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088A -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 Google Patents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088A
KR20160041088A KR1020140134024A KR20140134024A KR20160041088A KR 20160041088 A KR20160041088 A KR 20160041088A KR 1020140134024 A KR1020140134024 A KR 1020140134024A KR 20140134024 A KR20140134024 A KR 20140134024A KR 20160041088 A KR20160041088 A KR 2016004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mbroidery
yarn
poly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국
Original Assignee
신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국 filed Critical 신종국
Priority to KR102014013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088A/ko
Publication of KR2016004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에 있어서: 면사, 린넨사, 폴리사, 수축사, 나일론, PP사, 레이온사, T/C, 옥스퍼드, 쟈가드, 스웨이드, 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되는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 및 상기 내부원단(10)을 텐타가공을 통해 원하는 축율로 2차변형이 가능토록 고정시킨 다음,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자수(31)를 통해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비하는 결합수단(30);를 포함하여 직물(T)을 형성하되, 상기 직물(T)의 유연성을 인위적으로 가공하도록 에어로워싱하여 워싱(에어로워싱,워싱,크리즈,스팀)가공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축율을 지니는 원단을 자수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외부원단을 통해 내부원단을 비치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으며, 외부원단의 터치감을 향상시켜 다양한 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With a sense of realism and touch fabric}
본 발명은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수축율을 지니는 두 가지의 원단을 자수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워싱 가공을 통해 두 종류의 원단 축율에 의한 볼륨감, 자수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외부원단을 통해 내부원단을 비치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으면서 외부원단의 터치감을 향상시키고, 완성된 최종 제품은 세탁 등 견뢰도의 문제에 있어 더 이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을 지닌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직물에 입체감을 주기 위해서는 외부에 장식물을 부착하는 방식과 원단에 발포가 가능한 물질이 혼합된 염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한 후 가열 또는 가압의 과정을 거쳐 발포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에 장식물을 부착하는 경우 세탁에 의해 너무나도 손쉽게 부착된 장식물이 떨어져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발포된 안료는 원단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직물에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379845호에 따르면, ‘음각된 패딩롤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표면의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표면의 접착제가 제거된 패딩롤러를 고수축포에 압착하여 고수축포에 접착제를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전사된 고수축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고수축포를 원단과 합지하여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고수축포와 원단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수축포를 이용한 입체무늬 형성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수축포를 이용한 입체무늬 형성방법은 접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하는 구성을 지니고 있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421222호에 따르면, ‘표면층, 이면층, 및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되고, 표면층과 중간층 사이의 제1공간부 및 중간층과 이면층 사이의 제2공간부에는 상하층을 연결하는 접결사가 상기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를 평행하게 배열하는 다수 개의 통로로 분할하며, 상기 접결사가 표면층, 중간층 및 이면층을 형성하는 경사와 접하는 접점에는 위사가 결속되어 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표면층, 또는 표면층과 이면층의 경사는 폴리우레탄과 복합가연된 폴리에스테르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다층구조 입체직물.’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다층구조 입체직물의 경우 단순히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형성하는 단순한 구성에 지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379845호 “고수축포를 이용한 입체무늬 형성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421222호 “통기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다층구조 입체직물”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수축율을 지니는 두 가지의 원단을 자수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워싱 가공을 통해 두 종류의 원단 축율에 의한 볼륨감, 자수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외부원단을 통해 내부원단을 비치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으면서 외부원단의 터치감을 향상시키고, 완성된 최종 제품은 세탁 등 견뢰도의 문제에 있어 더 이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을 지닌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물에 있어서: 면사, 린넨사, 폴리사, 수축사, 나일론, PP사, 레이온사, T/C, 옥스퍼드, 쟈가드, 스웨이드, 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되는 내부원단과 외부원단; 및 상기 외부원단을 자수를 통해 내부원단 상에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직물을 형성하되, 상기 직물의 유연성을 인위적으로 가공하도록 워싱 가공하여 축율 변형을 통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부원단과 외부원단은 