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658A -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658A
KR20160042658A KR1020140136861A KR20140136861A KR20160042658A KR 20160042658 A KR20160042658 A KR 20160042658A KR 1020140136861 A KR1020140136861 A KR 1020140136861A KR 20140136861 A KR20140136861 A KR 20140136861A KR 20160042658 A KR20160042658 A KR 2016004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upling
vehicle
panel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155B1 (ko
Inventor
신정은
김승만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55B1/ko
Priority to CN201510474764.9A priority patent/CN105501134B/zh
Priority to PCT/KR2015/010437 priority patent/WO2016056790A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C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Seat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내부 시스템을 이동 단말기를 간단하게 장착시키는 동작으로 연동시켜 차량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전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멀티 기능이 자동차의 영역으로도 영향을 미쳐, 자동차의 고유 기능인 주행 기능을 넘어서서, 승객(운전자 포함)들에게 보다 편안하게 안전 주행주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기능 동작부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크래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나 블랙박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 대쉬보드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차실 전방부가 혼잡하여 안전 주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다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착 동작이 용이함은 물론, 차실 전방부가 아니라 차량 내부의 시트에 장착되어 차실 전방부의 미관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운전자 외의 탑승객의 접근이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고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수평 리테이너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수직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삽입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시트의 상단에 착탈되는 헤드레스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결합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바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이 원형의 삽입홀을 형성하도록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과,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을 각각 상기 회동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상기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 및 제2안착 블록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과, 상기 수납 패널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수납 패널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과,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과, 상기 절곡 패널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직무빙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무빙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1결합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배면부에 상기 제1결합 유도부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2결합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 유도부 및 상기 제2결합 유도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나머지 위치에 구비된 자성체 군보다 강한 자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회동체에 대하여 면접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배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상기 회동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의 주변에는 복수의 제1자성체 군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상기 가이드 돌출단의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자성체 군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와 상호 작용으로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도록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차량 시트의 배면측에 배치되므로 운전자 외의 탑승객의 접근이 용이하여, 차량 주행 중인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운전자 외의 탑승객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손쉽게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탑승객의 조건에 맞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실시예별 이동 단말기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 및 제2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상하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회동체에 대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하 틸팅이 가능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수평 리테이너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리테이닝 패널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원 케이블 수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정위치 홀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5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6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실시예별 이동 단말기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차량 내부의 시트(10)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110,210)와,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120,220)와, 회동체(120,220)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G)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G)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하면 이동 단말기(G)로 하여금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G)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이동통신망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중 주의력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차량 탑승 승객 중 뒷자석 부분에 탑승한 승객의 접근이 더 용이하고, 뒷자석 탑승 승객에 의하여 연동된 이동 단말기(G)의 제어가 더 용이하도록 운전석 시트(10) 또는 조수석 시트(10)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행 중이더라도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게 하고, 차량 운전자는 더욱 차량의 주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연동을 위하여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장착 모습 및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틸팅 모습에 따라 후술하는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 각 실시예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되도록 차량의 시트(10), 특히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10)의 배면 측에 결합부(110,210)를 매개로 결합된다.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의 경우 결합부(110,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되, 제1실시예(100)는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에 반하여, 제2실시예(200)는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시키고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는, 고정되는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경우가 제1실시예(100)에 해당되고, 이동 단말기(G)의 상하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경우가 제2실시예(200)에 해당된다.
제1실시예(100)의 리테이너는,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특히, 이동 단말기(G)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가로방향 길이)에 관계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시키는 점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라 칭할 수 있다.
제2실시예(200)의 리테이너는,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특히, 이동 단말기(G)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세로방향 길이)에 관계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점에서 수직 리테이너(230)라 칭할 수 있다.
결합부(110,210)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 승객의 머리 후방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20)를 이용하여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20)에는 시트(10)에의 착탈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 커넥팅 핀(21)은 시트(10)의 상단에 형성된 미도시의 핀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는 동작으로 장착되고, 핀 결합홀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으로 탈거될 수 있다.
