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225B1 -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225B1
KR100520225B1 KR1020050036795A KR20050036795A KR100520225B1 KR 100520225 B1 KR100520225 B1 KR 100520225B1 KR 1020050036795 A KR1020050036795 A KR 1020050036795A KR 20050036795 A KR20050036795 A KR 20050036795A KR 100520225 B1 KR100520225 B1 KR 10052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radle
contact member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티전자
Priority to KR102005003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0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에 접속되는 외부 신호선이 선꼬임 없게 하는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입출력하는 제1접촉부재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수단과,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 정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 및 지지력을 갖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정면에 부착되고, 제1접촉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신호를 외부 신호선으로 입출력하는 제2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Rotary phone holder having a function preventable wire to twis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가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축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 통신단말기의 『세로보기』,『가로보기』의 기능을 제공하며, 상호간에 회전하는 접촉부위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단말기의 회전 시 신뢰성저하를 방지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에 접속되는 외부 신호선이 선꼬임 없게 하는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서 사용하는 PDA, 네비게이션 및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를 거치 및 고정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는 차량내의 필수적인 장비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차량용 거치대는 단순히 통신단말기를 거치 및 고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통신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핸즈프리기능, 스피커, GPS, FM송신기 등의 기능들이 직접 내장되거나 연결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차량 내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려면 통신단말기에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을 연결해야만 했었다.
예를 들면, GPS 안테나와의 연결선, 시가잭과 연결된 전원선, TV안테나선, 핸즈프리를 위한 오디오신호선 및 마이크 연결선 등 매우 복잡한 케이블을 연결해야만 했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연결 한 후 GPS 단말기 또는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보다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의 화면 종류에 따라 『세로보기』, 『가로보기』등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했었다.
즉, 통신단말기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가로화면으로 제공하기도 하고, 세로화면으로 제공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상기 통신단말기가 차량 내의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세로보기』, 『가로보기』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위해서 통신단말기를 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나사 및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지지된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된 GPS 단말기 또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통신단말기에 다양하게 연결된 각종 케이블이 서로 꼬이거나 외부로 지저분하게 노출되어 있어서 미관상 좋지 않게 되고, 차량의 운행 시 진동 등에 의하여 거치대에서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가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축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 통신단말기의 회전 시 신뢰성저하를 방지하고 『세로보기』, 『가로보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와 지지대 상호간에 회전하는 접촉부위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세로보기』, 『가로보기』기능을 수행 중에도 거치대 본체에 접속되는 외부 신호선이 선꼬임 없게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하고, 케이블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입출력하는 제1접촉부재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수단과,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 정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 및 지지력을 갖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정면에 부착되고, 제1접촉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신호를 외부 신호선으로 입출력하는 제2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상기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100), 제1접촉부재(105), 결합수단(110), 삽입부재(120), 제2접촉부재(130) 및 지지대(140)로 이루어진다.상기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대 본체(100)는, 정면은 통신단말기(2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측에 고정턱(102)이 좌우에 형성되고, 하측에는 통신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 및 고정 될 수 있도록 받힘턱(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통신단말기(200)와 연결된 입출력선(109)이 삽입될 수 있는 입출력단자(108)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는 입출력단자(108)와 내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신호를 입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접촉부재(10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입출력단자(108)는 통신단말기(200)와 연결된 입출력선(109)이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를 매개로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구비된 제1접촉부재(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접촉부재(105)는 통신단말기(200)의 하나 이상의 입출력선(109)과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접촉자(105-1, 105-2) 및 탄성수단(도시 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촉자(105-1, 105-2)는 통신단말기(200)의 입출력선(109)이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출된 금속성 접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접촉자(105-1, 105-2)의 하단에 결합되어 접속자를 상향 지지하기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용수철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결합된 결합수단(110)은 지지대(140)의 지지판(141) 정면의 삽입부재(120)와 결합되기 위해서 체결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112)은 지지판(141) 정면의 삽입부재(120)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단부에서 중앙부까지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된 삽입부재(120)를 고정 및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며 하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끼움부재(116)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116)는 상기 체결홈(112)의 공간부에 억지끼움 식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측에 걸림턱(116-1)이 형성되어 있다.