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943A -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943A
KR20160037943A KR1020167004145A KR20167004145A KR20160037943A KR 20160037943 A KR20160037943 A KR 20160037943A KR 1020167004145 A KR1020167004145 A KR 1020167004145A KR 20167004145 A KR20167004145 A KR 20167004145A KR 20160037943 A KR20160037943 A KR 2016003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highway
spoke
interchang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레아드 메로스
야론 토렌
Original Assignee
길레아드 메로스
야론 토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레아드 메로스, 야론 토렌 filed Critical 길레아드 메로스
Publication of KR2016003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4Road crossings on different levels; Interconnections between roads on different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및 모든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를 통하여 복수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분기되는 진출입로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병합되는 진입로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A SPIRAL RING FULL ROAD INTERCHANGE SYSTEM}
본 발명은 나선형 환상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spiral ring full interchange system)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사용하여 직접 세그먼트 또는 직접 크로스패스 도로를 통하여 다수의 고속도로 스포크(highway spoke)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생활의 모든 양상에서 인식되는 이례적 도시화, 인구 성장, 기술적 진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경제/사업 기회, 교육, 건강 서비스 및 그 이상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수송 시스템과 관련된 높은 영향으로, 현대 생활의 빠른 변화 속도와 연관된 새로운 도전과제를 제시한다.
인구 성장은 도로 상의 차량의 수를 극적으로 증가시켰고, 도시 및 도시-간 높은 교통 용량을 초래하여, 개선되고 더 효과적인 수송 시스템에 대한 성장하는 계속적 필요를 생성하였다. 그리하여, 도로 교차로는 본질적 컴포넌트가 되어 수송 용량, 속도, 공간 소비 및 비용에 관하여 그 실효성이 필요한 해법을 제공하는데 더 중대하게 된다.
도로 풀 인터체인지는, 연속적으로 도로 교차로를 통과하는, 다양한 연관된 고속도로 도로 간 안전하고 순조로운 교통 흐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차로는 3개의 주요 양상에서 제한 및 결함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면적 - 주로 갇힌 공간에 기인하여, 도로 풀 인터체인지를 건축하기 위한 매우 큰 면적을 사용할 필요. 더욱, 교통 규칙에 답하는 것은 147,000 입방 미터(약 15 헥타르) 아래의 총 면적을 갖는 인터체인지에 대해서는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밀집하고 인구가 많은 구역에서 특히 중요하다.
Figure pct00002
교통 - 도로 설계는 특히 수송 용량 및 운전 속도, 및 위빙(weaving)(차선 크로싱) 문제; 급커브 및 교통 "병목"에 기인하는 급감속; 동일한 방향으로 차선을 부가할 때 교통 실효성의 하락; (어바웃-턴(about-turn)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항행 오류의 문제 있는 정정; 및 도로 사용자에 대한 항행 복잡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양상의 교통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비용 - 높은 비용이 수송-효율적 인터체인지(과도 속도 및 교통 용량)의 건축; 및 가능하게는 차선 값에 기반하는 추가적 영향과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도로 교차로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노면으로부터의 교통을 수용하기 위한 연속 흐름 클로버잎 유형 인터체인지를 기술하는 Mier 등의 미국 특허 제4,861,184호("Continuous flow cloverleaf type interchange") 및 2 레벨로 터널 또는 고가의 사용을 통해 3, 4 또는 5개의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도로를 갖는 도로 교차로를 기술하는 Buteliauskas 등의 미국 특허 제7,425,104호("Road junction")를 포함한다.
Buteliauskas 등은 건설 면적 및 건설 비용에 관하여 Mier보다 개선된 해법을 제공할 수 있다.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는 일정 속도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예를 들어 4-거리 시스템으로, 교통 흐름을 교차시키지 않는 높은 용량 2-레벨 도로 인터체인지와 단 4개의 작은 고가의 기술적 설계를 기술하고 있다. 더욱, 도로 교차로는 인터체인지의 중심 구역으로의 입장이 어느 소망의 방향으로든 턴 어라운드 및 퇴장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되며, 이 경우 교차로의 중심에서의 구역은 기반시설 및 부동산 개발을 위해 자유롭게 된다.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도 2, 미국 특허 제7,425,104호)는 교통의 대부분이 순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하여, 직선 주 도로를 곡선 도로로 변환함으로써 인터체인지가 주 교통 방향을 갖지 않게 하고, 그로써 속도 감속 및 감축된 도로 용량을 부과한다. 더욱, 좌회전은 주 교통 방향으로부터 분기되고 있고 우회전은 교차로 중심 밖에서 그리고 상류에서 주 도로로부터 분기된다.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는 추가적 수송 실패를 제시함을 주목한다: 인터체인지 내에서 주행할 때, 주 교통 흐름은, 대부분 순방향으로 향해져, 우회전을 위해 우측으로 갈라지고, 좌회전을 위해 좌측으로 갈라지는데, 이는 RTH 운전 시스템에 대해 수락된 규범과 어긋나는 것이다.
더욱,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에 대해 서술된 교통 속도는 교통이 전 고속도로 속도(미국에서는 시속 60 내지 65 마일)로부터 감속하게 강제하는 약 70 km/h(시속 43.5 마일)인데, 중심 구역을 이용하기 위해 원형 교통 흐름의 집행으로부터 초래되는 것임을 주목한다. 더욱,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는 인터체인지 중심 구역을 통한 "직접" 회전을 불허하여 도로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교통 흐름을 더 복잡하게 함으로써 제한된 유연성을 제안한다.
도로 사용자는 입장 이전에 교차로 시스템과 친숙해질 필요가 있고, 필요하다면 되돌아가도록 어바웃 턴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운전 결정을 정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Buteliauskas의 도로 교차로는 건설에 기인하여 비용이 많이 드는 높은 건축물이 큰 요건임과 같은 다양한 결함에 답하지 않고, 도로 사용자는 복잡한 도로 시스템에서 혼동할 수 있고 지표면에 대한 더 양호한 적응에 대해 유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알려져 있는 기존 도로 교차로 구현은 또한 스택(말테지안 크로스(Maltezian cross)) 인터체인지, 터빈 인터체인지 및 라운드어바웃 인터체인지를 포함하며, 위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결함 및 제한에 부분적으로만 응답할 뿐이다.
본 개시는, 교통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도로 사용자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하고 순조로운 교통 흐름을 제공할 필요성을 다룬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수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기 위한 나선형 환상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복수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spiral road junction system)을 제시하며,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cross-over connecting road)를 포함하고,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inbound section)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outbound section)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하되,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복수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횡단하는 연속 환상-형 노면을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고, 그리고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는 진출입로(slip road);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과 수렴하는 진입로(access road);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로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 사이 모든 중간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세그먼트;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하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 및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의 내측을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연결하는 내측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과 인접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을 연결한다.
적합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내에 포함된 구역 내에 배치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내에 포함된 구역 밖에 배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로부터 상류에서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적어도 4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고 고속도로 스포크의 제1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제1 링크 도로 및 고속도로 스포크의 제2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 도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되, 제1 링크 도로는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제2 링크 도로를 횡단한다. 더욱,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는 교량, 터널, 개착로(cutting)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예에 의하면,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적어도 6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되,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부는 상기 고속도로의 제3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제3 링크 도로를 더 포함하고, 제2 링크 도로는 제2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제3 링크 도로를 횡단한다.
적합한 경우,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분기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정 영역을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 정정 영역은 진입로 세그먼트로부터 상류에 배치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영역 및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재합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렴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에 있어서,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경우, 연속 경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따라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교통-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선을 포함하고, 교통-흐름은 차선의 크로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적합한 경우, 진출입로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내측으로의 나선형 수렴을 포함한다. 적합한 경우, 진출입로는 내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외측으로의 나선형 수렴을 포함한다.
