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647A -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647A
KR20160039647A KR1020167004983A KR20167004983A KR20160039647A KR 20160039647 A KR20160039647 A KR 20160039647A KR 1020167004983 A KR1020167004983 A KR 1020167004983A KR 20167004983 A KR20167004983 A KR 20167004983A KR 20160039647 A KR20160039647 A KR 2016003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ans
channel
fluid
space
chan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135801A external-priority patent/FI125194B/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6003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8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flow of the materials; Use of pressur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65G53/4683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with a reciprocating mover acting directly on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배치 가능한 저지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수단(30)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30)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으로 반드시 전부 연장되지는 않는다.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외부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상기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까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31, 33)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APPARATUS FOR ACTING ON MATERIAL TO BE CONVEYED IN A MATERIAL CONVEYING CHANNEL}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의 서문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8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공압식 부분 진공 이송 시스템과 같은 재료 반송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활 쓰레기의 반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집 및 반송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특히 국제공개공보 WO 2009/080880, WO 2009/080881, WO 2009/080882, WO 2009/080883, WO 2009/080884, WO 2009/080885, WO 2009/080886, WO 2009/080887, WO 2009/080888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주거용 빌딩의 높은 투입 구멍으로부터 낮은 수집 공간 또는 해당 용기에 전형적으로는 중력에 의해 쓰레기가 반송되는, 투입 지점(input point) 또는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 공급 수단에 관한 것이다.
압력차 또는 흡인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쓰레기가 반송되는 시스템은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의 경우 쓰레기가 흡인에 의해 배관 내에서 장거리 반송된다. 이들 시스템에서 압력차를 얻기 위해 부분 진공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장치에서는 반송 배관 내에 팬, 진공 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와 같은 부분 진공 발생기로 부압이 발생된다. 전형적으로 반송 배관은 개폐에 의해 반송 배관으로 인입되는 대체 공기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한다. 쓰레기 투입 지점, 예컨대 쓰레기 용기 또는 쓰레기 슈트가 그 시스템에서 쓰레기 재료 투입단(input end)에 사용되는데, 그 쓰레기 투입 지점에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가 공급되고, 그 쓰레기 투입 지점으로부터 반송될 재료가 배출 밸브 수단을 개방함으로써 반송 배관으로 반송되며, 이 경우, 반송 배관에 작용하는 부분 진공의 도움으로 얻어지는 흡인 효과, 및 쓰레기 슈트를 경유하여 작용하는 주변 공기압을 이용하여, 예컨대 백으로 감싼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가 쓰레기 슈트로부터 반송 배관으로, 나아가서는 수용 지점(reception point)으로 반송되고, 이송될 재료는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후속 공정, 예컨대 선적 용기로 반송된다. 문제의 공압식 쓰레기 반송 시스템은 특히 인구 밀집 도시 지역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지역은 높은 빌딩이 있고, 쓰레기용 공압식 반송 시스템에서의 쓰레기의 투입은 그 빌딩에 배열된 쓰레기 슈트와 같은 투입 지점을 경유하여 수행된다.
재료는 쓰레기 슈트를 따라 투입 지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 낮은 용기로 전달될 수 있고, 혹은 중간 용기가 투입 지점과 연결될 수 있는데, 그 중간 용기에, 투입 지점으로부터 공급된 재료가 처음에 전달되고, 상기 쓰레기 재료가 반송되는 장소로부터 계속해서 그 반송 배관을 따라 수용 지점으로 전달된다.
