다하면 전사 시에 유성 박리층(140)과 피전사체(160)의 표면 접착을 방해하게 되어 기포 발생 비율이 커지고 가열 시 핀홀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잉크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게 되어 인쇄 시 잉크가 흩어질 수 있어 인쇄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박리성 물질이 과다할 경우 유성 필름층(130)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층간 분리 현상도 생길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기 범위 내외에서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 비율을 바꾸어가며 박리성, 인쇄성 및 전사상태를 관찰한 실험 결과이다.
박리성 물질(%) 온도(섭씨) 시간(분) 결과
박리성 인쇄성 전사상태
0.05 220 9 다소 불량 양호 불량
0.10 220 9 양호 양호 다소 불량
0.15 220 9 양호 양호 양호
0.20 220 9 양호 양호 양호
0.25 220 9 양호 양호 양호
0.30 220 9 양호 양호 양호
0.35 220 9 양호 양호 양호
0.40 220 9 양호 양호 양호
0.45 220 9 양호 양호 양호
0.50 220 9 양호 다소 불량 다소 불량
0.55 220 9 양호 불량 다소 불량
0.60 220 9 양호 불량 다소 불량
여기서, 상기 박리성이란 피전사체(160)에서 유성박리층(140)을 제거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박리성이 아주 불량할 경우 유성박리층(140)의 제거가 아주 어렵다.
상기 인쇄성이란 유성박리층(140)이 잉크를 잘 받는 정도 내지 인쇄품질의 정도를 의미한다. 인쇄성이 불량하면 잉크가 번지거나 인쇄가 잘 되지 않는다.
상기 전사상태란 잉크가 유성박리층(140)에서 분리되어 피전사체(160)에 전사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전사상태가 불량하면 유성박리층(140) 분리 후에도 잉크가 유성박리층(140)에 잔존할 수 있고 전사 시 핀홀이 생길 수 있다.
도 6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0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05% 비율로 사용한 경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의 인쇄상태는 양호하나 전사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며 유성 필름층(130) 분리과정에서 인쇄 일부가 뜯기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7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1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15% 비율로 사용한 경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의 인쇄상태, 분리성 및 전사상태 모두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을 0.5% 비율로 사용한 경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의 인쇄시 번짐이 발생하는 등 인쇄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왁스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며 2%초과 5%미만으로 혼합된다. 상기 비율은 상기 박리성 물질과 인쇄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 고형분 100%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은 2% 이하인 경우 전사 후 박리가 어려우며 잉크가 잘 분리되지 않는다.
박리성 물질을 5%를 이상인 경우 인쇄성 및 전사상태가 불량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즉, 박리성 물질이 과다하면 전사 시에 유성 박리층(140)과 피전사체(160)의 표면 접착을 방해하게 되어 기포 발생 비율이 커지고 가열 시 핀홀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잉크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게 되어 인쇄 시 잉크가 흩어질 수 있어 인쇄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박리성 물질이 과다할 경우 유성 필름층(130)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층간 분리 현상도 생길 수 있다.
하기 [표 2]는 상기 범위 내외에서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 비율을 바꾸어가며 박리성, 인쇄성 및 전사상태를 관찰한 실험 결과이다.
박리성 물질(%) 온도(섭씨) 시간(분) 결과
박리성 인쇄성 전사상태
1.0 220 9 불량 양호 불량
1.5 220 9 다소 불량 양호 다소 불량
2.0 220 9 양호 양호 다소 불량
2.5 220 9 양호 양호 양호
3.0 220 9 양호 양호 양호
3.5 220 9 양호 양호 양호
4.0 220 9 양호 양호 양호
4.5 220 9 양호 양호 양호
5.0 220 9 양호 양호 다소 불량
5.5 220 9 양호 다소 불량 다소 불량
6.0 220 9 양호 다소 불량 다소 불량
6.5 220 9 양호 불량 다소 불량
도 9는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2%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2% 비율로 사용한 경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의 인쇄상태는 양호하나 전사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며 핀홀이 약간 발생하였다.