적합한 대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의 환상-횡단 크로스패스는 언더패스 크로싱, 오버패스 크로싱,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대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언더패스 크로싱, 오버패스 크로싱,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N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로서,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과 제2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및 각각의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서,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제N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포함하되,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적어도 N개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횡단하는 연속 환상-형 노면을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고, 그리고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의 진출입로; 제N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진입로; 적어도 N-2개의 상기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하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 및 상기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의 내측을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연결하는 내측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 나타내기 위해, 순전히 비-한정적 예로서, 수반 도면을 이제 참조할 것이다.
이제 도면을 상세히 특정 참조하면서, 도시된 상세는 단지 예로써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적 논의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적 측면의 가장 유용하고 쉽게 이해되는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됨을 강조한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의 근본적 이해에 필요한 것보다 더 상세히 본 발명의 구조적 상세를 나타내려는 시도는 이뤄지지 않으며, 도면과 취해지는 설명은 본 발명의 여러 형태가 실제로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한다. 수반 도면에서:
도 1은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일반적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그리고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가능한 좌회전의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3a 내지 도 3b는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그리고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가능한 우회전의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4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구조적 실시예 도식도;
도 5a 내지 도 5b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그리고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하위 및 상위 레벨 도로 시스템 실시예의 도식적 표현도;
도 6a 내지 도 6c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의 가능한 운전 선택사항, 자유 통로 및 정정 선택 확대의 도식적 표현도;
도 7은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다-차선의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8a 내지 도 8f는 RHT 및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그리고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9는, 특정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모든 가능한 방향으로의 중단 없는 교통 진입의 예로서,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RHT 및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좌회전 이전에 우회전을 제공하는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a에 적용가능한 하위 및 고가 레벨 도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도식적 평면 표현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그리고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표현도;
도 13a 내지 도 13b는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그리고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표현도;
도 14a 내지 도 14b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하위 및 상위 레벨 도로 시스템 실시예의 도식적 표현도;
도 15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가능한 운전 방향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표현도;
도 16은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가능한 운전 방향 및 어바웃-턴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표현도; 및
도 17은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가능한 운전 방향 및 어바웃-턴의 3-거리 "T" 형상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표현도.
본 발명의 태양은 입구 스포크로부터 출구 스포크로의 순조롭고 안전한 교통 흐름을 위한 연속 전용 경로를 제공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하여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결 도로 세그먼트를 통하여 복수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여, 위빙이 일어나지 않게 되도록, 가능한 상충 영역을 회피하기 위한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하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다른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직접 진입을 제공하는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복수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횡단하는 연속 환상 도로를 제공하고, 각각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한다. 교차로는, 가능하게는 동일한 레벨을 따라,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다른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또 다른 직접 진입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고속도로 스포크(highway spoke)"는 도로 교차로와 연결되고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도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로 교차로를 크로싱하는 연속 고속도로는, 적합한 경우, 교차로에서 연결된 2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로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크로스패스(crosspass)"는 제2 도로 위에든 아래에든 평면을 따라 제2 도로를 횡단하는 제1 도로의 세그먼트를 지칭한다. 크로스패스의 예는 교량, 터널, 개착로 등과 같은 언더패스 및 오버패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다수(N)의 크로스패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한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에 대한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더 포함하여, 제1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는 진출입로를 포함하고 N번째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과 병합되도록 진입로와 수렴하는 연속 경로를 형성한다.
적합한 경우, 연속 경로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하는 크로스패스 도로 세그먼트 및 내측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크로스패스 세그먼트의 내측을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연결할 수 있다.
적합한 경우, 제1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은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통하여 제2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에 그리고 연속 경로를 통하여 제3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적합한 경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세그먼트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내에서, 하류에서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진출입로를 사용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러한 구성은 인터체인지가 더 작은 면적 풋프린트를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 분기의 그러한 순서는 전용 연속 경로를 따라 도로 사용자에게 "위빙 없음"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모든 방향마다 다-차선의 사용은 교통 실효성의 최소 손실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분기의 순서는 토목 공학, 정치, 도시, 상업 및 다른 요구에 적당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직접 회전을 제공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한 연속 경로는 정정성 조종, 어바웃-턴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항행 오류의 정정을, 순조롭게 그리고 위빙 없이, 지원할 수 있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본 개시는 공통적 3-거리 및 4-거리 도로 교차로와 같은 다양한 도로 교차로에 적당할 수 있고,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5-거리 도로 교차로 및 6-거리와 같은 더 복잡한 도로 시스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본 개시는 유럽, 미국 등에서 익숙한 바와 같은 우측 교통(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영국, 일본 등에서 익숙한 바와 같은 좌측 교통(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요구에 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RHT"는 우측 교통 운전 시스템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용어 "LHT"는 좌측 교통 운전 시스템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운전 시스템에 무관하게, RHT 운전 시스템 및 LHT 운전 시스템에 준용하여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제1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다른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까지의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연속 경로는 외측으로의 나선형 루트 또는 내측으로의 나선형 루트의 2개 유형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여 구역 조건에 대한 교통 수요 및 규칙 및 조절에 답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outward spiral interchange)"는 내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 경로를 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체인지 시스템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용어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inward spiral interchange)"는 외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수렴하는 운전 경로를 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체인지 시스템을 지칭한다.
본 개시는 비교적 작은 면적에서 도로 교차로를 건설하기 위한 방법을 교시함을 주목한다. 더욱, 구조적 설계는 높은 교통 용량, 높은 속도 및 일 방향으로의 다수의 차선의 탁월한 교통 조건을 제공하여, 그것들 간 크로싱하거나, 수송 실효성을 감축하고 항행 오류를 정정할 필요가 없다.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교차로의 다른 구성이 요건에 적당하도록 건설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4-거리 나선형 교차로 시스템
이하의 실시예는 유럽, 미국, 캐나다, 중국 및 다른 나라에서 익숙한 것과 같은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영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및 다른 나라에서 익숙한 것과 같은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4-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한다.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4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며, 각각은 도로 번호 및 방향 문자 N(북), S(남), E(동) 또는 W(서)에 의해 식별된다. 이들 방향 라벨은 단지 편의상 제공되며, 교차로의 실제의 지리적 배향은 전적으로 임의적임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는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갖는 인바운드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을 갖는 아웃바운드 섹션을 포함한다.
도 1을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의 도식적 일반적 평면도(100)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 평면도(100)는, 예로서,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을 표현함을 주목한다.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 또는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과 같은 다른 균등한 인터체인지 유형이 고려될 수 있다.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일반적 평면도(100)는,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 및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를 포함하는 북-남 고속도로 도로(104)와 교차하는,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 및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를 포함하는 동-서 고속도로 도로(102), 연관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을 떠나 다른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에 합류할 수 있게 하도록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및 도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위 연속 환상-형 노면(105)을 포함한다.
소망의 교통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도로 시스템 및 구조적 도로 세그먼트는, 이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됨을 주목한다.
일반적 평면도(100)는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를 통하여 구성된 바와 같은 다양한 가능한 우회전 및 좌회전을 더 예시한다.
직접 크로스-오버 좌회전:
Figure pct00004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으로부터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의 좌회전(122).
Figure pct00005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인바운드 섹션(A1)으로부터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으로의 좌회전(132).
Figure pct00006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으로의 좌회전(142).
Figure pct00007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으로의 좌회전(152).
위에 열거된 모든 회전은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가 분기해 나온 도로의 계속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에 의해 가능하게 됨을 주목한다.
직접 우회전:
Figure pct00008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으로부터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으로의 우회전(124).