저지 수단(impeding means)을 포함하는 장치가 재료 반송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저지 수단으로,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되는 재료가 작용을 받아서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서의 재료의 향후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의 저지 수단은 전형적으로 그 자체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 및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 밖으로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하나가 특히 공개공보 JP 54079780U에 기재되어 있다. 무엇보다 종래 기술의 하나의 단점은, 반송될 재료가 유동체(flowing medium)의 인입,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저지 수단 근처에서 대체 공기의 인입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컨대 상기 저지 수단이 재료용 공압식 배관 이송 시스템에서의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을 떠날 때 이동하려는 재료를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해결책을 달성하여, 이를 이용해서 종래 기술의 해결방안의 단점을 없애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에 가져오기 위한 수단이 저지 수단과 관련하여 배치되는 개념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주로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청구항 2-17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18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중요한 장점들이 많다. 저지 수단은 재료 반송 채널에 배치된 수단일 수 있으며, 그 수단을 통하여, 또는 그 수단의 측면 주위에, 공기 흐름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저지 수단은 지지 효과(support effect)를 유발하여 재료에 작용하고, 적어도 의미 있는 정도로, 그 장애물(impediment)을 지나거나 통과되는 재료의 통과를 주로 억제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애물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배치된 완충 수단(force-receiving means)이며, 이 수단은 구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채널 내에 두거나 채널 외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애물 주변에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가져오기 위한 수단은, 상기 장애물의 제거 후 적어도 재료가 반송 배관에 반송될 때, 상기 장애물과 연결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반송될 다량의 재료에 가져올 수 있고, 반송 배관에서 재료의 반송 효율을 가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원하는 크기의 중간 용기가 가능하게 되고, 그 용기에 공급되는 재료가 하나 이상의 장애물과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컨대 쓰레기용 공압식 배관 이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재료 반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지 수단의 도움으로, 예컨대 장애물을 거슬러 반송되는 재료의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지 수단의 도움에 의해, 예컨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이 중간 용기로서 역활을 하기 때문에 중간 용기 용량의 더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저지 수단은 예컨대 로터리 세이퍼(rotary shaper)나 그라인더와 같은 재료의 세이퍼 앞에 쓰레기 슈트에서의 포집 수단(arrester means)일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재료 세이퍼(material shaper)의 핸들링 수단(handling means) 또는 그들의 구동 수단에 대하여 상기 재료에 의해 발생하는 과부하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가스, 더 상세하게는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재료 반송 채널의 저지 수단의 근처 또는 그 지점으로 효율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 투입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저지 수단의 부품이나 구멍을 위치시키면, 반송하고자 하는 재료가 비록 투입측에서 상기 저지 수단에 부딪히더라도 유동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저지 수단을 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저지 수단에 대하여 효과적인 구조가 얻어진다. 관 형상의 저지 수단의 벽에 구멍을 제공하면 상기 저지 수단 지점 또는 근처까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에 유동체,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 공기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바(bar) 부품, 로드(rod) 부품 또는 프로파일(profile) 부품으로 상기 저지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지 수단의 구조에 대한 효율적인 제2 실시형태가 얻어진다. 상기 장치에 가이드 면 또는 가이드 부품 및 상기 저지 수단에 대한 정지면(detent surface)을 배열함으로써,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저지 수단의 효과적인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형태의 도움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도 1c는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형태의 장치로서, 저지 수단이 제1 위치에 있으며, 도 1a는 도 1b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 1b는 도 1a의 Ib-Ib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를, 그리고 도 1c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도 2c는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형태의 장치로서, 도 2a는 도 2b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 2b는 도 2a의 Ⅱb-Ⅱb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를, 그리고 도 2c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도 3c는 제3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저지 수단이 제2 위치에 있으며, 도 3a는 도 3b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 3b는 도 3a의 Ⅲb-Ⅲb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를, 그리고 도 3c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4a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제1 위치에 있는, 도 4b의 Ⅳa-Ⅳ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제2 위치에 있는, 도 4a의 Ⅳb-Ⅳ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Ⅳc-Ⅳc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d는 도 4b로부터의 상세도로서 상기 저지 수단이 제1 위치에 있다.