상기 끼움부재(116)는 삽입된 삽입부재(12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이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체결홈(112)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삽입부재(120)는 지지대(140)의 지지판(141)에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결합된 결합수단(110)의 체결홈(112)에 결합되기 위한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120)는 결합수단(110)의 체결홈(1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넣거나,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110)의 배면에 부가적으로 부착된 체결편(111)의 삽입공(113)에 삽입되게 된다.상기 체결편(111)은 중앙부에 삽입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120)보다 지름이 더 큰 삽입공(113)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삽입부재(120)가 상향으로 이동되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113)보다 지름이 작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120)의 정면에는 제1접촉부재(105)와 접촉되어 외부와 전기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2접촉부재(13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접촉부재(130)는 [도 6]과 같이, 상기 접촉자(105-1, 105-2)와 좌우로 축회전시에도 접촉 가능 하도록, 제1접촉부재(105)의 각각의 접촉자(105-1, 105-2)와 대응하며 맞닿을 수 있도록, 접촉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원형패턴(130-1, 13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패턴(130-1, 130-2)은 접촉면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거치대 본체(100)가 지지대(140)의 지지판(141)을 축으로 좌우로 회전할 때도 끊김 없이 같은 전기적 신호를 연속적으로 받게 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기 원형패턴(130-1, 130-2)은 호형으로 분리 형성된 호형패턴(131-1a, 131-1b, 131-2a, 131-2b)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90°회전 시 다른 신호를 인가받게 구성 할 수 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패턴(130-1, 130-2)은 각각의 원형패턴에 대한 신호선(149)이 지지대(140)의 지지판(141) 내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141)의 배면을 통해서 외부로 신호선(149)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배출된 신호선(149)은 각각 차량내의 오디오(300)의 입력단자, GPS 안테나(400) 및 차량용 시가잭(500) 등과 직접 연결됨으로써, 결국 통신단말기(200)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와 결합된 지지대(140)의 지지판(141) 배면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구역에 설치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지지봉(144)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144)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밴드(14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44)을 소정의 구역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흡착판(148)과. 상기 지지봉(144)을 흡착판(148)과 연결하는 연결밴드(14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흡착판(148)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1)는 우선 거치대 본체(100)의 정면에 통신단말기(200)를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통신단말기(200)에서 차량용 회전 거치대(1)에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을 포한하는 입출력선(109)(예를 들어, 이어잭연결선, 시가잭 전원선 및 마이크선 GPS신호선, TV안테나선, 스피커 출력선)을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입출력단자(108)에 삽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거치대 본체(100) 일측면의 입출력단자(108)와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로 매개로 연결된 연결선에 의해 제1접촉부재(105)의 하나 이상의 접촉자(105-1, 105-2)와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제1접촉부재(105)와 하나 이상의 접촉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원형패턴(130-1, 130-2)과 각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가 0°∼ 360°회전하여도 원형패턴(130-1, 130-2)에 의해 거치대 본체(100)의 접촉자(105-1, 105-2)가 상호간에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구비된 제1접촉부재(105)와, 삽입부재(120)의 정면에 부착된 제2접촉부재(130)가 상호간에 결합수단(110) 및 삽입부재(12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됨으로써 상호간에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자(105-1, 105-2)와 원형패턴(130-1, 130-2)은 접촉자(105-1, 105-2)의 하단에 구비된 판스프링에 의해 상호간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각각의 원형패턴(130-1, 130-2)과 지지대(140)의 지지판(141) 내부를 매개로 연결된 신호선(149)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신호선(149)은 차량용 오디오(300), GPS 안테나(400) 및 시가잭(500)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기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차량 내에서 사용하는 PDA, 네비게이션 및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거치대 본체(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세로보기』, 『가로보기』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단말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필요한 하나이상의 입출력선(109)을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제1접촉부재(105)를 통하여 외부 기기의 신호선(149)과 연결된 제2접촉부재(130)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세로보기』, 『가로보기』기능을 수행 중에도 거치대 본체(1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단자(108)와 연결된 입출력선(109)이 꼬이지 않고 외관상 미려하고 심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제1접촉부재(105)와 제2접촉부재(130)는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원형패턴(130-1, 130-2) 또는 후술하는 호형패턴(131-1a, 131-1b, 131-2a, 131-2b)으로 이루어진 제2접촉부재(130)가 형성되고, 지지판(141) 정면의 삽입부재(120)에 하나 이상의 접촉자(105-1, 105-2)로 이루어진 제1접촉부재(105)가 구비된 것처럼 상호간에 구성이 반대로 되어도 효과가 같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예를 들어 거치대 본체(100)에 부착된 내측의 접촉자(105-1)가 내측의 원형패턴(130-1)과 접촉됨으로써 시가잭(500)의 전원에 연결되고, 외측의 접촉자(105-2)가 외측의 원형패턴(130-2)과 접촉됨으로써 GPS 안테나(400)와 연결되어 있어서, 거치대 본체(100)가 1°이상 회전하는 경우에도 이와 접속되는 내측 및 외측의 원형패턴(130-1, 130-2)에 따른 신호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연결된 입출력선(109)은 1°∼ 360°회전 시에도 전혀 선이 꼬이거나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동일한 전기적인 신호 즉, 전원과 GPS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른 실시예로 [도 8]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패턴(130-1, 130-2)을 각각 호형으로 분리하여 호형패턴으로 구성함으로써, 호형패턴1a(131-1a)와 호형패턴1b(131-1b) 및 호형패턴2a(131-2a)와 호형패턴2b(131-1b)는 서로 다른 상태의 신호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의 접촉자(105-2)가 호형패턴2a(131-2a)와 접속될 때는 High신호, 호형패턴2b(131-1b)와 접속될 때는 Low신호가 연결되기 때문에, 외측의 접촉자(105-2)가 거치대 본체가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한 경우에는 High신호 또는 Low신호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DMB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에 DMB 단말기에 High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DMB 단말기의 DMB 방송을 키고(On) 하고, Low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끄도록(off) DMB 단말기를 설정을 해놓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DMB 단말기를 좌우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DMB 방송을 자동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또한 외측의 접촉자(105-2)가 호형패턴2a(131-2a)와 호형패턴2b(131-2b) 사이(131-2c)에 위치하는 경우 전원이 꺼지도록(off) 하고, 좌우로 회전되어 호형패턴2a(131-2a) 또는 호형패턴2b(131-2b) 중 어느 하나로 거치대 본체(100)의 접촉자(105-1, 105-2)가 이동 하였을 경우에는 전원을 킬(on)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이용이 가능 하다.