Figure pct00009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인바운드 섹션(A1)으로부터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으로의 우회전(134).
Figure pct00010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의 우회전(144).
Figure pct00011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으로의 우회전(154).
도 2a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가능한 좌회전의 도식적 평면도(200A)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도식적 평면도(200A)는 좌회전 표현(222A, 224A, 226A 및 228A)의 연속 경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좌회전은, 이전에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특정 연관된 연속 경로는, 화살표 경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진출입로(210A)를 통하여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을 떠나, 내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의 상위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05) 링크 아래로 지나도록 도로 세그먼트를 통해 크로스패스하고, 더욱, 외측으로부터의 진입로(212A)를 통하여,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에 합류하고, 그리하여 소망의 연속 경로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의 기술된 구조적 참조는 플랫 토포그래피를 갖는 랜드스케이프를 지칭함을 주목한다. 다른 유형의 랜드스케이프가 그에 따라 구조적 엘리먼트를 변경할 수 있다.
더욱, 소망의 교통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도로 시스템 및 구조적 도로 세그먼트는 도 4에 상술됨을 주목한다.
따라서,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능한 좌회전의 도식적 표현, 및 4-거리 RHT 나선형 인터체인지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에 대한 전용 연속 경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 도 3a 및 도 3b는 4-거리 LHT 나선형 인터체인지에 대한 가능한 우회전 및 부가적 전용 연속 경로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a는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을 지칭하고 도 3b는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을 지칭한다.
도 4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가능한 구조적 실시예(400)를 나타내는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평면도이다.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구조적 실시예(400)는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02W);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02E);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04N) 및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04S);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410);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 및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좌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 경로(420)에 의해 예를 든 바와 같이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에 연속 경로를 제공하는 4개의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를 포함한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400)는 각각의 크로스패스가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복수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를 더 포함한다.
좌회전(442)(B1-A1)을 제공하는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와 연관된 연속 경로(420)가 예이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으로부터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출입로(422),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424), 내측 연결 세그먼트(426),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나선형 세그먼트(428),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로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입로(429)를 포함한다. 적합한 대로, 좌회전 경로(442)(B1-A1)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을 떠나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고 있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428)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 사이 모든 중간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424)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인바운드 섹션(A1)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로의 좌회전 경로(444)(A1-B2)에 대한 전용 연속 경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로의 좌회전 경로(446)(B2-A2)에 대한 전용 연속 경로; 및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인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로의 좌회전 경로(448)(A2-B1)에 대한 전용 연속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우회전에 대한 직접 경로는 고속도로 스포크(102E)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4N)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405)를, 고속도로 스포크(104N)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2W)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406)를, 고속도로 스포크(102W)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4S)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407)를,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104S)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2E)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408)를 사용하도록 운용가능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인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인바운드 섹션(A1)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400)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는 진출입로(422)를 크로스-오버하도록 구성됨을 주목한다. 더욱, 내측 연결 세그먼트(426)는 내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428)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어떠한 차선 교차도 없이, 교통이 연속으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연속 경로를 제공하고, 그리하여, 어느 교통 신호등, 램프 등이라도 회피한다. 더욱, 우측 직접 회전의 상류에서 좌측 직접 회전이 진입가능하므로, 구조적 면적이 최소로 유지되고 다양한 상업 또는 도시 요구에 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인접-스포크 연결 세그먼트(405, 406, 407, 408)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 내에 포함된 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음을 특히 주목한다.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410)는 고속도로 스포크(102W) 및 고속도로 스포크(102E)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도로 및 고속도로 스포크(104N) 및 고속도로 스포크(104S)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도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링크 도로는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제2 링크 도로를 횡단하고, 그리하여, 제1 링크 도로는, 예를 들어, 반 레벨 지하로 내달릴 수 있는 한편, 제2 링크 도로는 반 레벨 지상으로 내달릴 수 있다. 따라서,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는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적합한 경우, 나선형 도로 교차로(400)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정 및 어바웃-턴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415)는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제공한다.
도로 시스템 - 하위/상위 레벨:
도 5a 및 도 5b는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로 시스템을 예시하며, 하위 및 상위 레벨을 별개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도식적으로,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5b는, 도식적으로, 고가 도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의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500A)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500A)은 다양한 고속도로 스포크를 통하여 교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도로를 포함하며, 하위 레벨에서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 및 아웃바운드 섹션;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 및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과 나선형 도로 교차로(515A)를 연결한다.
고속도로 스포크(104N)를 참조하면,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500A)은 인바운드 섹션(B1)과 연관된 진출입로(522A) 및 (도 5b, 내측 연결 세그먼트(526B)를 통하여) 고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515A)로의 진입을 제공하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524A); 좌회전 또는 어바웃-턴의 완료를 위한 아웃바운드 섹션(B2) 입장과 연관된 진출입로(529A);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으로의 우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510A); 고속도로 도로(102)와 고속도로 도로(104)의 교차부에서 교통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도로 세그먼트(507A)를 포함한다.
밀집한 구역에서는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의 주 도로가 반 레벨 하강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고가 레벨 도로 시스템이 반 레벨 상승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그리하여 환상 내에서 필요한 도로 섹션의 길이의 반만을 소비함을 주목한다.
더욱, 유사한/똑같은 구조가 고속도로 스포크(104S), 고속도로 스포크(102E) 및 고속도로 스포크(102W)에 대해 존재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5b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의 고가 도로 시스템(500B)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고가 도로 시스템(500B)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 및 아웃바운드 섹션; 동 고속도로 스포크(102E)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 서 고속도로 스포크(102W)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 북 고속도로 스포크(104N)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 및 남 고속도로 스포크(104S)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과, 고가 레벨에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515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도로를 포함한다.
고속도로 스포크(104N)를 참조하면, 고가 레벨 도로 시스템(500B)은 진출입로(522A)(도 5a)를 통하여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고가 연속 환상-형 노면(515B)으로의 진입을 제공하도록 인바운드 섹션(B1)과 연관된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524B), 내측 연결 세그먼트(526B),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나선형 세그먼트(528B), 및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에 합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위 진출입로 세그먼트(529B); 및 교통 신호등 없이 고속도로 도로(104)와의 교차 지점에서 교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고속도로(102)와 연관된 도로 세그먼트(507B)를 포함한다.
유사한/똑같은 구조가 고속도로 스포크(104S), 고속도로 스포크(102E) 및 고속도로 스포크(102W)에 대해 존재할 수 있음(번호매기지 않음)을 주목한다.
교통 흐름 및 정정:
도 6a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가능한 운전 선택사항을 나타내는 4-거리 도로 교차로(600A)의 도식도를 나타내고 있다.
4-거리 도로 교차로(600A)는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을 갖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로부터 분기되는 인바운드 진출입로(622A),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와 수렴하는 아웃바운드 진입로(629A)를 포함하여, 진입로(629A)를 통하여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에 합류하도록 인바운드 진출입로(622A)를 통하여 좌회전(614A)을 가능하게 한다.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616A)는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에 합류하도록 직접 우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좌회전(614A)을 표현하는 연속 경로(A)는, 화살표 경로(B)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의 좌회전(614A)을 완료하는 대신에, 어바웃-턴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정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정정 영역(420)에서 방향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정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처음에, 나선형 구조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사이에 남겨진 자유 공간에 기인하여 환상-형 경로를 따라 정상 교통 흐름과의 방해 없는 차선으로 도로 사용자를 이끈다.
더욱, 유사한 운전 선택사항이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다른 고속도로 스포크의 각각의 하나에 이용가능함을 주목한다.