도 1a-도 1c, 도 2a-도 2c 및 도 3a-도 3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가능한 저지 수단(30)을 포함한다. 저지 수단(30)은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데, 제1 위치에서는 저지 수단(30)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으로 반드시 전부 연장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수단(34, 35)은 상기 저지 수단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저지 수단(30)은 재료 반송 채널,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예컨대 중력 또는 압력차 혹은 흡인 및 대체 공기 흐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저지 수단(30)에 부딪혀서 재료가 재료 반송 채널 내에서 반송될 때, 상기 부재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 그 채널 공간(10)으로 전달되는 재료의 인가 효과(force effect)의 적어도 일부를 받도록 조정된다.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는 채널부(32)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서의 고정 프레임은 실린더부(cylindrical section)(32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수단의 프레임부(34)는 상기 실린더부의 제1 단부(325) 상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의 끝단에 단부(321)가 채널부(32)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부(321)에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멍은 단부(321)의 제1 측으로부터 제2 측까지 연장되고, 나아가 채널부(32)의 벽을 통해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된다. 도 3b, 도 3c에서는, 채널부(32)의 벽에 있는 구멍(33)의 에지(326)도 볼 수 있다. 도 1a-도 1c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어댑터부(adapter part, 324)로 채널부(32) 상에 배치된다. 상기 단부(321)는 플랜지부(323)로부터 어댑터부(324)까지 고정 수단, 예컨대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구동 수단의 프레임부(34)는 실린더 피스톤 유닛의 실린더부이며, 상기 실린더부는 채널부(32)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정 프레임의 단부(325) 상에 고정 수단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실린더/피스톤 유닛의 피스톤 로드(35)와 같은 스템부(stem part)를 구비하는데,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멀리 있는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저지 수단(30)이 배치된다. 그 다음 저지 수단(30)은 상기 구동 장치의 가동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가동부는 도면에서 피스톤부에 부착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35)이며, 상기 피스톤부는 실린더부(34)의 채널 공간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리더부에서 상기 피스톤은, 소정의 방식, 즉 이 기술 분야에서 그 자체로 공지되는 방식처럼, 실린더 공간에서 유압체를 위한 반송로(37, 38)를 경유하여 상기 피스톤의 다른 쪽으로 상기 유압체를 전달함으로써 이동된다. 도 1a-도 3c는 유압체를 위한 반송 배관을 도시하지 않지만, 대신에 실린더부(34)에 형성된 반송로(37, 38)의 접속점만을 도시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35)는 도 2b에서 상기 저지 수단에 형성된 드릴링(drilling, 314)에 고정되는데, 상기 저지 수단에는 드릴링 나사가 형성되어, 그 드릴링 나사에 상기 피스톤의 로드(35)의 커플링부(coupling part, 351)의 상대 나사가 꼭 맞는다. 너트 수단과 같은 조임 수단(352)이 배치되어 저지 수단(30)과 피스톤 로드(35) 사이를 확실하게 고정한다.
도 1a-도 1c는 저지 수단(30)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황, 즉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도 2c에서 상기 저지 수단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 즉 중간 위치의 상태에 있다. 도 3a-도 3c에서 상기 저지 수단은 제2 위치에 있는데, 그 위치에서 저지 수단(30)은 채널 공간(10)으로 전부 연장되지는 않는다.
