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88B1 -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88B1
KR102486188B1 KR1020210017105A KR20210017105A KR102486188B1 KR 102486188 B1 KR102486188 B1 KR 102486188B1 KR 1020210017105 A KR1020210017105 A KR 1020210017105A KR 20210017105 A KR20210017105 A KR 20210017105A KR 102486188 B1 KR102486188 B1 KR 10248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moving force
movement
generating sourc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603A (ko
Inventor
이종배
김광태
신수철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는 모방리 디바이스의 양단을 파지하는 양 파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을 감지하여 양 파지부재의 이동 및 이동량을 제어하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의 회전력을 양 파지부재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링크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 파지부재의 벌어지는 간격과 모터 회전수나 모터의 회전 시간간의 변환 대응에 따른 오차를 없앨 수 있 이점과 가변폭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특히 휴대전화, 이후는 휴대전화라고 표현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총칭함)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래서 차량의 운전자는 휴대전화를 소지한 채 차량을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차량과 휴대전화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통화나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활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 연동되게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러한 추세에 맞춰, 차량 내에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종종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전화를 바꾸는 등에 의해 휴대전화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자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531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어느 특정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해 클램핑 조들의 클램핑 위치와 개방 위치를 기억하고, 차후 다른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해 동일한 기억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휴대전화의 크기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전화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삼성전자나 샤오미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폴더블폰을 제조함으로써 휴대전화의 넓이가 크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맞춰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도 그 파지폭이 가변될 수 있게 구현되는 구조가 모색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한 기종의 휴대전화가 넓이가 가변되도록 구현된 경우, 만일 종래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가변폭이 변경될 때마다 클램핑 위치를 다시 설정하여 기억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자주 발생하여 그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가변폭이 큰 휴대전화는 거치대의 파지폭 제한으로 폭이 넓어진 상태에서의 거치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별도의 파지위치를 기억할 필요가 없이 휴대전화를 적절히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나아가 휴대전화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그 가변된 크기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제1 파지부재와의 간격이 벌려졌다 좁혀짐으로써 휴대전화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1 벌림 간격보다 더 넓은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기; 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결정기는 궁극적으로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좌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분; 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부분은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파지위치를 기억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지부재가 벌어지는 간격과 모터 회전 수 또는 모터의 회전 시간과의 변환 대응에 따른 오차를 없앨 수 있다.
둘째, 휴대전화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그 가변된 크기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좁은 폭으로 파지할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양 파지부재가 벌어지는 간격도 좁아질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시간이 짧아져서 사용의 편리성이 있다.
셋째, 폴더블폰과 같이 그 폭이 크게 가변되는 경우에도 양 파지부재의 간격이 그에 맞게 최대한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제품의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넷째, 링크를 적용하여 회전자의 회전력을 양 파지부재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 파지부재 간의 가변폭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1 파지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2 파지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이동력 발생원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동력전달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안내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받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어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간격결정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간격결정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간격결정기에 의한 위치 결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도 12와는 다른 예를 가진 간격결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폴더블 휴대전화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100, 이하 '거치대'라 약칭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대(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의 주요 구성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제1 파지부재(110), 제2 파지부재(120), 이동력 발생원(130), 동력전달기(140), 안내부재(150), 받침부재(160), 제어기(170) 및 간격결정기(180)를 포함한다.
제1 파지부재(120)는 도 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파지단(111)과 한 쌍의 제1 안내봉(112a, 112b)을 포함한다.
제1 파지단(111)은 그 위치에 따라서 휴대전화의 좌측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
한 쌍의 제1 안내봉(112a, 112b)은 제1 파지부재(12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때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파지단(111)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제2 파지부재(120)는 제1 파지부재(110)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2 파지부재(120)도 도 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2 파지단(121)과 한 쌍의 제2 안내봉(122a, 122b)을 포함한다.
제2 파지단(121)은 그 위치에 따라서 휴대전화의 우측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
한 쌍의 제2 안내봉(122a, 122b)은 제2 파지부재(1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 올 때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2 파지단(121)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이동력 발생원(130)은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동력 발생원(130)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M)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모터(M)의 구동력을 회전축(S)의 회전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각종 기어(G1 내지 G4)들을 가진다. 물론, 거치대(100)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으면, 회전축(S)에 모터(M)가 직접 동력을 입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동력전달기(140)는 이동력 발생원(130)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제1 파지부재(110) 및 제2 파지부재(120)로 전달함으로써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기(140)는 도 6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회전자(141),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를 포함한다.