도 6b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다양한 자유 통로 선택사항을 나타내는 4-거리 도로 교차로(600B)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도식적 표현(600B)은 제1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인바운드 섹션(A1)으로부터 제1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으로의 좌회전(612B); 제2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제2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으로의 좌회전(614B); 제3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제3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으로의 좌회전(616B); 및 제4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4N)의 인바운드 섹션(B1)으로부터 제4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2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의 좌회전(618B)을 포함한다.
모든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모든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로의 위 모든 자유 통로 경로는, 차선을 상호-크로싱할 필요 없이, 특정 교통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 온전히 전용이고, 그리하여 교통 위빙에 대한 필요를 방지함을 주목한다. 더욱, 회전 동안,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6c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어바웃-턴 및 운전 선택사항 정정의 도식적 표현(600C)을 나타내고 있다.
도식적 표현(600C)은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4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으로의 좌회전(614C)을 포함한다.
2개의 정정 영역, 분기 영역(620A) 및 수렴 영역(620B)은, 예를 들어 어바웃-턴을 수행하고 있을 때, 이전 운전 의도에 대한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분기 영역(620A)에서, 운전자는 이전 경로를 떠날 수 있고, 수렴 영역(620B)에서 운전자는 자유 병합 구역을 통하여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재합류할 수 있다.
도 7을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실시예에서 다-차선의 도식적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700).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700)는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을 갖는 제1 고속도로 스포크(102E);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을 갖는 제2 고속도로 스포크(102W);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을 갖는 제3 고속도로 스포크(104N); 및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을 갖는 제4 고속도로 스포크(104W)를 포함한다.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700)의 다-차선 평면도는,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가능한 좌회전 및 4개의 가능한 우회전을 포함한다.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700)는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750), 제1 고속도로 스포크(102E)와 연관된 제1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752), 제2 고속도로 스포크(102W)와 연관된 제2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754), 제3 고속도로 스포크(104N)와 연관된 제3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756) 및 제4 고속도로 스포크(104W)와 연관된 제4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758)를 더 포함한다.
RHT 운전 시스템에서의 좌회전의 본성에 기인하여, 좌회전에 대한 연속 경로는 위빙에 대한 필요 없이 평행 인접 차선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연속 교통 흐름을 두절시킴이 없이 예상 교통 볼륨에 맞게 여러 다른 수의 차선이 사용될 수 있다.
6-거리 나선형 교차로 시스템
이하의 실시예는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6-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한다.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6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며, 각각은 도로 번호 및 방향 라벨 N(북), S(남), NE(북-동) 및 NW(북-서), SE(남-동) 및 SW(남-서)에 의해 식별된다. 이들 방향 라벨은 단지 편의상 제공되며, 교차로의 실제의 지리적 배향은 전적으로 임의적임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는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갖는 인바운드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을 갖는 아웃바운드 섹션을 포함한다.
도 8a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6-거리 도로 교차로(800A)의 도식적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평면도(800A) 실시예는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을 갖는 제1 고속도로 스포크(802N);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을 갖는 제2 고속도로 스포크(802S); 인바운드 섹션(C2) 및 아웃바운드 섹션(C1)을 갖는 제3 고속도로 스포크(804NE); 인바운드 섹션(C2) 및 아웃바운드 섹션(C1)을 갖는 제4 고속도로 스포크(804SW); 인바운드 섹션(A2) 및 아웃바운드 섹션(A1)을 갖는 제5 고속도로 스포크(806SE); 및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을 갖는 제6 고속도로 스포크(806NW);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810A);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 및 적어도 6개의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제공하는 연속 환상-형 노면(815A)을 포함한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좌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 경로(820A)에 의해 예를 든 바와 같이, 각각의 인바운드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각각의 아웃바운드 고속도로 스포크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6-거리 도로 교차로(800A)는 각각의 상기 크로스패스가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6개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형 노면(815A)을 포함한다.
좌회전(832)(B2-A2)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4NW)까지의 연속 경로(820A)가 예이다. 연속 경로(820A)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출입로(822A),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824A), 내측 연결 세그먼트(826A),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나선형 세그먼트(828A),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4NW)로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입로(829A)를 포함한다. 적합한 대로, 좌회전 경로(832A)(B2-A2)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으로부터 분기되고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2N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과 수렴한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828A)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 사이 모든 중간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824A)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815A)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진입 진출입로(830A)를 통하여 출구 고속도로 섹션(806SW)의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추가적 좌회전에 대한 연속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유사하게,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진입 진출입로(831A)를 통하여 동일한 고속도로 섹션(802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으로 어바웃 턴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 연속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우회전은 2개의 가능한 우회전: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804S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의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806NE)의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의 우회전을 제공하는 화살표 경로(B)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통한 직접 회전은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로부터 상류에서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는 진출입로를 사용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적 면적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도시 요구에 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6-거리 구조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통하여서든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한 진출입로를 통하여서든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로의 진입을 제공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a) 환상-도로 인터체인지(815A)를 통하고 진입로(833A)를 따라 퇴장함으로써든 (b) 이차적 스포크-횡단 링크 도로(841A)를 통하여서든,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6NE)의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 2개의 경로가 주행될 수 있어,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설계 과정 내내 유연성을 제공한다.
대안으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또는 이차적 스포크-횡단 링크 도로는 중심 구역이 다른 환경/상업/도시 요구에 사용 가능하게 하도록 제거될 수 있다.
플라이오버 교차부(810A)는 일차적 링크 도로 및 이차적 링크 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스포크(804NE) 및 고속도로 스포크(804SW)를 연결하는 제1 일차적 링크 도로; 고속도로 스포크(806SE) 및 고속도로 스포크(806NW)를 연결하는 제2 일차적 링크 도로; 및 고속도로 스포크(802S) 및 고속도로 스포크(802N)를 연결하는 제3 일차적 링크 도로, 여기서 제1 일차적 링크 도로는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제2 링크 도로를 횡단하고 제2 일차적 링크 도로는 제2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제3 일차적 링크 도로를 횡단한다. 그리하여, 제1 일차적 링크 도로는, 예를 들어, 일 레벨 지하로 내달릴 수 있고, 제2 일차적 링크 도로는 지면 레벨로 내달릴 수 있고, 제3 일차적 링크 도로는 일 레벨 지상으로 내달릴 수 있다.