상기 재료 반송 채널 외부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까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31, 33)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 외부로부터 그 프레임 안까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벽(320, 321, 325)으로 둘러싸인 공간 속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39)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구멍(39)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벽(320)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도 4d의 실시형태에서 대체 공기는 유동체 통로(39, 40)를 따라 상기 저지 수단으로 전달된다. 저지 수단(3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또는 상기 통로가 밸브의 차단 수단(31)과 구멍(33) 사이에서 적어도 개방되어 있을 때, 대체 공기가 별도의 대체 공기 덕트를 따라 상기 저지 수단까지 혹은 상기 유동체 통로까지 상기 채널 공간 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지 수단(30)의 설치 심도(18)는 유동체의 통로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설치 심도의 벽은, 도 4a-도 4c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채널 공간(10)으로의 구멍(33)을 경유하는 대체 공기의 통로를 제한할 수 있다.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상기 밸브 수단이 개방되면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로 유동체를 전달하게 되며, 닫혀지면 채널 공간(10) 내에 유동체의 전달을 방지한다. 구멍(33)은 채널부(32)(혹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서부터 저지 수단(30)이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10) 내 및 공간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도 3c 및 도 4a-도 4d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장치가 차단 수단인 밸브 수단(31)을 구비하는데, 이 밸브 수단은, 재료 채널(32) 외부로부터 상기 재료 채널, 상기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로의 연결을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에 되면 개방하도록 조정된다. 밸브 수단(31)은 구멍(33)을 경유하여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위한 접속을 개폐하여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에 이르게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 또는 그 가동 장치(34, 35)의 일부로서 배치된다. 도 1a-도 3c에서 밸브 수단(31)은 가동 장치(34, 35) 쪽으로 저지 수단(30)의 끝단에 배치된다. 상기 저지 수단의 단부는 밸브 수단(31)에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실링면(311)을 구비하며, 상기 실링면에 대한 상대면(331)은 구멍(33)의 벽에 배치되어 그 구멍을 통해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 내 및 그 외부에 놓여진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는, 실링면(311)은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면이다. 저지 수단(30)은 밸브 수단(31)로부터 멀어져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 쪽으로 연장된다. 도 1a-도 3c에 따른 저지 수단의 관 형상 구역은 상기 밸브 수단의 제1 단(302)에서 그 바닥부상에 배치된다. 실린더부(313)가, 도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원뿔대 형상인 실링면(311)의 연장으로서 밸브 수단(31)에 형성된다. 도 1b, 도 2b, 도 3b에서는, 링 형상 시일, 예컨대 O링과 같은 실링 수단(312)이 실링면(311)과 실린더부(313) 사이의 불연속 지점에 배치된다. 실린더면은 그 안쪽 위에서 관 형상 부분의 꼭대기부가 딱 들어맞는 쇼울더(shoulder)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의 흐름 단면 영역(flow cross-sectional area)의 일부만을 덮도록 조정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저지 수단은,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면, 상기 채널 공간 내의 저지 수단(30)을 통과하여 상기 채널 공간에서 반송될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저지 수단(30)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상기 재료 채널의 채널 공간(10)을 지나거나 통과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바(bar) 부품, 로드 부품 또는 프로파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도 4a-도 4d는 상기 저지 수단이 바 부품, 로드 부품 또는 프로파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저지 수단은 채널(10)의 횡방향으로 부품(30a, 30b)을 구비하는데, 이 부품들은 직교 단면에서 상기 채널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의 흐름 방향(도 4a에서의 화살표 A)으로 채널 공간(10)의 인입측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부품(30c)을 구비한다.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 따른 저지 수단(3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에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 301)을 구비한다. 구멍(30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에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해,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 따른 저지 수단(30)의 벽(30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지 수단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측에 놓이게 되면, 상기 유동체는 구멍(39)을 경유하여 밸브 수단(31)과 상기 구멍(33)의 정지면(331) 사이로부터 채널 공간을 향해 흐를 수 있다. 상기 유동체는, 직접적으로 구멍(33)과 상기 저지 수단 사이로부터, 또는 상기 저지 수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300, 301)을 경유하여 채널부(32)의 채널 공간(10)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2b 및 도 3b는 상기 채널부 외부로부터 상기 채널 공간(10)으로의 유동체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2b에 따르면, 상기 채널로의 유동체 흐름은, 상기 저지 수단의 벽(304)에 형성된 구멍(300)과, 상기 저지 수단의 자유단(free end)에 배열된 구멍(301)을 모두 경유하여 진행된다.