도 10은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4%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4% 비율로 사용한 경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의 인쇄상태, 분리성 및 전사상태 모두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왁스 박리성 물질을 5%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을 5% 비율로 사용한 경우, 전사시 핀홀이 다수 발생하여 전사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 왁스 계열의 물질 외에도 불소계열, 셀룰로오소 계열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carboxymethl cellulose)계열 중 어느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 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 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된다.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코팅 두께가 5마이크론 이하이면 인쇄성 및 박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코팅 두께가 30마이크론 이상이면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피전사체(160)에 부착 시 기공이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인쇄시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가 사용된다.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 사용시 깨끗한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기계에 걸림 현상 없이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인쇄방식을 사용할 경우 UV잉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인쇄시 유성잉크를 사용하는 실크스크린 방식, 오프셋 방식 또는 그라이바 인쇄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발명으로는 전사지에 인쇄된 잉크만을 분리하지 못하였으며 잉크를 받아줄 수 있는 유성층을 피전사체(160)에 함께 부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따르면 무필름 물전사지(100)에서 잉크만을 피전사체(160)에 전사하여 상기 유성 박리층(140)과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박리지(110)를 준비한다.
S220단계에서 상기 박리지(110) 상에 수용성 접착물질을 코팅하여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을 형성한다.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상기 수용성 접착물질로서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덱스트린, 젤라틴 및 솔비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과 왁스류, 탈크, 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한 수용액을 한 번에 또는 두 차례 내지 세 차례 나눠서 전사용지에 5gsm 내지 15gsm 두께로 코팅한다.
S230단계에서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에 유성 필름층(130)을 코팅한다.
따라서, 유성 필름층(130)은 상기 유성 박리층(140)의 형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및 상기 유성 박리층(140) 모두와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필름층(130)은 폴레우레탄 수지, 고무(rubber)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진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 상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필름층(130)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된다.
유성 필름층(130)은 두께가 5마이크론 이하이면 유성 필름층(1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박리지(110) 분리 후 필름을 피전사체(160)에 부착하기 어려워지고 전사 후 피전사체(160)에서 제거하기도 어려워진다.
유성 필름층(130)은 두께가 30마이크론 이상이면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피전사체(160)에 부착 시 기공이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S240단계에서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130) 상에 코팅하여 유성 박리층(14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며 0.1%초과 0.5%미만으로 혼합된다.
상기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이 0.1% 이하인 경우 전사 후 박리가 어려우며 잉크가 잘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계열 박리성 물질이 0.5%를 이상인 경우 박리성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이 인쇄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박리성 물질이 과다할 경우 유성 필름층(130)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층간 분리 현상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왁스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며 2%초과 5%미만으로 혼합된다.
상기 왁스 계열 박리성 물질은 2% 이하인 경우 전사 후 박리가 어려우며, 박리성 물질을 5%를 이상인 경우 박리성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이 인쇄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박리성 물질이 과다할 경우 유성 필름층(130)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층간 분리 현상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 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 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Toluene), 자이렌(Xylene),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아세톤 및 알코올 중 어느 하나의 용제로 희석하여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5마이크론 내지 30마이크론 두께로 코팅된다.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코팅 두께가 5마이크론 이하이면 인쇄성 및 박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성 박리층(140)은 코팅 두께가 30마이크론 이상이면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피전사체(160)에 부착 시 기공이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의 전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무필름 물전사지(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인쇄한다. 이미지가 인쇄되면 유성 박리층(140)상에 인쇄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100)에 인쇄된 이미지는 피전사체(160)에 전사시 이미지가 좌우 반전되므로 미리 좌우 반전된 이미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편한 작업을 위하여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100)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인쇄된 이미지 크기에 2mm 내지 3mm의 여백을 두고 오려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S320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물에 적시게 된다.
