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18Y1 -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18Y1
KR200314218Y1 KR20-2003-0004981U KR20030004981U KR200314218Y1 KR 200314218 Y1 KR200314218 Y1 KR 200314218Y1 KR 20030004981 U KR20030004981 U KR 20030004981U KR 200314218 Y1 KR200314218 Y1 KR 200314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ands
mobile phone
fre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filed Critical 이영길
Priority to KR20-2003-0004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용 접속장치(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설치된 핸즈프리의 콘넥터를 휴대폰에 접속시키지 않고,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잭과,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 및, 플러그잭과 단자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핸즈프리용 접속구와,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와,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 및,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즈프리용 접속장치{Connector for Hands Free Car Kit}
본 고안은 핸즈프리용 접속장치(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핸즈프리의 콘넥터를 휴대폰에 접속시키지 않고 단지,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 카 키트(Hands Free Car Kit)(이하, "핸즈프리"라 칭한다)는 케이블로 접속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운전자가 차량운전을 하는 중에 휴대폰을 손에 들지 않고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로서, 휴대폰의 보조장치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대인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복잡한 교통환경 및 빠르게 변화해 가는 시대적 환경에 의하여, 도로 위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많아진 것이 사실이며,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불의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빈도도 많아 졌다.
상기 교통사고의 요인으로는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율 또한 매년 급등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통개발연구원은 운전 중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다 사용할 때가 20% 가량 교통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발표하였는데, 이는 혈중 알콜농도 0.1%(음주운전 단속기준 0.05% 이상)의 음주 운전자와 비슷한 사고위험의 정도로 분석하였다(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2000년 10월 10일).
실제로, 평상시 운전자는 주위의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골고루 시선이 가지만, 통화가 시작되면서 시야는 갑자기 좁아지고 주변의 보행자들을 제대로 보지 못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반응속도도 2배 이상 길어진다.
차량의 운전 중 운전자가 휴대폰을 들고 상대방과 통화하는 것은,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교통사고의 피해를 양산함에 따라, 정부에서 규제법을 시행할 정도로 그 심각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치로서, 핸즈프리가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핸즈프리는 꼭 필요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즈프리(10) 사용시, 휴대폰(20)을 상기 핸즈프리(10)에 안착시킨 후 상기 핸즈프리(10)에 일체로 접속된 통신용 케이블(15)의 플러그(Plug)(16)를 반드시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Earphone-Jack)(미도시)에 접속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운전자가 단거리의 주행시에는, 상기 핸즈프리(10) 통신용 케이블(15)의 플러그(16)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에 접속시키지 않고, 상기 핸즈프리(10)에 휴대폰(20)을 단지 안착시키기만 하므로써, 핸즈프리가 휴대폰의 거치대 역할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전 상기 핸즈프리(10) 통신용 케이블(15)의 플러그(16)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에 접속시키는 것을 잊어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핸즈프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7699호(출원번호 : 제2001-0027710호, 고안의 명칭 : 원터치 핸즈프리 접속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0255937호(출원번호 : 제2001-0025516호, 고안의 명칭 : 차량용 핸즈프리의 핸드폰 접속구조)가 있는데, 이는 휴대폰 내부로 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가 상기 휴대폰의 적당한 외면(또는 휴대폰의 배터리)에 형성되고, 핸즈프리에는 상기 휴대폰의 접속단자와 대응하여 접촉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을 상기 핸즈프리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상기 핸즈프리 통신용 케이블의 콘넥터를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접속시키지 않고도 핸즈프리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0257699호와 제0255937호는 기존의 휴대폰과 핸즈프리 사용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사용자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새로운 핸즈프리와 휴대폰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구입비용의 부담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폰과 핸즈프리를 이용하지 못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커다란 비용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핸즈프리의 콘넥터인 플러그를 휴대폰에 접속시키지 않고 단지,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속단자가 일체로 형성된 새로운 휴대폰과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고, 현재 사용 중인 일반적인 휴대폰과 핸즈프리에 적용하여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비용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에 휴대폰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핸즈프리용 접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핸즈프리용 접속구에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가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의 음성신호 송신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만 독립적으로 휴대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즈프리 16 :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
20 : 휴대폰 22 : 이어폰잭
30 : 핸즈프리용 접속구 32 : 플러그잭
36, 46 : 베이스 36a, 46a : 음성신호 송신단자
36b, 46b : 음성신호 수신단자 36c, 46c : 접지단자
37, 47 : 단자부 38, 48 : 양면테이프