결합부(110,210)에는,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핀 결합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12)이 형성되고, 삽입홀(312)을 거쳐 핀 결합홀에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되는 동작으로 시트(10)의 상단에 헤드레스트(20)가 결합되고, 헤드레스트(20)가 시트(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순간 결합부(110,210)가 시트(10)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삽입홀(312)의 내주에는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된 후 차량의 주행 진동에 따른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씰링(23)이 개재될 수 있다. 씰링(23)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삽입홀(312)에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될 때 조립자에게 소정의 장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110,210)가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을 이용하여 시트(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반드시 결합부(110,210)에 삽입홀(31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110,2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312)이 형성된 경우를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라 할 경우, 결합부(110,210)는 제1실시예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결합부(110,210)는, 도 3b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가 결합되고, 한 쌍의 커넥팅 핀(21)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412a)이 형성된 결합 바디(411)와, 한 쌍의 커넥팅 핀(21)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412b)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41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바디(411)와 고정 브라켓(413)은, 도 3b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412a)과 제2결합홈(412b)이 상호 합쳐지면서 원형의 삽입홀(412)을 형성하도록 결합 나사(415)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에도,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와 같이 제1결합홈(412a) 및 제2결합홈(412b)의 내주에 배치되어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의 외주에 씰링(23)이 개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는, 헤드레스트(20)가 이미 시트(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20)를 탈거하지 않고서도 시트(10)에 결합될 수 있는 공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즉,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이미 시트(10)의 상단부의 핀 결합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립자는 결합 바디(411)를 전방부에서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 외주 일부에 밀착시키고, 고정 브라켓(413)을 후방부에서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 외주 나머지에 밀착시킨 다음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부(110,210)의 시트(10)에 대한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의 후방부에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회동체(120,220)의 결합을 매개하는 한 쌍의 힌지 결합단(314,4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 결합단(314,414)에는 회동체(120,220)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회동체(120,220)가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무빙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 및 제2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에 결합된 결합부(110,210)를 매개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회동체(120,220) 및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의 조합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상하 수직되게 장착된 상태에서(각 도의 (a) 참조), 결합부(110,210)에 대한 회동체(120,220)의 결합 부분인 힌지 결합단(314,414)을 중심으로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되거나(각 도의 (b) 참조),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각 도의 (c)참조).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춤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가 시트(10)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바, 전후 방향 틸팅 회동 시 시트(10)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시트(10)의 배면 측에는 적어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 공간(30)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레스트(20)에도 미도시 되었지만,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전후 방향 틸팅 회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시트(10)에 형성된 틸팅 공간과 대응되는 틸팅 공간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상하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회동체에 대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하 틸팅이 가능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틸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차량 실내의 뒷자석 부분에 탑승한 승객은 다양한 사용자 층일 수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층이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G)를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조절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은 상하 틸팅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상하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실시예(1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는,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131)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130A)과, 이동 단말기(G)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131)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130B)과, 제1안착 블록(130A)과 제2안착 블록(130B)을 각각 회동체(1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 도 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수평 리테이너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안착 블록(130A)과 제2안착 블록(130B)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연결부에 의하여 회동체(12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120)의 내부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회동체(120)의 전면에는 소정 공간과 연통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수평 슬롯(121A,121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수평 슬롯(121A,121B)에는 각각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연결부가 소정 공간 내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무빙되도록 설치된다.