S320단계에서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이 물에 녹아 박리지(100)와 유성 필름층(130)을 결합하던 접착력이 낮아지게 된다.
S320단계에서 물에 적신 무필름 물전사지(100)의 인쇄층(150)이 피전사체(160)의 표면에 달라붙도록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피전사체(160)는 무필름 물전사지(100)가 잘 부착되도록 물로 씻어 젖은 상태를 유지하여 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쇄층(150)과 피전사체의 표면을 알코올 또는 비눗물로 충분히 닦아 오일, 찌꺼기 등을 제거하면 전사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S330단계에서 박리지(110)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을 제거한다.
상기 박리지(110)는 상기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의 접착력이 낮아진 상태기 때문에 손으로 쉽게 제거 가능하다.
박리지(110) 제거 후 잔존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은 흐르는 물에 닦아주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리지(110)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을 제거 후 무필름 물전사지(100)가 부착된 부분을 고무 스크래퍼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문질러 주어 피전사체(160)와 무필름 물전사지(100) 사이 물기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S330단계에서 박리지(110)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이 제거된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헤어 드라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건조 수단으로 건조할 수도 있다.
S340단계에서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100)가 부착된 피전사체(160)를 오븐 등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한다.
가열시 잉크만 효과적으로 유성 박리층(140)에서 분리되어 피전사체(160)에 전사되는 온도 및 시간에 관한 조건은 피전사체(160)가 어떤 물질이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160)에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전사한다.
상기 제1군의 물질은 도자기, 유리, 석재, 크리스탈 및 석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195도 내지 섭씨 215도 환경에서 10분 내지 20분간 가열된다.
또는, 상기 제1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215도 내지 섭씨 225도 환경에서 8분 내지 15분간 가열된다.
또는, 상기 제1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225도 내지 섭씨 235도 환경에서 7분 내지 10분간 가열된다.
온도를 섭씨 195도 미만으로 낮추거나 상기 범위 내의 온도라도 가열시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유성 박리층(140)에 인쇄층(150)이 피전사체(160)로 전사가 완전히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전사되어 품질이 저하된다. 설령 잉크가 완전히 전사된다 하더라도 전사강도가 약해서 쉽게 긁히거나 떨어지기 쉽다.
상기 전사강도란 잉크와 피전사체(160)의 결합정도를 의미하며 전사강도가 약할 경우 쉽게 긁히며 잉크가 피전사체(160)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온도를 섭씨 235도를 초과하거나 상기 범위 내의 온도라도 가열시간이 과다할 경우 상기 유성 박리층(140)이 인쇄층(150)과 함께 피전사체(160)에 접착이 될 수 있고 핀홀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제1군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160)를 섭씨 220도에서 9분간 가열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조건에서 유성 박리층(140)도 잘 분리되고 전사상태도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사강도 즉, 피전사체와 잉크의 결합력을 테스트 한 결과 전사강도 역시 양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160)에 레이저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전사한다.
상기 제2군의 물질은 철,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금, 은 및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125도 내지 섭씨 135도 환경에서 25분 내지 40분간 가열된다.
상기 제2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135도 내지 섭씨 145도 환경에서 20분 내지 35분간 가열된다.
상기 제2군의 물질을 피전사체(160)로 할 경우, S340단계에서 피전사체(160)는 섭씨 145도 내지 섭씨 155도 환경에서 15분 내지 30분간 가열된다.
온도를 섭씨 125도 미만으로 낮추거나 상기 범위 내의 온도라도 가열시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유성 박리층(140)에 인쇄층(150)이 피전사체(160)로 전사가 완전히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전사되어 품질이 저하된다. 설령 잉크가 완전히 전사된다 하더라도 전사강도가 약해서 쉽게 긁히거나 떨어지기 쉽다.