42 :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 43 : 절연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를 구비한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가 각각 형성되어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잭과,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에 돌출되어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 및, 플러그잭과 단자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핸즈프리용 접속구와;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가 각각 형성되어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와,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의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어 핸즈프리용 접속구의 돌출된 단자들과 접촉되는 음성신호 송신단자와 음성신호 수신단자 및 접지단자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 및,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휴대폰용 접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거치시키면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는 반원형부와 수직 절단부로 형성하여, 음성신호 송신단자를 휴대폰의 이어폰잭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일측면에는 절연체를 도포하여, 음성신호 송신단자를 휴대폰의 이어폰잭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핸즈프리용 접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핸즈프리용 접속구(30)와 휴대폰용 접속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즈프리용 접속구(30)는,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 (16)(도 4에 도시)가 접속되는 플러그잭(32)과, 베이스(36)의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3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6b) 및 접지단자(36c)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37) 및, 상기 플러그잭(32)과 단자부(37)를 연결하는 와이어(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자부(37)의 베이스(36)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들(36a, 36b, 36c)은 절연체인 상기 베이스(36)에 일체로 몰딩처리되어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36)의 후면에는 양면테이프(38)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는,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와, 베이스(46)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돌출된 단자들(36a, 36b, 36c)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6b) 및 접지단자(46c)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47) 및,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와 단자부(47)를 연결하는 와이어(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자부(47)의 베이스(46)는,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베이스(36)와 마찬가지로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들(46a, 46b, 46c)은 절연체인 상기 베이스(46)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몰딩처리되며, 상기 베이스(46)의 후면에는 양면테이프(48)가 부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핸즈프리용 접속구(30)와 휴대폰용 접속구(40)의 구성품들에 대한 연결 접속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플러그잭(32) 내부에는,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16)의 각 단자(도면번호 미부여)들과 접촉하는 음성신호 송신단자(3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2b) 및 접지단자(32c)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플러그잭(32) 내부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3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2b) 및 접지단자(32c)들은, 와이어(34)(도 2에 도시)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통신 케이블(34a, 34b, 34c)을 통하여, 도 2에 도시된 단자부(37)의 음성신호 송신단자(3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6b) 및 접지단자(36c)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도 5a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는,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각 단자(도면번호 미부여)들과 접촉하는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2b) 및 접지단자(42c)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2b) 및 접지단자(42c)들은, 와이어(44)(도 3에 도시)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통신 케이블(44a, 44b, 44c)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단자부(47)의 음성신호송신단자(4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6b) 및 접지단자(46c)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된다.
이때,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는 반원형부와 수직 절단부로 이루어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원형부가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도면번호 미부여)와 접촉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의 수직 절단부에 의하여 상기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접촉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일측면에는 절연체(43)가 도포되어,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속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이유는, 하기의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설치 및 작용관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설치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중 휴대폰용 접속구만 독립적으로 휴대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설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16)를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플러그잭(32)에 삽입하여 접촉시키고, 이어서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단자부(37) 베이스(36)의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38)를 핸즈프리(10)의 전면 일측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를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 삽입하여 접촉시키고, 이어서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단자부(47) 베이스(46)의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48)를 휴대폰(20) 배터리(25)에 부착시키되, 상기 양면테이프(48)는, 상기 휴대폰(20)을 상기 핸즈프리(10)에 거치시켰을 때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단자부(47)가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단자부(37)와 서로 꼭 맞게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부착시킨다.