연결부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탄성체(13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133)와, 제1안착 블록(130A)과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133)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132A)와, 제2안착 블록(130B)과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133)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132B)와,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호 평행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랙 기어치(132A',132B')가 피니언 기어부(13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동시에 치합되도록 배치되어, 피니언 기어부(1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에 연결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은 상호 접근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무빙되고, 피니언 기어부(133)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마찬가지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상호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방향으로 무빙된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부(133)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체(134)는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를 무빙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수평무빙 락킹부(135)는, 이와 같은 탄성체(134)의 탄성력 제공에 의하여 무빙되는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1실시예(1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시킬 이동 단말기(G)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의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삽입 안착시키고자 할 경우 이동 단말기(G)를 들고 있지 않은 자유로운 한 손으로만으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착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수평무빙 락킹부(135)를 피니언 기어부(133)가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무빙을 조절한 후, 상호 이격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각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삽입되도록 이동 단말기(G)를 장착한 다음,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맞추어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 중 어느 하나만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2b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다양한 이동 단말기(G)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물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회동체(220)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이 형성되고, 수직 리테이너(23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회동체(2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은 회동체(22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가이드 슬롯(221A,22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무빙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회동체(220)의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자성체 군(290)이 배치되고, 수직 리테이너(230)의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자성체 군(290)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자성체 군(2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성체 군(290)과 제2자성체 군(280)은 상호 인력에 의하여 각 자성체 군의 위치마다 상호 결합됨으로써 회동체(120,220)에 대한 수직 리테이너(230)의 상하 방향 틸팅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1자성체 군(290)은 적어도 5개의 영구 자석(291-295)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자성체 군(280)은 적어도 3개의 영구 자석(281-2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2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리테이닝 패널(233)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직 리테이너(230)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32)가 형성되고, 회동체(220)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230)과, 수납 패널(23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닝 패널(233)은,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납 패널(230)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234)과, 결합 패널(234)의 상단에서 이동 단말기(G) 측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235)과, 절곡 패널(235)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236)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패널(234)은, 수납 패널(230)에 대한 리테이닝 패널(233)의 결합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써,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결합 패널(234)의 전면부에 가이드 패널(239)이 전면에 대하여 수납 패널(2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납 패널(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테이닝 패널(23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 패널(23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패널(239)이 상하 무빙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홀(미도시)이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삽입 홀로 삽입된 가이드 패널(239)은,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납 패널(230)의 내부 공간 중 배면부 측 내벽면을 접하면서 리테이닝 패널(23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 패널(239)의 하단부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가이드 로드(2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41)는 수납 패널(23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외주에 탄성체(245)가 개재되어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의 탄성체(245)는, 가이드 로드(24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245)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는, 탄성체(245)에 의한 리테이닝 패널(233)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239 내지 244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는,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233)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240)와, 랙 기어(240)를 구성하는 랙 기어치(240a)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243a)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243)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스토핑 피니언(243)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핑 피니언(243)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 피니언 기어치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244)와,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랙 기어(240)는,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복수개의 랙 기어치(240a)가 상하로 길게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랙 기어치(240a)는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홈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돌출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피니언(243)을 이루는 피니언 기어치(243a)는,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이 랙 기어(240)가 탄성 무빙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핑 피니언(243)의 피니언 기어치(243a)가 회전되는 방향으로는 걸림되고, 그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는 걸림되기는 하나 소정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스토핑 피니언(243)의 피니언 기어치(243a)가 회동 걸림부(244)에 일방향으로 걸림되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걸림부(244)에 의하여 한쪽 방향의 걸림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형상의 채용도 가능하다.
회동 걸림부(244)는, 가운데의 회전 중심점(244a)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기어 걸림단(244c)이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244b)는 미도시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회동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244a)에는 미도시의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피니언 기어치(243a)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키기 전에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측으로 무빙시키기 위하여 수납 패널(230)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250)를 푸쉬 작동시키면, 도 10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244)가 스토핑 피니언(243)의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체(245)의 리테이닝 패널(233)에 대한 상측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리테이닝 패널(233)이 상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안착부(232)와 리테이닝 패널(233)의 걸림 패널(23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다.