온도를 섭씨 155도를 초과하거나 상기 범위 내의 온도라도 가열시간이 과다할 경우 상기 유성 박리층(140)이 인쇄층(150)과 함께 피전사체(160)에 접착이 될 수 있고 핀홀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3는 제2군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160)를 섭씨 150도에서 25분간 가열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조건에서 유성 박리층(140)도 잘 분리되고 전사상태도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사강도 즉, 피전사체와 잉크의 결합력을 테스트 한 결과 전사강도 역시 양호하였다.
S350단계에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냉각된다. 냉각 시에 제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360단계에서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은 제거된다.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은 한쪽끝을 커터칼이나 쇠자와 같은 수단으로 떼어낸 후 손으로 벗겨내어 제거할 수 있다.
기존에는 유성 박리층(140)과 같은 인쇄층이 결합되는 수단이 인쇄층과 함께 피전사체에 부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성 박리층(140)은 인쇄층(150)과 완전히 분리되어 인쇄물질만이 피전사체(160)에 남게되고 유성 박리층(140)은 피전사체(160)로부터 제거된다.
S370단계에서 인쇄층(150)만 남은 피전사체(160)를 추가로 가열한다.
상기 가열은 오븐에서 약 20분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을 수행하면 인쇄층(150)이 피전사체(16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이용한 물전사방법 일부 단계에서의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나타낸 그림이다.
S310단계에서 유성박리층(140) 상에 인쇄층(150)이 형성되며, S320단계에서 박리 보조층(110)이 용해된다.
S320단계에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피전사체(160)에 부착된다.
S330단계에서 박리지(110)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120)이 제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이용한 물전사방법 나머지 단계에서의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나타낸 그림이다.
S340단계에서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은 가열되어 변형이 일어나며 인쇄층(150)은 피전사체(160)에 전사된다.
S350단계에서 무필름 물전사지(100)는 냉각된다.
S360단계에서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은 제거된다.
S370단계에서 인쇄층(150)은 보다 견고하게 피전사체(160)에 결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필름 물전사지(100)의 유성 박리층(140) 및 유성 필름층(130)을 제거하는 실제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성 필름층(130) 및 유성 박리층(140)은 피전사체(160)에서 인쇄층(150)과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필름 물전사지(100)를 이용하여 무필름 물전사방법을 실시하면 가위로 자른 윤곽이 남지 않고 인쇄층(150)만이 피전사체(160)에 전사된 깔끔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100: 무필름 물전사지
110: 박리지
120: 수용성 박리 보조층
130: 유성 필름층
140: 유성 박리층

Claims (5)

  1.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 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1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를 물에 적시고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는 제2단계;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다음의 온도 환경에 상응하여 다음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제4단계;
    ⅰ) 섭씨 195도 내지 섭씨 215도 환경: 10분 내지 20분간 가열
    ⅱ) 섭씨 215도 내지 섭씨 225도 환경: 8분 내지 15분간 가열
    ⅲ) 섭씨 225도 내지 섭씨 235도 환경: 7분 내지 10분간 가열
    상기 가열된 피전사체를 냉각하는 제5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포함
    하며,
    상기 제1군의 물질은 도자기, 유리, 석재, 크리스탈 및 석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 중량% 초과 0.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 또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왁스 계열의 물질이 2 중량% 초과 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 (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공중합 (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2.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2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를 물에 적시고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는 제2단계;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다음의 온도 환경에 상응하여 다음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제4단계;
    ⅰ) 섭씨 125도 내지 섭씨 135도 환경: 25분 내지 40분간 가열
    ⅱ) 섭씨 135도 내지 섭씨 145도 환경: 20분 내지 35분간 가열
    ⅲ) 섭씨 145도 내지 섭씨 155도 환경: 15분 내지 30분간 가열
    상기 가열된 피전사체를 냉각하는 제5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6단계를 포함
    하며,
    상기 제2군의 물질은 철,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금, 은 및 합금 중 어
