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723B1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723B1
KR101570723B1 KR1020140018186A KR20140018186A KR101570723B1 KR 101570723 B1 KR101570723 B1 KR 101570723B1 KR 1020140018186 A KR1020140018186 A KR 1020140018186A KR 20140018186 A KR20140018186 A KR 20140018186A KR 101570723 B1 KR101570723 B1 KR 10157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holder
holder
cover
suppor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73A (ko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1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23B1/ko
Priority to PCT/KR2014/001294 priority patent/WO2015064852A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다양한 각도에서도 스마트폰의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최대한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의 대쉬보드나 전방의 유리창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구비된 홀더와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 폴과, 상기 지지 폴 타단에 구비되며 일면에 스마트 폰의 일측을 3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폰 홀더를 갖춘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 2폰 홀더를 갖춘 제 2커버로 이루어진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커버는,
일면에 형성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일단의 3방향으로 제 1폰 홀더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3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외주 3방향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폰 홀더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 1폰 홀더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는 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커버는,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하측에 구비되는 제 2폰 홀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에서도 스마트폰의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최대한 활성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A SMART PHONE HOLDER FOR CAR}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따라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넓은 시야각을 갖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특정장소에 스마트 폰을 지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거치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3-0117030호의 "스마트폰 거치대"그 가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이하, "거치대"라 칭한다)(SH)는, 받침부(BS)와 제 1, 2경사부(TP1)(TP2)와 이탈방지부(LK)와 탄성부(SP)로 이루어진다.
받침부(BS)는 스마트폰(미도시)이 거치될 경우, 이 스마트폰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이 받침부(BS)의 상부에는 제1 경사부(TP1)가 수평방향 기준하여 하향하는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이 제1 경사부(TP1)의 외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구비하여 차량의 앞유리(미도시)에 스마트폰 거치대(SH)를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제 2경사부(TP2)는 상기한 제 1경사부(TP1)와 상, 하 대칭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1경사부(TP1)와는 달리 도시한 방향 기준한 하측의 수평방향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트럭이나 버스와 같이 급경사를 이루는 차량의 앞유리(미도시)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탈방지부(LK)는 상기한 제 1, 2경사부(TP1)(TP2)의 전방에 각 상, 하 수직방향 양측 대칭형으로 구비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스마트폰이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한다.
각 이탈방지부(LK)는 도시하지 않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최소한으로 가릴 수 있도록 양 측면에 모서리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SP)는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받침부(BS)의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중간부분은 호형(弧形)으로 돌출됨으로써, 탄성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스마트폰이 슬라이딩하며 결합할 때, 탄성부(SP) 중간부분의 호형은 뒤로 밀게 되고, 그에 따른 탄성력에 의하여 스마트폰을 전방으로 밀착시켜, 상기한 이탈방지부(LK)에 밀착되며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거치대(SH)는 오로지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신장에 의해 운전석에 앉아 있는 운전자의 눈높이가 각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시야각이 좁아 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부(SP)의 탄성이 스마트폰을 전방으로 압착함으로써, 이탈방지부(LK)에 화면이 눌림으로써, 스마트폰 전방의 화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각도에서도 스마트폰의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최대한 활성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의 대쉬보드나 전방의 유리창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구비된 홀더와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 폴과, 상기 지지 폴 타단에 구비되며 일면에 스마트 폰의 일측을 3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폰 홀더를 갖춘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 2폰 홀더를 갖춘 제 2커버로 이루어진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커버는,
일면에 형성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일단의 3방향으로 제 1폰 홀더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3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외주 3방향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폰 홀더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 1폰 홀더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는 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커버는,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하측에 구비되는 제 2폰 홀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이상 다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는, 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 폴의 일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이상 다각형 판재로 이루어진 일측면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점착제(粘着劑) 또는 양면 테이프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폴은,
상기 홀더의 구형 결합홈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으로 형성된 구형결합부와, 상기 구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의 직각방향 일체로 형성된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초음파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폰 홀더는,
상기 제 2커버의 타측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단부에 상향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폰의 타단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커버는,
상기 회동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요홈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폰 홀더는,
상기 지지대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스마트 폰 충전용 IP컨넥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지지 폴과 상기 거치대본체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터는,
상기 지지폴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장공이 마련되는 제 1디스크와, 상기 제 1디스크 일측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장공을 따라 회동하도록 가이더가 구비되는 제 2디스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2 디스크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에서도 스마트 폰을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최대한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대 본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이하, "거치대"라 칭한다)는 고정부(100)와 지지 폴(200)과 거치대 본체(30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00)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대쉬보드나 전방의 유리창에 지지할 수 있도록 원반형 또는 사각형 이상 다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에 홀더(110)가 구비된다.