안착부(232)와 걸림 패널(23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부(232)에 거치한 후,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 단말기(G)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 패널(236)이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은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대하여 슬립 현상이 일어나는 바, 사용자는 적당한 조작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G)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언락 버튼부(250)는,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작동되면 회동 걸림부(244)를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푸쉬 작동력이 해제되면 회동 걸림부(24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걸림부(2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대해 상시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바, 언락 버튼부(250)는 일시적으로 탄성체(245)의 탄성지지력을 해제시키거나 탄성지지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걸림부(24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원 케이블 수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정위치 홀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1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중 승객이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에 장착할 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의 정위치에 이동 단말기(G)가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정위치 홀더부(260,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위치 홀더부(260,270)는, 리테이닝 패널(233)에 형성된 제1결합 유도부(270)와, 이동 단말기(G)에 형성된 제2결합 유도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닝 패널(233)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술한 제1결합 유도부(270)를 더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G)는, 배면부에 제1결합 유도부(270)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61-265)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술한 제2결합 유도부(260)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결합 유도부(270) 및 제2결합 유도부(260)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으로 이루어지되,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좌우 양측에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좌측에 1군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이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에 1군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의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 유도부(270) 및 제2결합 유도부(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적어도 하나(273,263)는 나머지 자성체 군의 자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의 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G)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결합 유도부(270)에 구비된 강자성체(273) 및 제2결합 유도부(260)에 구비된 강자성체(263)는 나머지 자성체보다 강한 인력의 부착력을 생성하는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자성체가 영구 자석일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는 이동 단말기(G)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술한 자성체 군 중 상술한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을 다른 자성체 군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보다 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리테이닝 패널(233)의 전면에 접근시키면, 사용자의 실수로 정위치가 아닌 곳에 임의 부착되더라도 상술한 제1결합 유도부(270) 및 제2결합 유도부(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에 의하여 정위치로 부착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주행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이동 단말기(G)를 떨어뜨리는 일 없이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사용자가 자신이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100)의 경우,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무빙시킨 다음에 이동 단말기(G)를 안착시킨 후 다시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맞추어 무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200)의 경우,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측으로 무빙시킨 다음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킨 후 다시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무빙시켜 걸림 패널(236)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G)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됨으로써 유선 충전이 아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G)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이 채택되되, 표준 무선 충전 규약에 준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여하한 충전 방식의 채택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G)가 유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가 유선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구비된 경우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W)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G)의 전면이 가려질 경우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동체(120,220)의 상부면에,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W)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116,216)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형 수납홈(116,216)은 제1실시예(100)의 경우 이동 단말기(G)와 회동체(120) 사이에 이동 단말기(G) 외의 구성이 간섭되지 않으므로 회동체(120)의 상부면 중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구비 위치 상 바람직하고, 제2실시예(200)의 경우 이동 단말기(G)와 회동체(220) 사이에 이동 단말기(G)의 배면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233)이 구비되는 바, 회동체(220)의 상부면 중 전원 연결 단자 홀(280)이 구비된 측에 인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와이어(W)는 전원 연결 단자 홀(180,280)에 삽입되는 전원 단자(500A)와 이동 단말기(G)에 구비된 미도시의 충전 연결 단자 홀에 삽입되는 충전 단자(500B)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홀더형 수납홈(116,216)에는 수납된 커넥팅 와이어(W)가 임의로 유동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클립(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고유의 이동 단말기(G)의 모드에서 차량 모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G)를 매개로 한 스마트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이동 단말기(G)가 연동된 경우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5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G)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의 일반 모드를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G) 내의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맞도록 이동 단말기(G)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는 의미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차량 규제와 상관없이 다양한 콘텐츠들(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들을 실행한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내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차량 내비게이션 정보가 아닌 보행자 내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일 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차량 정보와 서버의 개인 정보, 모바일 정보를 동기화하고, 그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G)는 크래들 어셈블리(100)로부터 탈착되면 차량 모드를 일반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차량의 주행 기록 등의 정보를 기록(recoding)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었는지를 결정(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제어부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되면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는 차량의 ECU 또는 차량의 ECU의 포트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G)가 차량과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발생하고, 그 알림 신호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차량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기(G)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데이터(지도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한다(S12). 예를 들면, 제어부는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이동 단말기(G)와 차량의 ECU 간의 정보 교환을 허용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 서버에 미리 등록된 개인 정보(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인증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13). 