도 1a-도 3c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의 자유단(303)에는 구멍(301)이 있다. 상기 저지 수단이 제2 위치에 놓이면, 유동체는 저지 수단(30)의 자유단(303)에 있는 구멍(301)을 주로 경유하여 채널 공간(10)으로 전달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수단(33a, 33b, 322)이 상기 장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30a, 30b, 305)이 저지 수단(30)을 소정의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지 수단(30)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구멍에서 상기 저지 수단의 정지면에 맞는 노치(notch) 또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수단의 구멍(300)의 에지(305)에 상응하는 나사 또는 그 대응물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저지 수단(30)을 이동하면 개방되도록 조정된다. 도 1a-도 3c 및 도 4a-도 4d의 실시형태에서, 밸브 수단(31)은, 상기 저지 수단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유동체를 위한 통로의 입구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저지 수단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면, 구멍(33)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 공간 내로의 유동체를 위한 통로를 닫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 또는 그 가동 장치(34, 35)의 일부로서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시일면(311)을 가진다. 상기 시일면에 대한 상대면(331)은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 및 그 외부로 이동되는 구멍(33)의 벽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 즉 그 수단의 벽(3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이 재료의 투입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채널 공간(10) 쪽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채널 공간(10)에서 재료의 투입 방향이 도 1b, 도 2b, 도 3b, 도 4a에서 화살표 A로 기재되어 있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그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상기 부재는, 예컨대 중력이나 압력차 혹은 흡인 및 대체 공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재료가 저지 수단(30)에 부딪혀서 상기 재료 반송 채널로 반송되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그의 채널 공간(10)으로 전달되는 재료의 인가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받도록 조정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저지 수단은,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면, 상기 채널 공간의 저지 수단을 지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채널의 채널 공간(10)에서 대체 공기 흐름과 같은 유동체 흐름이 지나거나 통과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저지 수단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 4a-도 4d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저지 수단(30)은 구동 장치의 도움에 의해 가동 가능하도록 조정되는데,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실린더-피스톤 조합(34, 35, 36)이다.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기 저지 수단 조립체는, 채널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부는 예컨대 플랜지 형태의 조인트 또는 일부 다른 적용 조인트 장치로 상기 채널부에 고정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채널부(32)에 구멍(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저지 수단(30)이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 및 그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저지 수단(30)은 상기 구동 장치의 가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도면에서는 피스톤의 로드(35)이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부(34)의 실린더 공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36)에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은, 소정의 방식, 즉 이 기술 분야에서 그 자체로 공지되는 방식처럼, 실린더 공간에서 유압체를 위한 반송로(37, 38)를 경유하여 상기 피스톤의 다른 쪽으로 상기 유압체를 전달함으로써 이동된다.
상기 장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데, 그 차단부(31)는 저지 수단(30)이 제1 위치, 즉 채널 공간에 있을 때, 상기 채널 공간으로의 구멍(33)을 닫도록 조정되어, 상기 중간 용기의 채널부에서의 재료의 이동을 억제한다. 도 4a-도 4d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차단 수단은 저지 수단(30)과 피스톤 로드(3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저지 수단(30)이 제2 위치에 있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밸브의 차단 수단(31)과 구멍(33) 사이의 통로가 개방될 때, 대체 공기 덕트(17, 191)로부터 대체 공기를 상기 채널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동체 경로(39, 40)가 상기 저지 수단 조립체에 배치된다.
상기 저지 수단의 설치 심도(18)는 유동체의 통로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설치 심도의 벽은, 도 4a-도 4c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멍(33)을 경유하여, 중간 용기의 채널로의 대체 공기의 통로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저지 수단 조립체는 하나의 독립체로서 상기 설치 심도(18)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체는 저지 수단(30), 상기 밸브의 차단부(31), 실린더-피스톤 조합(34, 35, 36) 및 유동체를 위한 반송 채널부(38, 39)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부는 재료 공급원으로부터 오는 반송 채널에 스냅 방식의 잠금장치(snap-on fastener)로 배치될 수 있다.
대체 공기 덕트의 인입 구멍(33)을 상기 저지 수단 근처의 채널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채널 공간의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재료의 출력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도록 흡인이 가능하게 전환되면, 상기 재료의 이동이 상기 저지 수단 지점으로부터, 계속하여 상기 재료 반송 채널, 예컨대 재료 운반 방향을 향해 가속된다. 동시에 대체 공기도 구멍(33)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 공간으로 들어온다.