    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 중량% 초과 0.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 또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왁스 계열의 물질이 2 중량% 초과 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 (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공중합 (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 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이 제거된 무필름 물전사지를헤어 드라이어로 건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사체를 추가로 가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5. 박리지; 상기 박리지 상에 코팅되는 수용성 박리 보조층; 상기 수용성 박리보조층 상에 코팅되고 잉크의 전사를 보조하는 유성 필름층; 및 인쇄성 물질및 박리성 물질의 혼합물을 용제로 희석하여 상기 유성 필름층 상에 코팅되는 유성박리층을 포함하는 무필름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레이저 잉크 또는 솔벤트 잉크를 제3군의 물질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1단계;
    상기 무필름 물전사지의 유성 박리층 상에 수용성 접착제를 발라 상기 피전사체에 부착하고 박리지 및 수용성 박리 보조층을 제거하는 제2단계;
    상기 피전사체를 자연 경화시키는 제3단계;
    상기 피전사체에서 유성 필름층 및 유성 박리층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군의 물질은 나무, 플라스틱, 가죽, 점토 및 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0.1 중량% 초과 0.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 또는
    상기 박리성 물질은 상기 인쇄성 물질 및 박리성 물질을 용제로 희석하기 전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왁스 계열의 물질이 2 중량% 초과 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인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공중합(Stylene Acrylonitrile Copolymer)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Resin), 고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Butyral) 수지 및 페놀 수지(Phenol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KR1020160043699A 2016-04-08 2016-04-08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KR10165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99A KR101658166B1 (ko) 2016-04-08 2016-04-08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99A KR101658166B1 (ko) 2016-04-08 2016-04-08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40A Division KR20150131582A (ko) 2014-05-15 2014-05-15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860A true KR20160042860A (ko) 2016-04-20
KR101658166B1 KR101658166B1 (ko) 2016-09-21

Family

ID=5591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699A KR101658166B1 (ko) 2016-04-08 2016-04-08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56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한국세라믹 도자기 표면 전사지 인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53A (ko) * 2004-08-13 2006-02-16 (주)써니스코파 전사용지
KR20120133066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미즈바테크놀로지 염료승화 인쇄용 물전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53A (ko) * 2004-08-13 2006-02-16 (주)써니스코파 전사용지
KR20120133066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미즈바테크놀로지 염료승화 인쇄용 물전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56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한국세라믹 도자기 표면 전사지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166B1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8772A (en) Composite sheet for transfer of an image from same to a substrate
JPH11511404A (ja) 水活性化ポリマー及び接着剤像転写技術
KR101658166B1 (ko)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US8080305B2 (en) Product transferable by decalcomania
JP2007152594A (ja) 印刷転写用シートおよび印刷画像の転写形成方法
KR20150131582A (ko)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KR20160026930A (ko) 무필름 물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무필름 물전사지의 전사방법
JP2006256092A (ja) オフセット印刷用シリコーン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4245B2 (ja)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EP0249486B1 (en) Decals, decal support sheets, and processes for transfer of images to substrates
JP5265301B2 (ja) 転写シート及び転写シートを用いたプリント方法
JP2002264597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転写方法
JP4541924B2 (ja) 表示物作製材料
JP3816168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850220B2 (ja) 窯業用転写紙の製造方法
JP2000052691A (ja)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並びに転写方法
KR100269773B1 (ko) 열팽창 및 흡착을 이용한 다양한 문양의 전사방법
JP2000108596A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中間受像体並びに印刷物
JP2005280134A (ja) 成形品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転写シート
JPS62193876A (ja) 表示パターンを有するゴム材料の製造方法
JP2005297205A (ja) 成形品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転写シート
JPH0751399B2 (ja) 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1252995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用貼付け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37992A (ja) 転写シ―ト及びその製造方泡画像形成方法並びに転写方法
JP2011255650A (ja) 水性インク用印刷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