이 후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는 상기 휴대폰(20)을 상기 핸즈프리(10)에 거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양면테이프(48)에 의하여 상기 휴대폰(20)의 배터리(25)에 부착된 단자부(47)의 음성신호 송신단자(4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6b) 및 접지단자(46c)는 각각, 양면테이프(38)에 의하여 상기 핸즈프리(10)의 전면 일측에 부착된 단자부(37)의 음성신호 송신단자(3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6b) 및 접지단자(36c)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접촉시, 상기 핸즈프리(10)에 부착된 단자부(37)의 단자들(36a, 36b, 36c)은 베이스(36)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폰(20)의 배터리(25)에 부착된 단자부(47)의 단자들(46a, 46b, 46c)은베이스(4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부(37, 47) 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의 설치관계에 의하여, 운전자는 휴대폰(20)을 핸즈프리(10)에 거치시키기만 하면 자동차의 주행 중 자동으로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하차시 상기 휴대폰(20)을 상기 핸즈프리(10)로 부터 분리시켜 상기 휴대폰(20) 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는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가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로 있으며,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단자부(47) 베이스(46)는 상기 휴대폰(20)의 배터리(25)에 부착된 상태로 있다. 이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는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가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휴대폰(20)의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의 음성신호 송신단자(42a)가 상기 이어폰잭(22)의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휴대폰(20)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없게 되어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를 회전시키면,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의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인 반원형부가 상기 이어폰잭(22) 내부의 해당 단자와 접촉(도 5a)되어 있다가, 상기 반원형부의반대측에 위치한 수직 절단부가 상기 이어폰잭(22) 내부의 해당 단자와 접촉되지 않고 위치(도 5b)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것 처럼, 원통형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의 일측면에 절연체(43)가 도포되어,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가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사용시, 사용자는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가 상기 이어폰잭(22) 내부의 해당 단자와 접촉되어 있을 때, 휴대폰의 액정에 나타나는 헤드폰 그림 모양을 보고,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가 상기 이어폰잭(22) 내부의 해당 단자와 접촉 또는 비접촉 되어 있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종래의 핸즈프리 접속장치와 같이 사용시 마다 통신용 플러그를 착탈시켜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한번만 세팅해 놓으면,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거치시키는 것 만으로 자동적으로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플러그의 탈착없이 휴대폰 만을 상기 핸즈프리로 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핸즈프리의 콘넥터인 플러그를 휴대폰에 접속시키지 않고 단지, 휴대폰을 핸즈프리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핸즈프리가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 중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용 접속장치는, 접속단자가 일체로 형성된 새로운 휴대폰과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고도, 현재 사용 중인 일반적인 휴대폰과 핸즈프리에 적용 가능하므로써, 비용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 접속되는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16)를 구비한 핸즈프리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음성신호 송신단자(3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2b) 및 접지단자(32c)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 통신용 플러그(16)가 접속되는 플러그잭(32)과, 양면테이프(38)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36)에 돌출되어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3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36b) 및 접지단자(36c)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37) 및, 상기 플러그잭(32)과 상기 단자부(37)를 연결하는 와이어(34)로 구성된 핸즈프리용 접속구(30)와;
    음성신호 송신단자(42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2b) 및 접지단자(42c)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에 접속되는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와, 양면테이프(48)가 부착된 절연체인 베이스(46)의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용 접속구(30)의 돌출된 단자들(36a, 36b, 36c)과 접촉되는 음성신호 송신단자(46a)와 음성신호 수신단자(46b) 및 접지단자(46c)를 각각 구비한 단자부(47) 및, 상기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와 상기 단자부(47)를 연결하는 와이어(44)로 구성된 휴대폰용 접속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는 반원형부와 수직 절단부로 형성하여,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용 접속구(40)의 휴대폰 통신용 플러그(42)에 형성된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일측면에는 절연체(43)를 도포하여, 상기 음성신호 송신단자(42a)를 상기 휴대폰(20)의 이어폰잭(22) 내부에 형성된 해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KR20-2003-0004981U 2003-02-20 2003-02-20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KR200314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81U KR200314218Y1 (ko) 2003-02-20 2003-02-20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81U KR200314218Y1 (ko) 2003-02-20 2003-02-20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18Y1 true KR200314218Y1 (ko) 2003-05-23

Family

ID=4933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981U KR200314218Y1 (ko) 2003-02-20 2003-02-20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2397C (en) Microphone attach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audio circuit of a flip-type radio phone with a mechanical contact device
JP250313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イスコネクタ接続構造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200314218Y1 (ko) 핸즈프리용 접속장치
KR200228427Y1 (ko) 휴대폰의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
JP3686218B2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
KR200235210Y1 (ko) 마그네틱 잭
KR200411968Y1 (ko)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KR200203039Y1 (ko) 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이 부가된 자동차용 콘솔 박스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KR200293078Y1 (ko) 핸즈프리용 연결장치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KR200287419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287418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30077445A (ko) 통신 장치와 함께 외부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222381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KR200214836Y1 (ko) 핸드폰의 외부단자에 연결이 필요 없는 차량용 핸드프리
KR200214835Y1 (ko) 휴대폰 건전지 충전 방식을 이용한 핸드프리용 연결 단자
KR200211481Y1 (ko) 핸드프리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용 밧데리팩
KR200281075Y1 (ko)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KR200184941Y1 (ko) 차량용 휴대폰 접속장치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JP2002142007A (ja) 自動車の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