더욱, 플라이오버 교차부(810A)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로의 직접 경로를 제공하도록 중간 링크 도로를 횡단하는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비-인접 쌍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이차적 스포크-횡단 링크 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는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적합한 경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815A)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정 및 어바웃-턴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815A)의 환상-형 노면은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제공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와 유사하게, 그러나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제2의 6-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800B)의 도식적 평면도 표현을 나타내고 있고; 도 8c는, 도 8a와 유사하게, 그러나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제3의 6-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800C)의 도식적 평면도 표현을 나타내고 있고, 도 8d는, 도 8b와 유사하게, 그러나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제4의 6-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800D)의 도식적 평면도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 6-거리 도로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통하여 인접 고속도로 스포크에 진입하는 것은, RHT 운전 시스템의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에 대한 도 8e 및 LHT 운전 시스템의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에 대한 도 8f의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배치된 구역 밖에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9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6-거리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평면도 실시예(900)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정 고속도로 스포크로부터 모든 가능한 방향으로의 중단 없는 교통 진입의 예이다.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도식적 평면도 실시예(900)는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을 갖는 북 고속도로 스포크(802N); 인바운드 섹션(B2) 및 아웃바운드 섹션(B1)을 갖는 남 고속도로 스포크(802S); 인바운드 섹션(C1) 및 아웃바운드 섹션(C2)을 갖는 북-동 고속도로 스포크(806NE); 인바운드 섹션(C2) 및 아웃바운드 섹션(C1)을 갖는 남서 고속도로 스포크(806SW);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을 갖는 남동 고속도로 스포크(804SE); 및 인바운드 섹션(C2) 및 아웃바운드 섹션(C1)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804NW)를 포함한다.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도식적 평면도 실시예(9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6-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모든 다른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로의 진입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2
경로(A)는 고속도로 스포크(804NW)의 A2 아웃바운드 섹션에 합류하거나 고속도로 스포크(806SW)의 C2 아웃바운드 섹션에 합류하여 소망의 좌회전을 완료하도록 좌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처음의 인바운드 차선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경로(B)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통하여 고속도로 스포크(804SE)의 아웃바운드 섹션(A1)에 합류하도록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우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경로(C)는 이차적 스포크-횡단 링크 도로를 통하여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6NE)의 아웃바운드 섹션(C1)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우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경로(D)는 일차적 링크 도로를 통하여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2N)의 아웃바운드 섹션(B2)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경로(E)는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4NW)의 아웃바운드 섹션(A2)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좌회전을 완료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경로(F)는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6SW)의 아웃바운드 섹션(C2)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좌회전을 완료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경로(G)는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아웃바운드 섹션(B1)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의 좌회전을 시작한 후에 어바웃-턴 정정을 수행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고가 나선형 환상-형 노면(도 1의 (105), 도 8a의 (815A), 도 12a의 (1215A)) 아래 하위 레벨 배치된 구역은, 예를 들어, 도시 또는 상업 요구에 부응하도록 치워져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일차적 링크 도로 및 이차적 링크 도로를 허용하는 것은 환상형 노면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는 RHT 운전 시스템의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1000A)에 대한 일례를 제공하며, 여기서 우선 우회전은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상류에서 고속도로 스포크(802S)의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분기되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012A)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좌회전은 진출입로(1022A)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도 11a는 하위 레벨(1100A)을 도시하고 도 11b는 도 10a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1000A)의 상위 레벨(1100B)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012A)가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도 4, (415)) 내에 포함된 구역 밖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을 특히 주목한다.
도 10b는 LHT 운전 시스템의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1000B)에 대한 추가적 일례를 제공하며, 여기서 우선 좌회전은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012B)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우회전은 진출입로(1022B)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4-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의 도로 시스템을 예시하며, 여기서 도 11a는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14b는 고가 도로 시스템을 도시한다.
적합한 대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112A)(도 11a)와 같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115B)(도 11b)에 의해 배치된 중심 구역 밖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적합한 경우 그리고 예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하위 및 고가 도로 시스템은 도 5a 내지 도 5b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에, 4-거리 나선형 교차로에 대해 더 상술되어 있다.
3-거리 나선형 교차로 시스템
이하의 실시예는 유럽, 미국, 캐나다, 중국 및 다른 곳에서 익숙한 것과 같은 RHT 운전 시스템에 그리고 영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및 다른 곳에서 익숙한 것과 같은 LHT 운전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3-거리 나선형 교차로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한다.
도 12a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A)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A)는 3개의 고속도로 스포크: 아웃바운드 섹션(A1) 및 인바운드 섹션(A2)을 갖는 제1 고속도로 스포크(1202); 아웃바운드 섹션(B1) 및 인바운드 섹션(B2)을 갖는 제2 고속도로 스포크(1204); 아웃바운드 섹션(C1) 및 인바운드 섹션(C2)을 갖는 제3 고속도로 스포크(1206), 및 환상-형 노면(1215A)을 포함한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A)는 각각의 상기 크로스패스가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복수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제공하는 환상-형 노면(1215A)을 더 포함한다.
그때 환상-형 표면(1215A)은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가능하게 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제공하며, 각각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출입로(1222A),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1224A), 내측 연결 세그먼트(1226A),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1228A),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진입로(1229A)를 포함하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까지의 연속 경로(1220A)를 제공한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1228A)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 사이 모든 중간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1224A)는 환상-형 노면(1215A)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연속 경로(1220A)는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아웃바운드 섹션(C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의 아웃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화살표 경로(A)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좌회전 경로(1207A)(A2-C1)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아웃바운드 섹션(A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로의 좌회전(1208A)(B2-A1)을 위한 또 다른 전용 연속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더욱,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아웃바운드 섹션(B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인바운드 섹션(C2)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의 좌회전 경로(809A)(C2-B1)을 위한 전용 연속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A)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0A)와 같이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더 포함하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A)는 3개의 크로스패스(1216A, 1217A, 1218A)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우회전에 대한 직접 경로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 우회전하는데 직접 도로(110A)를,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6)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1A)를,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1206)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2)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2A)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직접 경로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1204)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1206)의 인바운드 섹션(C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106A)의 아웃바운드 섹션(C2)의 적어도 하나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1)의 적어도 하나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1210A)의 환상-형 노면(1215A)은 진출입로(1222A)를 크로스-오버하도록 구성됨을 주목한다. 더욱, 내측 연결 세그먼트(1226A)를 따라 주행하는 교통은 내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1228A)에 합류하여, 차선을 교차시킬 어떠한 필요도 없이, 교통이 연속으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연속 경로를 제공하고, 그리하여, 어느 교통 신호등, 램프 사용 등이라도 회피한다.
더욱, 그 실시예에 의하면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한 직접 회전이 인접 회전 하류에서 인바운드 교통에 의해 진입가능하므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0A, 1211A, 1212A)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A) 내에 모두 포함되어 인터체인지의 풋프린트 및 구조적 면적이 최소로 유지되고 다양한 도시 요구에 답할 수 있게 됨을 주목한다. 적합한 대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A) 내에 포함된 구역 내에 배치된다.
적합한 경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00A)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정 및 어바웃-턴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A)는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제공한다.
적합한 경우, 환상-횡단 크로스패스(1224A)는 언더패스 크로싱, 오버패스 크로싱,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2b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도로 교차로(1200B)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B)는 3개의 고속도로 스포크: 아웃바운드 섹션(A1) 및 인바운드 섹션(A2)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 아웃바운드 섹션(B1) 및 인바운드 섹션(B2)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204); 아웃바운드 섹션(C1) 및 인바운드 섹션(C2)을 갖는 고속도로 스포크(1206), 및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포함하고,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의 경로를 제공하는 연속 경로(1220B)와 같은,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하고, 그로써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좌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나선형 도로 교차로(1200B)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0B)와 같이 각각의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더 포함하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B)는 3개의 크로스패스를 포함한다.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06A)와 연관된, 연속 경로(820B)을 제공하는,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의 진입을 제공하는 진출입로(1222B),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나선형 세그먼트(1228B), 내측 연결 세그먼트(1228B),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1224B), 및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로의 진입로 세그먼트(1229B)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속 경로(1220B)는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아웃바운드 섹션(C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화살표 경로(A)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좌회전 경로(1207B)(A2-C1)를 특정한다.
유사하게,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아웃바운드 섹션(A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인바운드 섹션(B2)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로의 좌회전 경로(1208B)(B2-A1)를 위한 또 다른 전용 연속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더욱,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아웃바운드 섹션(B1)의 아웃바운드 차선에 합류하도록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인바운드 섹션(C2)의 인바운드 차선을 떠나는 경로를 따라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4)로의 좌회전 경로(1209B)(C2-B1)를 위한 전용 연속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우회전에 대한 직접 경로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A2)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4)(B1)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0B)를, 고속도로 스포크(1204)(B2)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6B)(C1)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1B)를, 그리고 고속도로 스포크(1206)(C2)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2)(A1)로 우회전하는데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2B)를 사용할 수 있다.