두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될 경우 폴리와 수축사, 폴리와 린넨사, 폴리와 나일론, 폴리와 레이온, 폴리와 실크 중 어느 하나를 직조 또는 편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의 자수는 등간격 배치되어 고정하는 점자수와, 문양을 통해 고정하는 문양자수와, 양변사 부분에 컷팅 작업을 할 수 있는 스칼렙자수, 패치자수 중 하나 이상의 기법을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축율을 지니는 두 가지의 원단을 자수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워싱 가공을 통해 두 종류의 원단 축율에 의한 볼륨감, 자수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외부원단을 통해 내부원단을 비치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으면서 외부원단의 터치감을 향상시키고, 완성된 최종 제품은 세탁 등 견뢰도의 문제에 있어 더 이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을 지닌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직물의 양끝 변사 부분을 마감 처리한 스칼렙자수(31)의 경우 다른 봉재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과 판매성에 큰 잇점을 가지면서 원단의 각기 다른 성분과 특성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자수와 프린트의 접목으로 자수사의 개발과 다양한 프린트(본염, 스크린, 디지털프린트 등)활용, 여러 워싱후 가공으로 신소재의 개발이 용이하며 심미적, 기법적, 생산적 측면에서 차별화된 발명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커튼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에 자수를 통해 변사 부분의 마감 처리한 제품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옷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이불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커튼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에 자수를 통해 변사 부분의 마감 처리한 제품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옷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을 통해 형성된 이불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직물에 관련되며, 내부원단(10), 외부원단(20), 결합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은 면사, 린넨사, 폴리사, 수축사, 나일론, PP사, 레이온사, T/C, 옥스퍼드, 쟈가드, 스웨이드, 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상술한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의 구성은 각각 유사한 형태로 제직될 수 있지만, 상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은 동일한 재질 보다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그리고, 내부원단(10)에는 디지털 프린터를 통한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은 10∼400데니어(denier)의 굵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일반적으로 외부원단(20) 보다는 내부원단(10)이 더욱 굵은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원단(10)에 형성된 프린트를 통한 무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입체감 및 화려함, 심미감의 향상 등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으나,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이 비슷한 굵기로 형성하여 외부원단(20)의 터치감을 강화할 수도 있음으로 이에 한정치는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은 두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될 경우 폴리와 수축사, 폴리와 린넨사, 폴리와 나일론, 폴리와 레이온, 폴리와 실크 중 어느 하나를 직조 또는 편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폴리사와 수축사를 혼합하여 형성할 경우 원단의 구김 및 형태가 틀어지지 않고, 일정 광택이 발생하며, 그 무게가 가벼워 활동성이 향상되고, 수축사를 통한 스판 느낌으로 착용감이 편해지는 장점이 발휘된다. 그리고, 폴리와 린넨사를 혼합하여 형성할 경우 원단의 구김 및 형태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린넨사를 통한 수분 흡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폴리와 나일론을 혼합하여 형성할 경우 원단의 구김 및 형태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나일론을 통한 탄성력이 발생하면서 부드러워지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폴리와 레이온을 혼합하여 형성할 경우 원단의 구김 및 형태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레이온을 통한 땀 흡수와 배출이 빠른 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폴리와 실크를 혼합하여 형성할 경우 원단의 구김 및 형태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실크를 통한 촉감이 부드러워지고, 광택으로 인한 심미감이 향상된다. 이때, 내부원단(10)을 텐타가공을 통해 큰 변형을 방지하도록 수축시킨다. 이러한, 텐타가공은 서로 다른 재질의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의 경우 후술하여 설명할 직물(T)의 완성 시 세탁에 의한 수축율이 달라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으로 상기 내부원단(10)을 각각 수축시키게 되는 바,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간의 성분 수축율에 의해 내부원단(10) 만이 수축이 가능해지고, 외부원단(20)은 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의 볼륨감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은 상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자수(31)를 통해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결합수단(30)은 상술한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수단(30)은 자수(31)를 통해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30)의 자수(31)는 등간격 배치되어 고정하는 점자수(31a)와, 문양을 통해 고정하는 문양자수(31b)와, 양변사 부분에 컷팅 작업을 할 수 있는 스칼렙자수(31c), 패치자수(31d) 중 하나 이상의 기법을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수(31)는 점자수(31a)와 문양자수(31b) 중 하나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점자수(31a)의 경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서로 고정하는데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등간격 배치하여 고정하게 한다. 그리고, 문양자수(31b)의 경우 자수가 어떠한 문양을 통해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고정함과 동시에 문양이 형성됨으로 심미감은 더욱 향상하게 된다. 