회전자(141)는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최소가 되었을 때 대략 좌우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를 가지며, 그 중심에 있는 결합구멍(H)을 통해 회전축(S)에 결합되어서 회전축(S)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 링크(142)는 내측이 회전자(141)의 일 측 단에 힌지 결합되고, 외측이 제1 파지부재(110)의 상측 제1 안내봉(112a)의 대략 우측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
제2 링크(143)는 내 측이 회전자(141)의 타 측 단에 힌지 결합되고, 외측이 제2 파지부재(120)의 하측 제2 안내봉(122b)의 대략 좌측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
위의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는 회전자(141)의 회전력을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분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는 후술할 안내부재(150)와 함께 회전자(141)의 회전운동을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안내부재(150)는 도 7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위의 제1 안내봉(112a, 112b) 및 제2 안내봉(122a, 122b)이 삽입되는 4개의 안내홈(GG1 내지 GG4)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이동할 시에 제1 안내봉(112a, 112b) 및 제2 안내봉(122a, 122b)이 안내홈(GG1 내지 GG4)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이 직선 이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재(160)는 도 8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에 의해 파지되거나 그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MP)의 밑단을 받친다.
제어기(170)는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70)는 도 9의 구성도에서와 같이 감지수단(171), 판단수단(172) 및 제어수단(173)을 포함한다.
감지수단(171)은 전류값을 통해 이동력 발생원(130)의 부하량(보다 정확히는 모터의 부하량)을 감지한다.
판단수단(172)은 감지수단(171)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수단(173)은 판단수단(172)에 의해 이동력 발생원(130)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력 발생원(1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간격결정기(180)는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 또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참고도 도 10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벌림 간격(D1)과 제2 벌림 간격(D2)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2 벌림 간격(D2)은 제1 벌림 간격(D1)보다 넓다. 그리고 제1 벌림 간격(D1)과 제2 벌림 간격(D2)은 사용자가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놓을 때 간섭 받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해 간격결정기(180)는 도 11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스토퍼(181)와 조작스위치(18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181)는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한다. 즉, 도 12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토퍼(181)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자(141)의 회전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제1 파지부재(110) 및 이에 연동하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81)가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1 링크(142)나 제2 링크(143)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직접 제1 파지부재(110) 또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간격결정기(180)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의 간격결정기(180)에 따르면, (a)에서와 같이 회전자(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토퍼(181)가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시키지만, 회전자(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b) 및 (c)에서와 같이 회전자(141)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스토퍼(1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자(141)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회전자(141)와의 간섭이 제거되면, 스토퍼(181)는 스프링(182)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조작스위치(182)는 스토퍼(18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182)와 스토퍼(18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2)를 조작하여 스토퍼(181)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벌려질 때 제1 벌림 간격(D1)으로 벌려지거나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려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벌림 간격(D)과 제2 벌림 간격(D2)은 양 파지단(111, 121) 간의 간격으로 정의된다.
참고로 도 2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속부재(4)를 구비하고, 구속부재(4)에 하측 제1 안내봉(112b)에 구비된 제1 구속돌기(R1)와 상측 제2 안내봉(122a)에 구비된 제2 구속돌기(R2)가 삽입되는 제1 구속홈(4a)과 제2 구속홈(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속홈(4a)은 우측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좌측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폐쇄된 부위에 제1 구속턱(J1)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구속홈(4b)은 좌측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우측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폐쇄된 부위에 제2 구속턱(J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벌려질 때 양 파지부재(110) 간의 최대 간격인 제2 벌림 간격(D2)은 제1 구속턱(J1)과 제2 구속턱(J2)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1 구속턱(J1)과 제2 구속턱(J2)이 제1 구속돌기(R1)와 제2 구속돌기(R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제2 벌림 간격(D2)보다 더 넓게 벌어지는 것이 제한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최대 벌림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기구적인 설계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구속부재(4)가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양 파지부재(110, 120)가 최대한 벌려지는 간격이 제2 벌림 간격(D2)이 되도록 기구적으로 구현되면 족하다.