진출입로(1222B)를 따라 주행하는 교통은 외측으로부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1228B)를 통하여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1210B)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B)와 합류함을 주목한다. 더욱, 내측 연결 세그먼트(1226B)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1224B)를 통하여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B)를 횡단하여, 차선을 교차시킬 어떠한 필요도 없이, 교통이 연속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하도록 연속 경로를 제공하고, 그리하여, 어느 교통 신호등, 램프 사용 등이라도 회피한다.
더욱, 그 실시예에 의하면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통한 직접 회전이 직접 회전 상류에서 인바운드 교통에 의해 진입가능하므로,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210B, 1211B, 1212B)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B) 내에 모두 포함되어 인터체인지의 풋프린트 및 구조적 면적이 최소로 유지되고 다양한 도시 요구에 답할 수 있게 됨을 주목한다.
적합한 경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00B)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정 및 어바웃-턴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215B)는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제공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위에서 도 12a 내지 도 12b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지만 3-거리 LHT 나선형 인터체인지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음을 주목한다.
도 13a는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내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도로 교차로(1300A)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도 13b는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도로 교차로(1300B)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도로 시스템 - 하위/상위 레벨:
도 14a 및 도 14b는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나선형 교차로 도로의 도로 시스템을 예시하며, 여기서 도 14a는 하위 레벨 도로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14b는 상위 도로 시스템을 도시한다.
적합한 경우 그리고 예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의 하위 및 상위 도로 시스템은 도 5a 내지 도 5b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에, 4-거리 나선형 교차로에 대해 더 상술되어 있다.
교통 흐름 및 정정:
도 15를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도로 교차로에서 가능한 운전 방향의 도식적 표현(150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3-거리 도로 교차로 실시예(1500)는,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의 화살표 교통 흐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그리고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 다시 어바웃-턴의 정정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 경로(1510)와 같이, 3개의 고속도로 스포크의 각각을 통하여 가능한 교통 방향의 일례를 포함한다.
직접 회전(1507)(A2-B1)은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을 떠나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아웃바운드 섹션(B1)에 합류하도록 안내되고; 크로스-오버 회전(1508)(A2-C1)은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을 떠나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아웃바운드 섹션(C1)에 합류하도록 안내되고; 어바웃-턴(1509)(A2-A1)이 있다.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분기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되어 연속 경로(1510)를 두절시켜, 다른 교통 차선을 크로싱할 필요 없이(위빙 없이), 단일 연속 차선을 유지하면서, 파선 화살표(1509)(A2-A1)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 다시 돌아가는 어바웃-턴과 같은 수정을 가할 수 있게 하는 정정 영역(420)이 제공될 수 있음을 특히 주목한다. 선택사항으로, 정정 영역(420)은 진입로 세그먼트(도 8a, (829A))로부터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한 운전 선택사항이 고속도로 스포크(1204)(B1-B2) 및 고속도로 스포크(1204)(C1-C2)에 적용가능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 정정 영역(420)은, 이하 도 16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바웃-턴과 같은 다양한 운전 조치, 동일한 연속 운전 경로를 유지하면서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 현재 운전 차선을 떠나 다른 운전 차선으로 감으로써 운전 경로를 변경하는 것, 다른 차선으로의 자유 입장 공간으로서 역할하는 것, 다양한 차선의 구역을 병합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16을 이제 참조하면, R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도로 교차로의 가능한 정정 영역(420)의 도식적 확대도(1600)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확대도(1600)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1202)(도 15)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1206)(도 15)와 연관된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의 좌회전(1605); 고속도로 스포크(1204)(도 15)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B2)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6)(도 15)와 연관된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의 우회전(1606); 고속도로 스포크(1206)와 연관된 인바운드 섹션(C2)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202)와 연관된 아웃바운드 섹션(A1)으로 이르는 우회전(1607); 및 어바웃-턴(1609)(A2-A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좌회전 경로(1205)를 따라,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인바운드 섹션(A2)으로부터 고속도로 스포크(106A)의 아웃바운드 섹션(C1)으로 향하여 회전하려 시도하고 있는 도로 사용자는 시도된 회전을 중단하고, 예를 들어, 차선을 변경함으로써 정정 영역(420)에서 운전 방향을 정정하고, 도로 사용자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아웃바운드 섹션(A1)을 따라 다시 돌아갈 수 있다. 더욱, 경로를 더 따라 다른 정정 영역에서 다른 차선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도로 사용자는 고속도로 스포크(1204)의 아웃바운드 섹션(B1)에 진입할 수 있다.
도 17을 이제 참조하면, 가능한 운전 방향의 도식적 표현과, LHT 운전 시스템에 대한 "외측으로의 나선형 인터체인지" 유형의 3-거리 "T" 형상 도로 교차로의 다른 실시예(1700)를 나타내고 있다.
3-거리 "T" 형상 도로 교차로 실시예(1700)는 3개의 고속도로 스포크 시스템; 인바운드 섹션(A1) 및 아웃바운드 섹션(A2)을 갖는 제1 고속도로 스포크(1202), 인바운드 섹션(B1) 및 아웃바운드 섹션(B2)을 갖는 제2 고속도로 스포크(1204), 및 인바운드 섹션(C1) 및 아웃바운드 섹션(C2)을 갖는 제3 고속도로 스포크(1206)를 통하여 가능한 교통 방향의 일례를 포함한다. 나선형 "T" 형상 도로 교차로(1700)는 좌회전(B1-A2)에 대한 직접 진입을 제공하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712), 좌회전(A1-C2)에 대한 직접 진입을 제공하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714), 및 (B2-C2) 및 (C1- B1)의 직선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제공하는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1716)를 더 포함한다.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726)는 가능한 우회전을 더 제공하고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바웃-턴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정정을 가능하게 한다.
3-거리 "T" 형상 도로 교차로 실시예(1700)는 고속도로 스포크(1202)와 연관된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1732), 고속도로 스포크(1204)와 연관된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1734), 고속도로 스포크(1736)와 연관된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1736)를 더 포함한다.
우회전(1707)은, 화살표 경로(A)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진출입로(1729)를 통하여 제2 고속도로 스포크(1202)의 아웃바운드 섹션(A2)에 합류하도록 나선형 환상-도로 인터체인지(1726)를 통해 진출입로(1722)를 통하여 제3 고속도로 스포크(1206)의 인바운드 섹션(C1)을 떠나는 우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교통에 제공한다. 정정 영역(420)은 가능한 정정을 제공하고, 어바웃-턴(1708)을 가능하게 하도록, 연속 경로를 두절시키는 것은, 파선 화살표 경로(B)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진출입로(1729A)를 통하여 아웃바운드 섹션(C2)으로 제3 고속도로 스포크(1706)의 인바운드 섹션(C1)을 따라 돌아가도록 어바웃-턴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교통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보통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출원으로부터 성숙된 특허의 존속 동안 많은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이 개발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컴퓨팅 유닛,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메모리, 서버 등과 같은 용어의 범위는 선험적 모든 그러한 새로운 기술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고 있다", "포함하고 있는", "포함한다", "포함하는", "갖는" 및 그들 활용형은 "포함하지만 국한되지는 않는"을 의미하고 열거된 컴포넌트가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컴포넌트의 배타는 아님을 나타낸다. 그러한 용어는 용어 "으로 이루어지는" 및 "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을 망라한다.