본 발명은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배치 가능한 저지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수단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30)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으로 반드시 전부 연장되지는 않는다.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외부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상기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까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31, 33)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에서의 저지 수단은, 지지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서 재료에 작용하여, 적어도 의미 있는 정도로, 그 장애물을 지나거나 통과되는 재료의 통과를 주로 막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유동체는 가스 물질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압력차 또는 흡인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가 채널 공간에 반송되는데, 이 경우 이들 이송 물질은 가스 형태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상기 밸브 수단이 개방되면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유동체의 전달이 가능하고, 닫히면 채널 공간(10)으로 유동체의 전달을 억제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의 흐름 단면 영역의 일부만을 덮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바 부품, 로드 부품 또는 프로파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은 유동체를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 301)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의 벽(304)에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구멍(300)이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의 자유단(303)에 구멍(301)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을 소정의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수단(33a, 33b, 322)이 배치되고 저지 수단(30)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30a, 30b, 305)이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개방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 또는 그 구동 장치(34, 35)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이 저지 수단(30)과 그 가동 장치(34, 35)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저지 수단(30)의 지지 부재이다. 밸브 수단(31)은 상기 채널의 벽의 구멍의 에지에 위치하여, 상기 저지 수단을 제1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의 흐름 구멍(33)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저지 수단(30)의 가동 장치(34, 35) 측으로부터 채널 공간(10)으로 상기 유동체를 전달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수단(31)은 실링면(311)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면에 대한 상대면(331)이 구멍(33)의 벽에 배치되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 내 및 그 외부로 이동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지 수단(30)에서 그 저지 수단의 벽(3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이 상기 재료의 인입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채널 공간(10) 쪽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애물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별도의 저지 수단(30)이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30)이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채널부의 채널 공간으로 반드시 전부 연장되지는 않으며, 상기 장애물을 지나거나 통과하여, 상기 채널 공간 내의 대체 공기 흐름이 이동되도록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상술한 특징적인 특징 중 어느 하나 또는 청구항 1-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이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재료는 백(bag)으로 처리된 쓰레기 재료 또는 재활용 재료와 같은 쓰레기 재료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기재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하다. 명세서에서 기재될 수 있는 특징적인 특징이 다른 특징적인 특징과 관련하여, 필요하다면,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에 배치 가능한 저지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수단(30)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30)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저지 수단이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으로 반드시 전부 연장되지는 않는,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외부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으로 상기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까지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flowing medium)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31, 33)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될 재료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이 저지 수단(30)과 연결 배치되어, 상기 밸브 수단이 개방되면 저지 수단(30) 지점 또는 근처로부터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유동체의 전달이 가능하고, 닫히면 채널 공간(10)으로 유동체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은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의 흐름 단면 영역(flow cross-sectional area)의 일부만을 덮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은 바(bar) 부품, 로드(rod) 부품 또는 프로파일(profile)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은 유동체를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 3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의 벽(304)에는 상기 재료 반송 채널의 채널 공간(10) 내에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구멍(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의 자유단(303)에 구멍(30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을 소정의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수단(33a, 33b, 322)이 배치되고 저지 수단(30)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detent surface, 30a, 30b, 30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개방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 또는 그 구동 장치(34, 35)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이 저지 수단(30)과 그 가동 장치(34, 3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은 