차량 정보는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 차량의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 차량의 조향각도 정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검출한다(S14).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스케줄 응용 프로그램(Scheduler),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응용 프로그램(페이스 북, 카카오 톡, 트위터, 유튜브 등),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폰 북(Phone Book)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구성하고, 그 차량 모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S15).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의 셀룰러 폰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과,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8-3)을 포함한다.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영화, 뮤직 비디오, 드라마 등)를 표시하는 제4 영역(8-4)과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5 영역(8-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메일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이메일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스케줄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스케줄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이 선택되면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2 영역(8-2) 또는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고 빠르게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함으로써, 개인화된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고, 차량이 주행중일 때 차량 모드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음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크래들 어셈블리 10: 시트
20: 헤드레스트 21: 커넥팅 핀
30: 틸팅 공간 100: 제1실시예
200: 제2실시예 110,210,310: 결합부
112,212,312: 삽입홀 120,220: 회동체
130,230: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Claims (20)

  1.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고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수평 리테이너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수직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삽입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시트의 상단에 착탈되는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결합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바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이 원형의 삽입홀을 형성하도록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과;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을 각각 상기 회동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상기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에 연결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 및 제2안착 블록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과;
    상기 수납 패널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수납 패널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과;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과;
    상기 절곡 패널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직무빙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직무빙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1결합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배면부에 상기 제1결합 유도부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2결합 유도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유도부 및 상기 제2결합 유도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나머지 위치에 구비된 자성체 군보다 강한 자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회동체에 대하여 면접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배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상기 회동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의 주변에는 복수의 제1자성체 군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상기 가이드 돌출단의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자성체 군이 배치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고,
    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와 상호 작용으로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도록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20140136861A 2014-10-10 2014-10-10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80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1A KR10180715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201510474764.9A CN105501134B (zh) 2014-10-10 2015-08-05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PCT/KR2015/010437 WO2016056790A1 (ko) 2014-10-10 2015-10-02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1A KR10180715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58A true KR20160042658A (ko) 2016-04-20
KR101807155B1 KR101807155B1 (ko) 2017-12-07

Family

ID=5565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61A KR10180715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07155B1 (ko)
CN (1) CN105501134B (ko)
WO (1) WO2016056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9220B (zh) * 2017-03-09 2023-04-18 福特环球技术公司 装置保持器
CN109109769A (zh) * 2018-08-10 2019-01-01 芜湖鸣人汽车维修服务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上的支架
WO2021087554A1 (en) * 2019-11-05 2021-05-14 Nsv Group Fzco Multi-use device for attachment to a vehicle seat and configured as a combination clothes hanger and support f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CN110979201B (zh) * 2020-01-07 2020-07-24 浙江利恩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车载平板电脑固定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28Y1 (ko) * 2002-04-24 2002-07-31 이건동 차량용 액정 모니터 거치대
KR100925715B1 (ko) * 2008-09-26 2009-11-10 주식회사 아이니츠 차량용 휴대기기 크래들
JP2012153210A (ja) * 2011-01-25 2012-08-1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284028B1 (ko) * 2011-05-23 2013-07-09 그라스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일라이트를 이용한 기능성 도료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KR200474200Y1 (ko) * 2012-11-09 2014-08-27 홍주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101406733B1 (ko) * 2012-11-30 2014-06-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155B1 (ko) 2017-12-07
CN105501134A (zh) 2016-04-20
CN105501134B (zh) 2018-05-18
WO2016056790A1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51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08690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9960800B2 (en)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US10155482B2 (en) Combination cup and cellular phone holder assembly for effectively holding, mounting, and retaining a cellular phone within a cup holder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1807155B1 (ko)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10251287B2 (en) Magnetic stand for tablet device
US9473607B2 (en)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CN109936839B (zh) 基于媒体内容控制车辆模块
US20120286118A1 (en) Hands-free systems for attach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30193706A1 (en) Overhead console with storage unit insert
KR10157072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US20150076853A1 (en) Retaining device for fasten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motor vehicle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JP5299537B1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101502943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
EP2961026A1 (en) Timer reminder device and in-vehicle device
KR20130018495A (ko) 차량 핸들 장착용 디스플레이 화면 거치대의 거치 장치
CN205202883U (zh) 多功能汽车香水手机支架
KR101673875B1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JP6513013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6759499B2 (ja) 車両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の設置装置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KR102071862B1 (ko) 차량용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