상기 원형패턴(130-1, 130-2)은 복수의 호형패턴으로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더욱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 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가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축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 통신단말기의 회전 시 신뢰성저하를 방지하고 『세로보기』, 『가로보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와 지지대 상호간에 회전하는 접촉부위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세로보기』, 『가로보기』기능을 수행 중에도 거치대 본체에 접속되는 외부 신호선이 선꼬임 없게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하고, 케이블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회전 거치대가 우측으로 90°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접촉자와 원형패턴이 접촉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거치대의 원형패턴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용 회전 거치대
100: 거치대 본체 105: 제1접촉부재
110: 결합수단 120: 삽입부재
130: 제2접촉부재 140: 지지대
200: 통신단말기 300: 오디오
400: GPS 안테나 500: 차량용 시가잭

Claims (7)

  1. 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 및 지지대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입출력하는 제1접촉부재;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체결 홈이 형성된 결합수단;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 정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 및 지지력을 갖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정면에 부착되고, 제1접촉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신호를 외부 신호선으로 입출력하는 제2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재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입출력선이 거치대 본체의 내부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의 하측에 결합되어 접촉자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재는,
    상기 제1접촉부재의 접촉자와 좌우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맞닿는 접촉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형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패턴은 호형패턴으로 분리 형성되어 접촉자의 이동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른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재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입출력선이 거치대 본체의 내부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형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재는,
    상기 원형패턴과 좌우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의 하측에 결합되어 접촉자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패턴은 호형패턴으로 분리 형성되어 접촉자의 이동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른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KR1020050036795A 2005-05-02 2005-05-02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KR10052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95A KR100520225B1 (ko) 2005-05-02 2005-05-02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95A KR100520225B1 (ko) 2005-05-02 2005-05-02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225B1 true KR100520225B1 (ko) 2005-10-11

Family

ID=3730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95A KR100520225B1 (ko) 2005-05-02 2005-05-02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2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87B1 (ko) * 2006-07-26 2007-02-22 주식회사 여명기계 구동부와 피구동부사이의 배선을 연결하는 장치
KR100813519B1 (ko) * 2007-02-14 2008-03-17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차량용 착탈식 정보단말기 거치장치
WO2015064852A1 (ko) * 2013-11-04 2015-05-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0723B1 (ko) 2014-02-18 2015-11-23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87B1 (ko) * 2006-07-26 2007-02-22 주식회사 여명기계 구동부와 피구동부사이의 배선을 연결하는 장치
KR100813519B1 (ko) * 2007-02-14 2008-03-17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차량용 착탈식 정보단말기 거치장치
WO2015064852A1 (ko) * 2013-11-04 2015-05-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0723B1 (ko) 2014-02-18 2015-11-23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0606B1 (en) Optical switch for headset
CN1659924B (zh) 耳机
EP0963667B1 (en) Microphone attach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audio circuit of a flip-type radio phone with a mechanical contact device
US7756550B2 (en) Hands free device for a cellular phone
KR100520225B1 (ko)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US20080081678A1 (en) Mobile terminal and swivel assembly coupled thereto
JP2821333B2 (ja) 携帯電話機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WO2007011128A1 (en) Hard/soft necklace-type moun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66849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5960079A (en) Portable telephone with rotary contacts
US6512826B1 (en) Multi-directional hand-free kit
KR100429979B1 (ko) 휴대용 영상단말기
KR20080107498A (ko) 회전 가능한 이어피스를 구비하는 무선 헤드셋 및 이의모드 변환 제어 방법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WO2009057853A1 (en) Wireless headset with an aux terminal
KR200314218Y1 (ko)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KR200231076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KR20000047093A (ko) 양방향 통화용 전화기
KR20010000437U (ko)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폰 기능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KR200266220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
JP2006108945A (ja) 中継ユニット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295593Y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JP2003152839A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