홀더(110)는, 후술하는 지지 폴(200)의 구형(球形)단부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 결합홈(111)이 구비되고, 일측 수직방향으로 절개부(113)가 마련되며, 이 절개부(113)의 양측에 고정브라켓(115)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 브라켓(115)에는 각각 관통홀(115a)과 탭(115b)이 형성되어 볼트(BT)에 의해 후술하는 지지폴(2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고정부(100)의 일측면, 다시 말해서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바닥에 면접하는 하면에 접착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 접착부는 점착제(粘着劑) 또는 양면 테이프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이외에 피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해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00)의 중심에 구비된 홀더(110)와 지지 폴(200)의 일단이 결합된다.
지지 폴(200)은 구형(球形)결합부(210)와 제 1, 2지지부(230)(250)로 이루어진다.
구형결합부(210)는 상기한 홀더(110)의 구형 결합홈(111)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며, 이 구형 결합부(210)에 제 1지지부(230)가 일체로 연결되고, 이 제 1지지부(230) 일단의 직각방향 일체로 제 2지지부(250)가 구비된다.
이 제 2지지부(250) 타단에 거치대본체(300)가 구비되는데, 거치대본체(300)는 제 1, 2커버(310)(330)로 이루어진다.
제 1커버(310)는 요홈(311)과 관통구(313)와 제 1폰 홀더(314)와 회동수단(315)과 링크(317)로 이루어진다.
요홈(311)은 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 방향 상측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관통구(313)는 상기한 반원형 요홈의 중심선상 3방향으로 개구(開口)되어 후술하는 제 1폰 홀더(314)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제 1폰 홀더(314)는 스마트 폰(P)의 상부를 3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관통구(313)에 삽입되는 슬라이더(314a)가 구비되는데, 이 슬라이더(314a)의 일단에는 힌지핀(314aa)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링크(317)의 일단과 힌지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힌지핀(314a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4a)와 일체로 형성해도 되고, 별도의 핀(Pin)으로 구성하여 홀에 삽입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힌지핀(314aa)에 대향하는 슬라이더(314a) 단부에 직각방향 일체로 지지단(314b)이 구비되는데, 이 지지단(314b)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마트폰(P)의 상측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3방향 방사상으로 구비된 슬라이더(314)의 중심부위에 회동수단(315)이 구비된다.
회동수단(315)은 초음파모터(Ultrasonic Motor)로서, 초음파모터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회전자에 코일을 감아 놓고 그 주위에 영구자석을 배열하여 전류가 흐르면 코일에 자성이 생기면서 회전자가 고정자에 반발하여 회전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초음파모터는, 자성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일과 영구자석이 필요치 않다.(이하, 상기 초음파모터를 설명 편의상 "회동수단(315)"이라 칭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수단(315)은 상기한 요홈(311)의 상측 중심에 장착된 환형패턴의 피에조 압전소자(315a)와 그 일측에 면접하는 마스터링(315b)과 이 마스터링(315b)에 면접하는 슬레이브 링(315c)으로 이루어진다.
작동원리는 요홈에 장착된 피에조 압전소자(315a)에서 후술하는 컨트롤러(319)에서 전달되는 초음파신호를 받아 들이고, 그 신호가 마스터 링(315b)에 전달되면 이 마스터 링(315b)에서 그 초음파신호를 좀 더 가시적인 진동으로 확대하여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315ba)에서 벌레가 땅을 기어가는 듯한 파형(波形)이 형성되는데, 이 파형은 마스터링(315b) 일측에 면접된 슬레이브 링(315c)을 파형의 반대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슬레이브 링(315c)이 회전한다.
상기한 피에조 압전소자(315a)는 입력되는 초음파신호의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한 슬레이브 링(315c)을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슬레이브링(315c)의 일측면 테두리 방향에는 다수의 링크(317)의 타단이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315c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링크(317)의 일단은 상술한 제 1폰 홀더(314) 일단에 구비된 힌지핀(314aa)에 힌지결합됨으로써, 회동수단(31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한 제 1폰 홀더(314)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회동수단(315)의 하측에 컨트롤러(319)가 구비된다.