계속하여 도 1의 거치대(100)의 사용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14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폭(W1)과 제1 폭(W1)보다 더 넓은 제2 폭(W2)으로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휴대전화(MP)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폭(W1) 상태로 거치대(100)에 거치시키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0)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1 벌림 간격(W1)으로 벌어지도록 설정한 뒤, 벌림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제1 벌림 간격(W1)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벌림스위치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조작스위치(180)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양 파지부재(110, 120)간의 간격이 제1 벌림 간격(D1)으로 벌어지면, 모터(M)의 부하량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수단(173)은 모터(M)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은 제1 벌림 간격(D1)인 상태가 된다. 이 후, 사용자는 휴대전화(MP)의 밑단이 받침부재(160)에 의해 받혀지도록 얹어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파지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명령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73)은 모터(M)를 역회전시켜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한다. 그래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양 파지부재(110, 120)의 파지단(111, 121)이 각각 휴대전화(MP)의 좌측 단과 우측 단에 닿게 되면, 모터(M)의 부하량이 증가하면서 제어수단(173)이 모터(M)를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MP)는 거치대(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스위치는 별도 조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놓으면 인식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 폭(W2) 상태로 휴대전화(MP)를 거치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0)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양 파지부재(110, 120)는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을 가지도록 최대한 벌어지게 된다. 그래서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어지면, 사용자가 제2 폭(D2)의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이어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양 파지부재(110, 120)가 휴대전화(MP)의 좌우 양 단을 파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 상태를 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폭(W1). 제2 폭(W2), 제1 벌림 간격(D1), 제2 벌림 간격(D2)의 길이 관계는 제2 벌림 간격(D2) > 제2 폭(W2) > 제1 벌림 간격(D1) > 제1 폭(W1) 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1 폭(W1)의 휴대전화(MP)를 파지할 시에도 양 파지부재(110, 120)의 벌림 간격을 그에 맞게 최소화시킴으로써 파지 동작의 신속성을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적인 사항>
1.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 2, 3은 거치대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의 부속품들이고, 부호 5a와 5b는 무선 충전 코일이다.
2. 거치대(100)가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도 당연히 가지고 있지만, 그에 관해서는 여러 형태가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모터(M)의 동작을 위한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부분을 더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
110 : 제1 파지부재
120 : 제2 파지부재
130 : 이동력 발생원
140 : 동력전달기
141 : 회전자 142 : 제1 링크
143 : 제2 링크
150 : 안내부재
160 : 받침부재
170 : 제어기
171 : 감지수단 172 : 판단수단
173 : 제어수단
180 : 간격결정기
181 : 스토퍼 182 : 조작스위치

Claims (7)

  1.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로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제1 파지부재와의 간격이 벌려졌다 좁혀짐으로써 휴대전화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는,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1 벌림 간격보다 더 넓은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결정기는:
    궁극적으로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5.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로서,
    좌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는,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1 벌림 간격보다 더 넓은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결정기는:
    궁극적으로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분은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KR1020210017105A 2021-02-05 2021-02-05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KR10248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603A KR20220113603A (ko) 2022-08-16
KR102486188B1 true KR102486188B1 (ko) 2023-01-11

Family

ID=8306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395B1 (ko) *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23B1 (ko) * 2014-02-18 2015-11-23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81228B1 (ko) * 2019-04-26 2020-11-20 강경석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395B1 (ko) *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603A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161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baby carriage with the same
US6682157B2 (en) Panel driving device
CN1781675B (zh) 转换装置
TW201718335A (zh) 自行車組件啟動裝置
US20050288076A1 (en) Automatic/semiautomatic/manual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486188B1 (ko)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WO2017082003A1 (ja) 結束機
JP2019034412A (ja) ロボットを操作するハンドルを備えたロボット用操作装置
JP2005261535A (ja) 把持装置
KR102210583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467663B1 (ja) 自転車用クランク
KR100481273B1 (ko) 폴더의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힌지장치와 이를채용한 폴더가능형 장치
JPWO2020161920A1 (ja) 装着部材
JP6959798B2 (ja) ミシンの足踏み式コントローラー
WO2017082002A1 (ja) 結束機
JP7160955B2 (ja) 巻取装置、クレードル及び装着システム
CN210543088U (zh) 一种跑步机
JP2019184039A (ja) リンク機構、揺動機構、及びこれらを用いた物品収納設備
KR102514596B1 (ko) 단방향 그리퍼
JP4250060B2 (ja) 杭圧入装置
KR200284270Y1 (ko) 폴더의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힌지장치와 이를채용한 폴더가능형 장치
WO2017082360A1 (ja) 結束機
JPH10151595A (ja) ワーク把持装置
JP7123651B2 (ja) 動作補助装置
JP4621269B2 (ja) 車両用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