구절 "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조성 또는 방법이 부가적 성분 및/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는 있지만 부가적 성분 및/또는 단계가 조성 또는 방법의 기본 및 신규 특성을 실질적으로 바꾸지는 않는 경우에만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 부정관사 및 정관사는, 맥락이 명확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 "화합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어 "예시적"은 여기에서는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역할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예시적"으로서 설명되는 어느 실시예라도 반드시 다른 실시예보다 바람직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로부터의 특징의 편입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어 "선택사항으로서"는 여기에서는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는"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본 개시의 어느 특정 실시예라도 그러한 특징이 상충하지 않는 한 복수의 "선택사항"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소정 특징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고 인식된다. 반대로, 간략성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별개로 또는 어느 적합한 하위 조합으로라도 또는 본 발명의 어느 다른 설명된 실시예에서 적합한 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소정 특징은, 그 실시예가 그들 구성요소 없이는 동작불능이지 않는 한, 그 실시예의 필수 특징이라고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그 특정 예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 및 넓은 범위 내에 드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개의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참조에 의해 여기에 편입되도록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나타내었던 것과 같은 동일한 정도로까지, 여기에서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출원에서의 어떠한 참조의 인용 또는 식별이라도 그러한 참조가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이용가능한 것이라는 자인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절 제목이 사용될 정도까지도, 그것들은 반드시 한정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8)

  1. 복수의 고속도로 스포크(highway spoke)를 연결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으로서, 상기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각각의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cross-over connecting road)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inbound section)으로부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outbound section)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복수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횡단하는 연속 환상-형 노면을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고, 그리고
    상기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상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는 진출입로;
    상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아웃바운드 섹션과 수렴하는 진입로;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로서, 상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와 상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 사이 모든 중간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는 상기 세그먼트;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하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 및
    상기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의 내측을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연결하는 내측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상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과 인접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아웃바운드 섹션을 연결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내에 포함된 구역 내에 배치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는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내에 포함된 구역 밖에 배치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로부터 상류에서 상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분기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의 제1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제1 링크 도로 및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의 제2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 도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부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링크 도로는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상기 제2 링크 도로를 횡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는 교량, 터널 및 개착로(cu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6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오버 교차부는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의 제3 쌍을 연결하는 적어도 제3 링크 도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 도로는 제2 플라이오버 교차 크로스패스를 통하여 상기 제3 링크 도로를 횡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상기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정 영역을 더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영역은 상기 진입로로부터 상류에 배치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영역 및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재합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렴 영역을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는 하나의 레벨 상의 연속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경로는 상기 입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따라 상기 출구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교통-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선을 포함하고, 상기 교통-흐름은 차선의 크로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로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내측으로의 나선형 수렴을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로는 내측으로부터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와 외측으로의 나선형 수렴을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섹션은 언더패스 크로싱, 오버패스 크로싱,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언더패스 크로싱, 오버패스 크로싱, 교량, 터널, 개착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18. N개의 고속도로 스포크를 연결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으로서,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각각의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로서,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인바운드 섹션과 제2 고속도로 스포크의 아웃바운드 섹션을 연결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스포크 연결 도로; 및
    각각의 상기 고속도로 스포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로서, 상기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 제N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아웃바운드 섹션까지의 연속 경로를 제공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를 포함하되,
    상기 나선형 도로 교차로는,
    적어도 N개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횡단하는 연속 환상-형 노면을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는 고속도로 스포크를 횡단하고, 그리고
    상기 크로스-오버 연결 도로는,
    상기 연관된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인바운드 섹션으로부터의 진출입로;
    상기 제N 고속도로 스포크의 상기 아웃바운드 섹션으로의 진입로;
    적어도 N-2개의 상기 스포크-횡단 크로스패스를 포함하는 환상-도로 인터체인지 세그먼트;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통로를 제공하는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 및
    상기 환상-횡단 크로스패스 세그먼트의 내측을 상기 환상-도로 인터체인지에 연결하는 내측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나선형 도로 교차로 시스템.
KR1020167004145A 2013-08-02 2014-07-31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 KR20160037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1491P 2013-08-02 2013-08-02
US61/861,491 2013-08-02
PCT/IB2014/063589 WO2015015455A2 (en) 2013-08-02 2014-07-31 A spiral ring full road interchan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943A true KR20160037943A (ko) 2016-04-06

Family

ID=5243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45A KR20160037943A (ko) 2013-08-02 2014-07-31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932712B2 (ko)
EP (1) EP3027808A4 (ko)
JP (1) JP2016525639A (ko)
KR (1) KR20160037943A (ko)
CN (1) CN105593436A (ko)
AU (1) AU2014298002B2 (ko)
BR (1) BR112016002117A2 (ko)
CA (1) CA2919410A1 (ko)
IL (1) IL243877B (ko)
MX (1) MX2016001210A (ko)
RU (1) RU2016106151A (ko)
SG (1) SG11201600278XA (ko)
WO (1) WO20150154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572A (zh) * 2017-10-26 2018-02-09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化梁板式无缝路面
SG11202003664TA (en) 2017-11-30 2020-05-28 Arrakis Therapeutics Inc Nucleic acid-binding photoprobes and uses thereof
CN108399759B (zh) * 2018-02-23 2020-10-09 上海理工大学 连续流交叉口左转非机动车交通设计方法
MX2020012386A (es) * 2018-05-22 2021-03-25 Gilead Meroz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proporcionar un intercambio de carreteras con acceso para transporte publico y privado.
CN112085955B (zh) * 2020-09-04 2021-07-13 东南大学 一种连续流交叉口的渠化设计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8746A (ko) *
GB302376A (en) 1927-09-12 1928-12-12 John William Woolnough Improvements relating to road crossings and connections
US2949067A (en) 1957-05-24 1960-08-16 Cedeno Arturo Olivero Traffic intersection
US2941454A (en) * 1957-10-21 1960-06-21 Cedeno Arturo Olivero Traffic intersection
GB848739A (en) 1957-10-21 1960-09-21 Arturo Olivero Cedeno Traffic intersection
US3238854A (en) 1961-12-22 1966-03-08 Okubo Kentaro Continuous-flow traffic interchange
GB1134693A (en) 1965-03-29 1968-11-27 John Edwin Burr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ad junctions
US3847496A (en) 1970-12-11 1974-11-12 J Stankiewicz Traffic network for urban settlement
JPS5539524A (en) 1978-09-12 1980-03-19 Shoji Sanae Road intersection
JPS58131203A (ja) 1982-01-27 1983-08-05 リ−・ス−・ヤン ダウンタウンにおける二重構造h形ノンストツプフリ−ウエイ
DE3224429A1 (de) 1982-06-30 1984-01-12 Horst 6338 Hüttenberg Hellwig Planfreie knotenpunkte
GB2202562B (en) 1987-03-13 1991-07-03 Yin Lung Yang Road junction
US4861184A (en) 1987-12-11 1989-08-29 Mier Francisco D Continuous flow cloverleaf type interchange
US5049000A (en) 1987-12-23 1991-09-17 Mier Francisco D Continuous flow intersection
US4927288A (en) 1988-11-25 1990-05-22 Subhash Raswant Road traffic network
US4955751A (en) 1989-08-22 1990-09-11 John Tsai Crossroad without traffic lights
US4953249A (en) 1989-09-11 1990-09-04 Warwick Jack A Modular overpass or raised parking structure
DE4135693C2 (de) * 1991-10-25 1996-03-07 Werner Pfeifer Verkehrsführungssystem
US5520478A (en) 1994-11-29 1996-05-28 Yin-Lung; Yang Landscaped urban road intersection
US5538357A (en) 1995-03-29 1996-07-23 Boswell, Sr.; Wallace E. Elevatable automobile turn-around system
AU5330896A (en) 1996-04-10 1997-10-29 Fuchang Lu Rapidly assembled overpass
US5921701A (en) 1997-06-25 1999-07-13 Clayton; Robert F. Traffic interchange
US5795095A (en) 1997-10-29 1998-08-18 Heller; Kenneth G. Simultaneous left turn vehicular intersection
KR19990040669A (ko) 1997-11-19 1999-06-05 이장휘 21세기 교차로 시스템
DE19850937C1 (de) 1998-11-05 2000-07-13 Ignaz Walter Straßentunnelanordnung zur Verkehrserschließung von Ballungsräumen
MXPA02012066A (es) * 2000-06-07 2004-03-26 Soo Haeng Lee Sistema vial de niveles multiples.