컨트롤러(31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에 구비된 회동수단(315)(450)의 정, 역 회동과 후술하는 IP컨넥터(331aa)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커버(310)의 일측에 제 2커버(330)가 면접 장착된다.
제 2커버(330)는 상술한 제 1커버(310)의 네 모서리에 마련된 장착구(312)에 장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며 결합하도록 하였으나, 상기한 장착구(312)의 일측에서 관통한 볼트에 의해 결합해도 무방하다.
제 2커버(330)는 제 1커버(310)와 동일한 형상의 판형구조 하단에 스마트 폰(P)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폰 홀더(331)가 구비된다.
제 2폰 홀더(331)는 지지대(331a)와 이탈방지대(331b)로 이루어진다.
지지대(331a)는 제 2커버(330)의 도시한 방향 기준한 하단에 직각 방향 일체로 구비되어, 스마트폰(P)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탈방지대(331b)는 상기한 지지대(331a) 단부에 상향 직각방향 일체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폰(P)의 하측단을 지지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지지대(331a)의 중간부분에는 스마트 폰 충전용 IP컨넥터(331aa)가 구비되어 거치되는 스마트 폰(P)의 IP단자(미도시)와 결합하여 상술한 컨트롤러(319)를 통해 충전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는 상기한 지지 폴(200)과 거치대 본체(300)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400)를 더 포함하는데, 로터(400)는, 제 1, 2디스크(410)(430)와 회동수단(450)으로 이루어진다.
제 1디스크(410)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지폴(200) 타단의 제 2지지부(250)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중심을 기준한 방사상으로 호형(弧形) 장공(411)이 마련되어 있다.
제 2디스크(430)는 상기한 제 1디스크(410)에 대향하는 타측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한 거치대 본체(300) 후면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2디스크(410)(430) 사이에는 회동수단(450)이 구비되는데, 이 회동수단(450)은 초음파모터(Ultrasonic Motor)로서, 상술한 제 1본체(310)에 구비되는 회동수단(315)과 동일한 구성으로써, 제 2디스크(430) 일측면에 피에조 압전소자(451)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 면접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453a)가 형성된 마스터링(453)과 이 마스터링(453)에 면접하는 슬레이브 링(4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슬레이브 링(455)에 일측면에 상기한 제 1디스크(410)에 형성된 장공(411)과 방사상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가이더(457)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거치대 본체(500)의 90도 직각방향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회동수단(450)은 상술한 회동수단(315)과 동일함으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차량에 설치된 제 1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수단(315)의 슬레이브 링(315c)이 회동하고, 이 슬레이브 링(315c)의 회동에 의해 각 테두리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다수의 링크(317)가 외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링크(317)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제 1폰 홀더(314)가 각각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벌어지며 스마트 폰(P)의 안착이 용이하다.
이 상태에서 지지대(331a)에 스마트 폰(P)을 안착시키는데, 이 지지대(331a)의 중간부분에 구비된 스마트 폰 충전용 IP컨넥터(331aa)에 스마트 폰(P)의 IP단자(미도시)가 결합된 상태로 안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P)의 안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한 제 1버튼(미도시)을 다시 한번 누르면, 회동수단(315)이 역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한 제 1폰 홀더(314)는 링크(317)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며, 단부에 구비된 지지단(314b)이 스마트폰(P)의 상측을 3방향에서 지지하여 차량의 운행 중 이탈이 방지된다.