또한, 결합수단(30)의 자수(31)는 직물(T)의 양끝 변사 부분을 마감 처리한 스칼렙자수(31c)의 경우 다른 봉재의 과정을 생략 할 수 있어 생산성과 판매성에 큰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내부원단(10)에 형성된 디지털 프린터를 통한 무늬와 함께 문양자수(31b)로 형성할 수 있으나 혼잡한 문양이 될 수 있음으로 문양자수(31b)를 사용할 시 내부원단(10)의 디지털 프린터를 통한 무늬는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30)의 자수(31)는 직물(T)의 양끝 변사 부분을 마감처리로 이루어져 보다 깔끔한 직물(T)을 완성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직물(T)을 형성하되, 상기 직물(T)의 유연성을 인위적으로 가공하도록 워싱(에어로워싱,워싱,크리즈,스팀가공 등) 가공하여 완성하게 된다. 완성된 직물(T)에 화학물질을 분사하여 직물(T)의 유연성이 발휘되도록 구성하고, 틸딩 작업을 통해 꼬인 직물(T)을 풀어주면서 연속적인 정단작업을 통해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직물은 옷인 의류 뿐만 아니라 침구류, 쿠션, 커튼 등 섬유제품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면사, 린넨사, 폴리사, 수축사, 나일론, PP사, 레이온사, T/C, 옥스퍼드, 쟈가드, 스웨이드, 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되는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텐타가공을 통해 원하는 축율로 가공한다. 이는 천연소재의 경우 거의 저온가공으로 진행되어 본 작업 시 너무 큰 축율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을 자수(31)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직물(T)을 형성한 다음, 워싱(에어로워싱,워싱,크리즈,스팀가공등) 가공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축율을 지니는 두 가지의 원단을 자수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워싱가공을 통한 두 종류의 원단 축율에 의한 볼륨감, 자수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외부원단을 통해 내부원단을 비치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으며, 외부원단의 터치감을 향상시켜 다양한 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내부원단 20: 외부원단
30: 결합수단 31: 자수
31a: 점자수 31b: 문양자수
31c: 스칼렙자수 31d: 패치자수
T : 직물

Claims (3)

  1. 직물에 있어서:
    면사, 린넨사, 폴리사, 수축사, 나일론, PP사, 레이온사, T/C, 옥스퍼드, 쟈가드, 스웨이드, 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되는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 및 상기 외부원단(20)을 자수(31)를 통해 내부원단(10) 상에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비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직물(T)을 형성하되, 상기 직물(T)의 유연성을 인위적으로 가공하도록 워싱(에어로워싱,워싱,크리즈,스팀)가공하여 축율 변형을 통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단(10)과 외부원단(20)은 두가지 이상 혼합하여 형성될 경우 폴리와 수축사, 폴리와 린넨사, 폴리와 나일론, 폴리와 레이온, 폴리와 실크 중 어느 하나를 직조 또는 편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의 자수(31)는 등간격 배치되어 고정하는 점자수(31a)와, 문양을 통해 고정하는 문양자수(31b)와, 양변사 부분에 컷팅 작업을 할 수 있는 스칼렙자수(31c), 패치자수(31d) 중 하나 이상의 기법을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율 변형에 인한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KR1020140134024A 2014-10-06 2014-10-06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KR20160041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24A KR20160041088A (ko) 2014-10-06 2014-10-06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24A KR20160041088A (ko) 2014-10-06 2014-10-06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088A true KR20160041088A (ko) 2016-04-18

Family

ID=5591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24A KR20160041088A (ko) 2014-10-06 2014-10-06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586B1 (ko)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쾌적한 기능성 데님 원단의 제조방법
JP2013079479A (ja) ポリエステルとポリアミド複合繊維マイクロファイバータオル生地の生産方法及びそのタオル生地
KR101914695B1 (ko)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KR20090089114A (ko)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5743A (ko) 원단의 양면에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양면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
KR101593199B1 (ko) 린넨직물
US20100064915A1 (en) Garment
KR20160041088A (ko) 입체감 및 터치감이 향상되는 직물
JP2008214829A (ja) 衣料及び衣料の製造方法
KR102478388B1 (ko) 재단이 가능한 니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US7491665B2 (en) Method of making a textile material and textile material made thereby
CN103628267B (zh) 聚酰胺纤维和聚酯纤维复合合成革及加工工艺
EA035297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JP3189719U (ja) 刺繍製品
KR101937460B1 (ko) 더블라셀 편물에 이종의 원단기능을 일체 형성한 복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기능성 원단
KR100513964B1 (ko)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된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직물지
KR20200008969A (ko) 재단이 가능한 니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17721A (ko) 환편기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772435B1 (ko) 경편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JP3194799U (ja) 三重構造の布地
KR101399255B1 (ko) 실크 오간자 표면의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생산한 실크 오간자
KR101496770B1 (ko) 에어쿠션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5648163B1 (ja) 複合伸縮性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23957A (ja) 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立毛シート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