US20020076276A1 (en) * 2000-12-15 2002-06-20 Troemel David Eric Butzek-troemel roundabout or "spiralabout"
AU2003214596A1 (en) 2002-03-11 2003-09-22 Moshe Hazan Traffic junction with separate driving lanes
CA2378999A1 (en) 2002-03-26 2003-09-26 Resat Telatar Roadway intersection structures
US20050008432A1 (en) 2002-11-19 2005-01-13 Lindsey William J. Simplified "T" interchange designs for a "T" intersection of a divided expressway or freeway with a two lane highway
US20040184879A1 (en) 2003-03-17 2004-09-23 Winkler Gary E. Roadway system interchange
WO2005019534A1 (fr) 2003-08-25 2005-03-03 Yingtang Liu Autopont echangeur aerien a un seul niveau
CN1249302C (zh) 2003-09-28 2006-04-05 董国良 一种全立体化城市道路系统及采用该系统的交通方法
LT5330B (lt) 2004-07-02 2006-03-27 Stanislovas Buteliauskas Autokelių mazgas
CN100557130C (zh) 2004-12-07 2009-11-04 安岗 鱼钩型回转式道路全向立交桥
US20060216111A1 (en) 2005-03-22 2006-09-28 Jacky Lam C S Two-level continuous flow crossroad and construc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parts thereof
US7234891B2 (en) 2005-10-14 2007-06-26 Tsukinada Kensetsu Kabushiki Kaisha Multi-level road intersection
EP1957714A4 (en) 2005-11-24 2011-03-02 Jozef Goj INTERSECTION WITH CIRCULATION CONTROL
CN100473782C (zh) 2006-04-05 2009-04-01 彭振华 无红绿灯无障碍的城市立体快速交通道路结构
US20080033631A1 (en) 2006-08-05 2008-02-07 Rene Yin Highway weaving free cloverleaf type interchange for a highway crossing under a street
US20080267700A1 (en) 2007-04-28 2008-10-30 Rene Yin Weaving free two level cloverleaf type interchange for a highway crossing over a street
US20090010711A1 (en) 2007-07-05 2009-01-08 Rene Yin Weaving free two level cloverleaf type interchange for a highway crossing under a street
US20090035058A1 (en) 2007-08-03 2009-02-05 Reuben Berman Interchange System
CN201099830Y (zh) * 2007-08-06 2008-08-13 张铭钧 城市五岔路口立交桥
US7491009B1 (en) 2007-09-05 2009-02-17 Intersection Solutions Llc Traffic intersection
CN101350133A (zh) 2007-12-03 2009-01-21 李幸超 增加含交叉路口的道路车流量的方法
US8109690B2 (en) 2008-11-04 2012-02-07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for continuous vehicular travel on crossing roadways
WO2010058413A1 (en) 2008-11-19 2010-05-27 Pradeep Kumar Non-merging non-intersecting traffic stream flyovers
KR20100064404A (ko) 2008-12-05 2010-06-15 여지홍 반(1/2) 입체 교차로를 이용한 논스톱(무정차 및 무 정지) 교통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교통방법
GB2466279A (en) 2008-12-18 2010-06-23 David Charles Edwards Motorway junction system
WO2011077189A1 (en) * 2009-12-23 2011-06-30 Idroesse Infrastrutture Spa Road interchange egg-shaped
CN101864710A (zh) * 2010-02-08 2010-10-20 邹世才 十字路口直行和转大弯的环形立交桥
WO2011099954A1 (ru) 2010-02-11 2011-08-18 Petruk Victor Borisovich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развязка
WO2012061925A1 (en) 2010-11-13 2012-05-18 Antonio Loro Weaving-free interchange with few bridges and exterior exits and entrances only
CA2736686A1 (en) 2010-11-13 2012-05-13 Antonio M. Loro Weaving-free interchange with few bridges and exterior exits and entrances only
CN102261026B (zh) 2011-06-16 2013-04-17 白羽 分布式二层定向立交桥
US8950970B2 (en) * 2011-07-09 2015-02-10 Michael A. Gingrich, SR. Double crossover merging interchange
CN102286906B (zh) * 2011-07-13 2013-06-12 深圳大学 无交织环形立交
RU2468138C1 (ru) * 2011-07-25 2012-11-27 Виктор Анатольевич Шулякин Развязка транспортная (варианты)
CN102425090B (zh) 2011-12-28 2014-12-03 陈清伟 可集约利用土地并能避免交通堵塞的城市立体道路
US20130259566A1 (en) 2012-03-27 2013-10-03 Nazeeh Oudeh Road and freeway interchange
US20150193562A1 (en) * 2012-06-20 2015-07-09 Transoft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generation of a geometric layout representing a central island of a traffic roundabout
CA2838422A1 (en) 2013-01-23 2014-07-23 Franck Derenoncourt Strategic subterranean underpass and method
US8915669B1 (en) 2013-05-31 2014-12-23 Thomas F. Gustafson Cross street transit and multimodal multi-level station and pedestrian-oriented inter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00278XA (en) 2016-02-26
AU2014298002B2 (en) 2018-08-16
EP3027808A2 (en) 2016-06-08
JP2016525639A (ja) 2016-08-25
CN105593436A (zh) 2016-05-18
WO2015015455A3 (en) 2015-07-16
EP3027808A4 (en) 2017-06-07
US20160177514A1 (en) 2016-06-23
IL243877A0 (en) 2016-04-21
WO2015015455A2 (en) 2015-02-05
IL243877B (en) 2019-01-31
US9932712B2 (en) 2018-04-03
BR112016002117A2 (pt) 2017-08-01
RU2016106151A (ru) 2017-09-07
MX2016001210A (es) 2016-08-17
CA2919410A1 (en) 2015-02-05
AU2014298002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7943A (ko) 나선형 환상 도로 풀 인터체인지 시스템
US6685386B1 (en) Intersection system
CN101215816A (zh) 多种红绿灯交叉路口交通流量倍增的方法
WO2011140925A1 (zh) 右行制两个"卜"字形单元的组合桥或组合隧道
CN102493298A (zh) 能同时实现左转的交叉路口
US7135989B2 (en) Parallel flow vehicle turn system for traffic intersections
CN105672074A (zh) 城市道路十字路口分流系统
WO2012171321A1 (zh) 分布式二层定向立交桥
CN102121221B (zh) 五桥立交桥
CN101387095A (zh) 完全互通式立交桥
US20180266056A1 (en) Interchange Crossroad with People Walking on Ground, Vehicles Traveling Above and Under Ground, and Only Vehicles on the Same Way Giving Way to One Another
CN102747657B (zh) T字路口行人、车辆无障碍组合式立交桥
CN101113582B (zh) 万通瘦身立交桥
CN103046445A (zh) 十字路口无障碍交通通道设计
CN102277807B (zh) 两种右转桥的十字路口全畅通十字形组合桥
CN207498760U (zh) 立交桥
CN101864711B (zh) 十字路口四个同向拐弯的单桥或隧道的畅通组合结构
CN201634981U (zh) 一种完全互通式立交桥
CN202626781U (zh) 机动车通过十字路口不用交叉行驶的一种交通通道设计
AU753103B2 (en) Intersection systems
CN107476154A (zh) 立交桥
RU96576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развязка
RU2430210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развязка
CN104088206A (zh) 城市路桥网
Kruger et al. Implementation of alternative intersections in South Africa: operational conundrum or cost effective infrastructure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