나아가, 스마트 폰(P)을 수평방향으로 넓게 보기 위해 제 2버튼(미도시)을 누르면 거치대본체(300)와 로터(400) 사이에 구비된 회동장치(450)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스마트 폰(P)을 회동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에서도 스마트 폰을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야각을 최대한 활성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00 : 고정부
110 : 홀더 111 : 결합홈
130 : 접착부 200 : 지지 폴
210 : 구형결합부 230,250 : 제 1, 2지지부
300 : 거치대 본체 310,320 : 제 1, 2커버
400 : 로터 410, 430 : 제 1, 2디스크
315, 450 : 회동수단

Claims (13)

  1. 차량의 대쉬보드나 전방의 유리창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구비된 홀더와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 폴과, 상기 지지 폴 타단에 구비되며 일면에 스마트 폰의 일측을 3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폰 홀더를 갖춘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 2폰 홀더를 갖춘 제 2커버로 이루어진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버는,
    일면에 형성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일단의 3방향으로 제 1폰 홀더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3방향 중심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외주 3방향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폰 홀더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 1폰 홀더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는 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커버는,
    상기 제 1커버의 일측에 면접 고정되며, 상기 제 1폰 홀더에 대향하는 하측에 구비되는 제 2폰 홀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이상 다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는, 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폴의 일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이상 다각형 판재로 이루어진 일측면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점착제(粘着劑) 또는 양면 테이프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폴은,
    상기 홀더의 구형 결합홈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형으로 형성된 구형결합부와, 상기 구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의 직각방향 일체로 형성된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초음파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폰 홀더는,
    상기 제 2커버의 하단에 직각 방향 일체로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단부에 상향하는 직각방향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폰의 측단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버는,
    상기 회동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요홈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폰 홀더는,
    상기 지지대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스마트 폰 충전용 IP컨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지지 폴과 상기 거치대본체 사이에 구비되는 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지지폴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장공이 마련되는 제 1디스크와, 상기 제 1디스크 일측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장공을 따라 회동하도록 가이더가 구비되는 제 2디스크와, 상기 제 1, 2 디스크 사이에 초음파모터로 이루어진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1020140018186A 2013-11-04 2014-02-18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86A KR101570723B1 (ko) 2014-02-18 2014-02-18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CT/KR2014/001294 WO2015064852A1 (ko) 2013-11-04 2014-02-18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86A KR101570723B1 (ko) 2014-02-18 2014-02-18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73A KR20150097073A (ko) 2015-08-26
KR101570723B1 true KR101570723B1 (ko) 2015-11-23

Family

ID=5405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86A KR101570723B1 (ko) 2013-11-04 2014-02-18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60U (ko) 2017-11-30 2019-06-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6230B4 (de) * 2016-04-14 2023-10-12 Hyundai Motor Company Gerätehaltereinheit, Armaturenbrett und Fahrzeug mit Gerätehaltereinheit
CN106322083A (zh) * 2016-11-03 2017-01-11 邯郸学院 一种手持式手机摄像支架
CN108966051A (zh) * 2018-08-01 2018-12-07 俞雪利 一种带有5g无线网络中继器的车载支架
KR102021095B1 (ko) * 2018-08-31 2019-09-16 주식회사 굿웨이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2202350B1 (ko) * 2018-11-22 2021-01-13 주식회사 코너스톤 힌지 장치
KR102599605B1 (ko) * 2020-11-26 2023-11-07 유한회사 만들기대장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KR102486188B1 (ko) * 2021-02-05 2023-01-11 크레신 주식회사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WO2023167344A1 (ko) * 2022-03-02 2023-09-07 고무생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645Y1 (ko) 2001-05-14 2001-10-15 최용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520225B1 (ko) 2005-05-02 2005-10-11 주식회사 자티전자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645Y1 (ko) 2001-05-14 2001-10-15 최용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520225B1 (ko) 2005-05-02 2005-10-11 주식회사 자티전자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60U (ko) 2017-11-30 2019-06-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73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72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9839147B2 (en) Magnetic stand for tablet device
US9505355B1 (en) Dual-mount phone and tablet stand
KR101628630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US20160327206A1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speed governor in holder
US9874900B2 (en) Form adjustable angle between a battery and battery cavity to selectively place a video display in viewing orientations
US9635766B2 (en) Slidable display housing
KR20170132511A (ko)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WO2014186916A1 (zh) 电子装置的定位组件
US20150191124A1 (en) Mounting system for attaching mobile device
CN105253070A (zh) 移动通讯设备的臂式车载智能支架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KR101459991B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KR20130006902U (ko) 전자 기기의 거치대
TWM380526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otary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KR101718295B1 (ko)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06932267U (zh) 一种自动夹紧的手机导航支架
EP4022881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KR20160042658A (ko)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GB2580993A (en) Vehicle accessory mount
CN203093923U (zh) 行车记录仪多向固定支架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CN203907158U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用万向支架
CN205326962U (zh) 显示装置以及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