저지 수단(3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저지 수단(30)의 지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의 흐름 구멍(33)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체 공기와 같은 유동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저지 수단(30)의 가동 장치(34, 35) 측으로부터 채널 공간(10)으로 상기 유동체를 전달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수단(31)은 실링면(sealing surface, 311)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면에 대한 상대면(countersurface, 331)이 구멍(33)의 벽에 배치되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저지 수단이 채널 공간(10) 내 및 그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6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지 수단(30)에서 상기 저지 수단의 벽(3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300)이 상기 재료의 인입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채널 공간(10) 쪽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
KR1020167004983A 2013-07-30 2014-07-29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KR20160039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35801A FI125194B (fi) 2013-07-30 2013-07-30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20135801 2013-07-30
FI20136222 2013-12-04
FI20136222A FI125140B (fi) 2013-07-30 2013-12-04 Laitteisto materiaalinsiirtokanavassa siirrettävään materiaaliin vaikuttamiseksi
PCT/FI2014/050598 WO2015015055A1 (en) 2013-07-30 2014-07-29 Apparatus for acting on material to be conveyed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647A true KR20160039647A (ko) 2016-04-11

Family

ID=5243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983A KR20160039647A (ko) 2013-07-30 2014-07-29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251173A1 (ko)
EP (1) EP3027535A4 (ko)
JP (1) JP2016528126A (ko)
KR (1) KR20160039647A (ko)
CN (1) CN105492344A (ko)
AU (1) AU2014298338A1 (ko)
CA (1) CA2917382A1 (ko)
FI (1) FI125140B (ko)
WO (1) WO2015015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8075B2 (en) * 2016-10-06 2018-11-27 Stephen B. Maguire Tower configuration gravimetric blender
US9517883B1 (en) 2015-05-21 2016-12-13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gement
US9957106B2 (en) 2015-05-21 2018-05-0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agement
US9738442B2 (en) 2015-05-21 2017-08-2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0312A (fr) * 1971-10-27 1973-02-15 Svenska Flaektfabriken Ab Dispositif destine a des installations centrales de transport pneumatique intermittent d'ordures emballees, de linge et autres dechets en paquets
DK137634B (da) * 1975-03-21 1978-04-10 Bruun & Soerensen As Skraldsugeanlæg.
DK175979B1 (da) * 2004-01-16 2005-10-24 Renovac As Ventil til fortrinsvis et affaldssugeanlæg samt fremgangsmåde til anvendelse af en sådan ventil
FI124910B (fi) * 2008-04-22 2015-03-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n säiliötilan tyhjentämiseksi ja pneumaattisen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
FI20085852L (fi) * 2008-09-10 2010-03-1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KR101230990B1 (ko) * 2010-09-13 2013-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일체형 3웨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5140B (fi) 2015-06-15
CA2917382A1 (en) 2015-02-05
US20160251173A1 (en) 2016-09-01
JP2016528126A (ja) 2016-09-15
FI20136222A (fi) 2015-01-31
CN105492344A (zh) 2016-04-13
EP3027535A1 (en) 2016-06-08
AU2014298338A1 (en) 2016-01-28
EP3027535A4 (en) 2017-03-29
WO2015015055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9647A (ko)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KR20160078360A (ko) 높은 질량 농도를 갖는 입상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진공-공압 장치
FI124910B (fi) Menetelmä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n säiliötilan tyhjentämiseksi ja pneumaattisen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
CN101225897A (zh) 一种自动开闭的气力输送用助吹阀门
CN106102938A (zh) 空腔的清洁和/或干燥
RU201610676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и обращения с отходами
RU201610676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FI12210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KR100916036B1 (ko)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공기흡입구
KR102054029B1 (ko) 로타리 성형기로의 재료공급방법 및 장치
CN105422967A (zh) 具有小容器穿透直径的阀
KR100884453B1 (ko) 쓰레기 처리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부상 장치
CN104154251A (zh) 具有阻尼机构的清洁阀
FI127098B (fi)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e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WO2014122969A1 (ja) クーラント吸引装置及び工作機械
CN104154256A (zh) 安静的脉冲阀
RU269545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и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отходов
SE544077C2 (en) Waste Sorting Robot Gripper
CN109821678B (zh) 一种应用于粉末喷涂生产线的粉泵
US5776217A (en) Vacuum receiver
KR20160011053A (ko)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분체이송관
FI125219B (fi)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syöttöpiste sekä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CN210943903U (zh) 一种颗粒或粉料的输料装置
FI12451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ssä ja jätesäiliö/erotinlaite
JP4352400B2 (ja) 空気輸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